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에서 k1이 0.16/day(base 10)이라 하면, 10℃에 대한 BOD5/BODu비는? (단, θ = 1.047)
1.
0.63
2.
0.69
3.
0.73
4.
0.76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온도 변화에 따른 탈산소계수의 보정 : Kt=K20℃*1.047^(t-20) K10=0.16*1.047^(-10)=0.101 BOD5/BODu=1-10^(-(0.101)*5)=0.688 답 : 약 0.69 [해설작성자 : nxmbxr486]
9.
아세트산(CH3COOH) 3000mg/L 용액의 pH가 3.0이었다면 이 용액의 해리정수(Ka)는?
1.
2×10-5
2.
2×10-6
3.
2×10-7
4.
2×10-8
정답 : [
1
] 정답률 : 67%
10.
어떤 도시에서 DO 0mg/L, BODu 200mg/L, 유량 1.0m3/sec, 온도 20℃의 하수를 유량 6m3/sec인 하천에 방류하고자 한다. 방류지점에서 몇 km 하류에서 가장 DO 농도가 작아지겠는가? (단, 하천의 온도 20℃, BODu 1mg/L, DO 9.2mg/L, 방류 후 혼합된 유량의 유속 3.6km/hr 이며 혼합수의 k1 = 0.1d, k2 = 0.2/d, 20℃에서 산소포화농도는 9.2 mg/L이다. 상용대수기준)
글루코스(C6H12O6) 1000mg/L를 혐기성 분해 시킬 때 생산되는 이론적 메탄량(mg/L)은?
1.
227
2.
247
3.
267
4.
287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6H12O6 -> 3CH4 + 3CO2 C6H1206 = 1000, 3CH4 = X C6H1206 = 180mol/L, 3CH4 = 3*16mol/L 따라서 X = 266.666... = 267 [해설작성자 : 미니]
12.
BOD 1kg의 제거에 보통 1kg의 산소가 필요하다면 1.45ton의 BOD가 유입된 하천에서 BOD를 완전히 제거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공기량은? (단, 물의 공기 흡수율은 7%(부피기준)이며, 공기 1m3은 0.236kg의 O2를 함유한다고 하고 하천의 BOD는 고려하지 않음)
1.
약 84773m3 air
2.
약 85773m3 air
3.
약 86773m3 air
4.
약 87773m3 air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0.1m3air/0.236kgO2 x 1kgO2/1kgBOD x 1.45x10^3kgBOD x 100/7 =87772.4m3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1m^3air 아니고 1m^3air [해설작성자 : 2주 남았는데 댕같다]
13.
어떤 폐수의 BOD5가 300mg/ℓ, COD가 400mg/ℓ이었다. 이 폐수의 난분해성 COD(NBDCOD)는? (단, 탈산소계수, K1 = 0.01hr-1이다. 상용대수기준 BDCOD = BODu)
1.
60mg/ℓ
2.
70mg/ℓ
3.
80mg/ℓ
4.
90mg/ℓ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유출유입량 5000m3/d, 저수량 500000m3인 호수에 A공장의 폐수가 일시적으로 방류되어 호수의 BOD가 100mg/L로 되었다. 이 호수의 BOD농도가 10mg/L로 저하되려면 얼마의 기간이 필요한가? (단, 공장폐수 외 BOD 유입은 없으며 호수는 완전혼합 반응조이다. 1차 반응, 정상상태 기준)
1.
230일
2.
250일
3.
270일
4.
290일
정답 : [
1
] 정답률 : 56%
15.
어느 배양기의 제한기질농도(S)가 100 mg/L, 세포 비증식 계수 최대값(μmax)이 0.3hr일 때 Monod 식에 의한 세포 비증식계수(μ)는? (단, 제한기질 반포화농도(Ks) = 20mg/L)
1.
0.21/hr
2.
0.23/hr
3.
0.25/hr
4.
0.27/hr
정답 : [
3
] 정답률 : 71%
16.
해수의 HOLY SEVEN에서 가장 농도가 낮은 것은?
1.
Cl-
2.
Mg2+
3.
Ca2+
4.
HCO3-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Cl>Na>SO4>Mg>Ca>K>HCO3
17.
