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 400000m3/day의 하천에 인구 20만명의 도시로부터 30000m3/day의 하수가 유입되고 있다. 하수 유입 전 하천의 BOD는 0.5mg/L이고, 유입 후 하천의 BOD를 2mg/L로 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려고 한다면 이 처리장의 BOD 제거효율(%)은? (단, 인구 1인당 BOD 배출량 20g/day)
1.
약 84
2.
약 87
3.
약 90
4.
약 93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인당 BOD 배출량 20g/day * 인구수 20만 / 하수 유량 30000 m^3/day = 133.33g/m^3 133.33g/m^3 = 133.33 * 10^-3g/ 10^-3m^3 = 133.33mg/L -> 원래 하천 BOD 하수 유입후 하천의 BOD = 2mg/L 만드려면 C(Mix) = (C1*Q1 + C2Q2)/(Q1+Q2) = (400000*0.5 + 30000x)/(30000+400000) = 2mg/L, x = 22mg/L 제거효율 (133.33-22)/133.33 * 100 = 83.50%, 약 84%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9.
glycine(CH2(NH2)COOH) 7몰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 요구량(g O2)은? (단, 최종산물은 HNO3, CO2, H2O이다.)
Reynilds -> Reynolds수 레이놀즈 수를 구할 때 D가 원형관일 때의 지름인데 인트라사이트로 구성된 여층이 원형관의 형태가 아니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입자형상계수를 곱해주는 것 같음 [해설작성자 : 수질씹어먹자]
47.
수질성분이 금속도관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암모니아는 착화물의 형성을 통해 구리, 납 등의 금속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2.
칼슘은 CaCO3로 침전하여 부식을 보호하고 부식속도를 감소시킨다.
3.
마그네슘은 갈바닉 전지를 이룬 배관 상에 구멍을 야기한다.
4.
pH가 높으면 관을 보호하고 부식속도를 감소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마그네슘은 알칼리도와 pH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리는 갈바닉 전지를 이룬 배관상에 구멍을 야기한다. [해설작성자 : 제발]
48.
용수 응집시설의 급속 혼합조를 설계하고자 한다. 혼합조의 설계 유량은 18480m3/day이며 정방형으로 하고 깊이는 폭의 1.25배로 한다면 교반을 위한 필요 동력(kW)은? (단, μ= 0.00131N·s/m2 , 속도 구배 = 900sec-1, 체류시간 30초)
1.
약 4.3
2.
약 5.6
3.
약 6.8
4.
약 7.3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속도구배 G = [ P(동력(W)) / u(점성계수) * V(혼합조 용적) ]^(1/2) 체류시간 t = V/Q를 이용해서 V를 계산 V = 30 * 18480 / 86400 동력 P = 900^2 * 0.00131 * 30 * 18480 / 86400 = 6808.7W = 6.8kW [해설작성자 : 불쏘클]
49.
혐기성 소화조 운전 중 이상발포가 발생되었을 때의 대책이 아닌 것은?
1.
슬러지의 유입을 줄이고 배출을 일시 중지한다.
2.
소화온도를 높인다.
3.
조내 교반을 중지한다.
4.
스컴을 파쇄·제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조내 교반을 충분히 한다. [해설작성자 : won]
혐기성 소화조 운전 중 이상발포가 일어나는 원인 대책 1. 과다배출로 인한 조내 슬러지 부족 → 슬러지의 유입을 줄이고 배출을 일시 중단 2. 유기물의 과부하 3. 1단계 조의 교반부족 → 조내 교반을 충분히 한다. 4. 온도저하 → 소화온도를 높인다. 5. 스컴 및 토사의 퇴적 → 스컴을 파쇄,제거 + 토사의 퇴적 준설 [해설작성자 : 두부손]
50.
