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규정으로 인해 2번: 폭이 4[cm]를 초과하는 철판으로 제작할것.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보면서공부한드아]
[오류신고 반론] KEC 변경사항 없는것 같습니다.
성안당 : 폭 [5cm]를 초과하고 두께가 1.2[mm] 이상인 철판으로 견고하게 제작한다.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 준비중]
[추가 오류 신고] 금속덕트 공사(KEC 232.31) 1. 폭이 40[mm] 이상, 두께가 1.2[mm] 이상인 철판 또는 동등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금속제의 것으로 견고하게 제작한 것일 것. [해설작성자 : KEC 개정후 변경]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2, 3 임.
- 덕트 안쪽, 바깥쪽 모두 산화방지를 위한 아연도금을 할 것 - 금속 덕트 공사는 폭이 40[mm]이상, 두께가 1.2[mm]이상인 철판 또는 동등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금속제의 것으로 제작 (다산에듀 2021 전기응용 공사재료 p.199 수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Y결선이 2개가 같이 있는경우 용량P 원래 공식 P=root3*VI 이므로 VL = root3*Vp가 2개 root3*root3*Vp = 3E (Vp=E) IL = Ip 이므로 2개의 IL = 2Ip 이므로 3E*2I = 6EI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다음 회로는 스위치 K가 열린 상태에서 정상상태에 있었다. t=0에서 스위치를 갑자기 닿았을 때 V(0+) 및 i(0+)는?
1.
0V, 12.5㎃
2.
50V, 0㎃
3.
50V, 12.5㎃
4.
50V, -12.5㎃
정답 : [
3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정상 상태에 있었다는 것은 평형 상태에 있었다는 얘기고, 즉, 4[kΩ]의 저항 양단의 전위차가 0(zero)이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라는 의미. 그래서 5[k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10[mA]를 곱하면 50[V]가 나오고, Capacitor 양단에 걸리는 전압도 50[V]여야 정상상태라고 정의할 수가 있음! 그런데, 갑지기 Switch K를 close하면, 10[mA]의 전류는 5[kΩ]의 저항으로 흐르지 않고, 저항이 없는(0[Ω]인) Switch K가 있는 회로로만 모두 흐르게 됨! 고로 5[kΩ]의 저항에는 V = IR 의 법칙에 따라 I가 0이므로 전압이 걸리지 않게 됨. 즉 전압이 0이 되고, Capacitor 양단의 전압 50[V]가 전압원이 되서 4[kΩ]의 저항을 통해서 전류(i)가 흐르게 됨! i = 50 / 4000 = 12.5 x 10^(-3)[A]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의 역 라플라스 변환은?
1.
tn
2.
tn-1
3.
4.
정답 : [
4
] 정답률 : 31%
63.
다음과 같이 Y결선을 △결선으로 변환할 경우 R1의 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0.33
2.
3.67
3.
5.5
4.
11
정답 : [
3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R1의 임피던스는 삼각변환에 의하여 1*2+2*3+3*1/2 가되 므로 5.5 이다. [해설작성자 : 한전에가고싶은철도과학생]
R1 = (2 + 6 + 3) / 2 = 5.5[Ω] [해설작성자 : 나대로]
64.
60Hz, 120V 정격인 단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은 3HP이고 효율은 90%이며 역률은 80%이다. 역률을 100%로 개선하기 위한 병렬 콘덴서가 흡수하는 복소전력은 몇 VA인가? (단, 1HP=746W이다.)
3HP = 746 X 3 = 2238 [W] P = 마력/효율 = 2238 / 0.9(효율)= 2486 [W] Q = P(tan1@ - tan2@) = 2487 X ( 0.6/0.8 - 0/1) = 1,865[KVA] 병렬 콘덴서의 역률을 100%로 향상 시키지위해 부하의 -j1865[KVar]의 지상 무효전력을 흡수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라비카원두]
3[hp] = 746 x 3 = 2238[W]
피상전력 S[VA]를을 구하기 위해, 먼저 2238[W]에 효율을 적용하면, P[W] = 2238 / 0.9 = 2486.67[W]
Power Factor(PF)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cosθ = 0.8 = P[W]/S[VA]이므로, S = 2486.67 / 0.8 = 3108.33[VA]
S = √(P^2 + R^2) ∴ R = reactive power(무효전력), 저항 R과 겹치니 Q로 하려다 그냥 해봄! S = 3108.33[VA] = √(2486.67^2 + R^2) 양변을 제곱하면, 3108.33^2 = 2486.67^2 + R^2 R^2 = 3108.33^2 - 2486.67^2 = 3478225.033[VAr^2] R = √3478225.033 = 1865[VAr]
이 무효전력을 없애버려야 PF가 100[%]가 됨!