수질분석결과 Na+ = 10 mg/L, Ca2+ = 20 mg/L, Mg2+ = 24 mg/L, Sr2+ = 2.2 mg/L 일 때 총경도는? (단, Na : 23, Ca : 40, Mg : 24, Sr : 87.6)
1.
112.5mg/L as CaCO3
2.
132.5mg/L as CaCO3
3.
152.5mg/L as CaCO3
4.
172.5mg/L as CaCO3
정답 : [
3
] 정답률 : 68%
18.
전자쌍을 받는 화학종을 산, 전자쌍을 주는 화학종을 염기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은?
1.
Arrhenius의 정의
2.
Bronsted-Lowry의 정의
3.
Lewis의 정의
4.
Graham의 정의
정답 : [
3
] 정답률 : 75%
19.
물의 물리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의 표면장력이 낮을수록 세탁물의 세정효과가 증가한다.
2.
물이 얼게 되면 액체상태보다 밀도가 커진다.
3.
물의 융해열은 다른 액체보다 높은 편이다.
4.
물의 여러 가지 특성은 물분자의 수소결합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물이 얼게 되면 액체 상태보다 밀도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20.
어느 시료의 대장균수가 5000/mL라면 대장균수가 20/mL가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단, 일차반응기준, 대장균의 반감기는 2시간)
1.
약 16hr
2.
약 18hr
3.
약 20 hr
4.
약 22hr
정답 : [
1
] 정답률 : 69%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다음은 상수의 소독(살균)설비 중 저장설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5일분
2.
10일분
3.
15일분
4.
30일분
정답 : [
2
] 정답률 : 72%
22.
하수관거 설계시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에 관한 기준은?
1.
1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3.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4.
300m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23.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설계획으로 옳은 것은?
1.
재이용수 공급관거는 계획일최대유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2.
재이용수 공급관거는 계획시간최대유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3.
재이용수 공급관거는 계획일평균유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4.
재이용수 공급관거는 계획시간평균유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24.
도수시설인 도수관로의 매설깊이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도로하중은 고려함)
1.
관종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관경 900mm 이하 관로의 매설깊이는 30cm 이상으로 한다.
2.
관종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관경 900mm 이하 관로의 매설깊이는 60cm 이상으로 한다.
3.
관종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관경 1000mm 이상 관로의 매설깊이는 150cm 이상으로 한다.
4.
관종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관경 1000mm 이상 관로의 매설깊이는 200cm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관경 900mm 이하 : 120cm이상 관경 1000mm 이상 : 150cm이상 도로하중 고려할 필요 없을 경우 : 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전식의 위험이 있는 철도 가까이에 금속관을 매설하는 경우, 금속관을 매설하는 측의 대책(전식방지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음부의 절연화
2.
강제배류법
3.
내부전원법
4.
유전양극법(또는 희생양극법)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내부전원법이 아닌 외부전원법이다 [해설작성자 : 해즐베이커]
26.
계획취수량이 10m3/s, 유입수심이 5m, 유입속도가 0.4m/s인 지역에 취수구를 설치하고자 할 때 취수구의 폭(B)는? (단, 취수보 설계 기준)
플록형성은 응집된 미소플록을 크게 성장시키기 위해 적당한 기계식교반이나 우류식교반이 필요하다.
3.
플록형성지 내의 교반강도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플록형성지는 단락류나 정체부가 생기지 않으면서 충분하게 교반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플록형성지는 혼화지와 침전지 사이에 위치하고 침전지에 붙여서 설치한다. 2. 직사각형이 표준형이며 플록큐레이터, 저류판을 설치한 유수로를 사용하는 등, 유지관리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선정한다. 3. 플록 형성시간은 게획정수량에 대해 20~40분을 표준으로 한다. 4. 플록큐레이터 주변시간 기계식교반= 15~80cm/sec 우류식교반= 15~30cm/sec 를 표준으로 한다. 5. 플록형성지 내의 교반강도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6. 교반설비는 수질변화에 따라 강도조절이 가능토록한다. 7. 단락,정체부의 형성없이 충분한 교반이 가능한 구조로 짓는다. 8. 발생한 슬러지, 스케일의 제거가 용이토록한다. 9. 야근자도 플록형성상태 육안으로 보이도록 밝은 조명을 달아준다. [해설작성자 : 북극곰]
~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해설설]
30.
