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아담스(Adams)의 재해연쇄이론에서 작전적 에러(Operational Error)로 정의한 것은?
1.
선천적 결함
2.
불안전한 상태
3.
불안전한 행동
4.
경영자나 감독자의 행동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담스의 재해연쇄이론 1.관리적 결함 = 관리적구조 결함(목적(목적,수행표준,시정,측증),조직(명령체제,관리의범위,권한과 임무의 위임,스탭),운영(설계,설비등) 2.작전적 에러 = 전략적 에러(관리자나 감독자에 의해 만들어진 에러) a.관리자의 행동:정책,목표,권위,결과에대한 책임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의사결정이 잘못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않음. b.감독자의 행동:행위,책임,권위,규칙 등과 같은 영역에서 관리상의 잘못 또는 생략이 행해짐. 3.전술적 에러 = 전술적 에러(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4.사고(사고의 발생 무상해사고, 물적 손실사고) 5.상해(재해)또는 손해:대인,대물 [해설작성자 : 아담스(Adams)의 재해연쇄이론]
5.
다음 중 무재해운동 추진시 무재해 시간의 산정기준에 있어 건설현장 근로자의 실근로시간의 산정이 곤란한 경우 1일 몇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하는가?
1.
8시간
2.
9시간
3.
10시간
4.
12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사무직 : 8시간 건설현장 : 10시간 [해설작성자 : 타이거영기]
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할 직무가 아닌 것은?(단, 기타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 고용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직무
2.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3.
직업성 질환 발생의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
4.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관리자의 직무내용 1.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안전.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 .의결한 직무와 해당 사헙장의 안전 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직무 2.의무안전인증대상 기계 기구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기구 등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 3.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4.사업장 순회 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 5.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줄적 지도. 조언 6.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 관리를 위한 지도 조언(안전분야로 한정) 7.법 도는 법에 따른 명령이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그론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해설작성자 : 미사천]
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작업환경이 불량한 사업장
2.
직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3명 발생한 사업장
3.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4.
산업재해발생률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발생률의 2배인 사업장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작업환경 화재, 폭발, 불량 또는 누출사고등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이상인 사업장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중 중대재해(사업주가 안전‧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불생한 중대재해만 해당)발생 사업장 -작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2명 이상(상시 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아상) 발생한 사업장 -중대재해발생 사업장(사업주가 안전보건조치의무 이행하지 아니한 중대재해만 해당) [해설작성자 : 여나]
제49조(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할 대상) 법 제4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이란 다음 각 호의 사업장을 말한다.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2. 법 제49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제50조(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대상) 법 제49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직업성 질병자가 발생한 사업장”이란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을 말한다.
**제49조(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ㆍ시행 명령) ① 고용노동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장으로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종합적인 개선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장의 사업주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업장, 시설,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개선계획(이하 "안전보건개선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의 사업주에게는 제47조에 따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다.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8.
500명의 상시 근로자가 있는 사업장에서 1년간 발생한 근로손실일수가 1200일이고, 이 사업장의 도수율이 9일 때, 종합재해지수(FSI)는 얼마인가?(단, 근로자는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다.)
<문제 해설> **안전 점검의 종류 -수시점검:작업전.중.후에 실시하는 점검 -정기점검:일정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점검 -특별점검 1. 기계 기구 설비의 신설시 변경내지 고장 수리시 실시하는 점검 2. 천재지변 발생 후 실시하는 점검 3.임시점검:이상 발견시 임시로 실시하는 점검. 정기 점검과 정기 점검 사이에 실시하는 점검 [문제에 문제가 있는 듯함;;; 하여튼 탑은 3번 입니다; ] [해설작성자 : 미사천]
시설물의 안전관리 시 안전점검의 종류 중 임시점검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시설물이라는 것에 유의하셔야 할 듯 합니다. [해설작성자 : HHKIM]
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 6조(안전점검의 실시)에 보면 안전점검은 정기점검, 정밀점검 및 긴급 점검으로 구분라여 실시 한다. [해설작성자 : 해피레이다]
15.
다음 중 재해조사의 목적 및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재해조사의 목적은 동종재해 및 유사재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재해조사의 1차적 목표는 재해로 인한 손실금액을 추정하는 데 있다.
3.
재해조사는 현장보존에 유의하면서 재해발생 직후에 행한다.
4.
