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안전관리조직(Organization) - 경영자의 안전목표 설정 - 안전관리자의 선임 - 안전의 라인 및 참모조직 - 안전활동 방침 및 수립계획 - 조직을 통한 안전활동 전개
2.사실의 발견(Fact Finding) - 사고 및 활동기록의 검토 - 작업분석 - 점검 및 조사 - 사고조사 - 각종 안전회의 및 토의 - 근로자의 제안 및 여론조사
3.분석평가(Analysis) - 사고원인 및 경향성 분석 - 사고기록 및 관련 자료분석 - 인적,물적,환경적 조건분석 - 작업공정분석 - 교육훈련 및 적정배치분석 - 안전수칙 및 보호장비의 적부
4.시정방법의 선정(Selection of Remedy) - 기술적 개선 - 배치조정 - 교육훈련의 개선 - 안전행정의 개선 - 규정 및 수칙 등 제도의 개선 - 안전운동의 개선
5.시정책의 적용(Adaption of Remedy):3E 완성 - 교육적 대책의 실시 - 기술적 대책의 실시 - 규제적 대책의 실시 - 재평가 후 보완 및 시정 [해설작성자 :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5단계]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업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자격을 갖춘 자의 의견을 들은 후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사업장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00
2.
5000
3.
7000
4.
10000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사업장
1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연면적 30,000m2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연면적 5,000m2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식물원은 제외한다),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지하도 상가 또는 냉동·냉장창고시설의 건설·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이라 한다.) 2 연면적 5,000m2 이상의 냉동·냉장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4터널 건설등의 공사 5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댐, 지방상수도 전용 댐 건설 등의 공사 6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틀려서법찾아봤긔]
12.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국토교통부장관은 시설물이 안전하게 유지관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몇 년마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 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본계획의 수립] 1. 국토교통부장관은 시설물이 안전하게 유지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5년마다 시설물의 안전과 유지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고, 이를 관보에 고시해야 한다. 2. 기본계획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3.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의결사항이 아닌 것은?
1.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3.
중대재해로 분류되는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4.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의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안전보건책임관리자 업무임 [해설작성자 : 한번]
14.
재해의 원인분석방법 중 통계적 원인분석 방법으로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 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하는 것은?
1.
특성요인도
2.
크로스도
3.
파레토도
4.
관리도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하여 연쇄관계를 나타냄 크로스도: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요인 분석시 사용 관리도: 재해발생건수 추이 파악시 사용 [해설작성자 : 공부하자]
15.
재해발생의 간접 원인 중 2차 원인이 아닌 것은?
1.
안전 교육적 원인
2.
신체적 원인
3.
학교 교육적 원인
4.
정신적 원인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재해 원인의 연쇄 관계 기초원인(간접원인) - 2차원인(간접원인) - 1차원인(직접원인) - 사고 - 재해
*간접원인 : 재해의 가장 깊은 곳에 존재하는 재해원인이다. 1.기초원인 - 학교 교육적 원인, 관리적원인 2.2차원인 - 신체적 원인, 정신적 원인, 안전 교육적 원인, 기술적 원인
*직접원인(1차원인) : 시간적으로 사고 발생에 가까운 원인이다. 1.물적원인 - 불안전한 상태(설비 및 환경등의 불량) 2.인적원인 - 불안전한 행동 [해설작성자 : Charlie]
<문제 해설> 1.금연: 금지 2.들것: 안내 3.비상용기구: 안내 4.세안장치: 안내 [해설작성자 : 공부하자]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단,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사업장 순회점검·지도 및 조치의 건의
2.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3.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분석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조언·지도
4.
해당 작업의 작업장의 정리·정돈 및 통로확보에 대한 확인·감독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해당 작업의 작업장의 정리·정돈 및 통로확보에 대한 확인·감독 -> 관리감독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 [해설작성자 : 몽이형아]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맥그리거(McGregor)의 XY이론 중 X이론에 해당하는 것은?
1.
성선설
2.
상호 신뢰감
3.
고차원적 욕구
4.
명령 통제에 의한 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맥그리거의 XY이론 (팀장리더십) (1) X론적 인간관은 인간을 다음과 같이 봅니다. -사람들은 원래 일하기 싫어하여 가급적이면 일을 피하려고 한다.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게 하기 위해서는 통제, 강압, 처벌이 필요하다.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며, 지시나 감독을 선호한다. -도전적이지 못하며, 업무요소 중에서 안전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
(2)Y론적 인간관은 인간을 다음과 같이 봅니다. -사람들은 일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 들인다. 일이란 일상적인 활동으로서 특별히 싫어하지 않는다. -목표에 동의한다면 스스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한다. 외적 보상뿐만 아니라 내적 만족도 목표 달성을 위한 유의미한 수단이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아니며, 기꺼이 책임을 수용하고 감수한다. -많은 사람들이 의사결정을 위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교육훈련 평가의 4단계를 맞게 나열한 것은?