상수처리를 위한 침사지 구조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3~0.6m의 여유고를 둔다.
2.
지내 평균유속은 2~7cm/s를 표준으로 한다.
3.
표면부하율은 200~500mm/min을 표준으로 한다.
4.
지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하고 퇴사심도를 0.5~1m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31.
하수도계획의 목표연도로 옳은 것은?
1.
원칙적으로 10년으로 한다.
2.
원칙적으로 15년으로 한다.
3.
원칙적으로 20년으로 한다.
4.
원칙적으로 25년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상수도계획의 목표 연도: 15~20년 하수도계획의 목표 연도: 20년 [해설작성자 : 아이씨]
32.
'계획오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류식에서 우천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2.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 오수량의 1시간 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으로 한다.
3.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60~70%를 표준으로 한다.
4.
지하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호듀듀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하수량도 20%이하로 한다로 개정됨 [해설작성자 : 릴리리야]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3.
막여과법을 정수처리에 적용하는 주된 선정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게 사용한다.
2.
막의 특성에 따라 원수 중의 현탁물질, 콜로이드, 세균류, 크립토스포리디움 등 일정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3.
부지면적이 종래보다 적을 뿐 아니라 시설의 건설공사 기간도 짧다.
4.
막의 교환이나 세척 없이 반영구적으로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유지관리 측면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34.
상수처리를 위한 정수시설인 급속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과속도는 120~150m/d를 표준으로 한다.
2.
플록의 질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여과층의 필요두께는 질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여과층의 필요두께는 여재입경에 반비례한다.
3.
균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탁질억류가능량은 증가한다.
4.
세립자의 여과모래를 사용할수록 플록 저지율은 높지만, 표면여과의 경향이 강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35.
하수관거의 단면형상이 계란형인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량이 적은 경우 원형거에 비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2.
수직방향의 시공에 정확도가 요구되므로 면밀한 시공이 필요하다.
3.
재질에 따라 제조비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4.
원형거에 비해 관폭이 커도 되므로 수평방향의 토압에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원형거에 비해 관폭이 작아도 되므로 수직방향의 토압에 유리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상수처리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공정 중 플록형성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록형성지는 2지 이상으로 구분한다.
2.
플록형성지 유출부에 수평면에 대하여 60~70° 인 경사 저류벽을 설치한다.
3.
플록형성지 폭은 부상지의 폭과 같도록 하며 10m 정도로 한다.
4.
교반시간 즉 체류시간은 일반적으로 3~5분 정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플록형성지의 교반시간은 일반적으로 15분~20분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플록형성지의 체류시간은 20~40분이다. [해설작성자 : meow]
37.
복류수나 자유수면을 갖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집수매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집수매거는 복류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
가능한 한 직접 지표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매설깊이는 5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집수매거의 길이는 시험우물 등에 의한 양수시험 결과에 따라 정한다.
4.
철근콘크리트조의 유공관 또는 권선형 스크린관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복류수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 [해설작성자 : 밍]
38.
회전수 20회/sec, 토출량 23m3/min, 전양정 8m의 터어빈 펌프의 비속도는?
1.
약 610
2.
약 810
3.
약 1210
4.
약 1610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Ns = N * (Q^1/2 / H^3/4) [해설작성자 : 홍어기]
39.
해수담수화방식 중 상(相)변화방식인 증발법에 해당되는 것은?
1.
가스수화물법
2.
다중효용법
3.
냉동법
4.
전기투석법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3번은 상변화방식이나 결정법에 속하고 4번은 상불변방식(막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2번! 증발법: 다단 플래쉬법, 다중 효용법, 증기압축법, 투과기화법 [해설작성자 : 아이씨]
40.
계획취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저수용량의 결정에 사용하는 계획 기준년은?
1.
원칙적으로 5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2.
원칙적으로 7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롤 표준으로 한다.
3.
원칙적으로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4.
