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에서 DO 0mg/L, BODu 200 mg/L, 유량 1.0 m3/sec, 온도 20°C의 하수를 유량 6m3/sec인 하천에 방류하고자 한다. 방류지점에서 몇 km 하류에서 DO 농도가 가장 낮아지겠는가? (단,하천의 온도 20°C, BODu 1mg/L, DO 9.2 mg/L, 방류 후 혼합된 유량의 유속 3.6 km/hr이며, 혼합수의 k1 = 0.1 /day, k2 = 0.2/day, 20°C 에서 산소포화농도는 9.2mg/L이다. 상용대수기준)
얕은 우물인 경우에는 오염원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져서 장래에도 오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이어야 한다.
3.
기존 우물 또는 집수매거의 취수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4.
복류수인 경우에 장래에 일어날 수 있는 유로변화 또는 하상저하 등을 고려하고 하천개수계획에 지장이 없는 지점을 선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앝은 우물이나 복류수인 경우에는 오염원으로부터 15m 이상 떨어져서 장래에도 오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모두 화이팅!!]
오염원으로부터 15m 이상 떨어져야함 [해설작성자 : 졸령]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하수처리방식 중 회전원판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2차 침전지에서 미세한 SS가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2.
운전관리상 조작이 간단한 편이다.
3.
질산화가 거의 발생하자 않으며, pH 저하도 거의 없다.
4.
소비 전력량이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표준 활성 슬러지법에 비하여 적은 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다단계 공정에서는 높은 질산화율을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나라님]
42.
무기물이 0.30g/gVSS로 구성된 생물성 VSS 를 나타내는 폐수의 경우, 혼합액 중의 TSS와 VSS 농도가 각각 2000mg/L, 1480mg/L라 하면 유입수로부터 기인된 불활성 고형물에 대한 혼합액 중의 농도(mg/L)는? (단,유입된 불활성 부유 고형물질의 용해는 전혀 없다고 가정)
생물학적 3차 처리를 위한 A/O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반응조 역할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혐기조에서는 유기물 제거와 인의 방출이 일어나고, 폭기조에서는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2.
폭기조에서는 유기물 제거가 일어나고, 혐기조에서는 질산화 및 탈질이 동시에 일어난다.
3.
제거율을 높이가 위해서는 외부탄소원인 메탄올 등을 폭기조에 주입한다.
4.
혐기조에서는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나며, 폭기조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55.
여섯개의 납작한 날개를 가진 터빈임펠러로 탱크의 내용물을 교반하려 한다. 교반은 난류 영역에서 일어나며 임펠러의 직경은 3m이고 깊이 20m, 바닥에서 4m 위에 설치되어 있다. 30rpm으로 임펠러가 회전할 때 소요되는 동력 (kg·m/s)은? (단, P = kρn3D5/gc 식 적용, 소요 동력을 나타내는 계수 k = 3.3)
페놀분석용 시료는 인산을 넣어 pH 4 이하로 조정한 후, 황산구리 (1g/L)를 첨가하여 4°C에서 보관한다.
3.
시안 분석용 시료는 수산화나트륨으로 pH 12 이상으로 하여 4°C 에서 보관한다.
4.
화학적산소요구량 분석용 시료는 황산으로 pH 2 이하로 하여 4°C에서 보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6가크롬은 4℃에서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크롬은 시료처리x [해설작성자 : ff]
62.
BOD측정 시 표준 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산 용액의 적정 BOD값(mg/L)이 아닌 것은?(단,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산을 각 150mg씩 물에 녹여 1000mL로 함)
1.
200
2.
215
3.
230
4.
260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글루코오즈 및 글루탐산 용액으로 측정하여 얻은 BOD 값은 200±30 mg/L 의 범위 안에 있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범위는 170 ~ 230 범위를 벗어난 틀린 답을 고르시면 됩니다. 답은 4번 260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범룡]
63.
0.1mgN/mL 농도의 NH3-N 표준원액을 1L 조제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NH4Cl의 양(mg/L)은? (단,NH4Cl의 MW = 53.5)
1.
227
2.
382
3.
476
4.
591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0.1mg/ml×1L×53.5/14 [해설작성자 : ㄱㅅㅎ]
NH3-N : NH4CI 14 : 53.5 0.1 : x
x = 53.5*0.1 / 14 = 0.382mg/mL * 10^3mL = 382 [해설작성자 : 내가 보려고 적음]
64.
