<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식방지법은 1.레일본드 시설 2. 변전소간 간격을 좁힌다. 3. 귀선을 부극성으로 한다. 따라서 답은 3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KENT]
[오류신고 반론] 귀선저항을 작게하기위해 레일에 본드 설치이므로 4번이 답
[오류신고 반론] 전식을 잦게 할라면 누설전류가 작아져야 하는데 누설전류가 작아지는건 임피던스 본드가 아니라 크로스 본드에요 [해설작성자 : 전기기술사]
[오류신고 반론] 4번에 레일에 본드 사용은 저항과 관련이있는 내용입니다 여기서는 레일을 따라 보조귀선설치라고 해야 맞는말이기 대문에 답은 4번이 맞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1. 레일에 본드 및 레일을 따라 보조귀선 설치 (레일본드:레일과 레일 연결이음매 부분 전기적 저항을 낮추어 통전잘되게 연결하는 연동선<=철도용어사전) 2. 변전소간 간격을 짧게하고 귀선의 극성을 정기적으로 바꿈 3. 대지에 대한 레일의 절연저항을 크게 함 4. 3선식 배전법 사용 즉, 답은 4번 귀선저항을 크게하기 위하여가 틀린 말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귀선저항을 작게하기 위해 레일에 본드를 시설한다입니다 아예 내용이 틀렸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용]
2.
자기방전량만을 항시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일종인 충전방식은?
1.
세류충전
2.
보통충전
3.
급속충전
4.
균등충전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세류충전 자기 필요한 만큼만 충전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Pokdo]
3.
경사각, 미끄럼 마찰계수 μ의 경사면위에서 중량 M(kg)의 물체를 경사면과 평행하게 속도v(m/s)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힘 는?
1.
F=9.8M(sinθ+μscosθ)
2.
F=9.8M(cosθ+μssinθ)
3.
F=9.8Mv(sinθ+μscosθ)
4.
F=9.8Mv(cosθ+μssinθ)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경사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수직항력) : N = M*g*cos(theta) 이며, 경사면과 수평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F = μs*N = μs*M*g*cos(theta) 입니다.
[2] 경사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 : F = M*g*sin(theta) 입니다. ( 중력가속도 g = 9.8 m/s^2 )
[1]과 [2]를 더한 힘만큼 끌어당겨야 하므로 F = M*g*sin(theta) + μs*M*g*cos(theta) = M*g*{sin(theta) + μs*cos(theta)} = 9.8*M*{sin(theta) + μs*cos(theta)} 이 되며, 1번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HDP]
4.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소음이 적어야 한다.
2.
기동 토크가 적어야 한다.
3.
회전부분의 관성 모멘트는 적어야 한다.
4.
가속도의 변화비율이 일정값이 되도록 선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엘레베이터용 전동기의 특징 → 엘레베이터용 전동기는 기동과 정지가 빈번하기 때문에 회전 부분의 관성 모멘트가 작아야 한다.
① 기동토크가 클 것 ② 소음이 적을 것 ③ 가속도의 변화 비율이 일정값이 되도록 할 것 ④ 관성모멘트가 작을 것 [해설작성자 : AAA]
5.
반경 r, 휘도가 B 인 완전 확산성 구면 광원의 중심에서 h되는 거리의 점 P에서 이 광원 의 중심으로 향하는 조도의 크기는 얼마인가?
1.
πB
2.
πBr2
3.
πBr2h
4.
πBr2/h2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Ep=πB(sinθ)^2로 구할 수 있다. - 평판광원, 반구형광원 : sinθ=r/√(r2+h2) - 구형광원 : sinθ=r/h
따라서, 이번 구면광원(구형광원)에서는 Ep=πB(sinθ)^2에 sinθ=r/h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4번이 된다. [해설작성자 : AAA]
해설이 어렵길래 추가합니다
면적 S' = pi*a^2 휘도 B = I/S' 광도 I = B*S' 조도 E = F/S = 4*pi*I/4*pi*h^2 = I/h^2= (B*pi*a^2)/h^2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 10일컷 가즈아]
6.
교류식 전기 철도에서 전압불평형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변압기 결선방식은?
1.
Y-결선
2.
Δ-결선
3.
V-결선
4.
