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기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리프트
2.
곤돌라
3.
압력용기
4.
고소작업대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1234 모두 정답처리된 문제입니다. 혼동없길 바래요. [해설작성자 : 으앙쥬금]
[추가 오류 신고] 2025년 기준 법률 개성으로 정답이 없음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심의ㆍ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를 근로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보에 게재
2.
일간 신문에 게재
3.
사업장 게시판에 게시
4.
자체 정례조회를 통한 전달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제19조(회의결과 등의 주지 및 이행여부 확인) ① 위원장은 위원회에서 심의·의결·결정사항을 사내방송·사내보·게시·조회, 유인물 등의 방법으로 전체근로자에게 신속히 알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방법을 4단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본질추구”는 제 몇 라운드에 해당하는가?
1.
제1라운드
2.
제2라운드
3.
제3라운드
4.
제4라운드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위험예지훈련 4단계 : 현상파악-본질추구-대책수립-목표설정
4.
1900년대 초 미국 한 기업의 회장으로서 “안전제일(Safety First)"이란 구호를 내걸고 사고예방활동을 전개한 후 안전의 투자가 결국 경영상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 다는 사실을 알게하는데 공헌한 사람은?
1.
게리(Gary)
2.
하인리히(Heinrich)
3.
버드(Bird)
4.
피렌제(Firenze)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전제일 구호로 안전에 대한 투자를 주장한 사람은 게리 [해설작성자 : 오땡]
5.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무재해 운동의 추진에 있어 무재해 1배수 목표시간의 계산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연간 총 근로시간 / 연간 총 재해자수
2.
(1인당 연평균 근로시간/재해율)×100
3.
(1인당 근로손실일수 × 100)/ 연간 총 재해자수
4.
(연평균 근로자수 × 1인당 연평균 근로시간) / 연간 총 재해자수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법 개정으로 문제 삭제 [해설작성자 : 한뚝배기]
[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무재해 1배수 목표란 업종 및 규모별로 사업장을 그룹화하고 그 그룹 내에 사업장들이 평균적으로 재해 1건이 발생하는 기간동안 당해 사업장에서 발생하지 않는것을 말함 즉 3번은 관계없음 [해설작성자 : 한둘기는합격둘기]
[오류신고 반론] ● 무재해 1배수 목표시간 계산(재해율 기준) 연간 총근로시간 / 연간 총 재해자수 총 근로시간 : 근로자수 * 1인당 근로시간 1인당 연평균 근로시간 * 100 / 재해율
● 무재해시간 실 근무자 * 실 근무시간 단, 건설업이 아닌 경우 1일 8시간 건설업은 1일 10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 증원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령 할 수 있는 경우는?
1.
중대재해가 연간 1건 발생한 경우
2.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3배인 경우
3.
안전관리자가 질병의 사유로 45일 동안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4.
안전관리자가 기타 사유로 60일 동안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호두언니]
*안전관리자의 증원 및 교체임명 명령 대상 사업장 1. 해당사업자의 년간 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2.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경우(다만, 해당 사업장의 전년도 사망만인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 만인율 이하인 경우는 제외) 3.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4. 화학적 인자로 인한 작업성질병자가 연간 3명 이상 발생한 경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어떤 작업장에서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가 작업 중 갑작스런 고장을 일으켰다. 이때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임시점검
2.
특별점검
3.
사후점검
4.
정기점검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 점검의 종류 -임시점검:이상 발견시 임시로 실시하는 점검, 정기점검과 정기 점검 사이에 실시하는 점검 -특별점검:1기계.기구. 설비의 신설시 변경 내지 고장 수리시 실시하는 점검 2 천재지변 발생 후 실시하는 점검 3 안전강조 기간 내에 실시하는 점검 -수시점검:작업 전 중 후에 실시하는 점검 [해설작성자 : 미사천]
8.
다음 중 사고조사의 본질적 특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사고의 공간성
2.
우연중의 법칙성
3.
필연중의 우연성
4.
사고의 재현불가능성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사고의 시간성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
9.
다음 그림은 안전ㆍ보건표지 중 어떠한 표지의 기본도형인가? (단, 색도기준은 2.5PB 4/10 이고, L 은 안전ㆍ보건표지를 인식할 수 있거나 인식해야 할 안전거리를 말한다.)
<문제 해설> 4. 안전관리자의 "객관적" 판단을 기반으로 현장조사 및 대책을 설정한다. [해설작성자 : 호두언니]
1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가 아닌 것은?
1.
도급사업 시의 안전ㆍ보건 조치
2.