불소 측정시험 시 수증기 증류법으로 전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색도가 30도인 시료
2.
P043-의 농도가 4mg/L인 시료
3.
Al3+의 농도가 2mg/L인 시료
4.
Fe2+의 농도가 7mg/L인 시료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해당 문제의 내용은 공정시험 기준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18년도 당시엔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정시험 기준 중 불소 항목에 "알류미늄 및 철의 방해가 크나 증류하면 영향이 없다." 라는 항목만 있을 뿐 전처리로 배제하는 물질의 명칭과 그 농도에 대한 명시는 되어있지 않습니다. 수험생 여러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보증금]
시료. 중 구리, 아연, 납, 카드뮴, 니켈, 철, 망간, 6가크롬, 코발트 및 은등 측정에 적용되고 이들을 암모니아수로 색을 변화 후 다시 산으로 처리하는 전처리 방법은?
1.
DDTC - MIBK 법
2.
디티존 - MIBK 법
3.
디티존 - 사염화탄소법
4.
APDC - MIBK 법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용매 추출법 중 APDC-MIBK법 시료중 구리,아연,납,카드뮴,니켈,철,망간,6가크롬,코발트,은 측정의 전처리법 *전처리방법 브로모페놀블루에틸알코올용액을 넣고 청색이 지속될때 까지 암모니아수 추가 >다시 무색이 될 때까지 염산첨가(pH 2.3~2.5) 피로리딘다이티오카르바민산암모늄용액(APDC)와 메틸아이소부틸케톤(MIBK)첨가하여 정치한 후 MIBK층을 분석용시료로 사용 [해설작성자 : S]
사업자가 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59조1항2호.환경기술인을 바꾸어 임명하는 경우: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5일 이내 [해설작성자 : kyb]
82.
공공수역에 정당한 사유없이 특정수질유해물질 등을 누출·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 대한 처벌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52%
83.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 )에 맞는 것은?
1.
㉠ 분기 1회 이상, ㉡ 월 1회 이상
2.
㉠ 월 1회 이상, ㉡ 월 2회 이상
3.
㉠ 월 2회 이상, ㉡ 주 1회 이상
4.
㉠ 주 1회 이상, ㉡ 수시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개정 2019. 12.31.>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15]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유지ㆍ관리기준(제71조 관련)의 5의 가에 따르면, 방류수 수질검사는 월 2회 이상 실시하되, 2천 m3 이상인 시설은 주 1회 이상 실시할 것을 명시함. 또한, 생태독성(TU) 검사는 월 1회 이상 실시할 것을 명시함. [해설작성자 : John Doe]
84.
물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1.
폐수라 함은 물에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수질오염물질이 혼입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말한다.
2.
수질오염물질이라 함은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폐수배출시설이라 함은 수질오염물질을 공공수역에 배출하는 시설물·기계·기구·장소 기타 물체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수질오염방지시설이라 함은 폐수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 해설> 청정지역 및 가지역 : 1.5 나 지역 및 특례지역 : 1 [해설작성자 : 헤일리]
86.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2.
오담총량관리사행 대상 유역 현황
3.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4.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계획대상 유역현황은 오염총량 관리계획승인단계 [해설작성자 : 밍쓰]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의 주체, 내용, 방법 및 시한 -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의 내용 및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다음은 배출시설의 설치허가를 받은 자가 배출시설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대한 기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일 500세제곱미터
2.
1일 600세제곱미터
3.
1일 700세제곱미터
4.
1일 800세제곱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88.
폐수수탁처리업에서 사용하는 폐수운반차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청색으로 도색한다.
2.
차량 양쪽 옆면과 뒷면에 폐수운반차량, 회사명, 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용량을 표시하여야 한다.
3.
차량에 표시는 흰색바탕에 황색글씨로 한다.
4.
운송 시 안전을 위한 보호구, 중화제 및 소화기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노란바탕 검은글씨 [해설작성자 : lwj]
89.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골프장 맹·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수시
2.
연 4회
3.
연 2회
4.
연 1회
정답 : [
3
] 정답률 : 70%
90.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상수원 및 물 이용 현황
2.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 대책
3.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대책
4.