스코트 결선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급전 방식> 직류 - 직접 급전 방식 교류 - 흡상 변압기(BT) 급전 방식 -> 통신선 유도장해 경감 - 단권 변압기(AT) 급전 방식 -> 전압 강하 감소 - 스코트 결선 변압기 -> 전압 불평형 경감 [해설작성자 : zye]
7.
흑연화로, 카보런덤로, 카바이드로 등의 가열방식은?
1.
아크 가열
2.
유도 가열
3.
간접저항 가열
4.
직접저항 가열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직접저항 가열 : 흑연화로, 카보컨덤로, 카바이드로, 아루미늄용해로 등 간접저항 가열 : 염욕로, 크립톨로, 발열체로 등 [해설작성자 : 갓기]
8.
SCR의 턴온(turn on) 시 20A 의 전류가 흐른다. 게이트 전류를 반으로 줄이면 SCR의 전류(A)는?
1.
5
2.
10
3.
2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CR은 Turn ON 이후 게이트의 기능은 상실한다. 따라서 게이트에 어떤 짓을 해도 SCR 도통전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AAA]
9.
완전 확산면의 휘도(B)와 광속 발산도(R)의 관계식은?
1.
R=4πB
2.
R=2πB
3.
R=πB
4.
R=π2B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광속발산도 R = F/S(발산면) = w*I/4pi*r^2 = 4pi*I/4pi*r^2 = I/r^2 휘도 B = I/S = I/pi*r^2 따라서 R = B*pi [해설작성자 : 냥]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본 문제는 다수의 출판사에서 정답을 3, 4번 복수정답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시험 시행처 공시 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 부탁 드리며 해설이 너무 많아지는 관계로 추가 오류신고 및 반론은 받지 않겠습니다. 참고하세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4 두개 모두 정답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반직접조명:빛의 60~90%가 아래로 향하여 직접 표면을 비추고 나머지 10~40%는 천정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조명방식 전반확산조명: 하향광속으로 직접 작업 면에 직사시키고 상향광속의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방식 <동일출판사> [해설작성자 : 티티]
3,4 둘다 맞습니다.
반직접조명:빛의 60~90%가 아래로 향하여 직접 표면을 비추고 나머지 10~40%는 천정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조명방식 전반확산조명: 하향광속으로 직접 작업 면에 직사시키고 상향광속의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방식
설명은 이렇게 되어있지만요, 반직접조명도 직접 표면을 비추고 나머지 10~40%는 천정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방식인데, 반사된 조명이 어디로 갈까요?
전반확산조명이랑 반직접조명은 원리가 같습니다. 그림 찾아보세요 작업면에 직접 직사시키는건 두 방식 모두 동일 합니다. 직사시키는 조명외에 나머지는 천장으로 가겠죠, 전구의 모양이 조금 다른거지 사용하는 방식이 일치합니다. [해설작성자 : 둘 다 맞다고!!]
커넥트 전기단기 책에도 3 4번 모두 정답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서민]
[추가 오류 신고] 에듀윌 3, 4모두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2412]
19.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부싱을 쓰는 목적은?
1.
관의 끝이 터지는 것을 방지
2.
관의 단구에서 전선 손상을 방지
3.
박스 내에서 전선의 접속을 방지
4.
관의 단구에서 조영재의 접속을 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부싱- 부서지는- 손상방지 [해설작성자 : 앙 합격]
20.
강제 전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강 전선관과 박강 전선관으로 나누어진다.
2.
폭발성 가스나 부식성 가스가 있는 장소에 적합하다.
3.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식아연도금범이 사용된다.
4.
주로 강으로 만들고 알루미늄이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은 강제관에서 제외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강제전선관은 모두 철이 주된 재료이다. [해설작성자 : 양재순]
스테인레스는 강제관에 포함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주로 강으로 만들고 알루미늄이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도 강제관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asd]
2과목 : 전력공학
21.
보호계전기에서 요구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동작이 예민하고 오동작이 없을 것
2.
고장개소를 정확히 선택할 수 있을 것
3.
고장상태를 식별하여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
4.
동작을 느리게 하여 다른 건전부의 송전을 막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보호계전기 구비 조건
1. 고장상태를 식별하여 정도를 파악할수 있을것. 2. 고장 개소를 정확히 선택 할수 있을것. 3. 동작이 예인하고 오동작이 없을 것. 4. 적절한 후비 보호 능력이 있을것. 5. 경제적일 것. [해설작성자 : caveman]
22.