1.
반응단계→ 학습단계→ 행동단계→ 결과단계
2.
반응단계→ 행동단계→ 학습단계→ 결과단계
3.
학습단계→ 반응단계→ 행동단계→ 결과단계
4.
학습단계→ 행동단계→ 반응단계→ 결과단계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교육훈련 평가의 4단계 1단계 반응(reaction)평가 :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 2단계 학습(learning)평가 : 학습자들의 학습정도에 대한 평가 3단계 행동(behavior)평가 : 배운 내용이 얼마나 행동으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평가 4단계 결과(result) 평가 :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효과를 평가(조직적 차원의 평가) [해설작성자 : 바람]
23.
호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의 결과 작업자의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1.
인간관계
2.
작업조건
3.
작업환경
4.
생산기술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호손실험은 비공식집단의 발견과 물적 요소보다 심적 요소가 작업능률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냈습니다. 따라서 인간관계론과 관련이 있으며 감정의 논리를 추구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규환]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산업안전·보건 관련 교육에 있어 건설 일용근로자의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시간으로 맞는 것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건설 일용근로자의 기초안전보건 교육시간 4시간 단, 작업내용 변경 시 최소 교육시간은 1시간 [해설작성자 : 00]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교육(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 시행규칙 제33조제1항 별표8) : 500만원 이하 과태료
가. 정기교육 - 사무직 종사 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상 -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상 -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외의 근로자 : 매분기 6시간 이상 -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16시간 이상 나. 채용시 교육 -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8시간 이상 다.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2시간 이상 라. 특별교육(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8의2 참조) - 유해․위험작업에 종사하는 일용근로자 : 2시간 이상 - 유해․위험작업에 종사하는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16시간 이상 마.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 건설 일용근로자 : 4시간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보건법]
안전교육방법 중 Off-J.T(Off the Job Training)교육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2.
전문가를 강사로 활용할 수 있다.
3.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4.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 훈련이 가능하다 => on the job training 에 해당하는 설명임. [해설작성자 : 비스킷슈치팅데이]
33.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방(Imitation)
2.
투사(Projection)
3.
암시(Suggestion)
4.
동일시(Identification)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암시(suggestion)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 -모방(imitation)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이 가까운 행동 또는 판단을 취하는 것 -투사(projection) : 자기 속의 억압된 것을 다른 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조상탓으로 전가시키는 유형) -동일화(identification) : 다른 사람의 행동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 다른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한는 것 [해설작성자 : 학생]
34.
시행착오설에 의한 학습법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효과의 법칙
2.
일관성의 법칙
3.
연습의 법칙
4.
준비성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① 연습의 법칙(law of exercise) : 모든 학습과정은 많은 연습과 반복을 통해서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된다는 법칙으로 빈도의 법칙(law of frequency)이라고도 한다 ② 효과의 법칙(law of frequency) :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에게 쾌감을 주면 줄수록 반응은 강화되고 반대로 고통이나 불쾌감을 주면 약화된다는 법칙으로 결과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③ 준비성의 법칙(law of readiness) : 특정한 학습을 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을 충분히 갖춘뒤에 학습을 행함으로서 효과적인 학습을 이룩할 수 있다는 법칙이다 [해설작성자 : 보딘]
35.
적성검사의 종류 중 시각적 판단검사의 세부검사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회전검사
2.
형태 비교검사
3.
공구 판단검사
4.
명칭 판단검사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회전검사: 스트레스 측정 검사 [해설작성자 : 한빛콩 ]
적성검사의 종류 시각적 판단 검사 : 언어판단 검사 형태비교 검사 평면도판단 검사 입체도판단 검사 공구판단 검사 명칭판단 검사 정확도 및 기민성 검사 : 교환검사 회전검사 조립검사 분해검사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인]
회전검사는 심리(적성)검사중 정밀도 검사의 한종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느티]
36.
피로의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욕의 증대
2.
불쾌감의 증가
3.
흥미의 상실
4.
작업 능률의 감퇴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피로하면 자고싶지 밥먹기 싫죠 [해설작성자 : 일회용]
37.
직업 적성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성검사는 작업행동을 예언하는 것을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2.
직업 적성검사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잠재적인 특수능력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3.
