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에틸렌 2.7-36
3.
액체 프로판(C3H8) 10㎏이 들어 있는 용기에 가스 미터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판 가스가 전부 소비되었다고 하면 가스미터에서의 계량 값은 약 몇 m3로 나타나 있겠는가? (단, 가스미터에서의 온도와 압력은 각각 T=15℃와 P1=200mmHg이고 대기압은 0.101㎫이다.)
<문제 해설> 풀 화재 : 석유저장소등의 원통형 탱크에서 탱크 내부 위험물 액면 전체의 화재 플래시 화재 : 누출된 LPG가 순식간에 기화시 기화된 증기가 점화원에 의해 발생된 화재 인푸젼 화재 : 고압의 LPG가 누출시 점화원에 의해 불기둥을 이루는 화재이며 주로 복사열에 의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Ryuhanock]
고압의 LPG가 누출시 점화원에 의해 불기둥을 이루는 화재이며 주로 복사열에 의해 일어나느것은 인푸젼이 아니라 제트화재입니다~ [해설작성자 : 프롬화이팅]
9.
BLEVE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는?
1.
비점 이상에서 저장되어 있는 휘발성이 강한 액체가 누출되었을 때
2.
비점 이상에서 저장되어 있는 휘발성이 약한 액체가 누출되었을 때
3.
비점 이하에서 저장되어 있는 휘발성이 강한 액체가 누출되었을 때
4.
비점 이하에서 저장되어 있는 휘발성이 약한 액체가 누출되었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비점 이상 , 휘발성 강한 액체 [해설작성자 : 꾹이]
BLEBE(비등액체 팽창 증기폭발):가연성 액체 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기상부의 탱크가 국부적으로 가열되면 그 부분이 강도가 약해져 탱크가 파열된다.이때 내부의 액화가스가 급격히 유출 팽창되어 화구(Fire ball)를 형성하여 폭발하는 형태 [해설작성자 : 비상휘강]
10.
메탄올 96g과 아세톤 116g을 함께 진공상태의 용기에 넣고 기화시켜 25℃의 혼합기체를 만들었다. 이때 전압력을 약 몇 mmHg인가? (단, 25℃에서 순수한 메탄올과 아세톤의 증기압 및 분자량은 각각 96.5mmHg, 56mmHg 및 32, 58이다.)
화재는 연소반응이 계속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 반응열이 주위의 가연물에 전해지는데, 이때 흡열량이 큰 물질을 가함으로서 화염 중의 반응열을 제거시켜 연소반응을 완만하게 하면서 정지시키는 소화방법은?
1.
냉각소화
2.
회석소화
3.
화염의 불안점화에 의한 소화
4.
연소일제에 의한 소화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냉각소화 : 연소의 3요소 중 점화원(발화원)을 가연물질의 연소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값 이하로 낮추어 소화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비상휘강]
16.
실제가스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압력이 낮고, 온도가 높을 때
2.
압력이 높고, 온도가 낮을 때
3.
압력과 온도가 낮을 때
4.
압력과 온도가 높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실제 가스가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 압력이 낮고, 온도가 높을 때 [해설작성자 : 조데몽]
17.
용기의 한 개구부로부터 퍼지가스를 가하고 다른 개구부로부터 대기 또는 스크러비로 혼합가스를 용기에서 축출시키는 공정은?
1.
압력퍼지
2.
스위프퍼지
3.
사이폰퍼지
4.
진공퍼지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한쪽에서 ~ 다르쪽에서 ~~ : 스위프 동시에 ~~~ : 사이펀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압력퍼지 : 불활성가스로 용기를 가압한 후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원하는 최소산소농도에 이를 때까지 실시하는 방법 스위프퍼지 : 한쪽으로는 불활성가스를 주입하고 반대쪽에서는 가스를 방출하는 작업을 반동하는 것으로 저장탱크 등에 사용한다. 사이폰퍼지 : 용기에 물을 충만시킨 후 용기로부터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원하는 최소산소농도를 만드는 작업으로 퍼지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진공퍼지 : 용기를 진공시킨 후 불활성가스를 주입시켜 원하는 최소산소농도에 이를 때까지 실시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사동스한]
18.