원칙적으로 15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역삼투 장치로 하루에 200000L의 3차 처리된 유출수를 탈염시키고자 한다. 25℃에서 물질전달계수 = 0.2068L/(d-m2)(kPa), 유입수와 유출수 사이의 압력차는 2400kPa, 유입수와 유출수 사이의 삼투압차는 310kPa, 최저운전 온도는 10℃, A10℃ = 1.58A25℃라면 요구되는 막 면적은?
1.
약 730m2
2.
약 830m2
3.
약 930m2
4.
약 1030m2
정답 : [
1
] 정답률 : 63%
42.
1차 침전지의 유입 유량은 1000m3/day이고 SS농도는 350mg/L이다. 1차 침전지에서의 SS 제거효율이 60%일 때 하루에 1차 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부피(m3)는? (단, 슬러지의 비중은 1.05, 함수율은 94%,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3m3
2.
2.5m3
3.
2.7m3
4.
3.3m3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350x10^6kg 1000m3 1000L 100 m3 ㅡㅡㅡㅡㅡㅡㅡㅡ x 0.6 x ㅡㅡㅡㅡ x ㅡㅡㅡ x ㅡㅡ x ㅡㅡㅡㅡㅡ =3.33 m3/d L d m3 6 1050kg [해설작성자 : 뚜비]
43.
질산화 반응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질산균의 에너지원은 유기물이다.
2.
질산균의 증식속도는 활성슬러지 내 미생물보다 빠르다.
3.
질산균의 질산화 반응시 알칼리도가 생성된다.
4.
질산균의 질산화 반응시 용존산소는 2mg/L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44.
CFSTR에서 물질을 분해하여 효율 95 %로 처리하고자 한다. 이 물질은 0.5차 반응으로 분해되며, 속도상수는 0.05 (mg/L)1/2/h이다. 유량은 500L/h이고 유입농도는 250mg/L로서 일정하다면 CFSTR의 필요 부피는? (단, 정상상태 가정)
하수내 함유된 유기물질뿐 아니라 영양물질까지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A2/O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2.
혐기조에서는 인의 방출이 일어난다.
3.
폐 sludge내의 인함량은 비교적 높아서(3~5%) 비료의 가치가 있다.
4.
무산소조에서는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 무산소조에서는 탈질작용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뽀글머리코알라]
46.
BOD 250mg/L 인 폐수를 살수 여상법으로 처리할 때 처리수의 BOD는 80 mg/L 이었고 이때의 온도가 20℃였다. 만일 온도가 23℃로 된다면 처리수의 BOD 농도는? (단, 온도 이외의 처리조건은 같고, E : 처리효율, E1 = E20×CiT-20, Ci = 1.035임)
슬러지 부피 = 고형물 부피(TS) + 물의 부피 100/ρ슬러지 = 10/1.923 + 90/1 따라서 ρ슬러지 = 1.051 [해설작성자 : meow]
48.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원형입자를 동시에 20℃의 물에 떨어뜨려 침강실험을 했다. 입자 A의 직경은 2×10-2cm이며 입자 B의 직경은 5×10-2cm라면 입자 A와 입자 B의 침강속도의 비율(VA/VB)은? (단, 입자 A와 B의 비중은 같으며, stokes 공식을 적용, 기타 조건은 같음)
Chick's law에 의하면 염소소독에 의한 미생물 사멸율은 1차 반응에 따른다고 한다. 미생물의 80%가 0.1mg/ℓ 잔류 염소로 2분 내에 사멸된다면 99.9%를 사멸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접촉시간은?
1.
5.7분
2.
8.6분
3.
12.7분
4.
14.2분
정답 : [
2
] 정답률 : 60%
51.
수면부하율(또는 표면부하율)이 75m3/m2-d인 침전지에서 100% 제거될 수 있는 입자의 직경은 얼마 이상부터인가? (단, 폐수와 입자의 비중은 각각 1.0과 1.35이며 폐수의 점성계수는 0.098kg/mㆍs이고, 입자의 침전은 stokes공식을 따른다.
1.
0.37mm 이상
2.
0.47m 이상
3.
0.57mm 이상
4.