직업 적성검사를 이용하여 훈련 및 승진대상자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4.
직업 적성은 단기적 집중 직업훈련을 통해서 개발이 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번 직업적성은 단기간에 형성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꾸준한반복연습]
38.
인간의 행동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있다. 지각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요인이 아닌 것은?
1.
대비(Contrast)
2.
재현(Repetition)
3.
강조(Intensity)
4.
개성(Personality)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인간의 동작특성 - 내적조건 : 경력 적성 개성 개인차 생리적조건 - 외적조건: 높이 크기 깊이 색채 기온 조명 소음 [해설작성자 : 크림송]
39.
헤드십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민주적 리더십을 발휘하기 쉽다.
2.
책임귀속이 상사와 부하 모두에게 있다.
3.
권한 근거가 공식적인 법과 규정에 의한 것이다.
4.
구성원의 동의를 통하여 발휘하는 리더십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헤드십 리더십의 상대개념을 의미하며 집단의 기능수행을 위한 기반이 지도에 복종할 집단 구성원의 자발적 협력에서가 아니라 권력의 조직화된 체제에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헤드십은 ‘내가 왕(王)이니까’, ‘내가 권력(權力)을 차지하고 있으니까’ 하면서 구성원들이 원하지 않는 일도 서슴치 않고 몰아붙이는 리더십이다 헤드십은 지도자의 개인적 이해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에 지배(支配)의 개념에 가깝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집단 안전교육과 개별 안전교육 및 안전교육을 위한 카운슬링 등 3가지 안전교육 방법 중 개별안전 교육방법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일을 통한 안전교육
2.
상급자에 의한 안전교육
3.
문답방식에 의한 안전교육
4.
안전기능 교육의 추가지도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개별 안전 교육 : 일을통한 안전교육, 상급자에 의한 안전교육, 안전기능교육 추가 지도 2) 집단 안전 교육 : 문답방식에 의한 안전교육 [해설작성자 : 프라이탁]
문답방식에 의한 안전교육은 카운슬링 방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구의 기능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그 위치를 정해준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공구 및 설비 디자인의 원칙에서 공구의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다음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단, 각 요소의 신뢰도는 a, b가 각 0.8, c, d가 각 0.6이다.)
컴퓨터 고장의 원인을 조사하던 중 회로 사이에 나방 한 마리가 끼어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 나방 때문에 컴퓨터가 고장났던 것인데, 그때부터 컴퓨터에 어떤 문제가 생길 경우 버그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디버깅(debugging)은 버그를 잡는다는 의미로서 잘못된 부분을 찾아 고치는 것을 뜻함 [해설작성자 : 백과사전]
<문제 해설>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선택 또는 설계시의 설계지침 1.500-3000Hz의 진동수 사용 2.장거리(3000m이상)용은 1000Hz 이하의 진동수 사용 3.장애물 및 칸막이 통과시는 500Hz 이하의 진동수 사용 4.주의를 끌기 위해서는 변조된 시호 사용 5.배경소음의 진동수와 구별되는 신호사용 6.경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개시 시간이 짧은 고강도 신호를 사용 7.수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우로 교번하는 신호를 사용 8.가능하면 확성기, 경적등과 같은 별도의 통신계통을 사용 [해설작성자 : Charli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 2. 항목의 장거리 3000m 이상이 아니라 300m 이상으로 수정 필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휴먼에러 (Human Error) 인간은 심리적·신체적·정신적으로 불완전한 존재이다. 따라서 신체적·정신적 한계로 인해 인간은 일상생활에서나 산업현장 등에서 많은 에러(Error)를 범하며 살고 있다. 인간이 발생시키는 이러한 에러가 휴먼 에러(Human Error)이다. 휴먼 에러는 일상에서 작은 불편을 초래하는 것부터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 대형 사고의 결정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에러는 주어진 목표로부터 일정한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결과로 정의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번 설비 및 환경 개선은 물적요인에 대한 대책이다 [해설작성자 : 405]
48.
운동관계의 양립성을 고려하여 동목(moving scale)형 표시장치를 바람직하게 설계한 것은?
1.
눈금과 손잡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한다.
2.
눈금의 숫자는 우측으로 감소하도록 설계한다.
3.
꼭지의 시계 방향 회전이 지시치를 감소시키도록 설계한다.
4.