피해자 및 목격자 등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고 시의 상황을 수집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16.
다음 중 40명이 근무하는 사출성형제품의 생산 공장에 가장 적합한 안전조직의 형태는?
1.
라인(Line)형 조직
2.
스텝(Staff)형 조직
3.
라운드(Round)형 조직
4.
라인-스텝(Line-Staff) 혼합형 조직
정답 : [
1
] 정답률 : 84%
1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해당 공사를 위하여 계상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명세서는 공사종료 후 얼마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2
] 정답률 : 74%
18.
의무안전인증 대상 보호구 중 내수성 시험을 실시하는 안전모의 질량증가율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 미만
2.
2% 미만
3.
1% 이상
4.
2%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내수성 시험 종류 AE와 ABE 안전모의 모체를 20~25도의 수중에 24시간 담가 놓은 후 대기중에 꺼내어 마른 천 등으로 표면의 수분을 닦아내고 무게증가율(%)을 산출한다. 합격기준은 AE, ABE 의 안전모는 질량 증가율이 1%미만이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박성호]
19.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리프트 및 곤돌라는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몇 개월마다 안전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1
] 정답률 : 77%
20.
다음과 같은 재해 사례의 분석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사고유형 : 낙하, 기인물 : 벽돌, 가해물 : 벽돌
2.
사고유형 : 충돌, 기인물 : 손, 가해물 : 벽돌
3.
사고유형 : 비래, 기인물 : 사람, 가해물 : 벽돌
4.
사고유형 : 추락, 기인물 : 손, 가해물 : 벽돌
정답 : [
1
] 정답률 : 80%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착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착각은 인간의 노력으로 고칠 수 있다.
2.
정보의 결함이 있으면 착각이 일어난다.
3.
착각은 인간 측의 결함에 의해서 발생한다.
4.
환경조건이 나쁘면 착각은 쉽게 일어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22.
허츠버그(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중 동기요인의 측면에서 직무동기를 높이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급여의 인상
2.
상사로부터의 인정
3.
자율성 부여와 권한 위임
4.
직무에 대한 개인적 성취감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생요인 정책 감독 급여 인간관계 근무조건 동기요인 성취감 책임감 작업그자체 승진 인정 [해설작성자 : 1]
23.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안전⋅보건 관련 교육과정 중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교육 대상별 교육시간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일용근로자의 채용 시 교육 : 2시간 이상
2.
일용근로자의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1시간 이상
3.
사무직 종사 근로자의 정기교육 : 매분기 4시간 이상
4.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기교육 : 연간 8시간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일용근로자의 채용 시 교육 : 1시간 이상 사무직 종사 근로자의 정기교육 : 매분기 3시간 이상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기교육 : 연간 16시간 이상 [해설작성자 : ㅇㅈㅎ]
24.
다음 중 몹시 피로하거나 단조로운 작업으로 인하여 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의 의식 수준은?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업과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인적 자질에 의해 직무의 내용을 정의하는 공식적 절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직무분석(Job Analysis)
2.
직무평가(Job Evaluation)
3.
직무확충(Job Enrichment)
4.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정답 : [
1
] 정답률 : 67%
31.
다음 중 심포지엄(Symposium)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먼저 사례를 발표하고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하는 방법
2.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하여 과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한 뒤에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여 토의하는 방법
3.
새로운 교재를 제시하고 거기에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다시 깊이 파고들어서 토의하는 방법
4.
패널 멤버가 피교육자 앞에서 자유로이 토의하고. 뒤에 피교육자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방법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사례연구법 3-> 포럼 4 ->패널 디스커션
32.
다음 중 시행착오설에 의한 학습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1.
준비성의 법칙
2.
일관성의 법칙
3.
시간의 법칙
4.
계속성의 법칙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시행착오설: 효과의법칙, 준비성의법칙, 연습의법칙 (효과를 준 연습) 조건반사설: 강도의원리, 일관성의원리, 시간의원리, 계속성의원리 (강도짓하는 일도 시간이 계속든다) [해설작성자 : 선방불패]
33.
다음 중 작업에 수반되는 피로의 예방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부하를 크게 할 것
2.
불필요한 마찰을 배제할 것
3.
작업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것
4.
근로시간과 휴식을 적절하게 취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82%
34.
다음 중 호손(Hawthorne) 실험의 결과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준 가장 큰 요인은?
1.
생산기술
2.