폐수배출시설의 설치 제한 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법 제24조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1. 물환경의 변화 추이 및 물환경목표기준 2. 상수원 및 물 이용현황 3.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의 분포현황 4.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양 5.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 대책 6. 물환경 보전조치의 추진방향 7.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대책 8. 그 밖에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 유역환경청장은 대권역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관계 시ㆍ도지사 및 4대강수계법에 따른 관계 수계관리위원회와 협의하여야 한다. 대권역계획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 ④ 유역환경청장은 대권역계획을 수립하였을 때에는 관계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⑤ 유역환경청장은 대권역계획이 수립된 날부터 5년이 지나거나 대권역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변경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도짱]
91.
수질오염 방지시설 중 화화적 처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침전물 개량시설
2.
혼합시설
3.
응집시설
4.
증류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침전물 개량 시설 -> 화학적 처리시설
혼합시설 -> 물리적 처리시설 응집시설 -> 물리적 처리시설 증류시설 -> 물리적 처리시설 [해설작성자 : 홍차사랑]
92.
시·도지사는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을 위하여 환경부령이 정하는 해발고도 이상에 위치한 농경지 중 환경부령이 정하는 경사도 이상의 농경지를 경작하는 자에 대하여 경작방식의 변경, 농약·비료의 사용량 저감, 휴경 등을 권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환경부령이 정하는 해발고도와 경사도 기준은?
1.
400미터, 15퍼센트
2.
400미터, 25퍼센트
3.
600미터, 15퍼센트
4.
600미터, 25퍼센트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랭지 400,1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현장에서 배줄허용기준 또는 방류수수질기준의 초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수질오염물질 항목으로 나열한 것은?
1.
수소이온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부유물질량
2.
수소이온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총인
3.
총유기탄소,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총인
4.
총유기탄소, 생물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부유물질량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 104조 (현장에서 배출허용기준 등의 초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수질오염물질) 1. 수소이온농도 2. 별표 7에 다른 수질자동측정기기로 측정가능한 수질오염물질 -> PH, TOC, SS, T-N, T-P [해설작성자 : 제35조제1항 관련]
수소이온농도 pH, COD, SS, T-N, T-P [해설작성자 : 이젠오]
현장에서 배출허용기준 등의 초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수질오염물질 - pH - TOC - SS - T-N - T-P
최과부과금 산정 시 적용되는 위반횟수별 부과계수에 관한 내용으로 ( )에 맞는 것은?(단,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경우)
1.
㉠ 1.5, ㉡ 1.3
2.
㉠ 1.5, ㉡ 1.5
3.
㉠ 1.8, ㉡ 1.3
4.
㉠ 1.8, ㉡ 1.5
정답 : [
4
] 정답률 : 69%
95.
1일 200톤 이상으로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산업단지에서 설치하여야 할 시설은?
1.
무방류배출시설
2.
완충저류시설
3.
폐수고도처리시설
4.
비점오염저감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0조의3] 완충저류시설의 설치대상 특정수질유해물질이 포함된 폐수를 1일 200톤 이상 배출하는 공업지역 또는 산업단지 [해설작성자 : 도짱]
96.
환경정책기본법령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환경기준 중 하천의 생활환경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등급은 매우 좋음 기준)
1.
수소이온 농도(pH) : 6.5~8.5
2.
용존산소량 DO(mg/L) : 7.5 이상
3.
부유물질량(mg/L) : 25 이하
4.
총인(mg/L) : 0.1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총 인 0.02 이하 [해설작성자 : 퉁퉁이]
T-P 0.02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민]
97.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수립 시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1.
해당 지역 개발계획의 내용
2.
지방자치단체별·수계구간별 오염부하량의 할당
3.
관할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및 저감계획
4.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산정방법과 산정기준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4. 해당 지역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추가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및 그 저감계획 [해설작성자 : 나라님]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 - 해당 지역 개발계획의 내용 - 지방자치단체별·수계구간별 오염부하량의 할당 - 관할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및 저감계획 - 해당 지역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추가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및 그 저감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와 관련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도시의 개발, 산업단지의 조성 등 사업을 하는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간 내에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강우유출수의 오염도가 항상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배출되는 사업장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한강대권역의 완충저류시설에 유입하여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경우 비점오염저감 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 제철시설, 섬유염색시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는 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제53조] 한강대권역의 완충저류시설에 유입하여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경우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도짱]
99.
폐수처리방법이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인 경우 시운전기간 기준은? (단, 가동시작일은 2월 3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