근로자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지도
3.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ㆍ기구 등의 사용 여부 확인
4.
수급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및 그 사용에 관한 수급인 간의 협의·조정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 24조(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등) <개정 2012.1.25, 2014.3.12> ①법 제 18조제3항에 따른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1. 법 제25조에 따른 작업의 중지 및 재개 2. 법 제29조제2항에 따른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 조치 3. 법 제30조에 따른 수급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및 그 사용에 관한 수급인 간의 협의·조정 4. 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등의 사용 여부 확인 5. 법 제 41조의2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제리왕김제리]
15.
연평균 200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사업장에서 연간 2 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사망이 2명, 50일의 휴업일수가 발생하였다면 이때의 강도율은 약 얼마인가? (단, 1인당 연간근로시간은 2400시간으로 한다.)
<문제 해설> 라인형 조직의 특징 1. 생산 라인이 자체적으로 안전업무를 진행 2. 비교적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함 3. 생산 라인 자체적으로 안전업무를 시행하다보니 일반 업무와 같은 명령지시 계통으로 안전업무가 진행되므로 신속히 수행 4. 라인 조직의 주 목적은 생산 이다 보니 안전기술에 대한 축적이 용이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맞쥬맞쥬]
1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ㆍ시행하여야 하는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계획서를 작성할 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설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2.
안전ㆍ보건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3.
복지정책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4.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80%
20.
다음 중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실시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부주의 발생원인 및 대책 ① 외적 원인 및 대책 ㉠ 작업 환경조건 불량: 환경정비 ㉡ 작업순서의 부적당: 작업순서정비 ② 내적 조건 및 대책 ㉠ 소질적 조건: 적성배치 ㉡ 의식의 우회: 상담 (counseling) ㉢ 경험 미경험: 교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중 현장의 관리감독자 교육을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교육방식은?
1.
강의식(lecture method)
2.
토의식(discussion method)
3.
시범(demonstration method)
4.
자율식(self-instruction method)
정답 : [
2
] 정답률 : 67%
26.
다음 중 고립, 정신병, 자살 등이 속하는 사회행동의 기본 형태는?
1.
협력
2.
융합
3.
대립
4.
도피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도피적 기제: ① 고립 ②퇴행 ③억압 ④백일몽 방어적 기제: ① 보상 ②합리화 ③동일시 ④승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교육방법은?
1.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2.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3.
TWI(Training Within Industry)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TWI : 교육대상을 관리감독자에 두고 정형시키는 훈련방법. 직무에 관한 지식, 작업을 가르치는 능력,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기능 등을 교육 내용으로 함. 2. MTP : 관리자 훈련, 부장, 과장, 계장 등 중간 관리층을 대상으로 하는 관리자 훈련방법. 3. ATT : 미국 전신 전화 회사가 만든 것으로 직급 상하를 떠나 부하직원이 상사에 지도원이 될 수 있다. 4. CCS : 정책의 수립, 조직, 통제 및 운영으로 되어 있어, 강의법에 토의법이 가미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지각의 집단화(Grouping) 지각의 특성은 부분보다는 전체를 먼저 지각한다. 집단화(grouping)에는 다섯 가지 원리가 있다. 1.근접성(proximity)은 가까이 있는 자극을 집단화하여 지각하는 것이며, 2.유사성(similarity)은 생김새가 유사한 것들끼리 집단화하여 지각하는 것이다. 3.연속성(continuity)은 불연속적인 것보다는 부드럽게 연속된 패턴으로 지각하는 것이며, 4.완결성(closure)은 빈 곳이 있으면 그곳을 채워서 완전한 전체적인 대상으로 지각하는 것이다. 5.연결성(connectedness)은 동일한 것이 연결되어 있으면 하나의 단위로 지각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느티]
30.
다음 중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하는 권한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합법적 권한
2.
전문성의 권한
3.
강압적 권한
4.
보상적 권한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하는 권한 - 보상적 권한: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보상할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하직원들을 통제할 수 있으며 부하들의 행동에 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권한 - 강압적 권한: 부하직원들을 처벌할 수 있는 권한 - 합법적 권한: 조직의 규정에 의해 지도자의 권한이 공식화 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다음 중 호손(Hawthorne)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간-동작연구를 통해서 작업도구와 기계를 설계했다.
2.
물리적 작업환경 이외의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3.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광고 전략을 개발했다.
4.