임금 및 근로시간
3.
조명 등 작업환경
4.
인간관계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호손 효과 의미 : 심리적인 기대감이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가져 온다는 효과. 타인의 기대감이 근로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높은 성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실험에 참가한 개인이 자신이 관찰되고 있다는 인식 때문에 자신의 행동을 바꾸거나 작업 능률을 올리게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ㅈㅎ]
35.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 중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단, 사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3.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4.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다.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교육내용 ○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
4번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은 근로자 정기교육에 해당함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제26조제1항 관련) 가. 근로자 정기교육 교육내용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36.
리더십 이론 중 경로목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하의 능력이 우수하면 지시적 리더행동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2.
내적 통제성향을 갖는 부하는 참여적 리더행동을 좋아한다.
3.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으면 지시적 행동이 효율적이다.
4.
외적 통제성향인 부하는 지시적 리더행동을 좋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지시적 리더십은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지 않을 때 효율적이다.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을 때 적합한 것은 지원적 리더십과 참여식 리더십이다. [해설작성자 : 김젤다]
37.
다음 중 사고 경향성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떤 특정한 환경에서 훨씬 더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2.
어떠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사고를 더 잘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3.
사고를 많이 내는 여러 명의 특성을 측정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4.
검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다른 두 시기 동안에 같은 사람의 사고기록을 비교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어떤 특정한 환경에서 훨씬 더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 기회설 . 상황성 누발자
38.
다음 중 인사선발에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신뢰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본래의 개념을 올바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동일한 심리적 개념을 독특하게 측정하는 정도를 말한다.
3.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개념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를 말한다.
4.
검사 결과에서 측정오차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39.
반복적인 재해발생자를 상황성누발자와 소질성누발자로 나눌 때 다음 중 상황성누발자의 재해유발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저지능인 경우
2.
도덕성이 결여된 경우
3.
소심한 성격인 경우
4.
심신에 근심이 있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5%
40.
리더십의 권한에 있어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하는 권한이 아닌 것은?
1.
위임된 권한
2.
강압적 권한
3.
보상적 권한
4.
합법적 권한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보상적 권한 :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보상할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하직원들을 통제할 수 있으며 부하들의 행동에 대한 영향을 끼칠수 있는 권한 -강압적 권한 : 부하직원들을 처벌할수 있는권한 -합법적 권한 : 조직의 규정에 의해 지도자의 권한이 공식화 된 것 [해설작성자 : 여나]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중 시스템 안전관리의 주요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의 식별
2.
안전활동의 계획, 조직 및 관리
3.
시스템 안전활동 결과의 평가
4.
생산시스템의 비용과 효과 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의 동일성의 식별 -안전활동의 계획, 조직과 관리 -다른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 조정 -시스템 안전에 대한 목표를 유효하게 적시에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해석, 검토 및 평가등의 시스템 안전업무 [해설작성자 : 여나]
수평 작업대에서의 정상작업영역은 상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4.
수평 작업대에서의 최대작업영역은 다리를 고정시킨 후 최대한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구조적 인체 치수는 움직이지 않는 몸의 자세로부터 측정한 것이다. 선반의 높이,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정할 때에는 인체 측정치의 최소집단치를 적용한다. 수평 작업대에서의 정상작업영역은 상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수평 작업대에서의 최대작업영역은 전완과 상완을 곧게 펴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김젤다]
58.
다음 중 인간공학을 나타내는 용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human factors
2.
ergonomics
3.
human engineering
4.
customize engineering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rgonomics - 인체공학 [해설작성자 : 건안기]
59.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단계 중“관계 자료의 작성준비”에 있어 관계 자료의 조사항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일지에 관한 도표
2.
온도, 압력
3.
공정기기목록
4.
화학설비 배치도
정답 : [
2
] 정답률 : 52%
60.
다음 중 path s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 것이다.
2.
Top 사상을 발생시키는 조합이다.
3.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4과목 : 건설시공학
61.
위치한 지면보다 낮은 우물통과 같은 협소한 장소의 흙을 퍼올리는 장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스크레이퍼
2.
클램쉘
3.
모터그레이더
4.
파워쇼벨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클램쉘 : 좁은 곳의 수직터파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철골공사의 기초상부 고름질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면바름 마무리법
2.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법
3.
나중매입공법
4.