다음 중 자기연소를 하는 물질로만 나열된 것은?
1.
경유, 프로판
2.
질화면, 셀룰로이드
3.
황산, 나프탈렌
4.
석탄, 플라스틱(FRP)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자기연소 : 제 5류 위험물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19.
소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연성 가스나 가연성 증기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2.
연소 중에 있는 물질에 물이나 냉각제를 뿌려 온도를 낮춘다.
3.
연소 중에 있는 물질에 공기를 많이 공급하여 혼합기체의 농도를 높게 한다.
4.
연소 중에 있는 물질의 표면에 불활성가스를 덮어 씌워 가연성 물질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20.
가연성 물질을 공기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높게 하면 연소속도와 발화온도는 어떻게 되는가?
1.
연소속도는 느리게 되고, 발화온도는 높아진다.
2.
연소속도는 빠르게 되고, 발화온도도 높아진다.
3.
연소속도는 빠르게 되고,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4.
연소속도는 느리게 되고,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2과목 : 가스설비
21.
펌프용 윤활유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인화점이 낮을 것
2.
분해 및 탄화가 안 될 것
3.
온도에 따른 점성의 변화가 없을 것
4.
사용하는 유체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화점이 낮으면 쉽게 불이 붙죠 상식적으로 압축기에 불이나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펌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유수 중에 그 수온의 증기압보다 낮은 부분이 생기면 물이 증발을 일으키고 기포를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베이퍼록 현상
2.
수격 현상
3.
서징 현상
4.
공동 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동현상 : 펌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유수 중에 그 수온의 증기압보다 낮은 부분이 생기면 물이 증발을 일으키고 기포를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전자기]
공동현상 = 캐비테이션 [해설작성자 : 욱이]
23.
용량이 50㎏/h인 LPG용 2단 감압식 1차용 조정기의 입구압력(㎫)의 범위는 얼마인가?
1.
0.07~1.56
2.
0.1~1.56
3.
0.3~1.56
4.
조정압력 이상~1.55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00kg/h 이하 0.1~1.56MPa 100kg/h 초과 0.3~1.56MPa
조정압력 - 57~83kPa [해설작성자 : 고인물]
24.
LP가스 집합공급설비의 배관설계 시 기본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목적에 적합한 기능을 가질 것
2.
사용상 안전할 것
3.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있을 것
4.
가스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것
정답 : [
4
] 정답률 : 91%
25.
가스의 비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중의 크기는 ㎏/cm2로 표시한다.
2.
비중을 정하는 기존 물질로 공기가 이용된다.
3.
가스의 부력은 비중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
4.
비중은 기구의 염구(炎口)의 형에 의해 변화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기체의 비중은 표준상태(STP:0℃, 1기압 상태)의 공기 일정 부피당 질량과 같은 부피의 기체 질량과의 비를 말한다. 기체 비중=기체 분자량(질량)/공기의 평균분자량(29) [해설작성자 : 수성못]
26.
액화석유가스 공급시설에 사용되는 기화기 (Vaporizer)설치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스 조성이 일정하다.
2.
공급 압력이 일정하다.
3.
연속 공급이 가능하다.
4.
한냉시에도 공급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기화기 설치의 장점으로 공급 압력과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사동스한]
2단 감압식 조정기를 사용할 경우, 공급 압력이 일정하다. [해설작성자 : 비상휘강]
27.
왕복형 압축기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쉽게 고압을 얻을 수 있다.
2.
압축효율이 높다.
3.
용량조절의 법위가 넓다.
4.
고속 회전하므로 형태가 작고, 설치면적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형태가 크고, 설치면적이 크다. [해설작성자 : 사동스한]
28.