GIS(Gas Insulated Switch Gea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부점검, 부품교환이 번거롭다.
2.
신뢰성이 향상되고, 안전성이 높다.
3.
장비는 저렴하지만 시설공사 방법은 복잡하다.
4.
대기 절연을 이용한 것에 비하면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충전부가 대기에 노출되지 않아 기기의 안정성, 신뢰성이 우수하다 2. 감전 사고 위험이 적다 3. 밀폐형이므로 배기, 소음이 없다 4. 소형화 가능
23.
장거리 송전선로의 수전단을 개방할 경우, 송전단 전류를 나타내는 식은? (단, 송전단 전압을 Vs 선로의 임피던스를 Ζ, 선로의 어드미턴스를 Y라 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22%
24.
지락고장 시 이상전압의 발생 우려가 거의 없는 접지방식은?
1.
비접지방식
2.
직접접지방식
3.
저항접지방식
4.
소호리액터접지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31%
25.
송전계통의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는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계통의 과도 안정도가 좋아짐
2.
대지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전선로 및 기기 절연 레벨의 경감
3.
지락고장 시 보호 계전기의 동작을 신속 정확하게 함
4.
소호 리액터 방식에서는 1선 지락시 아크를 신속히 소멸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송전계통의 과도 안정도가 나빠진다.
26.
차단기의 동작 책무에 의한 차단기를 재투입할 경우 전자 또는 기계력에 의한 반발력을 견뎌야 한다. 차단기의 정격투입전류는 정격차단전류의 몇 배 이상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1.
1.2
2.
1.5
3.
2.2
4.
2.5
정답 : [
4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정격차단 전류는 실효값의 2.5배 [해설작성자 : caveman]
27.
배전선로에서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격1차 전압의 10% 범위 내에 서 전압조정을 하고 있다. 전압조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배전선로에서 모선을 일괄 조정
2.
배전용변압기를 V결선하여 조정
3.
배전용변압기에서 주상변압기의 탭 조정
4.
배전용변전소의 주변압기 부하 시 탭 조정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V결선은 단상변압기 2대로 3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전압조정 방법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임영일]
28.
가공선 계통을 지중선 계통과 비교할 때 인덕턴스 및 정전용량은 어떠한가?
1.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작다.
2.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크다.
3.
인덕턴스는 크고, 정전용량은 작다.
4.
인덕턴스는 작고, 정전용량은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가공선은 지중선보다 D값이 크다
29.
그림과 같은 단상 2선식 배선에서 급전점의 전압이 220V 일 때 A점과 B점의 전압(V) 은 얼마인가? (단, 저항값은 1선당 저항값이다.)
<문제 해설> 특유속도(비속도)가 가장 낮은건 펠톤수차 가장 높은건 프로펠러 수차 [해설작성자 : 흠냐]
31.
전력선과 통신선간의 상호 정전용량 및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장해로 옳은 것은?
1.
정전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정전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 전자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화이팅]
32.
통신선과 병행인 60Hz의 3상 1회선 송전선에서 1선 지락으로 110A의 영상 전류가 흐 르고 있을 때 통신선에 유기되는 전자 유도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영상전류는 송전선 전체에 걸쳐 같은 크기이고, 통신선과 송전선의 상호 인덕턴스는 0.05mH/km, 양 선로의 평 행 길이는 55km이다.)
1.
252
2.
293
3.
342
4.
365
정답 : [
3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jwMl(3*영상전류) [해설작성자 : 묵쓰]
유도전압[V] = 3 * 2π * f * ℓ * I * L ▶ 3 * 2π * 60 * 55 * 110 * 0.05 * 10^-3 = 342.119[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3.
출력 185000kW의 화력발전소에서 매시간 140t의 석탄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 발전소 의 열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사용하는 석탄의 발열량은 4000kcal/kg이다.)
<문제 해설> 철손은 무부하손 이므로 부하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다. [해설작성자 : caveman]
53.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용량의 경우에도 전류는 작다.
2.
전기자권선은 전압이 높고 결선이 복잡하다.
3.