위의 세 가지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설계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동목형 표시장치의 양립성이 큰 경우 1. 눈금과 손잡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 2. 눈금 수치는 우측으로 갈수록 증가 3. 꼭지의 시계방향 회전 시 지시치 증가 [해설작성자 : 과일촌]
<문제 해설> **작업공간 배치원칙 1.중요성의 원칙 부품의 작동성능의 목표달성에 중요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 2.사용빈도의 원칙 부품이 사용되는 횟수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 3.기능별 배치의 원칙 기능적 관련성 있는 부품을 모아서 배치 4.사용순서의 원칙 순서에 맞게 순차적 부품 배치 5.작업공간 포락면, 파악한계, 툭스작업 구역을 고려 입식기준:정밀(높게), 일반(낮게), 힘든작업(낮게) [해설작성자 : NS]
5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기계·기구 및 설비를 설치·이전하는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화학설비
2.
금속 용해로
3.
건조설비
4.
전기용접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5. 허가대상, 금지대상 물질, 분진 관련 설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정량적 표시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정확한 값을 읽어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디지털보다 아날로그, 표시장치가 유리하다.
2.
동목(moving scale)형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나타내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보다 디지털표시장치가 유리하다.
4.
동침(moving pointer)형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바늘의 진행 방향과 증감속도에 대한 인식적인 암시 신호를 얻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정량적표시장치 온도나 속도 같은 동적으로 변하는 변수나 자로재는 길이 같은 계량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한다. 1)정량적 동적 표시장치의 기본형 (1)동침형[Moving Pointer] : 고정된 눈금상에서 지침이 움직이면서 값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지침의 위치가 일종의 인식상의단서로 작용하는 이점이 있다. (2)동목형[Moving Scale] : 동침형과 달리 표시장치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이 있으나 "이동부분의 원칙"과 "동작방향의 운동양립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가 없으므로 지침의 빠른 인식을 요구하는 작업에 부적합하다. (3)계수형[Digital Display] :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하며, 지침의 위치를 추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합하다. 수치가 빨리 변하는 경우 판독이 곤란하여 시각피로 유발도가 높다. [해설작성자 : 과일촌]
53.
신뢰성과 보전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효과적인 보전기록자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재관리표
2.
주유지시서
3.
재고관리표
4.
MTBF분석표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MTBF분석표 디지털 장비를 처음 사용할 때부터 그 수명이 다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의 통계적인 값
신뢰성분석 기법 중 현업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시스템신뢰도예측, 고장원인 분석 및 신뢰성데이터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전기록관리:신뢰성, 보전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보전기록자료. 이에는 MTBF분석표, 설비이력카드, 고장원인 대책표가 있다 [해설작성자 : 느티]
54.
FTA(Fault Tree Analysis)에 사용되는 논리기호와 명칭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문제 해설> [들기 작업시 요통재해 예방 고려요소(들기작업변수)] 1. 무게 : 작업물의 무게(kg) 2. 수평위치 : 두 발 뒤꿈치 뼈의 중점에서 손까지의 거리(cm) 3. 수직거리 : 바닥에서 손까지의 거리(cm) 4. 수직이동거리 : 들기작업에서 수직으로 이동한 거리(cm) 5. 비대칭 각도 : 정면에서 비틀린 정도를 나타내는 각도 6. 들기 빈도 : 15분 동안의 평균적인 분당 들어 올리는 횟수 7. 커플링 분류 : 물체를 들 때 미끄러지거나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 등의 형태
56.
다음 시스템에 대하여 톱사상(top event)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컷셋(minimal cutsets)을 구할 때 올바른 집합은? (단, X2, X3, X4는 각 부품의 고장확률을 의미하며 집합{X1,X2}는 X1부품과 X2부품이 동시에 고장 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1.
{X1,X2}, {X3,X4}
2.
{X1,X3}, {X2,X4}
3.
{X1,X2,X4}, {X3,X4}
4.
{X1,X3,X4}, {X2,X3,X4}
정답 : [
3
] 정답률 : 61%
57.
보기의 실내면에서 빛의 반사율이 낮은 곳에서부터 높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A < B < C < D
2.
A < C < B < D
3.
A < C < D < B
4.
A < D < C < B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생각하면 됨 가장 낮은 바닥에서 가구를 거쳐(가구는 벽보단 아래임) 벽을 통해 천장으로 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HAZOP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워드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2.
No/Not : 디자인 의도의 완전한 부정
3.
Reverse : 디자인 의도의 논리적 반대
4.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유인어(guide words) : 간단한 용어로서 창조적 사고를 유도하고 자극하여 이상을 발견하고 의도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1.No 또는 Not : 설계의도의 완전한 부정 2.More 또는 Less : 양의 증가 또는 감서 3.As well as : 성질상의 증가 4.Part of : 일부변경, 성질상의 감소 5.Reverse : 설계의도의 논리적인 역 6.Other than : 완전한 대체 [해설작성자 : Charlie]
59.