금속 재료에서 어느 온도 이상에서 일정 하중이 작용할 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그 변형이 증가 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최종 도출압력이 80㎏/cm2·g인 4단 공기압축기의 압축비는 얼마인가? (단, 흡입압력은 1㎏/cm2·a이다.)
1.
2
2.
3
3.
4
4.
5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압축비 = 도출압력/흡입압력 에 1/4승 이면 X = 80/1 에 1/4승 X = 2.99 -> 3 [해설작성자 : Ryuhanock]
a=^n루트P2/P1 ^4루트80+1/1 =3 [해설작성자 : 왕형BIG]
31.
전기방식 중 회생양극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간편하다.
2.
양극의 소모가 거의 없다.
3.
과방식의 염려가 없다.
4.
다른 매설금속에 대한 간섭이 거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양극의 소모가 거의 없다. → 양극은 소모되므로 보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노력과 성공]
희생양극법 전류의 유출에 따라 비금속체가 소모되므로 비금속체의 소모에 따라 5년 또는 10년을 주기로 교환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오감미]
32.
내경 100mm, 길이 400m인 수질관이 유속 2m/s로 물이 흐를 때의 마찰손실수두는 약 몇 m인가? (단, 마찰계수 [λ]는 0.04이다.)
1.
32.7
2.
34.5
3.
40.2
4.
45.3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물이 관로를 꽉 차서 흐를 때, 물과 관로와의 마찰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의 손실을 수두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1=f l/d v2/2g
여기서, h1은 마찰손실수두, f는 마찰손실계수, l은 관의 길이, d는 관의 내경, v는 평균 유속(m/s), g는 중력가속도이다. 곧고 긴 원관 내의 물의 흐름에 대한 두 단면 간에 생기는 마찰손실수두(h1)는 관의 길이(l), 유속의 제곱, 마찰손실계수에 비례하고, 관의 내경(d)에 반비례한다. 이를 달시의 공식(Darcy-Weisbach)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찰손실수두 [摩擦損失水頭, friction loss of head] (물백과사전) [해설작성자 : 세콩]
<문제 해설> 내압시험 - 상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유지시간은 5~20분으로 한다. 기밀시험 - 상용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며, 0.7MPa을 초과하는 경우 0.7MPa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고인물]
57.
도시가스 품질검사의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사방법은 한국산업표준계서 정한 시험방법에 따른다.
2.
품질검사기관으로부터 불합격 판정을 통보받은 자는 보관 중인 도시가스에 대하여 폐기조치를 한다.
3.
일반도시가스사업자가 도시가스제조사업소에서 제조한 도시가스에 대해서 1회 이상 품질 검사를 실시한다.
4.
도시가스충전사업자가 도시가스충전사업소의 도시가스에 대해서 분기별 1회 이상 품질검사를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법 제25조의2제1항에 따른 품질검사결과의 처리 품질검사기관으로부터 불합격 판정을 통보받은 자는 보관 중인 도시가스에 대하여 품질보정 등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낭인]
58.
도시가스사용시설에 설치하는 중간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사용시설에는 연소기 기기에 대하여 퓨즈콕 등을 설치한다.
2.
2개 이상의 실로 분기되는 경우에는 각 실의 주배관마다 배관용밸브를 설치한다.
3.
중간밸브 및 퓨즈콕 등은 당해 가스사용 시설의 사용압력 및 유량이 적합한 것으로 한다.
4.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배관이 대하여 배관용밸브를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배관에 대하여 배관용밸브를 설치한다.(X)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에는 주배관에 대하여 배관용밸브를 설치한다.(O) [해설작성자 : HSK]
59.
고압가스의 분출 또는 누출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과잉 충전
2.
안전밸브의 작동
3.
용기에서 용기밸브의 이탈
4.
용기에 부속된 압력계의 파열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과잉충전은 폭발의 원인이지 누출의 원인은 아닙니다 답 1번 [해설작성자 : 가산기민재]
60.
가스냉난방기에 설치하는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가스압력스위치
2.