다른 방법으로 역률 보상 Capacitor 용량 구하는 간편한 공식, Qc[VAr] = P[W] x (tanθ1 - tanθ2)를 활용. ∴ θ1 = 개선전 역률에 의한 각도, θ2 = 개선후)
θ1 = acos(0.8) = 36.87˚, θ2 = acos(1.0) = 0˚
Qc[VAr] = 2486.67 x (tan36.87˚ - tan0˚) = 2486.67 x (0.75 - 0) = 1865[VAr]
결과는 동일!!! [해설작성자 : 나대로]
p=(3×746)/0.9 Qc=p×(0.6/0.8)=1865 [해설작성자 : 쉬운 해설]
65.
2단자 임피던스의 허수부가 어떤 주파수에 관해서도 언제나 0이 되고, 실수부도 주파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되는 회로는?
1.
정저항 회로
2.
정인덕턴스 회로
3.
정임피던스 회로
4.
정리액턴스 회로
정답 : [
1
] 정답률 : 37%
66.
불평형 3상 회로에서 전압의 대칭분을 각각 I0, I1, I2전류의 대칭분을 각각 V0, V1, V2라 할 때 대칭분으로 표시 되는 복소전력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V0I*1+V1I*2+V2I*0
2.
V0I*0+V1I*1+V2I*2
3.
3V0I*1+V1I*2+V2I*0
4.
3V0I*0+V1I*1+V2I*2
정답 : [
4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오류인듯 4번 보기 3(v0i0*+v1i1*+v2i2*) 이어야 말이 됨 [해설작성자 : 흠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배울학 4번보기 달라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023 동일출판사도 4번 문항에 3V0I0 + 3V1I1 + 3V2I2 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뱀돌이]
[오류신고 반론] 도서출판 윤조, 2021 전기공사기사 필기에도 3, 4번 보기에 각각 3 곱해져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1]
67.
그림에서 2Ω에 흐르는 전류 i는 몇 A인가?
1.
28/31
2.
4/13
3.
4/7
4.
정답 : [
1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총 3개의 Loop를 설정해서 KVL을 적용해서 풀어야 함! Loop內 전류 방향은 모두 시계방향 기준! 2[A]의 전류원이 있는 사각형(Loop), 1[V]의 전압원이 있는 Loop-1內 전류를 I1, 2[V]의 전압원이 있는 Loop-2內 전류를 I2로 설정!
Irms = √{(1/T)∫_T~0(i^2)dt} = √[(1/30) x {∫_10~0(100^2)dt +∫_30~10(20^2)dt} = √[(1/30) x {(10000 x t│_10~0) + (400 x t│_30~10)} = √(1/30) x {(10000 x 10) + (400 x 30 - 400 x 10)} = √{(1/30) x 108000} = √3600 = 60[A] [해설작성자 : 나대로]
69.
3상 부하가 Δ결선되었을 때 n상에는 콘덕턴스 0.3℧, b상에는 콘덕턴스 0.3℧, c상은 유도 서셉턴스 0.3℧가 연결되어있다. 이 부하의 영상 어드미턴스[℧]는?
1.
0.2 – j0.1
2.
0.3 + j0.3
3.
0.6 – j0.3
4.
0.6 + j0.3
정답 : [
1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대칭좌표법에 따라, 영상성분은 각 상 성분을 더하고 3으로 나눈 값.
영상 Admittance Y0 = 1/3 x (Ya + Yb + Yc)
Admittance Y는 Impedance Z의 역수. 단위는 ohm[Ω]의 반대인 mho[℧] => Y = 1/Z [℧]
Impedance가 실수부 및 허수부로 이뤄질 수 있듯, Admittance도 실수부와 허수부로 이뤄질 수 있음. 이때 실수부를 Conductance, 허수부를 Susceptance라고 함!