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차별요인을 밝히고 이를 시정하는 법적 조치의 기초를 마련했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호손(Hawthorne) 연구: 물리적 환경 이외에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준 것은 인간관계 생산성에는 사원들의 태도 감독자 비공식 집단의 중요성등 인간관계가 복잡하게 영향을 미친다.(1920년대) 인간적 상호작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중 강의식 교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짧은 시간동안 많은 내용을 전달할 경우에 적합하다.
2.
수강자의 주의집중도나 흥미의 정도가 낮다.
3.
참가자 개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쉽다.
4.
기능적, 태도적인 내용의 교육이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33.
사고의 경향에 있어 상황성 누발자와 소질성 누발자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상황성 누발자에 속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소질정 누발자 - 지능, 성격, 감각기능 등 (재해의 소질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자) [해설작성자 : 꽃미남종태]
34.
인간의 동기에 대한 이론 중 자극, 반응, 보상의 세 가지 핵심변인을 가지고 있으며, 표출된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에 기초한 동기이론은?
1.
형평이론
2.
기대이론
3.
강화이론
4.
목표설정이론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스키너의 강화이론 - 자극, 반응, 보상과 같은 세 가지 핵심변인을 가지고 있다. 1. 자극 : 행동 반응을 유도해내는 어던 변인 혹은 조건 2. 반응 : 생산성, 결근, 사고와 같은 직무수행에 대한 측정치 3. 보상 : 유도된 행동반응에 기초하여 종업원에게 제공하는 가치 있는 것 [해설작성자 : joshoh92]
35.
적성검사의 종류 중 시각적 판단검사의 세부 검사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회전검사
2.
형태 비교검사
3.
공구 판단검사
4.
명칭 판단검사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정밀성검사: 회전검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2.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3.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4.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 내용 1. 작업공정의 유해, 위협과 재해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2.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3.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예방에 관한 사항 5. 유해, 위험 및 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oshoh92]
37.
다음 중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에 있어 방어기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다음 중 Fiedler의 상황 연계성 리더십 이론에서 중요시 하는 상황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제의 구조화
2.
리더와 부하간의 관계
3.
부하의 성숙도
4.
리더의 직위상 권한
정답 : [
3
] 정답률 : 59%
39.
다음 중 교재의 선택기준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정적이며 보수적이어야 한다.
2.
사회성과 시대성에 걸맞은 것이어야 한다.
3.
설정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
교육대상에 따라 흥미, 필요, 능력 등에 적합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40.
다음 중 기술 교육(교시법)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preparation → presentation → performance → follow up
2.
presentation → preparation → performance →follow up
3.
performance → follow up → presentation → preparation
4.
performance → preparation → follow up → presentation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기술교육 교시법의 4단계 1. 도입(Preparation) : 준비단계 2. 실연(Presentation) : 일을 하게 해보는 단계 3. 실습(Performance) : 일을 시켜보는 단계 4. 확인(Follow up) : 보습 지도의 단계 [해설작성자 : 서지훈]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중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에서 정량적 평가의 항목에 해당되는 않는 것은?
1.
조작
2.
취급물질
3.
훈련
4.
설비용량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량적 평가의 항목 ::
취급물질 . 용량 . 온도. 조작 . 압력
42.
다음 중 의자 설계의 일반 원리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압력을 줄인다.
2.
등근육의 정적 부하를 줄인다.
3.
자세고정을 줄인다.
4.
요부측만을 촉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의자 설계의 일반적인 원칙 1. 요부 전만을 유지 2. 등근육의 정적 부하를 줄인다. 3. 조정이 용이해야 한다. 4. 자세고정을 줄인다. 5. 디스크가 (추간판에) 받는 압력을 줄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3개 공정의 소음수준 측정 결과 1공정은 100dB에서 1시간, 2공정은 95dB에서 1시간, 3공정은 90dB에서 1시간이 소요될 때 총 소음량(TND)과 소음설계의 적합성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90dB에 8시간 노출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 증가할 때 허용시간은 1/2로 감소되는 법칙을 적용한다.)
인간-기계시스템 설계의 주요 단계 중 기본설계 단계에서 인간의 성능 특성(human performance requirements)과 거리가 먼 것은?
1.
속도
2.
정확성
3.
보조물 설계
4.
사용자 만족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인간 성능특성의 6개 고려 항목 목표 및 성능, 시스템 정의, 기본설계, 촉진물 설계, 평가 [해설작성자 : 한솔과년도s]
46.
다음 중 FTA에서 사용되는 minimal cut se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고에 대한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다.
2.
정상사상(Top 사상)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집합이다.