3000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도시의 우유제조공장에서 하루 평균 80m3 씩의 폐수가 배출되고 있다. 폐수의 BOD가 1000mg/L이며 인구 1인당 하루 70g의 BOD를 배출할 때 필요한 안정화지의 면적(m2)은?0 (단, 안정화지 설계 BOD부하량 2.5g/m2·day)
1.
12500
2.
65500
3.
116000
4.
148000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BOD 면적부하 = BOD * Q / A BOD * Q 는 BOD의 양이므로 1) 3000*70g, 2) 80m3*1000g/m3 계산해서 1) + 2)를 한다. 2.5g/m2*day = (210000+80000)(g/day) / A 안정화지면적 A = 290000/2.5 = 116000 [해설작성자 : 불쏘클]
51.
역삼투장치로 하루에 600000L의 3차 처리된 유출수를 탈염하고자 한다. 다음과 같을 때, 요구되는 막 면적(m2)은? (단, 25°C에서 물질전달계수 : 0.2068L/(day•m2)(kPa))
60만 L * day * m^2* kPa/0.2068L * 1/(2400-310)kPa * = 1388.21m^2, 섭씨 25도에서의 막면적 온도보정식 A10= 1.3A25, 1.3 * 1388.21 = 1804.673m^2, 약 1800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52.
폐수 유량이 2000m3/d,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200mg/L이다. 설계온도 20℃, 이 때의 공기 용해도는 18.7mL/L, 흡수비 0.5, 표면부하율이 120m3/(m2·d), 운전압력이 3기압이라면 반송비와 부상조의 필요한 표면적(m2)은 약 얼마인가? (단, A/S비 0.05, 반송이 있는 공기 부상조 기준)
1.
0.82, 25
2.
0.82, 30
3.
0.87, 25
4.
0.87, 30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주어진 A/S비를 사용해 A/S비 = 1.3*Sa*(f*P-1)*R/ SS 식에 넣어 R(반송비를 구함) 부상조에 필요한 표면적은 반송슬러지량 까지 생각하므로 표면적 = 유량*(1+반송비)/ 표면적 부하량 구함 [해설작성자 : 100]
53.
슬러지 발생량이 3000kg/d인 소화조가 있다. 슬러지는 70%의 휘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60%가 분해된다. 슬러지 1kg이 분해될 때 50%의 메탄이 함유된 0.874m3/kg의 소화가스가 발생한다. 소화조 보온에 필요한 에너지는 530000kJ/hr이다. 발생된 에너지의 몇%가 실질적으로 소화조의 가온에 사용되었는가? (단, 메탄의 열량 35850kJ/m3, 가온장치 열효율 70%, 24시간 연속 가온 기준)
1.
65%
2.
74%
3.
81%
4.
92%
정답 : [
4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3000x0.7x0.6x0.437=550.620 cubic meter per day (Total Methane Generation) 550.620x35850x0.7=13817808.9 kj per day (total Thermal Energy from Methane Gas) 530000x24=12720000kj/day (Energy for warming the Digester) then... we can calculate how much of the energy was spent warming the Digester. 12720000/13817808 = 92% [해설작성자 : LEE JEONG CHAN]
1. 슬러지 발생량 내 70%의 휘발성 물질 중 60%가 분해됨 = 3000kg/d*0.7*0.6=1260kg/d 2. 소화가스 발생량 중 메탄의 양 구하기 = 1260kg/d*0.874m^3/kg*0.5=550.62m^3/d 3. 메탄의 양*메탄의 열량 = 550.62m^3/d*35,850kJ/m^3=19,739,727kJ/d - (a) 4. 소화조 보온에 필요한 에너지를 시간당 에서 하루당으로 변환 = 530,000kJ/hr * 24hr/d = 12,720,000kJ/d 5. 가온장치 열효율을 고려해서 실제 사용되어야 할 에너지량 = (12,720,000kJ/d)/0.7 = 18,171,428.57kJ/d - (b) 6. 따라서, (b)/(a) 구하면 = 18,171,428.57 / 19,739,727 = 0.92 7. 0.92 * 100(%) = 92% [해설작성자 : 천경]
54.