유도성 reactance인 X_L = jw x inductance L = jωL[Ω]이고, 이의 역수인 1/X_L = 1/jωL = -j/ωL[℧]이 유도성 Susceptance임!
만약 용량성 reactance라면, Xc = 1/jωC = -1/ωC[Ω]이고, 이의 역수인 1/Xc = jωC[℧]가 용량성 Susceptance임!
전력 P[W] = I^2 x R 에서, P = 20^2 x 4 + 5.0767^2 x 4 = 1600 + 103.0919 = 1703.1[A]
※ 여기서 전력의 단위가 [W]이니, 저항으로 고려하는 것임! 만약 피상/겉보기 전력 단위는 [VA]로 주어졌다면 Inductance나 Capacitance가 포함된 impedance 값 5[Ω]과 9.8489[Ω]으로 계산해야 함! 또한, 무효전력(단위가 [VAr]) 값을 물었다면, 3[Ω]과 9[Ω]을 각각 적용해서 답을 구하면 됨! [해설작성자 : 나대로]
71.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34%
72.
일 때, e*(t)의 최종값은?
1.
0
2.
1
3.
25
4.
∞
정답 : [
2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z변환의 최종값 or 초기값을 구할 땐 둘 다 (1-1/z)을 붙여주고 최종값은 z=1, 초기값은 z=무한을 넣은 후 계산하면 됩니다. 여기선 최종값을 구하므로 z=1입니다. 1-1/z은 (z-1)/z와 같으므로 분모와 분모에 있는 각각 z, z-1은 약분되어 사라지고 남는건 0.792/z^2-0.416z+0.208이 남습니다. 여기서 z에 1을 넣어서 계산하면 0.792/0.792 = 1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버터스]
73.
물체의 위치, 방위, 각도 등의 기계적 변위량으로 임의의 목표값에 추종하는 제어장치는?
1.
자동조정
2.
서보기구
3.
프로그램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서보기구란 물체의 위치, 방위, 각도 등의 기계적 변위량으로 임의의 목표값에 추종하는 제어창지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제어기기 분류. 제어량에 의한 분류 보통 4가지. Process 제어, Servo 기구, 자동 조정, Program 제어. 이런 4가지 분류 Process 제어: 온도, 유량, 압력 등의 공정 상태량을 control하여 공정에 가해지는 외란의 억제를 주목적으로 함. Servo 기구: 각도, 변위, 자세, 위치 등 목표값이 임의로 변할 때 제어하기 위한 기기. 자동조정: 전압, 전류, 주파수 등 일반적인 전기적 요소를 제어하는 것. Program 제어: 무인 자동차, Elevator 등 각종 Program으로 제어. [해설작성자 : 나대로]
74.
이고, T=2초일 때 크기 G|jω|와 위상 ∠G(jω)는 각각 얼마인가?
1.
0.24, 76°
2.
0.44, 36°
3.
0.24, -76°
4.
0.44, -36°
정답 : [
3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주파수 전달함수에서 주파수 f = 1/T = 1/2 = 0.5[Hz] G(jω) = 1 / (1 + j4) = 분모 유리화를 위해 분자 및 분모에 1 - j4를 곱하면, = (1 - j4) / 17 = 1/17 - j4/17 이 직교 형식으로 표현된 복소수를 polar form으로 변환해줘야 문제의 답을 얻는 것임! │G(jω)│ = √{(1/17)^2 + (1/17)^2} = √0.0588 = 0.2425 위상각 θ = atan(허수부/실수부) = atan(-4/1) = -75.964˚ [해설작성자 : 나대로]
계산기에 T=2 대입해서 때려넣으면 계산해줘요 1 / (1 + 2i*2) = 루트17/17각-75.96.... S=D누르면 0.242.... 각-75.963..... 로 표시해줍니다. 혹시 각으로 표시 안해주면 모드 2번 컴플랙스, 시프트 모드 화살표 하단 컴플랙스 2번에 각표기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계산기를씁시다.]
사용전압 1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 다중접지식에 사용되는 접지선의 공칭단면적은 몇 mm2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굵기로서 고장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가? (단, 전로에 지락이 생긴 경우 2초 이내에 전로로부터 자동차단하는 장치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