A사의 안전관리자는 자사 화학 설비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제 2단계인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평가 항목 대상을 분류하였다. 주요 평가 항목 중에서 설계관계항목이 아닌 것은?
1.
건조물
2.
공장 내 배치
3.
입지조건
4.
원재료, 중간제품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설계관계 평가요소 : 건조물, 입지조건, 공장내 배치 (2)운전관계 평가요소 : 원재료, 중간제품, 공정 및 공정기기, 수송 및 저장 [해설작성자 : 어은동잉어]
60.
반사율이 60%인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근로자가 검사작업을 수행할 때 휘도(luminance)가 90fL이라면 이 작업에서의 소요조명(fc)은 얼마인가?
1.
75
2.
150
3.
200
4.
300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90/0.6=150 [해설작성자 : 흙나무]
소요조명=휘도/반사율이 되므로 90/0.6=150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4과목 : 건설시공학
61.
건설공사의 시공계획 수립 시 작성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현치도
2.
공정표
3.
실행예산의 편성 및 조정
4.
재해방지계획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현치도는 실물크기의 도면으로 시공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62.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관리에서 활용되는 비파괴검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슈미트해머법
2.
방사선 투과법
3.
초음파법
4.
자기분말 탐상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콘크리트 구조물' 에서 활용되는 비파괴검사 방법에 대해 물었으므로, 철골용접에서 쓰이는 자기분말 탐상법을 고르면된다. 콘크리트 비파괴검사 - 슈미트해머법, 방사선 투과법, 초음파법, 인발법 등등 [해설작성자 : 둔옹]
4. 자기분말탐상법-금속검사 [해설작성자 : 순수한맘]
63.
시트 파일(steel sheet pile)공법의 주된 이점이 아닌 것은?
1.
타입시 지반의 체적 변형이 커서 항타가 어렵다.
2.
용접접합 등에 의해 파일의 길이연장이 가능하다.
3.
몇 회씩 재사용이 가능하다.
4.
적당한 보호처리를 하면 물 위나 아래에서 수명이 길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시트파일공법은 체적변화가 작아서 진동압입 시공이 기ㅡ능하다 장점 시공 빠름 접속부의 수밀성, 차수성 우수 강도, 내구성 우수 토압 저항 우수 자재 재사용 가능 및 공사비 절감 단점 두꺼운 자갈층 시공 곤란 시공 시 소음, 진동 발생 마찰력이 많은 모래층 시공성 안 좋음 [해설작성자 : 데헷 찌]
64.
흙의 함수율을 구하기 위한 식으로 옳은 것은?
1.
(물의 용적/입자의 용적)×100(%)
2.
(물의 중량/토립자의 중량)×100(%)
3.
(물의 용적/전체의 용적)×100(%)
4.
(물의 중량/흙 전체의 중량)×10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토질역학 흙의 성질 단원에서 정의하기를, 함수율은 어떤 흙 속에 함유되는 물의 무게와 그 흙 전체의 무게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함수율을 w', 함수비를 w로 나타낸다. Ww:물의 중량 Ws: 흙의 중량 W:전체 흙의 중량
경량형강공사에 사용되는 부재 중 지붕에서 지붕내력을 받는 경사진 구조부재로서 트러스와 달리 하현재가 없는 것은?
1.
스터드
2.
윈드 칼럼
3.
아웃리거
4.
래프터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래프터벤트(서까래벤트) [해설작성자 : 짱그이]
67.
벽돌쌓기 시 일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가로 및 세로줄눈의 너비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10mm를 표준으로 한다.
2.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영식 쌓기 또는 화란식 쌓기로 한다.
3.
세로줄눈은 통줄눈이 되도록 유도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4.
벽돌벽이 블록벽과 서로 직각으로 만날때에는 연결철물을 만들어 블록 3단마다 보강하여 쌓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통 돌쌓기에서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로줄눈은 통줄눈이 되지 않도록한다 [해설작성자 : 혀니]
68.
비산먼지 발생사업 신고 적용대상 규모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건축물 축조공사로 연면적 1000m2 이상
2.
굴정공사로 총 연장 300m 이상 또는 굴착토사량 300m3이상
3.
토공사/정지공사로 공사면적 합계 1500m2이상
4.