300m3/day의 폐수를 배출하는 도금공장이 있다. 이 폐수 중에는 CN-이 150mg/L 함유되어 다음 반응식을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NaClO의 양(kg)은 약 얼마인가?
1.
180.4
2.
322.4
3.
344.8
4.
300.5
정답 : [
2
] 정답률 : 55%
55.
침전지에서 입자의 침강 속도가 증대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입자 비중의 증가
2.
액체 점성계수 증가
3.
수온의 증가
4.
입자 직경의 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점성계수와 침강속도는 반비례관계이므로, 액체 점성계수가 감소해야 입자의 침강 속도가 증대된다. [해설작성자 : 제발]
56.
함수율 96%인 축산폐수 500m3/day가 혐기성소화조에 투입되고 있다. VS/TS비는 50%이며 혐기성 소화 후 VS 물질의 80%가 가스로 발생하고 있다. 이 소화조에서 하루 발생한 소화가스의 열량(kcal/day)은? (단, 축산폐수의 비중 1.0, VS 1ton은 25m3의 소화 가스를 발생, 소화가스 1m3의 열량은 6000kcal)
하천의 BOD를 측정하기 위해 검수에 희석수를 가해 40배로 희석한 것을 BOD병에 채우고 20℃에서 5일간 부란시키기 전 희석 검수의 DO는 8.5mg/L, 5일 부란 후 적정에 사용된0.025N-Na2S2O3 용액이 1.5mL, BOD병 내용적이 303mL, 적정에 사용된 검수량이 100mL, 0.025N-Na2S2O3의 역가는 1이다. 이 하천수의 BOD(mg/L)는? (단, DO측정을 위해 투입된 MnSO4와 알카리성 요오드화칼륨 아지드화나트륨 용액의 양은 각각 1mL로 한다.)
하천 단면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수면의 지점과 그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수면폭을 3등분한 각각의 지점의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1/3 지점을 채수한다.
2.
하천 단면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수면의 지점과 그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수면폭을 3등분한 각각의 지점의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1/2 지점을 채수한다.
3.
하천 단면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수면의 지점과 그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수면폭을 2등분한 각각의 지점의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1/3 지점을 채수한다.
4.
하천 단면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수면의 지점과 그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수면폭을 2등분한 각각의 지점의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1/2 지점을 채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79.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는?
1.
밀봉용기
2.
밀폐용기
3.
기밀용기
4.
압밀용기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밀봉 : 미생물 기밀 : 공기 차광 : 광선 [해설작성자 : 메린이]
80.
폭기조 내의 폐수 DO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 300mL를 취하여 윙클러 아지드법에 의하여 처리하고 203mL를 분취하여 0.025N Na2S2O3로 적정하니 3mL 소모되었다. 이 폐수의 DO(mg/L)는 약 얼마인가? (단, 0.025N Na2S2O3의 역가 1.2, 전체 시료량에 넣은 시약 4mL)
1.
3.2
2.
3.6
3.
4.2
4.
4.6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DO 계산식 a * f * V1/V2 * 1000/(V1-R0 * 0.2 a 적정 소비 0.025M 티오황산나트륨 Na2S2O3 용액 양 mL, 3mL f 티오황산나트륨의 인자 = 역가, 문제에서 주어지길 1.2 V1 전체 시료량 300mL V2 적정 사용 시료양 203mL R 황산망간, 알칼리성 요오드화칼륨-아자이드화나트륨 첨가량, 4mL 식에 대입 3mL * 1.2 * 300mL/203mL * 1000/(300-4)mL * 0.2 = 3.595, 약 3.6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81.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 횟수가 연 4회에 해당되는 것은?
1.
측정기기 부착 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 현황
2.
측정기기 부착사업장 관리 현황
3.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4.