계자극은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만들기 쉽다.
4.
계자회로는 직류의 저압회로이며 소요전력도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회전계자형 사용 이유 전기자 권선은 전압이 높고 결선이 복잡하며 대용량으로 되면 전류도 커진다. 계자 회로는 직류의 저압 회로이므로 소요동력도 작으며 인출도선이 2개만 있으면 된다. 고장시 과도 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회전자의 관성을 크게 하기 쉽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caveman]
54.
정격속도 1732rpm의 직류직권전동기의 부하토크가 3/4 으로 되었을 때의 속도는 약 몇 rpm인가? (단, 자기포화는 무시한다.)
이라는 행렬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A=16/7 B=9 C=1/7 D=1 이니 Z02=루트(BD/AC) 로 구한 값은 21/4가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Z01= 루트(AB/CD)로 구하시면됩니다. (2020년 1회2회 통합에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T형 4단자망(2 port network)이 주어졌음.
기본식은, V1 = A·V2 + B·I2 I1 = C·V2 + D·I2
V1 I1은 입력측 전압, 전류. V2, I2는 출력측 전압, 전류
굳이 미련하게 A, B, C, D를 구하는 공식을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를 할 것!
A는 개방 전압이득. 입출력 전압의 관계 변수. I2가 0이면 순수한 전압비 개념. B는 단락 Impedance. 입력 전압과 출력 전류와의 관계 변수. V2가 0이면 순수한 저항/impedance 개념. C는 개방 Admittance.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과의 관계 변수. I2가 0이면 순수한 Admittance 개념. D는 단락 전류이득. 입출력 전류의 관계 변수. V2가 0이면 순수한 전류비 개념.
A =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16/7 B = 단락 Impedance 개념이니까 출력측 2 ports/단자를 short/단락시키면 9[Ω]만 있는 회로가 되니 9의 값을 갖고! C = 출력측 2 ports/단자를 open/개방했을 때(I2 = 0일때), 7[Ω]에 흐르는 입력 전류, 걸리는 전압 관계이므로, = I1 / V2 = I1 / 7·I1 = 1/7[℧] D = 단락 전류이득이니까, 출력측 2 ports/단자를 short/단락시키면/0[Ω]으로 만들면, 입력측 전류 I1이 7[Ω]쪽 회선으로 분배되어 흐름없이 모두 short시킨 출력측 회로로 흐르므로 I2 = I1 가 되어, 1의 값을 가짐!
<문제 해설> q(t) = exp^(at) x cosωt의 Q(s) = (s - a) / {(s - a)^2 + ω^2} 이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F(s)를 다시쓰면 = (s + 2) / {(s + 2)^2 + 3^2} 이므로, a에 -2를 대입하고 ω에 3을 대입하면,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나대로]
66.
분포정수 회로가 무왜선로로 되는 조건은?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은 R, 인덕턴 스는 L, 정전용량은 C, 누설 콘덕턴스는 G이다.)
1.
RL=CG
2.
RC=LG
3.
R=L/C
4.
R=√LC
정답 : [
2
] 정답률 : 39%
67.
RC 직렬회로 직류전압 V(V)가 인가될 때, 전류 I(t)에 대한 시간영역방정식이 로 주어져 있다. 전류 I(t)의 라플라스 변환I(s) 는? (단, C에는 초기전하가 없음)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잘못됐습니다. 1/C 하고 i(t) 사이에 적분기호 인테그럴 추가해주시고 끝에 (V)는 단위표시인 [V]로 바꾸셔서 풀이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심심해서]
68.
다음의 비정현파 전압, 전류로부터 평균전력 P(W)와 피상전력 P(VA)는?
1.
P=283.5, Pa=1541
2.
P=385.2, Pa=2021
3.
P=404.9, Pa=3284
4.
P=491.3, Pa=4141
정답 : [
1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유효전력: P[W] = Vrms x Irms x cosθ에서,
P[W] = 100/√2 x 20/√2 x cos 60˚ + (-50) x 15 / 2 x cos 30˚ - 25 x 10 / 2 x cos 150˚ = 1000 x 0.5 - 375 x 0.866025404 - 125 x (-0.866025404) ∴ cos(-60˚) = -sin(-150˚) = 283.4936491[W]
위 행렬식을 계산해보면, 문제에 주어진 미분 방정식을 만족함을 알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나대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특성방정식의 s4+7s3+17s2+17s+6=0특성근 중에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몇 개인가?
