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번 수분무식 2번 증기발생식 4번 증발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덕트 병용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열부하가 큰 실에 대해서도 열부하의 대부분을 수배관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덕트 치수가 적게 된다.
2.
각 실 부하 변동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3.
각 유닛의 수동제어가 가능하다.
4.
청정구역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덕트 병용 팬코일 유닛 방식은 중-소 규모 건물이나 호텔등에 이용되고 있다. (패키지 공조기로 냉-온풍을 만들어서 덕트를 통해 각 실로 송풍한다.) [해설작성자 : :)]
덕트 병용 팬코일 유닛방식 팬코일유닛만으로는 외기인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 단일덕트방식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공기방식에 비해 풍량이 작아지므로 덕트 및 열운반동력이 작아지나 다량의 외기를 송풍하기 곤란하므로 실내공기오염의 우려가 있어 청정지역에 사용하기 곤란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콜드 드래프트" 라 하면 창가에서 차가운 냉기가 흘러들어오는 현상을 말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냉방부하 종류 중 현열로만 이루어진 부하는?
1.
조명에서의 발생 열
2.
인체에서의 발생 열
3.
문틈에서의 틈새 바람
4.
실내기구에서의 발생 열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이런 유형의 문제는수분을 생각하면 쉽게 풀림 1. 조명은 수분이 존재 하지 않음 2. 인체 수분 존재 3. 툼새바람 (외기 공기 수분포함) 3. 실내기구 (냉장고, 세탁기 수분포함)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10.
다음 중 필터의 모양은 패널형, 지그재그형, 바이패스형 등이 있으며, 유해가스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은?
1.
건식 여과기
2.
점성식 여과기
3.
전자식 여과기
4.
활성탄 여과기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유해가스는 활성탄...색도 및 SS 제거도 가능.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11.
덕트의 분기점에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댐퍼는 어느 것인가?
1.
방화 댐퍼
2.
스플릿 댐퍼
3.
볼륨 댐퍼
4.
터닝 베인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스플릿댐퍼 덕트의 분기점에 설치하여 풍량의 분배를 하는데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2년 구민사 297페이지 풍량조절 댐퍼(VD: volume damper) 주 덕트의 주요 분기점, 송풍기 출구특에 설치되며 날개의 열림 정도에 따라 풍량조절, 폐쇄역할을 한다. 2,3번 둘다 정답입니다 수정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순바페]
[오류신고 반론] 에듀강에 2번이래여 [해설작성자 : 히]
[오류신고 반론] 볼륨댐퍼 -> 덕트 도중 풍량조절 스플릿댐퍼 -> 덕트 분기점 풍량조절
12.
다음 중 천장형으로서 취출기류의 확산성이 가장 큰 취출구는?
1.
펑커루버
2.
아네모스탯
3.
에어커튼
4.
고정날개 그릴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네모스탯 여러개의 원형 또는 각형의 콘을 덕트 개구단에 설치하고 천장 부근의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취출기류를 충분하게 확산시키는 우수한 성능의 취출구로 확산반경이 크고 도달거리가 짧아 천장취출구로 가장 많이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실내 냉난방 부하 계산에 관한 내용으로 설명이 부적당한 것은?
1.
열부하 구성 요소 중 실내 부하는 유리면 부하, 구조체 부하, 틈새바람 부하, 내부 칸막이 부하 및 실내 발열부하로 구성된다.
2.
열부하 계산의 목적은 실내 부하의 상태, 덕트나 배관의 크기 등을 구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3.
최대 난방 부하란 실내에서 발생되는 부하가 1일 중 가장 크게 되는 시각의 부하로서 저녁에 발생한다.
4.
냉방 부하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름철 실내 공기를 냉각, 감습시켜 제거하여야 할 열량을 의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최대 난방 부하란 실내에서 발생되는 부하가 1일 중 가장 크게 되는 시각의 부하로서 새벽(오전)에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14.
지하철 터널 환기의 열부하에 대한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차주행에 의한 발열
2.
열차 제동 발생 열량
3.
보조기기에 의한 발열
4.