과징금 부과 실적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위임업무 보고사항(제 107조 제 1항 관련), 시행규칙 [별표 23] 1. 폐수배출시설의 설치허가,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상황 검사,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업무처리 현황 : 연 4회 보고 2.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설치허가(변경허가) 현황 : 수시 3. 기타 수질오염원 현황 : 연 2회 4. 폐수처리업에 대한 등록, 지도단속실적 및 처리실적 현황 : 연 2회 5. 폐수위탁, 사업장 내 처리현황 및 처리실적 : 연 1회 6. 환경기술인의 자격별, 업종별 현황 : 연 1회 7. 배출업소의 지도, 점검 및 행정처분 실적 : 연 4회 8. 배출부과금 부과 실적: 연 4회 9. 배출 부과금 징수 실적 및 체납 처분 현황 : 연 2회 10. 배출업소 등에 따른 수질오염사고 발생 및 조치사항 : 수시 11. 과징금 부과 실적: 연 2회 12. 과징금 징수 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 : 연 2회 13.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 연 4회 14. 골프장 맹, 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 : 연 2회 15. 측정기기 부착시설 설치 현황 : 연 2회 16. 측정기기 부착사업장 관리 현황: 연 2회 17. 측정기기 부착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 현황 : 연 2회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를 등급으로 나타내는 경우, ‘좋음’등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수질 및 수생태계 생활 환경기준)
1.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침전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2.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3.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 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4.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활성탄 투입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좋음 등급 > 용존산소가 많은 편, 여과, 침전, 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해설작성자 : 유니스트킹왕짱]
85.
배출시설의 설치허가를 받은 자가 배출시설의 변경허가를 받아야하는 경우에 대한 기준으로 ( )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일 500세제곱미터
2.
1일 600세제곱미터
3.
1일 700세제곱미터
4.
1일 800세제곱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86.
수질오염감시경보의 발령, 해제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한쪽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4.
생물감시장비 중 물벼룩감시장비가 경보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양쪽 모든 시험조에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87.
1일 폐수배출량이 2000m3미만인 규모의 지역별, 항목별 배출허용기준이 틀린 것은? (단, 단위는 mg/L)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제 34조 관련), 시행규칙 [별표 13]
1일 폐수배출량 2천 세제곱미터 미만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화학적 산소 요구량, 부유물질량 (단위는 모두 mg/L) 청정지역 40 이하 50 이하 40 이하 가 지역 80 이하 90 이하 80 이하 나 지역 12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특례지역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1일 폐수배출량 2천 세제곱미터 이상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화학적 산소 요구량, 부유물질량 (단위는 모두 mg/L) 청정지역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가 지역 60 이하 70 이하 60 이하 나 지역 80 이하 90 이하 80 이하 특례지역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된 문항
88.
폐수처리업의 등록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시설 또는 장비가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각각의 해당 시설 또는 장비를 갖춘 것으로 본다.
2.
폐수수탁처리업, 폐수재이용업을 함께 하려는 때는 같은 요건이라도 업종별로 따로 갖추어야 한다.
3.
수질오염물질 각 항목을 측정·분석할 수 있는 실험기기·기구 및 시약을 보유한 측정대행업자 또는 대학부설 연구기관 등과 측정대 행계약 또는 공동사용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해당 실험기기·기구 및 시약을 갖추지 아니할 수 있다.
4.
기술능력이 환경기술인의 자격요건 이상이고 폐수 처리시설과 폐수배출시설이 동일한 시설인 경우에는 환경기술인을 중복하여 임명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89.
골프장의 잔디 및 수목 등에 맹·고독성 농약을 사용한 자에 대한 벌금 또는 과태료 부과 기준은?
1.
3백만원 이하의 벌금
2.
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3백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4.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정답 : [
4
] 정답률 : 66%
90.