나중채워넣기법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전면바름방법 2.나중 채워넣기 중심 바름법 3.나중 채워넣기+자바름법 4.나중 채워넣기 방법 -나중 매입법은 앵커볼트 매입법 [해설작성자 : Charlie]
63.
조적 벽면에서의 백화방지에 대한 조치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잘 구워진 벽돌을 사용한다.
2.
줄눈으로 비가 새어들지 않도록 방수처리한다.
3.
줄눈모르타르에 석회를 혼합한다.
4.
벽돌벽의 상부에 비막이를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잘구워진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 2.우천시 조적공사를 하지 않는다. 3.줄눈모르타르에 방수제를 넣는다. 4.벽면 상부에 차양, 돌림띠 등을 설치하여 빗물의 침투를 막는다. 5.벽돌 벽면에 실리콘, 파라핀 도료를 바른다. [해설작성자 : Charlie]
64.
석공사의 건식 석재공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재의 건식 붙임에 사용되는 모든 구조재 또는 긴 결철물은 녹막이 처리를 한다.
2.
석재의 색상, 석질, 가공형상, 마감 정도, 물리적 성질 등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3.
건식 석재 붙임에 사용되는 앵커볼트, 너트, 와셔 등은 주철제를 사용한다.
4.
화강석 특유의 무늬를 제외한 눈에 띄는 반점 등을 제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3. 주철제 --> 스테인레스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65.
제자리콘크리트 말뚝 중 내⋅외관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은 후에 내관을 빼낸 후, 외관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지중에 콘크리트말뚝을 형성하는 것은?
1.
심플렉스파일
2.
콤프레솔파일
3.
페데스탈파일
4.
레이몬드파일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심플렉스파일-철관을 쳐서 박아넣고 이속에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중추로 다지며 외관을 뽑아내는 공법 2.컴플레솔파일-원추형의 추를 낙하시켜 구멍을 뚫고 이 말뚝구멍에 잡석과 콘크리트를 교대로 투입하면서 추로 다지는 공법 3.페데스타파일-심플렉스파일을 개량한 것으로 지내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말뚝선단에 구근을 형성하는 점이 특징 4.레이몬드파일-얇은 철판재의 외관에 심대를 박고, 심대를 빼내고 콘크리트를 다짐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6.
내화벽돌 줄눈의 표준 너비로 옳은 것은?
1.
6mm
2.
8mm
3.
10mm
4.
12mm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내화벽돌은 기건성이므로 물축이기를 하지 않고 쌓아야 되며, 보관시에도 우로를 피해야 하고 모르타르는 내화 모르타르 또는 단열 모르타르를 사용 줄눈나비는 6mm를 표준 굴뚝, 연도 등의 안쌓기는 구조 벽체에서 0.5B정도 떼어 공간을 두고 쌓되 거리 간격 60cm정도마다 엇갈림으로 구조 벽체와 접촉하여 자립 내화벽돌쌓기가 끝나는 대로 줄눈을 흙손으로 눌러 두고 줄눈은 줄바르고 평화하게 바름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7.
대규모공사에서 지역별로 공사를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이며 중소업자에게 균등기회를 주고 또는 업자 상호 간의 경쟁으로 공사기일단축, 시공기술향상 및 공사의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 유리한 도급방법은?
네모돌을 수평줄눈이 부분적으로만 연속되게 쌓고, 일부 상하 세로줄눈이 통하게 쌓는 돌쌓기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완자쌓기
2.
마름돌쌓기
3.
막돌쌓기
4.
바른층쌓기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② 마름돌쌓기 : 돌면이나 맞댐면을 일정한 모양으로 가공해서 줄눈을 바르게 쌓는 방식 ③ 막돌쌓기 : 맞댐면과 상관없이 자연석을 비롯한 돌들을 다듬지 않고 쌓는 방식 ④ 바른층쌓기 : 켜마다 수평 및 수직줄눈을 바르게 형성하면서 쌓는 방식 [해설작성자 : 건안기 공부 중]
72.
강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형강에 비하여 국부좌굴에 분리하여 강도가 약하다.
2.
콘크리트 충전 시 내부의 콘크리트와 외부 강관의 역적 거동에서 합성구조라 볼 수 있다.
3.
콘크리트 충전 시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 없다.
4.