열차 냉방기에 의한 발열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터널에서 열차는 별도의 제동을 하지 않고 계속 달린다고 생각하면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실내온도가 25℃이고, 실내 절대습도가 0.0165kg/kg의 조건에서 틈새바람에 의한 침입 외기량이 200L/s일때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는? (단, 실외온도 35℃, 실외 절대습도 0.0321kg/kg, 공기의 비열 1.01kJ/kg·K, 물의 증발잠열 2501kJ/kg이다.)
[오류신고 반론] 0.29을 곱해주는게 아니라 공기의 비열인 0.24를 곱해주는게 맞음 0.29 곱해주면 답이 1번이 아니라 2번이 됨 [해설작성자 : 취직]
2과목 : 냉동공학
21.
냉동장치 내의 불응축 가스가 혼입되었을 때 냉동장치의 운전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교환 작용을 방해하므로 응축압력이 낮게 된다.
2.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3.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4.
실린더가 과열되고 윤활유가 열화 및 탄화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방해로 인한 응축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플래시 가스(flash gas)는 무엇을 말하는가?
1.
냉매 조절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즉시 증발하여 기화하는 냉매이다.
2.
압축기로부터 응축기에 새로 들어오는 냉매이다.
3.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기화하는 새로운 냉매이다.
4.
압축기에서 응축기에 들어오자 마자 응축하는 냉매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플래시 가스란 증발기가 아닌 곳에서 증발이 일어난 가스로서 냉매 조절 오리피스를 통과할때 냉매가 즉시 증발하여 기화된 냉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몰리에르 선도 상에서 건조도(x)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몰리에르 선도의 포화액선상 건조도는 1이다.
2.
액체 70%, 증기 30%인 냉매의 건조도는 0.7이다.
3.
건조도는 습포화증기 구역 내에서만 존재한다.
4.
건조도라 함은 과열증기 중 증기에 대한 포화액체의 양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24.
액분리기(Accumulator)에서 분리된 냉매의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1.
가열시켜 액을 증발 후 응축기로 순환시키는 방법
2.
증발기로 재순환시키는 방법
3.
가열시켜 액을 증발 후 압축기로 순환시키는 방법
4.
고압측 수액기로 회수하는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액분리기에서 분리된 냉매액을 증발기로 순환시키는 방법 열교환 후 미증발냉매액을 증발후 압축기로 순환시키는 방법 자동액회수장치를 사용하여 고압측 수액기로 회수시키는 방법 중력작용으로 저압수액기로 냉매를 회수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팽창밸브 개도가 냉동 부하에 비하여 너무 작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떤 냉동기로 1시간당 얼음 1ton을 제조하는데 50PS의 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때 사용하는 물의 온도는 10℃이며 얼음은 -10℃이었다. 이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단, 융해열은 335kJ/kg이고, 물의 비열은 4.2kJ/kg·K,얼음의 비열은 2.09kJ/kg·K이다.)
1.
2.0
2.
3.0
3.
4.0
4.
5.0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0 -> 0 -> 0 -> -10 물 물 얼음 얼음 1) 2) 3) 1) 1000*4.2*(10-0) = 42,000 2) 1000*335 = 335,000 3) 1000*2.09*(0-(-10))=20900 = 397,900
397,900/((50*632)*4.2) = 3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31.
왕복동식과 비교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흡입밸브나 토출밸브가 있어 압축효율이 낮다.
2.
토크 변동이 적다.
3.
압축실 사이의 작동가스의 누설일 적다.
4.
부품수가 적고 고효율 저소음, 저진동, 고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스크롤압축기는 흡입밸브나 토출밸브가 없어 압축효율이 높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32.
이상 기체를 정압하에서 가열하면 체적과 온도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체적증가, 온도상승
2.
체적일정, 온도일정
3.
체적증가, 온도일정
4.
체적일정, 온도상승
정답 : [
1
] 정답률 : 78%
33.
다음의 몰리에르 선도는 어떤 냉동장치를 나타낸 것인가?
1.
1단압축 1단팽창 냉동시스템
2.