시·도지사가 측정망을 이용하여 수질오염도를 상시 측정하거나 수생태계 현황을 조사한 경우에 그 조사 결과를 며칠 이내에 환경 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5일 이내, 수생태계현황 : 조사 종료일부터 1개월 이내
2.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5일 이내, 수생태계현황 : 조사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
3.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이내, 수생태계현황 : 조사 종료일부터 1개월 이내
4.
수질오염도 : 측정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이내, 수생태계현황 : 조사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50%
91.
환경부장관이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정·고시하고 수질 및 수생태계를 정기적으로 조사·측정하여야 하는 호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1일 30만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2.
만수위일 때 면적이 30만 제곱미터 이상인 호소
3.
수질오염이 심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호소
4.
동식물의 서식지·도래지이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호소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만수위일때 면적이 50만 제곱미터 이상인 호소 [해설작성자 : 나리]
92.
중점관리 저수지의 지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총저수용량이 1백만세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2.
총저수용량이 1천만세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3.
총저수면적이 1백만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4.
총저수면적이 1천만제곱미터 이상인 저수지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중점관리 저수지는 총저수"용량"이 1천만m^3 이상 호소수 이용상황 만수위 문제는 만수위 일 때의 "면적"이 50만m^2 이상 [해설작성자 : 박범룡]
9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처리용량 이상의 방지시설(공동방지시설 포함)을 운영하는 자는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이 배출허용기준, 방류수수질기준에 맞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산전력계 또는 적산유량계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측정기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적산전력계 또는 적산유량계를 부착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0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45%
94.
폐수처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옳은 것은?
1.
㉠ 10일 이상, ㉡ 80%
2.
㉠ 10일 이상, ㉡ 90%
3.
㉠ 30일 이상, ㉡ 80%
4.
㉠ 30일 이상, ㉡ 90%
정답 : [
2
] 정답률 : 67%
95.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옳은 내용은?
1.
㉠ 월 2회 이상, ㉡ 월 1회 이상
2.
㉠ 월 1회 이상, ㉡ 월 2회 이상
3.
㉠ 월 2회 이상, ㉡ 월 2회 이상
4.
㉠ 월 1회 이상, ㉡ 월 1회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69%
96.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2.
여과시설
3.
침투시설
4.
와류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61%
97.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원 현황 및 예측
2.
오염도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3.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 및 구체적 삭감 방안
4.
수질 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포함사항> 1.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대상 유역 현황 2.오염원 현황 및 예측 3.연차별 지역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추가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및 해당 개발계획의 세부 내용 4.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목표 및 구체적 삭감 방안 5.오염부하량 할당 시설별 삭감량 및 그 이행 시기 6.수질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해설작성자 : 제발]
98.
수변생태구역의 매수·조성 등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1.
㉠ 환경부령, ㉡ 대통령령
2.
㉠ 대통령령, ㉡ 환경부령
3.
㉠ 환경부령, ㉡ 총리령
4.
㉠ 총리령, ㉡ 환경부령
정답 : [
2
] 정답률 : 72%
99.
수질오염경보 중 조류경보 시 취수장·정수장 관리자의 조치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주 2회 이상 시료채취·분석
2.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
3.
발령기관에 대한 시험분석결과의 신속한 통보
4.
취수구 및 조류가 심한 지역에 대한 방어막 설치 등 조류 제거 조치 실시
정답 : [
2
] 정답률 : 55%
100.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할 때 제출하는 비점 오염저감 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2.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3.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4.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비점오염저감 계획서 포함사항 1.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2.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3.비점오염원 저감방안 4.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해설작성자 : 제발]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④
②
②
④
②
①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③
③
②
④
①
②
③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④
①
④
②
②
③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②
④
①
②
③
②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④
①
②
②
③
③
③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②
④
②
②
④
③
②
①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④
③
②
①
②
③
④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①
④
②
①
①
③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④
①
③
③
④
①
②
④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②
④
②
①
③
②
②
②
③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