1.
1
2.
2
3.
3
4.
무근
정답 : [
4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In control system theory, the Routh-Hurwitz stability criterion is a mathematical test that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stability of a linear time invariant (LTI) control system.
두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할 때 각 전선의 굵기를 35mm2 이상의 동선을 사용한다.
3.
알루미늄과 동을 사용하는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4.
절연전선 상호간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부분을 절연효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 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나전선 상호 또는 나전선과 절연전선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과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세기(인장하중) 은 20%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할것 2.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의 각 굵기는 동선 50mm2 이상 또는 알루미늄 70mm2 이상으로 하고, 전선의 같은 길이, 굵기, 도체, 재료를 사용할것 3. 알루미늄과 동을 사용하는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접속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게 할것 4. 절연전선 상호⋅절연전선과 코드, 캡타이어 케이블과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1의 규정에 준하는 이외에 접속되는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외의 절연성능이 있는 접속기를 사용하거나 접속부분을 그 부분의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성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82.
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선로의 길이가 몇 km 이상일 때 휴대용 또는 이동용 전화기에 의 해 통화 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5
2.
10
3.
25
4.
50
정답 : [
1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83.
사용전압이 100kV 이상의 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절연유의 구외유출 및 지하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절연유 유출 방지 설비를 하여야 한다. ㉠, ㉡ 에 들 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 측벽, ㉡ 20%
2.
㉠ 집유조, ㉡ 50%
3.
㉠ 소화기, ㉡ 40%
4.
㉠ 집유조, ㉡ 40%
정답 : [
2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삭제에요 ㅠㅠ KEC 311.7 항에 따라 아예 없어진 조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 등은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는가?
1.
6600
2.
22900
3.
30000
4.
35000
정답 : [
4
] 정답률 : 27%
85.
고압 가공전선으로 사용한 경동선은 안전율이 얼마 이상인 이도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1.
2.0
2.
2.2
3.
2.5
4.
3.0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경동선, 동합금선 2.2 그외 2.5 [해설작성자 : 호이호이]
86.
주상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최대 사용전압이 23000V인 권선으로서 중성 점접지식 전로(중성선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중성선에 다중접지를 한 것)에 접속하는 것의 시험전압은?
1.
16560
2.
21160
3.
25300
4.
28750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중성점 접지의 절연내력시험시 23kV의 경우 사용전압에 0.92배에 해당하는 전압을 시험전압으로 사용한다. 21.16kV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건조물과 제1차 접근 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어떤 보안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1차 접근" = 제 3종 특괍 "2차 접근" 35kV 이하 = 제 2종 특괍 35kV 초과 = 제 1종 특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철도∙궤도 또는 자동차도 전용터널 안 전선로에 경동선을 저압 및 고압 전선으로 사용 하는 경우 경동선의 지름은 몇 ㎜ 인가?
1.
저압:2.6㎜ 이상, 고압:3.2㎜ 이상
2.
저압:2.6㎜ 이상, 고압:4㎜ 이상
3.
저압:3.2㎜ 이상, 고압:4㎜ 이상
4.
저압:3.2㎜ 이상, 고압:4.5㎜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35%
89.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철탑은 상시 상정하중 또는 이상 시 상정하중 의 몇 배의 하중 중 큰 것에 견뎌야 하는가? (단, 완금류는 제외한다.)
1.
1/2
2.
2/3
3.
1
4.
3/2
정답 : [
2
] 정답률 : 22%
90.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케이블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경우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1.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300V 이 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은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0
2.
80
3.
100
4.
150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KEC 적용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1]
92.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 이하인 가?
1.
2
2.
3
3.
4
4.
5
정답 : [
1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애자공사 : 2m 합성수지관 공사 : 1.5m 버스덕트공사 : 3m 라이팅 덕트공사 : 2m 케이블 공사 : 2m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 6m) [해설작성자 : caveman]
93.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과 삭도 또는 다른 가공약전류 전선 등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인가? (단, 통신선은 케이블이 다.)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통신선이 케이블 및 광전선 인경우 40cm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ec 적용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1]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