토목공사로 구조물 용적합계 2000m3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건축물 축조공사로 연면적 1,000m2 이상 -굴정공사로 총 연장 200m 이상 또는 굴착 토사량 200m3 이상 -토공사/정지공사로 공사면적 합계 1,000m2 이상 -토목공사로 구조물 용적합계 1,000m3 이상 이며 상기 내용을 봤을때 틀린것이라구 해야지 2번이 해됭될꺼 같습니다. 현재 문제로써는 1, 3, 4번 이 정답이 되는 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학생]
[오류신고 반론] 규모 기준으로 옳은것을 물어보는 문제이기때문에 1번이 맞는것 같습니다 규모기준이 아니라 신고대상으로 옳은것을 찾는문제였다면 1.3.4 가 맞겠으나 기준을 물어보는 문제이기 때문에 1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건설업 가. 건축물축조공사:'건축법'에 따른 건축물의 증.개축,재축 및 대수선을 포함하고, 연면적이 1,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나. 토목공사 1) 구조물의 용적 합계가 1,000세제곱미터 이상, 공사면적이 1,000제곱미터 이상 또는 총 연장이 200미터 이상인 공사 2) 굴정(구멍뚫기)공사의 경우 총 연장이 200미터 이상 또는 굴착(땅파기)토사량이 200세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다. 조경공사: 면적이 합계가 5,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라. 지반조성공사 1)건축물해체공사의 경우 연면적이 3,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2)토공사 및 정지공사의 경우 공사면적의 합계가 1,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3)농지조성 및 농지정리 공사의 경우 흙쌓기(성토) 등을 위하여 운송차량을 이용한 토사 반출입이 함께 이루어지거나 농지전용 등을 위한 토공사, 정지공사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사로서 공사면적의 합계가 1,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마. 도장공사:'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 장기수선계획을 수립하는 공동주택에서 시행하는 건물외부 도장공사 바. 그 밖에 '가'목부터 '마'목까지의 공사에 준하는 공사로서 해당 '가'목부터 '마'목까지의 공사 규모 이상의 공사 [해설작성자 : 대기환경보전법령]
[오류신고 반론] **규모기준으로 옳은 것** 1.건축물 축조공사로 연면적 1000m2 이상 2.굴정공사로 총 연장 300m 이상 또는 굴착토사량 300m3이상 → 200미터 이상 또는 200세제곱이터 이상 공사 3.토공사/정지공사로 공사면적 합계 1500m2이상 → 공사면적 합계가 1,000제곱미터 이상인 공사 4.토목공사로 구조물 용적합계 2000m3이상 → 용적합계가 1,000세제곱미터 이상. 정답: 1번 [해설작성자 : NS]
69.
말뚝박기 기계 중 디젤해머(Diesel hamm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격정밀도가 높다.
2.
타격 시의 압축·폭발 타격력을 이용하는 공법이다.
3.
타격 시의 소음이 작아 도심지 공사에 적용된다.
4.
램의 낙하 높이 조정이 곤란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디젤해머는 소음이 심해 사용이 점차 제한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상하기복형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하고 장애물이 있을 때 효과적인 장비로서 초고층건축물 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장비는?
1.
호이스트카
2.
타워크레인
3.
러핑크레인
4.
데릭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타워 크레인 같은 경우 ( 회전만 가능 한 크레인 ) 러핑 크레인은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 또는 인접 대지 경계선에 침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되는 크레인입니다. 인접대지 경계선을 침범할수 없는경우 회전만 되면 안되기에 ( 회전 상하가 가능한 크레인) 입니다. [해설작성자 : 룡룡이]
타워크레인 종류 - 러핑크레인, T크레인(횡행회전) 등 러핑이란 숙였다 세우는 상하 회전 행위를 말함 지브를 대략 85' ~ 180' 로 움직이는 상태, 즉 평소엔 공간이 협소하여 지브를 세움. 작업시 숙여서 멀리보냄 ㅢ [해설작성자 : 장비]
71.
해체 및 이동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수평활동 시스템 거푸집으로서 터널, 교량, 지하철 등에 주로 적용되는 거푸집은?
1.
유로 폼(Euro Form)
2.
트래블링 폼(Traveling Form)
3.
워플 폼(Waffle Form)
4.
갱 폼(Gang Form)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이동용 비계·Rail·Caster 등의 기계 장치를 이용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말한다. 2) 터널·지하철 공사에 적용되며, 연속 시공으로 공기가 단축된다. [해설작성자 : 띵호와]
72.
외관 검사 결과 불합격된 철근 가스압접 이음부의 조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하게 구부러졌을 때는 재가열하여 수정한다.
2.
압접면의 엇갈림이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재가열하여 수정한다.
3.
형태가 심하게 불량하거나 또는 압접부에 유해하다고 인정되는 결함이 생긴 경우는 압접부를 잘라내고 재압접한다.