0.67m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V=d^2(Pp-Pw)g / 18u
[추가 해설] 75m d 18 0.098kg m3 s2 ----x-------x-----x---------x--------------x-------=4.46x10^-7 m2 =d^2 d 86400s m.s (1350-1000)kg 9.8m
d=6.67x10^-4m = 0.667mm [해설작성자 : 뚜비]
52.
하수처리를 위한 회전 원판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pH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2.
원판의 회전으로 인해 부착생물과 회전판 사이에 전단력이 생긴다.
3.
살수여상과 같이 여상에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4.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이차침전지 SS 유출이 적어 처리수의 투명도가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활성슬러지에 비해 이차침전지에서 미세 ss 유출이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해설작성자 : juheenina]
53.
함수율 96%인 생분뇨가 분뇨처리장에 150m3/day의 율로 투입되고 있다. 이 분뇨에는 휘발성 고형물(VS)이 총 고형물(TS)의 50%이고, VS의 60%가 소화가스로 발생되었다. VS 1kg 당 0.5m3의 소화가스가 발생 되었다면, 분뇨의 소화가스 총발생량(m3/day)은? (단, 분뇨의 비중은 1로 한다.)
슬러지 함수율이 90%인 슬러지 15m3/hr를 가압 탈수기로 탈수하고자 할 때 탈수기의 소요 면적(m2)은? (단, 비중은 1.0 기준, 탈수기의 탈수 속도는 3kg(건조 고형물)/m2ㆍhr 이다.)
1.
400
2.
450
3.
500
4.
550
정답 : [
3
] 정답률 : 46%
55.
Langmuir 등온 흡착식을 유도하기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정된 표면만이 흡착에 이용된다.
2.
표면에 흡착된 용질물질은 그 두께가 분자 한 개 정도의 두께이다.
3.
흡착은 비가역적이다.
4.
평형조건이 이루어졌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흡착은 "가역적"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56.
2차 처리 유출수에 포함된 25mg/ℓ의 유기물을 분말 활성탄 흡착법으로 3차 처리하여 2mg/ℓ 될 때까지 제거하고자 할 때 폐수 3m3 당 몇 g의 활성탄이 필요한가? (단, 오염물질의 흡착량과 흡착제거량과의 관계는 Freundlich 등온식에 따르며 k = 0.5, n = 1 이다.)
1.
69g
2.
76g
3.
84g
4.
91g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X/M=KxC^1/n (25-2)/M=0.5x2 M=23mg/L
23mg/L x 3m^3 =69g
57.
폐수처리장의 완속교반기 동력을 부피 1000m3인 탱크에서 G값을 50/s를 적용하여 설계하고자 한다면 이론적으로 소요되는 동력은? (단, 폐수의 점도는 1.139×10-3Nㆍs/m2)
1.
약 2.15kW
2.
약 2.45kW
3.
약 2.85kW
4.
약 3.25kW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소요동력 = 점도 * V * G^2 [해설작성자 : 홍어기]
58.
폭기조 내 MLSS 농도가 4000mg/L이고 슬러지 반송률이 55%인 경우 이 활성슬러지의 SVI는? (단, 유입수 SS 고려하지 않음)
1.
69
2.
79
3.
89
4.
99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0.55=4000/X-4000 X=11272.72mg/L
11272.72=1/SVI x 10^6 SYI=88.7
59.
분리막을 이용한 다음의 폐수처리방법 중 구동력이 농도차에 의한 것은?
1.
역삼투(Reverse Osmosis)
2.
투석(Dialysis)
3.
한외여과(UItrafiltration)
4.
정밀여과(Microfiltr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머지는 정수압차 [해설작성자 : 100]
60.
일반적인 양이온 교환물질에 있어 일반적인 양이온에 대한 선택성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Ba+2>Pb+2>Sr+2>Ni+2>Ca+2
2.
Ba+2>Pb+2>Ca+2>Ni+2>Sr+2
3.
Ba+2>Pb+2>Ca+2>Sr+2>Ni+2
4.
Ba+2>Pb+2>Sr+2>Ca+2>Ni+2
정답 : [
4
] 정답률 : 53%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식물성 플랑크톤을 현미경계수법으로 측정할 때 저배율 방법(200배율 이하) 적용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급 이상 또는 이와 동등한 규격의 시약을 사용한다.
2.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는 의미는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3.