3.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컷과 패스 *컷(Cut):컷 이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여기서는 통상사상,생략 결함 사상등을 포함한 기본사상)이 일어 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사의 집합 *미니멀 컷(minimal cut set):컷 중 그 부분집합만으로는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것, 즉 정상 사상을 일으키기 위한 필요 최소한의 컷 *패스(Path)와 미니멀 패스(minimal path sets): 패스란 그 속에 포함되는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처음으로 정상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으로서, 미니멀 패슨느 그 필요 최소한 의 것 =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안도록 하는 최소한!의 집합이다. [해설작성자 : 미사천]
동침형 : 고정된 눈금상에서 지침이 움직이면서 값을 나타내는 방법(아날로그 원형시계) 동목형 : 지침이 고정되고 값이 움직임(체중계) [해설작성자 : 푸른하늘]
52.
인간공학의 연구를 위한 수집자료 중 동공확장 등과 같은 것은 어느 유형으로 분류되는 자료라 할 수 있는가?
1.
생리 지표
2.
주관적 자료
3.
강도 척도
4.
성능 자료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생리 지표: 인간공학의 연구를 위한 수집자료 중 동공확장 등과 같은 것은 어느 유형으로 분류되는 자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어떤 설비의 시간당 고장률이 일정하다고 할 때 이 설비의 고장간격은 다음 중 어떠한 확률분포를 따르는가?
1.
t 분포
2.
와이블 분포
3.
지수 분포
4.
아이링(Eyring) 분포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어떤 설비의 시간당 고장률이 일정하다고 할 때 이 설비의 고장간격은 지수 분포를 따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중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접근 방법이 환경적 사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위해 인정하는 활동 3가지가 아닌 것은?
1.
감지
2.
추정
3.
진단
4.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중 조작자행동나무 접근방법이 환경적 사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위해 인정하는 활동 3가지: 감지, 반응, 진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 중 음성통신에 있어 소음환경과 관련하여 성격이 다른 지수는?
1.
AI(Articulation Index)
2.
MAMA(Minimum Audible Movement Angle)
3.
PNC(Preferred Noise Criteria Curves)
4.
PSIL(Preferred-Octave Speech Interference Level)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I(Articulation Index):신호 대 잡음비를 기반으로 한 명료도 지수. *MAMA(Minimum Audible Movement Angle):최소가청운동각도로 청각신호의 위치를 식별 시 사용하는 척도. *PNC(Preferred Noise Criteria Curves):실내소음 평가지수. *PSIL(Preferred-Octave Speech Interference Level):우선회화 방해레벨의 개념으로 소음에 대한 상호대화를 방해하는 기준 [해설작성자 : FA]
56.
다음 중 FT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성ㆍ정량적으로 해석ㆍ평가하기 전에는 FT를 간소화해야 한다.
2.
정상(Top)사상과 기본사상과의 관계는 논리게이트를 이용해 도해한다.
3.
FT를 작성하려면, 먼저 분석대상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하여야 한다.
4.
FT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정상(Top)사상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FT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정상(Top)사상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 가능한 다수의 하위레벨사상을 포함해야 된다.
[추가 해설]
4. FT 작성을위해서는 정상사상을 최대한 적게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카우보이]
57.
다음 중 인간의 과오(Human error)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THERP
2.
FMEA
3.
CA
4.
FMECA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인간의 과오(THERP): 인간의 과오(Human error)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인간의 과오율 추정법등 5개 스텝으로 된 기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 중 은행 창구나 슈퍼마켓의 계산대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체 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1.
평균치 설계
2.
최대 집단치 설계
3.
극단치 설계
4.
최소 집단치 설계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최대치수나 최소치수, 조절식으로 하기가 곤란할 때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건설시공학
61.
터파기용 기계장비가운데 장비의 작업면보다 상부의 흙을 굴삭하는 장비는?
1.
불도저(bull dozer)
2.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3.
클램쉘(clam shell)
4.
파워쇼벨(power shovel)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워쇼벨 - 기계가 서 있는 지반보다 높은 곳의 굴착 - 디퍼로 굴착 - 파기면은 높이 1.5미터가 가장 적당하고 높이 3미터까지 굴착할 수 있다. 백호(드래그쇼벨) - 기계가 서있는 지반보다 낮은 곳의 굴착 - 파는 힘이 강력하고 비교적 경질지반에 적당하다. -도로의 측구, 배수로, 트렌치, 도랑파기 공사에 적합 드래그 라인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낮은 곳의 굴착 - 파는 힘이 강력하지 못하여 연질지반 굴착에 적합 -굴삭깊이 약 8미터 정도 클램셀 - 수직굴착, 수중굴착 등 좁은 곳의 깊은 굴착에 적합한 것으로 자갈 등의 적재에도 사용(좁은 장소의 깊은 굴착) - 사질지반에 적당하고, 비교적 경질 지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harlie]
<문제 해설> 철골공사 현장 반입시 치수검사항목 1.기둥 폭 및 층 높이 검사 2.휨 정도 및 뒤틀림 검사 3.브래킷의 길이 및 폭, 각도 검사 -고력볼트 접합부 검사는 공사완료 후에 검사 [해설작성자 : Charlie]
64.