공기압력스위치
3.
고온재생기 과열방지장치
4.
급수조절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경보장치] - 가스 냉난방기에 구비한다. (장시간 사용에도 성능이 유지될 것)
1. 동결방지장치 2. 가스 압력스위치 3. 공기 압력스위치 4. 고온재생기 과열 방지장치 5. 고온재생기 과압 방지장치 6. 냉수 흐름스위치 또는 인터로크 7. 냉각수 흐름 스위치 또는 인터로크 [해설작성자 : 고인물]
61.
차압식 유량계로 차압을 취출하는 방법 등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인 것은?
1.
코너탭
2.
축류탭
3.
D·0/2탭
4.
플랜지탭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플랜지탭(flange tap):교축기구 25.4mm 전후 거리로 75mm 이하의 관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비상휘강]
62.
목표차가 미리 정해진 시간적 순서에 따라 변할 경우의 추치 제어 방법의 하나로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온도제어 등에 사용되는 제어방법은?
1.
정격치제어
2.
비율제어
3.
추종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추치제어:목표 값을 측정하면서 제어량을 목표값에 일치하도록 맞추는 방식으로 변화모양을 예측할 수 없다. - 비율제어 : 목표 값이 다른 양과 일정한 비율관계에 변화되는 제어 - 추종제어 : 목표 값이 시간적으로 변화되는 제어로 자기조성제어라고 한다. - 프로그램 제어 : 목표 값이 미리 정한 시간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 [해설작성자 : 미정프로그램]
6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식은?
1.
플로트식 액면계
2.
차압식 액면계
3.
정전용량식 액면계
4.
퍼지식 액면계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로트식 액면계(부자식 액면계) 탱크 내부의 액체에 뜨는 물체를 넣어 액면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플로트의 위치를 직접 확인하여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미정프로그램]
<문제 해설> 헴펠(Hemfal)법에 의한 가스분석 시 성분 분석의 순서 이산화탄소(CO) → 탄소·수소(CmHn) → 산소(O2) → 일산화탄소(CO) [해설작성자 : 추터]
76.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연속분석이 가능하다.
2.
여러 가지 가스 성분이 섞여 있는 시료가스 분석에 적당하다.
3.
분리능력과 선택성이 우수하다.
4.
적외선 가스분석계에 비해 응답속도가 느리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특징] 1. 여러종류 가스분석이 가능한 대신, 동일가스 연속측정 불가 2. 응답속도가 늦으나 분리능력이 좋아, 미량성분 분석가능 3. 선택성이 좋고 고감도로 측정 ※ 캐리어가스의 종류 : 수소, 헬륨, 아르곤, 질소 [해설작성자 : 고인물]
77.
다음 단위 중 유량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m3/s
2.
ft 3 /h
3.
L/s
4.
m2/min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단위시간(h,min,s)당 통과하는 유체의 양(m3,ft3,L) [해설작성자 : 추터]
78.
용적식(容積式) 유량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오리피스식
2.
루트식
3.
벤투리식
4.
피토관식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량계의 구분] 용적식 : 루트식,오벌기어식,로터리 피스톤식,로터리 베인식,습식 가스미터,막식 가스미터 등 간접식 : 차압식,유속식,면적식,전자식,와류식 등 [해설작성자 : 용루]
79.
다음 중 계측기기의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편위법
2.
영위법
3.
대칭법
4.
보상법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보치영편 보상 치환 영위 편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편위법 : 부르동관 압력계와 같이 픅정량과 관계있는 다른 양으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도는 낮지만 측정이 간단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 평행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천칭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해당 보상법 : 측정량과 거의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양을 준비하여 측정량과 그 미리 알고 있는 양의 차이로써 측정량을 알아내는 방법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 있는 다른 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해당 [해설작성자 : 막시감]
80.
기준 가스미터의 지시량이 380m3/h이고, 시험대 상인 가스미터의 유량이 400m3/h이라면 이 가스미터의 오차율은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