1단압축 2단팽창 냉동시스템
3.
2단압축 1단팽창 냉동시스템
4.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시스템
정답 : [
4
] 정답률 : 84%
34.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증발온도를 상승시키면 어떤 결과가 나타는가?
1.
냉동효과 증가
2.
압축비 증가
3.
압축일량 증가
4.
토출가스 온도 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증발온도 상승 시 압축비감소 토출가스 온도 강하 냉동효과 증대 성능계수 증가 비체적 감소로이하 냉매순환량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30℃의 공기가 체적 1m3의 용기에 게이지 압력 5kg/cm2의 상태로 들어 있다. 용기 내에 있는 공기의 무게?
1.
약 2.6kg
2.
약 6.8kg
3.
약 69kg
4.
약 298kg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상기체 방적식 적용 (절대압력, 절대온도 적용) PV = nRT = (W/M)RT W = MPV/RT W = (29*(5+1)kg/cm^2*1m^3*100^2cm^2/m^2)/(848kg.m/kg.k*303k) = 6.77 (6.8)kg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PV=MRT 게이지압력이라 절대압력으로 하면 1+5 부피는 CM^2 이 M^2 되야하므로 10000곱해야됨 온도도 절대 온도30+273 6*1*100^2=M*29.27*303 M=6.76 [해설작성자 : 경기과기대 공조냉동재학생]
36.
몰리에르 선도 상에서 압력이 증대함에 따라 포화액선과 건조포화 증기선이 만나는 일치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한계점
2.
임계점
3.
상사점
4.
비등점
정답 : [
2
] 정답률 : 87%
37.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냉식응축기와 공랭식응축기의 작용을 혼합한 형이다.
2.
외형과 설치면적이 작으며 값이 비싸다.
3.
겨울철에는 공랭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연간운전에 특히 우수하다.
4.
냉매가 흐르는 관에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시키고 송풍기로 공기를 보낸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설치면적이 크다 [해설작성자 : 부부바]
38.
브라인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상 변화가 잘 일어나서는 안 된다.
2.
응고점이 낮아야 한다.
3.
비열이 적어야 한다.
4.
열전도율이 커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열이 커야한다 [해설작성자 : ㅂㅂㅂ]
• 열용량이 클 것( 비열이 클 것) • 전열이 양호할 것 • 점성이 적을 것, 응고점이 낮을 것 •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을 것 • 누설하여도 냉장품에 손상을 주지 않을 것 • 가격이 싸고 구입과 취급이 용이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소형 냉동공조장치의 냉매유량 제어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에 따라 과열도가 증가시 밸브가 열리고 과열도가 감소 시 밸브가 닫혀 냉매유량을 제어하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배관일반
41.
열팽창에 의한 배관의 신축이 방열기에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열기 주위의 배관은 다음 중 어느 방법으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슬리브형 신축 이음
2.
신축 곡관 이음
3.
스위블 이음
4.
벨로우즈형 신축 이음
정답 : [
3
] 정답률 : 66%
42.
급수 배관을 시공할 때 일반적인 사항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급수관에서 상향 급수는 선단 상향구배로 한다.
2.
급수관에서 하향 급수는 선단 하향구배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평으로 유지한다.
3.
급수관 최하부에 배수 밸브를 장치하면 공기빼기를 장치할 필요가 없다.
4.
수격작용 방지를 위해 수전 부근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급수관 최하부에 배수 밸브를 장치하고 공기가 찰 거 같으면 공기빼기를 장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공조공조해]
43.
100A 강관을 B호칭으로 표시하면 얼마인가?
1.
4B
2.
10B
3.
16B
4.
20B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1B(inch)=24A 100A는 4B [해설작성자 : 팔봉K]
1" = 25.4 [해설작성자 : 갓조냉동]
44.
주철관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일 크다.
2.
내식성, 내열성이 있다.
3.
다른 배관재에 비하여 열팽창계수가 크다.
4.