철골공사의 내화피복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면탄화법
2.
뿜칠공법
3.
타설공법
4.
조적공법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습식내화피복공법 -타설공법: 철골구조체 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보통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 -뿜칠공법: 철골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내화재를 도포하는 공법 -미장공법: 철망모르타르, 철망 펄라이트모르타르 -조적공법: 콘크리트 블록, 경량 콘크리트 블록,돌,벽돌 2.건식내화피복공법 -내화단열이 우수한 성형판의 접착제나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공법(P.C판, A.L.C판, 석면시멘트판, 석면규산칼슘판) 3.합성내화피복공법 -이종재료를 적층하거나, 이질재료의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 -이종재료적층공법,이질재료접합공법 -표면탄화법: 목재의 방부법 [해설작성자 : Charlie]
65.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경우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용 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은?
1.
유로폼(Euro Form)
2.
갱폼(Gang Form)
3.
터널폼(Tunnel Form)
4.
워플폼(Waffle Form)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 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용 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한 시스템거푸집 2.한 구획 전체 벽과 바닥판을 ㄱ자형 ㄷ자형으로 만들어 이동시키는 거푸집 3.종류: 트윈쉘,모노쉘 [해설작성자 : Charlie]
66.
피어기초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량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지반이 연약하거나 말뚝으로도 수직지지력이 부족하고 그 시공이 불가능한 경우와 기초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해야 할 경우에 채용한다.
2.
굴착된 흙을 직접 탐사할 수 있고 지지층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무진동, 무소음공법이며, 여타 기초형식에 비하여 공기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4.
피어기초를 채용한 국내의 초고층 건축물에는 63빌딩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정의: 피어기초란 지름이 큰 말뚝을 말하며 지름이 큰 구멍을 굴착하여 굴착구멍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진 기둥형태의 기초 2.장점 -굴착 후 배출되는 흙으로 지지층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히빙,보일링의 염려가 없다. 3.단점 -상세한 지반조사 필요 -시공 후 품질검사가 어렵다. -기계가 대형이고 공사비가 고가이다. -굴착속도가 느리다. 4.종류 -어스드릴공법 -베노토공법 -R.C.D공법 -C.I.P - P.I.P - M.I.P [해설작성자 : Charlie]
67.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근은 배근 상세도에 따라 가공하되, 그 단부는 180° 의 갈구리로 구부려 배근한다.
2.
블록의 공동에 보강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다져넣기 때문에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3.
세로근은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까지 이음없이 배근하여 그 정착길이가 철근 직경의 40배 이상으로 한다.
4.
철근은 굵은 것보다 가는 철근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조적식 블록쌓기에 있어서는 벽돌쌓기와 같은 막힘줄눈 쌓기를 원칙으로 한다. 2) 보강블록쌓기는 통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오정훈]
68.
조적조 백화(efflorescence)현상의 방지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물-시멘트비를 증가시킨다.
2.
흡수율이 작은 소성이 잘 된 벽돌을 사용한다.
3.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혼합한다.
4.
벽면의 돌출 부분에 차양, 루버 등을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정의 벽에 빗물이 침투하여 모르타르 중의 석회분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생기는 하얀결정체 2.대책 -잘 구워진 양질의 벽돌 사용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넣는다. -차양,루버,돌림띠 등 비막이 설치 -벽표면에 파라핀도료나 실리콘 뿜칠 -깨끗한 물 사용 -우중시공금지 -물-시멘트비를 적게한다. [해설작성자 : Charlie]
69.
지질조사를 하는 지역의 지층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하는 토질주상도에 나타내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1.
보링방법
2.
지하수위
3.
N값
4.
지내력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토질주상도 항목 1. 지반조사지역 2. 조사일자 3. 조사자 4. 보링방법 5. 지하수위 6. 심도에 따른 색조 및 토질 7. N값 8. 층두께 및 구성상태 [해설작성자 : joshoh92]
토질주상도 -지층의 상태를 여러가지 기호와 색으로 나타낸 그래프 -지층의 층서, 지층의 두께, 지하수위, 지질상태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0.