접합부 용접기술이 발달한 일본 등에서 활성화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장점 1.단면에 강도의 방향성이 없다. 2.휨강성, 비틀림 강성이 크다. 3.국부좌굴에 유리하다. 4.가볍고 외관이 경쾌하다. 단점 1.접합부의 절단가공이 어렵다. 2.이음, 맞춤부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3.접합이 복잡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3.
다음 중 흙막이벽 버팀대의 응력변화를 측정하여 이상변화파악 및 대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되는 계측기는?
치장벽돌을 사용하여 벽체의 앞면 5~6켜 까지는 길이쌓기로 하고 그 위 한 켜는 마구리쌓기로 하여 본 벽돌벽에 물려 쌓는 벽돌쌓기 방식은?
1.
미식쌓기
2.
불식쌓기
3.
화란식쌓기
4.
영식쌓기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불식쌓기-매켜에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를 번갈아 쌓는 것이고 외관이 아름다워 강도를 요하지 않는 벽체 또는 벽돌담에 쓰임 화란식쌓기-영식쌓기와 거의 같고 모서리 끝에는 칠오토막을 씀 영식쌓기-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모서리나 벽끝에는 이오토막을 쓴다.벽돌쌓기 중 가장 튼튼한 법이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76.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는 청정, 견경, 내구성 및 내화성이 있어야 한다.
2.
골재에 포함된 부식토, 석탄 등의 유기물은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하여 혼화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골재의 입형은 편평, 세장하지 않은 구형의 입상이 좋다.
4.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에 경화한 모르타르의 강도 이상이 요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골재는 석탄, 부식토 등의 유기물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것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7.
특수한 거푸집 가운데 무량판구조 또는 평판구조와 가장 관계가 깊은 거푸집은?
1.
슬라이딩폼
2.
워플폼
3.
메탈폼
4.
갱폼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무량판 구조 또는 평판구조에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2.커다란 스팬의 공간 확보, 층고를 낮출 수 있는 거푸집 [해설작성자 : Charlie]
1.슬라이딩폼-거푸집 높이는 약 1m이고 하부가 약간 벌어지 원형 철판 거푸집을 요크로 서서히 끌어올리는 공법으로 silo공사 등에 적당 2.메탈폼-강재거푸집,조립간단,콘크리트 정확한 주입, 콘크리면이 평활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문제 해설> 조강포틀랜드시멘트 1.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규산3석회 성분이 많고 분말도를 크게 하여 초기에 강도를 발현하게 한 시멘트 2.28일 강도를 7일 만에 발현시킬 수 잇다. 3.조기강도가 높고 장기강도는 비슷하다. 4.수밀성이 높고, 수화발열량이 크다. 5.낮은 온도에서도 강도으 ㅣ발생이 크다. 6.매스콘크리트에는 부적당 7.긴급공사, 한중공사, 수중공사, 공기단축공사에 쓰인다. [해설작성자 : Charlie]
100.
경량기포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열성이 낮아 결로가 발생한다.
2.
강도가 낮아 주로 비내력용으로 사용된다.
3.
내화구조로 사용 가능하다.
4.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규사, 생석회, 시멘트 등에 알루미늄 분말 등과 같은 발포제와 기포안정제를 넣고 오토클레이브내에서 고온,고압으로 양생시킨 다공질 기포콘크리트 2.단열성, 내화성, 차음성, 경량성이 우수하다. 3.열전도율이 낮다. 4.치수정밀도가 높다. 5.인력취급이 가능하다. 6.흡수성이 크다. 7.중성화우려가 높다. [해설작성자 : Charlie]
경량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중을 경감시키고 단열,방음 등의 효과를 가지게 하기 위하여 미경화 콘크리트를 감압하거나 발포제 또는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부를 다공질로 만든 것 .강도가 저하되고 수밀서이 부족하므로,시공 시 유의사항으로는 골재를 충분히 적신 후 6~7시간 경과된 후에 사용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의 보양은 물론 표면의 방수처리에 유의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01.
강관비계의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간격(m)으로 옳은 것은?(단, 틀비계이며 높이는 10m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m
2.
4m
3.
6m
4.
9m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 왜 정답이 4m인지 법규에서 규정: 비계 높이 31m 이하 → 수직방향 간격 6m 이하 단, 10m 이하의 틀비계 → 수직방향 간격 4m 이하 이 문제 조건: 틀비계, 높이 10m, 따라서 4m 이하가 기준. 보기 중 4m가 해당. [해설작성자 : 달봉눈나]
구명줄 설치 시 마닐라 로프 직경 10mm를 기준하여 설치하고 작업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4.