4.
철근중심축의 편심량이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압접부를 떼어내고 재압접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엇갈림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제거하고 다시 압접 [해설작성자 : Charlie]
73.
보링방법 중 연속적으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지층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은?
1.
수세식 보링
2.
충격식 보링
3.
회전식 보링
4.
압입식 보링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회전식 보링 날을 회전시켜 천공하는 방법, 불교란 시료의 채취가 가능, 가장 정확한 방식 [해설작성자 : 짱그이]
74.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결하는 전단연결재(shear connector)의 역할을 하는 부재의 명칭은?
1.
리인포싱 바(reinforcing bar)
2.
턴버클(turn buckle)
3.
메탈 서포트(metal support)
4.
스터드(stud)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강 거더와 상판을 한 몸으로 하기 위하여 강 거더에 부착되는 것. 강 거더와 철근 콘크리트 상판 사이의 수평 전단력에 저항하고 또한, 상판의 부상(浮上)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전단 연결재의 종류로는 뒤벨(Dübel), 합성철근, 이 양자의 병용, 스터드, 나사선형 철근, 채널 형강 [해설작성자 : 띵호와]
75.
다음은 표준시방서에 따른 철근의 이음에 관한 내용이다.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D25
2.
D29
3.
D32
4.
D35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철근의겹칩이음은 철근의 단부를 겹치는방법으로 응력은 주변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며 D25이하의 철근에 사용한다.
답은1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xx]
[오류신고 반론] 철근이 둘다 d35를 초과하면 못 잇는데, 둘중에 하나라도 d35이하이면 다른철근이 d35 초과라도 이을 수 잇다
[오류신고 반론] 겹칩이음 할 수 없는 철근지름 : D35초과 [해설작성자 : 짱그이]
[오류신고 반론]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과 표준시방서에 D35 초과 철근의 겹침이음은 하지않는다고 규정 되어있습니다. 정답은 4번이 맞는 것 같습니다.
76.
건축주가 시공회사의 신용, 자산, 공사경력, 보유기술 등을 고려하여 그 공사에 가장 적격한 단일 업체에게 입찰시키는 방법은?
1.
일반공개입찰
2.
특명입찰
3.
지명경쟁입찰
4.
대안입찰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1. 외벽 특히 콘크리트 표면 첨부용 석재는 "연석"을 사용하여야 한다. => 연석 = 연한돌. 반대말은 경석. 표면이므로 경석을 사용해야 함.
97.
수직면으로 도장하였을 경우 도장직후에 도막이 흘러 내리는 형상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얇게 도장하였을 때
2.
지나친 희석으로 점도가 낮을 때
3.
저온으로 건조시간이 길 때
4.
airless 도장시 팁이 크거나 2차압이 낮아 분무가 잘 안되었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도장이 흘러내리는 원인 -두껍게 도장하였을때 -airless 도장 시 팁이 크거나 2차압이 낮아 분무가 잘 안되었을때 -지나친 희석으로 점도가 낮을 때 -도료가 오래되어 흐름방지제의 효과가 저하되었을때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
98.
콘크리트 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도하게 비빔시간이 길면 시멘트의 수화를 촉진하여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2.
단위수량을 너무 증가시키면 재료분리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고 볼 수 없다.
3.
AE제를 혼입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4.
깬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율을 작게 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깬자갈이나 깬모래는 그냥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안좋아서, 단위시멘트를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해설작성자 : 둔옹]
둥글한 강자갈 워커빌리티가 가장 좋고, 편평하고 세장한 골재는 재료분리 쉽고, 모나거나 굴곡크면 워커빌리티 나빠짐 부순자갈이나 부순모래 사용 시 워커빌리티가 나빠지므로 잔골재율과 단위수량을 크게하여 워커빌리티 개량 필요 [해설작성자 : 토목전공생]
4. 깬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율과 단위수량을 크게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에폭시수지 접착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스페놀 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2.
내수성, 내습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3.
접착제의 성능을 지배하는 것은 경화제라고 할 수 있다.
4.
피막이 단단하지 못하나 유연성이 매우 우수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피막이 단단하고 유연성이 부족하다.
100.
목재에서 흡착수만이 최대한도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인 섬유포화점의 함수율은 중량비로 몇% 정도인가?
1.
15% 정도
2.
20% 정도
3.
30% 정도
4.
40% 정도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목재의 함수율
절대건조상태 0% 기건상태 15% 섬유포화점 30% [해설작성자 : 공부하자]
101.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m이상 1.85m이하, 장선(長線)방향에서는 1.5m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1.5m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2개! [해설작성자 : 2개!]