기초공사 시 활용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어스드릴(earth drill)공법
2.
베노토 말뚝(benoto pile)공법
3.
리버스서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 pile)공법
4.
프리보링(preboring)공법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의 종류 심플렉스 파일, 컴프레솔 파일, 페데스탈 파일, 어스드릴, 베노토 말뚝, 리버스서큘레이션, 프랭키 파일, 레이 몬드 파일,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CIP, PIP, MIP)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은?
1.
클램프
2.
쉐어 커넥터
3.
세퍼레이터
4.
인서트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세퍼레이터 = 격리재 (측벽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것 ,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유지하기 위한것 )
72.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 기본 배합 콘크리트인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 기준은? (단,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1.
150mm 이하
2.
180mm 이하
3.
210mm 이하
4.
240mm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 기본 배합 콘크리트인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 기준은 150mm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시험말뚝에 변형률계(strain gauge)와 가속도계(accelero meter)를 부착하여 말뚝항타에 의한 파형으로부터 지지력을 구하는 시험은?
1.
정적재하시험
2.
동적재하시험
3.
정ㆍ동적재하 시험
4.
인발시험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험말뚝 상단에 가속도계와 변형률계를 설치하여 항타와 동시에 파일에 전달되는 가속도와 변형률을 신호조정기로 디지털신호로 전환하고 이때 발생한 신호를 이용하여 속도, 변위, 에너지 등을 구하여 지지력을 산정한다. [해설작성자 : Charlie]
<문제 해설> 용접완료 후 검사 1.육안검사 2.절단검사 3.비파괴검사(방사선투과법, 초음파 탐상법, 자기분말탐상법, 침투탐상법) [해설작성자 : Charlie]
76.
석공사에서 건식공법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지철물의 부식문제와 내부단열재 설치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긴결 철물과 채움 모르타르로 붙여 대는 것으로 외벽 공사 시 빗물이 스며들어 들뜸, 백화현상 등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실런트(Sealant) 유성분에 의한 석재면의 오염문제는 비오염성 실런트로 대체하거나, Open Joint공법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4.
강재트러스, 트러스지지공법 등 건식공법은 시공정밀도가 우수하고, 작업능률이 개선되며,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습식공법 사용시 백화현상이 발생한 확률이 높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르타르 대신 볼트와 철물로 판석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외벽 단열을 겸한 외장공사에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오정훈]
77.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하여 거푸집 붕괴사고 방지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검토ㆍ확인하여야 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측압 파악
2.
조임철물 배치간격 검토
3.
콘크리트의 단기 집중타설 여부 검토
4.
콘크리트의 강도 측정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거푸집 붕괴사고 방지를 위한 검토사항 1.콘크리트 측압 파악 2.조임철물 배치간격 검토 3.콘크리트의단기 집중타설 여부 검토 4.거푸집의 긴결상태 -콘크리트의 강도 측정은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해체 전에 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해설작성자 : Charlie]
78.
1개 회사가 단독으로 도급을 수행하기에는 규모가 큰 공사일 경우 2개 이상의 회사가 임시로 결합하여 연대책임으로 공사를 하고 공사 완성 후 해산하는 방식은?
1.
단가도급
2.
분할도급
3.
공동도급
4.
일식도급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공동도급: 대규모 공사에 대하여 여러 개의 건설회사가 공동출자 기업체를 조직하여 도급하는 방식. 1개 회사가 단독으로 도급을 수행하기에는 규모가 큰 공사일 경우 개 이상의 회사가 임시로 결합하여 연대책임을 공사는 하고 완성 후 해산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깊이 7m 정도의 우물을 파고 이곳에 수중 모터펌프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양수하는 배수공법으로 지하용수량이 많고 투수성이 큰 사질지반에 적합한 것은?
1.
집수정(sump pit)공법
2.
깊은 우물(deep well)공법
3.
웰 포인트(well point)공법
4.
샌드 드레인(sand drain)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깊은 우물(deep well)공법: 깊이 7m 정도의 우물을 파고 이곳에 수중 모터펌프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양수하는 배수공법으로 지하용수량이 많고 투수성이 큰 사질지반에 사용하는 공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은 전문직종으로 분할하여 도급을 주는 것으로 건축주의 의도를 철저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공정별 분할도급 1.토공사,골조공사,마무리공사 등 시공 과정별로 나누어 도급을 주는 방식 2.예산배정상 구분될 때 편리 3.선공사 지연시 후속공사에 지장초래 4.후속업자 교체 곤란 [해설작성자 : Charlie]
5과목 : 건설재료학
81.