철골보의 두 곳을 매어 인양시킬 때 와이어로프의 내각은 6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당 10m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한다 -철골부재 반입시 시공순서가 빠른 부재는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구명줄 설치시 마닐라 로우프 직경 16mm를 기준하여 설치하고 작업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철골보의 두곳을 매어 인양시킬 때 와이어로프의 내각은 60°이하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여나]
104.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안전조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제한속도가 시속 10km를 초과하는 차량계 건설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준수하도록 할 것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 및 버킷 등의 하역장치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둘 것
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4.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승차석이 아닌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 말 것
정답 : [
2
] 정답률 : 75%
105.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몇 킬로그램 이상이어야 하는가?
1.
80
2.
110
3.
150
4.
200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듭 o 매듭x 그물코 크기 5cm 110 - 10cm 200 240 [해설작성자 : 굿띵]
106.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등의 변형⋅변위 및 지반의 침하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 중에는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 동바리 등을 해체할 것
4.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보강조치 없이 즉시 해체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1%
107.
터널공사시 인화성 가스가 농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동경보장치의 작업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계기의 이상유무
2.
발열 여부
3.
검지부의 이상유무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56%
108.
다음은 말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이다. ( )에 알맞은 수치는?
1.
① 55, ② 20
2.
① 65, ② 30
3.
① 75, ② 40
4.
① 85, ② 50
정답 : [
3
] 정답률 : 71%
109.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조치하여야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재(主材)를 구성하는 1세트의 부재는 동일 평면내에 배치할 것
2.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할 것
3.
기둥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목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4.
강(鋼)아치 지보공의 조립은 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균등하게 되도록 [해설작성자 : 구월동]
110.
다음 중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2.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 이상 후방으로 옮길 것
3.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4.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치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를 사전에 점검
정답 : [
1
] 정답률 : 68%
111.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
1.
베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66%
112.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는 권상장치 드럼폭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배
2.
8배
3.
10배
4.
15배
정답 : [
4
] 정답률 : 35%
113.
화물을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킬로그램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의 지휘자가 준수 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
가설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폭 및 강도 와 적당한 경사를 확보할 것
4.
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은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하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39%
114.
다음은 달비계 또는 높이 5미터 이상의 비계를 조립⋅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숫자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2024. 1. 1.] 제57조(비계 등의 조립ㆍ해체 및 변경) 제①항 제5호 참조 5. 비계재료의 연결ㆍ해체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폭 20센티미터 이상의 발판을 설치하고 근로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해설작성자 : paintier]
115.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방호장치의 이상유무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해설작성자 : 굿띵]
116.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에 필수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보호구는?
1.
안전대
2.
보안경
3.
보안면
4.
방열복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안전대는 띠 모양의 부품으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이다. 보안경, 보안면, 방열복은 추락 방지를 위한 보호구가 아님 [해설작성자 : kcb]
117.
굴착작업 시 굴착깊이가 최소 몇 m 이상인 경우 사다리, 계단 등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m
2.
2.5m
3.
3.5m
4.
4.5m
정답 : [
1
] 정답률 : 43%
118.
발파구간 인접 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로 옳은 것은? (단 아파트일 경우임)
1.
0.2 cm/sec
2.
0.3 cm/sec
3.
0.4 cm/sec
4.
0.5 cm/sec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파트 경우 : 0.5cm/sec 문화재 경우 : 0.2cm/sec 주택 경우 : 0.5cm/sec 철골콘크리트빌딩 및 상가 경우 : 1.0~4.0cm/sec [해설작성자 : 여나]
119.
다음의 토사붕괴 원인 중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토사붕괴가 발생되는 외적요인이 아닌 것은?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
3.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
4.
함수비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3%
120.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지점에 설치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1.5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난간대는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②
④
③
③
①
④
①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④
③
②
①
②
①
①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②
①
③
①
②
①
②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①
④
④
③
①
③
④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②
③
④
①
④
①
④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④
①
④
③
③
④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③
③
③
④
①
③
③
④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①
②
②
①
②
②
③
①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④
①
③
④
③
②
①
②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③
②
③
②
④
①
②
③
①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③
①
③
②
④
④
②
③
②
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①
④
③
②
②
①
①
④
④
③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