[규정 개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3호, 2019. 12. 26., 일부개정]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문제의 보기 2번도 법개정 전의 내용. [해설작성자 : 강관비계의구조]
최근 또 한번의 개정이 있었습니다.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2023. 11. 14.>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가.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 나. 그 밖에 장비 반입ㆍ반출을 위하여 공간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등 작업의 성질상 비계기둥 간격에 관한 기 준을 준수하기 곤란한 작업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 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법제처 13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 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느티]
102.
이동식비계 조립 및 사용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2.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3.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을 위한 거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 것.
4.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번보기 틀린 이유 = 사용할것이 아니라 사용금지입니다. [해설작성자 : 둔옹]
103.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속도 기준은?
1.
최대 제한 속도가 10km/h 이하
2.
최대 제한 속도가 20km/h 이하
3.
최대 제한 속도가 30km/h 이하
4.
최대 제한 속도가 40km/h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5%
104.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치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사전점검 실시
2.
모든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이상 후방으로 옮길 것
3.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에 대한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4.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4.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독립하여 관리 [해설작성자 : 룡룡이]
105.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었는지 확인하여야하는 철골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단면이 일정한 구조물
2.
기둥이 타이플레이트형인 구조물
3.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구조물
4.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이상인 구조물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단면구조의 현저한 차이가 있을경우
106.
화물운반하역 작업 중 줄걸이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2.
인양 물체의 안정을 위하여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매다는 각도는 60°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60°이하 [해설작성자 : 쭈리맘]
107.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2.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이상으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미만으로 할 것
3.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할 것
4.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미만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룡룡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김동우]
[오류신고 반론] 4개 미만이 맞습니다. 문제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가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넉앰]
[추가 오류 신고] 와이어로프 각도 60도 이내, 지지점 4개소 이상, 같은 각도 클립, 샤클 등의 고정기구 사용 가공전선에 근접하지 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모자오자]
108.
작업중이던 미장공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공구에 의해 상해를 입었다면 어느 부분에 대한 결함이 있었겠는가?
1.
작업대 설치
2.
작업방법
3.
낙하물 방지시설 설치
4.
비계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83%
109.
유해·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를 하지 아니하고는 양도, 대여, 설치 또는 사용에 제공하거나, 양도·대여를 목적으로 진열해서는 아니 되는 기계·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게차
2.
공기압축기
3.
원심기
4.
덤프트럭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유해.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를 해야 하는 기계 및 기구 - 지게차 - 원심기 - 공기압축기 - 예초기 - 금속절단기 - 진공포장기,래핑기 [해설작성자 : ㅎㄷ]
110.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문제 해설> 이동식크레인 1. 권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 브레이크·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크레인 사용 1.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trolley)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2.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정장치의 기능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해설작성자 : 룡룡이]
113.
선박에서 하역작업 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현문 사다리 및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선박이 최소 몇 톤급 이상일 경우인가?
1.
500톤급
2.
300톤급
3.
200톤급
4.
100톤급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항만하역작업 선박승강설비 설치기준 300톤 급 이상의 선박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때에는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현문사다리를 만들어야 한다 현문사다리는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너비는 55cm여야 한다 양측에 82cm이상의 높이로 방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중 안전시설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안전통로
2.
비계에 추가 설치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3.
사다리 전도방지장치
4.
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안전발판, 안전통로, 안전계단 등과 같이 명칭에 관계없이 공사 수행에 필요한 가시설들은 사용 불가 [해설작성자 : 룡룡이]
2. 안전시설비 등
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난간, 추락방호망, 안전대 부착설비, 방호장치(기계ㆍ기구와 방호장치가 일체로 제작된 경우, 방호장치 부분의 가액에 한함) 등 안전시설의 구입ㆍ임대 및 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
나. 「산업재해예방시설자금 융자금 지원사업 및 보조금 지급사업 운영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조제12호에 따른 "스마트안전장비 지원사업" 및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의3에 따른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ㆍ임대 비용의 5분의 2에 해당하는 비용. 다만, 제4조에 따라 계상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다. 용접 작업 등 화재 위험작업 시 사용하는 소화기의 구입ㆍ임대비용 [해설작성자 : 합격할끄니까~]
정답 1번 안전통로
각종 비계, 작업발판, 가설계단・통로, 사다리, 안전발판, 안전통로, 안전계단 등과 같이 명칭에 관계없이 공사 수행에 필요한 가시설들은 산업안전보건 관리비로 사용이 불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115.
흙막이 지보공을 조립하는 경우 미리 조립도를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 조립도에 명시 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