도료를 건조과정에 의해 분류할 때 가열건조형에 속하는 것은?
1.
바니시
2.
비닐수지 도료
3.
아미노알키드수지 도료
4.
에멀션 도료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미노알키드수지 도료=[멜라민 수지]:일반적으로 야자유 등 불건성유로 변성시킨 단유성 알키드 수지 약 70%와 멜라민 수지 약 30%를 혼합시킨 것을 전색제로 한 도료로서 도장 전 100~140도로 열경화 시킴으로서 경화건조하는 가열건조형 도료에 속한다. 멜라민 수지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미사천]
도료의 건조과정에 의한 분류 1.자연건조형: 도장하여 상온에서 경화되는 것(바니시,래커,에멀션 도료,비닐수지도료) 2.가열건조형: 도장 후 가열하여 경화되는 것(아미노알키드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해설작성자 : Charlie]
82.
건축용 세라믹 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다공벽돌은 내부의 무수히 많은 구멍으로 인해 절단, 못치기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2.
테라코타는 건축물의 패러핏, 주두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공동의 대형 점토제품이다.
3.
위생도기는 철분이 많은 장석점토를 주원료로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건식법, 외장타일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건축용 세라믹제품 - 다공벽돌은 내부의 무수히 많은 구멍으로 인해 절단, 몯치기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 테라코타는 건축물의 패러핏, 주두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공동의 대형 점토제품이다 - 위생도기는 도토또는 장석분을 원료로 하며 두드리면 청음이 난다 - 일반적으로 모자이크 타일 및 내장타일은 건식법, 외장타일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목재의 방부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성 및 유용성 방부제는 물에 의해 용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습윤의 장소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문제 해설> 블리딩 현상 1.콘크리트 타설 후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는 침하하고 가벼운 물과 미세물질이 상승하는 현상 2.블리딩에 의한 성능저하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콘크리트의 내구성, 수밀성 저하 [해설작성자 : Charlie]
86.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 감소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2.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3.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4.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함수율과 강도 1.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건조수축이 크다. 2.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 감소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3.함수율이 30% 이하로 감소될수록 강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전건상태에 이르면 섬유포화점 강도의 3배로 증가 4.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이 변화해도 목재의 강도는 일정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87.
도료의 저장 중 또는 용기 내 방치 시 도료의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는 현상의 발생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피막방지제의 부족이나 건조제가 과잉일 경우
2.
용기내에 공간이 커서 산소의 양이 많을 경우
3.
부적당한 시너로 희석하였을 경우
4.
사용잔량을 뚜껑을 열어둔 채 방치하였을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부적당한 신너희석은 문제에서 묻는 방치에 의한 도료 피막형성은 관계가 없음 [해설작성자 : 당연하쥬]
88.
목부의 옹이땜, 송진막이, 스밈막이 등에 사용되나, 내후성이 약한 도장재는?
1.
캐슈
2.
워셔프라이머
3.
셀락니스
4.
페인트 시너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곤충의 분비물에서 얻는 수지 2.인체에 무해 3.알콜에 용해된다. 4.목부의 옹이땜, 송진막이, 스밈막이에 사용 4.조건성, 견경하고 광택이 있다. 6.내후성이 약하다. 7.내열성,내광성이 없다. [해설작성자 : Charlie]
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천장ㆍ벽 등의 모르타르바름 바탕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옳은 것은?
1.
메탈라스(metal lath)
2.
와이어메시(wire mesh)
3.
인서트(insert)
4.
코너비드(corner bead)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메탈라스(metal lath) 1.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천장ㆍ벽 등의 모르타르바름 바탕용으로 사용 2.얇은 강판에 마름모꼴의 구멍을 연속적으로 뚫어 그물처럼 만든 것으로 천장 벽 등의 미장 바탕에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목재접합, 합판제조 등에 사용되며, 다른 접착제와 비교하여 내수성이 부족하고 값이 저렴한 접착제는?
1.
요소수지 접착제
2.
푸란수지 접착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실리콘수지 접착제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무색투명하다. 2.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열성, 내후성이 약하다. 3.내수성이 비닐계 접착제보다는 크고 멜라민 수지나 페놀수지접착제보다는 적다. 4.목재접합,합판접합에 사용한다. 5.다른 합성수지접착제에 비해 내수성이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3.
시멘트의 분말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말도가 클수록 수화반응이 촉진된다.
2.
분말도가 클수록 초기강도는 작으나 장기강도는 크다.
3.
분말도가 클수록 시멘트 분말이 미세하다.