기체 중의 농도는 표준상태(0℃, 1기압)로 환산 표시한다.
4.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시료를 부피피렛으로 0.1mL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정확히 취하여: 규정한 양의 액체를 부피피펫으로 눈금까지 취하는 것 [해설작성자 : 101210]
76.
잔류염소(비색법) 측정할 때 크롬산(2mg/L 이상)으로 인한 종말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시약은?
1.
염화바륨
2.
황산구리
3.
염산용액(25%)
4.
과망간산칼륨
정답 : [
1
] 정답률 : 55%
77.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1.
밀봉용기
2.
밀폐용기
3.
기밀용기
4.
차폐용기
정답 : [
1
] 정답률 : 58%
78.
수질의 색도 측정에서 이용되는 색도표준원액 제조에 사용되는 시약이 아닌 것은?
1.
육염화백금칼륨
2.
염화코발트6수화물
3.
염화아연분말
4.
염산
정답 : [
3
] 정답률 : 44%
79.
다음은 용기에 의한 유량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가 : 1분 정도, 나 : 매분 1cm 이상
2.
가 : 1분 정도, 나 : 매분 5cm 이상
3.
가 : 5분 정도, 나 : 매분 1cm 이상
4.
가 : 5분 정도, 나 : 매분 5c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4%
80.
총질소의 측정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산화법)
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카드뮴-구리 환원법)
3.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연속흐름법)
4.
자외선/가시선 분광법(환원증류-킬달법)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3.그냥 연속흐름법이다 [해설작성자 : 쁜진]
81.
수질오염감시경보의 발령, 해제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함
2.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함
3.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함
4.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두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함
정답 : [
4
] 정답률 : 56%
82.
시ㆍ도지사가 측정망을 이용하여 수질오염도를 상시 측정하거나 수생태계 현황을 조사한 경우에 그 조사 결과를 몇 일 이내에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5일 이내, 수생태계 현황 : 조사 종료일로부터 1개월 이내
2.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5일 이내, 수생태계 현황 : 조사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
3.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이내, 수생태계 현황 : 조사 종류일로부터 1개월 이내
4.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이내, 수생태계 현황 : 조사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59%
83.
수질오염경보(조류경보) 발령 단계 중 조류경보시 취수장ㆍ정수장 관리자의 조치사항은?
1.
주 2회 이상 시료채취ㆍ분석
2.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
3.
발령기관에 대한 시험분석결과의 신속한 통보
4.
취수구 및 조류가 심한 지역에 대한 방어막 설치 등 조류 제거 조치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54%
84.
수질오염경보(조류경보) 단계 중 다음 발령기준에 해당하는 단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조류관심
2.
조류경보
3.
조류경계
4.
조류심각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현재의 시행령으로는
상수원 구간일 때 관심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10,000세포/ml 미만인 경우 경계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1,000,000세포/ml 미만인 조류 대발생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해제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미만인경우
친수활동 구간일 때 관심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100,000세포/ml 미만인 경우 경계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인 해제 :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미만인 경우
입니다. 개정 전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보증금]
85.
다음은 폐수처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가 : 10일 이상, 나 : 80%
2.
가 : 10일 이상, 나 : 90%
3.
가 : 30일 이상, 나 : 80%
4.
가 : 30일 이상, 나 : 90%
정답 : [
2
] 정답률 : 69%
86.
중점관리 저수지의 지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총저수 용량이 1백만세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2.
총저수 용량이 1천만세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3.
총저수 면적이 1백만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4.
총저수 면적이 1천만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정답 : [
2
] 정답률 : 60%
87.
대통령령이 정하는 처리용량 이상의 방지시설(공동방지시설 포함)을 운영하는 자는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이 배출허용기준,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산전력계 또는 적산유량계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측정기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적산전력계 또는 적산유량계를 부착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0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51%
88.
다음은 배출시설의 설치허가를 받은 자가 배출시설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대한 기준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일 500세제곱미터
2.
1일 600세제곱미터
3.
1일 700세제곱미터
4.
1일 800세제곱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89.
골프장의 잔디 및 수목 등에 맹ㆍ고독성 농약을 사용한 자에 대한 벌금 또는 과태료 부과 기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