4.
분말도가 너무 크면 풍화되기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시멘트 분말도가 높을 때의 특징 1.장점 -수화작용이 바르고 조기강도가 크다.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수밀성이 우수하다.(투수성이 적다.) -블리딩 현상감소(재료분리감소 5.시멘트 페이스트의 점성이 높다. 2.단점 -풍화되기 쉽다. - 응결시 초기균열 -건조수축,균열이 생기기 쉽다. [해설작성자 : Charlie]
<문제 해설>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1.규사,생석회,시멘트 등에 알루미늄 분말 등과 같은 발포제와 기포안정제를 넣고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고온,고압으로 양생시킨 다공질 기포콘크리트 2.원료: 석회질, 규산질 원료, 기포제, 혼화제 3.규산질 원료: 규석, 규사,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4.기포제: 알루미늄분말 5.장점 - 인력취급이 가능하다. -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용이 - 열전도율이 낮다. - 단열성, 내화성, 차음성, 경량성이 우수 -치수정밀도가 높다. - 사용 후 변형이나 균열이 작다. - 비중이 적다. 6.단점 - 흡수성이 크다.(방수처리문제) - 중성화 우려가 높다. -압축강도가 작다. - 부서지기 쉽다 - 압축강도에 비하여 휨강도, 인장강도가 약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8.
각종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중용열시멘트 - 겨울철 공사나 긴급공사에 사용된다.
2.
조강시멘트 - C3S가 다량 혼입되어 있다.
3.
백색시멘트 - 건물 내ㆍ외면의 마감, 각종 인조석 제조에 사용된다.
4.
플라이애쉬시멘트 - 건조수축이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저열시멘트) 1.초기강도 발현은 늦으나 장기강도는 보통시멘트바다 같거나 크다. 2.시멘트의 발열랴이 작다.(수화열이 작다.) 3.건조수축이 작고 화학저항성이 크다. 4.큰 단면 공사에 유리하다. 5.안정성이 높다. 6.방사선차폐용콘크리트, 건축용 매스콘크리트, 댐공사, 대형단면 등에 사용 -겨울철공사나 긴급공사에는 조강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9.
트래버틴(travert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질이 불균일하고 다공질이다.
2.
특수 외장용 장식재로 주로 사용된다.
3.
변성암으로 황갈색의 반문이 있다.
4.
탄산석회를 포함한 물에서 침전, 생성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트레버틴의 특징 1. 대리석의 한 종류로서 다공질이며 석질이 균일하지 못하다 2. 암갈색의 무늬가 있어 석판으로 만들어 물갈기를 하면 평활하고 광택이 나는 부분과 구멍과 골진 부분이 있다. 3. 특수한 실내장식재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joshoh92]
100.
건축재료 중 점토의 성질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도는 보통 2μ이하의 미립자나 모래알 정도의 조립을 포함한 것도 있다.
2.
가소성은 점토입자가 클수록 좋다.
3.
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모래 또는 샤모트 등을 혼합하여 조절한다.
4.
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내며, 철산화물이 많으면 적색이 되고, 석회물질이 많으면 황색을 띠게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점토의 성질 1.입도는 보통 2μ이하의 미립자나 모래알 정도의 조립을 포함한 것도 있다. 2.가소성은 점토입자가 미세할수록 가소성이 좋아진다./ 미세부분은 콜로이드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3.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모래 또는 샤모트등을 혼합하여 조절한다. 4.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내며, 철산화물이 많으면 적색이 되고, 석회물질이 많으면 황색을 띠게 된다. 5.Fe2O3등의 부성분이 많으면 제품의 건조수축이 크다. 고급 도자기 원료로 부적합하다. 6.점토의 주성분은 실리카 알루미나이다. 7.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이다. 습윤상태에서 가소성이 좋다. 8.점토를 소성하면 용적 비중 등의 변화가 일어나며 강도가 현저히 증대된다. 점토의 소성온도는 점토의 성분이나 제품의 종류에 상관있어서 다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1.
철골구조의 앵커볼트매립과 관련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2.
앵커 볼트는 매립 후에 수정하지 않도록 설치할 것
3.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은 기준 높이 및 인접기둥의 높이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4.
앵커 볼트는 기둥중심에서 2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5mm [해설작성자 : 1]
102.
터널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지보공 점검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긴압의 정도
2.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3.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터널붕괴 방지를 위한 지보공 점검사항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및 탈락유무 -부재의 긴압 -기둥침하 유무 -부재 접속부 및 교차부 상태 [해설작성자 : 한솔과년도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