소음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옥내배수용으로 적합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충격에 약하다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책에 보면 열평창계수가 적다고 나와있습니다 1,3 번 중복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농번기]
엔플북스 기준 3번 그대로 열팽창계수가 크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중복답안으로 1,3
[추가 해설] 구민사 1,3 중복 정답 [해설작성자 : fresh]
45.
유속 2.4m/s, 유량 15000L/h일 때 관경을 구하면 몇 mm인가?
1.
42
2.
47
3.
51
4.
53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Q = AV D = √((4*15)/(2.4*3600*3.14)*1000 =47.27mm [해설작성자 : CHOI WON HWANG]
46.
진공환수식 증기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른 방식에 비해 관 지름이 커진다.
2.
주로 중·소규모 난방에 많이 사용된다.
3.
환수관 내 유속의 감소로 응축수 배출이 느리다.
4.
환수관의 진공도는 100~250mmHg 정도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진공환수식 증기난방법 : 1.응축수의 유속이 빠르게 되므로 환수관을 가늘게 할 수 있다. 2 환수관의 기울기를 낮게(1/200~1/300) 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 난방에 적합하다. 3. 배관 및 방열기 내의 공기도 뽑아 낼 수 있으므로 끓기 시작하는 초기부터 증기의 순환이 빠르게 된다 4.리프트 이음을 사용하여 환수를 위쪽 환수관으로 올릴 수도 있으므로 방열기의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47.
송풍기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설치하여 송풍기의 진동이 덕트나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법은?
1.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
2.
캔버스 커넥션(canvas connection)
3.
서브 스테이션(sub station)
4.
하트포드(hartford) 접속법
정답 : [
2
] 정답률 : 79%
48.
다음 중 개방식 팽창탱크 주위의 관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압축공기 공급관
2.
배기관
3.
오버플로우관
4.
안전관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개방형이라 압축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권오폐수]
49.
수직관 가까이에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때 수직관 위로부터 일시에 다량의 물이 흐르게 되면 그 수직관과 수평관의 연결관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생기면서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은?
<문제 해설> 배관재료의 선택 시 고려사항 1. 관의 진동,충격,(외압,내압)에 견딜수 있는가를 고려 2. 유체의 화학전 성질,온도,부식성 고려 3. 관의 용접,접합,굽힘을 고려한다. 4. 관의 중향과 수송조건을 고려한다. [해설작성자 : 홍기훈]
51.
일반적으로 관의 지름이 크고 가끔 분해할 경우 사용되는 파이프 이음은?
1.
플랜지 이음
2.
신축 이음
3.
용접 이음
4.
턱걸이 이음
정답 : [
1
] 정답률 : 84%
5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난방 방식은?
1.
지역 난방
2.
온수 난방
3.
온풍 난방
4.
복사 난방
정답 : [
3
] 정답률 : 79%
53.
배관은 길이가 길어지면 관 자체의 하중, 열에 의한 신축, 유체의 흐름에 발생하는 진동이 배관에 작용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관지지 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서포트(support)
2.
레스트레인트(restraint)
3.
익스팬더(expander)
4.
브레이스(brace)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익스팬더는 확관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다음 중 배관의 부식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기절연을 시킨다.
2.
도금을 한다.
3.
습기와의 접촉을 피한다.
4.
열처리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부식의 방지대책 ⑴ 배관재의 선정(재질의 변화) 부식여유가 있는 고급재질 선정하고 지하매설배관은 강관대신 합성수지계통의 배관을 사용한다. ⑵ 배관 또는 금속표면의 피복 ① 배관, 방식금속 Lining[Ti, Cu-Ni(90~10)] ② 방식에 강한 유기질 Coating(PE, 아스팔트, Tar Epoxy 등의 전기절연물을 사용) ③ 금속표면과 부식환경간에 절연을 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페인트에 의한 도장, 아연도금, 니켈-크롬도금 등을 들수 있다. ⑶ 구조상 적절한 설계 ① 이종금속의 조합을 피하고 동일재질을 사용한다. ② 불필요한 틈새, 요철을 피하고 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설계한다. ⑷ 부식환경의 제거 ① 온수(순환수)온도를 50℃전후로 한 부식제어 : 물의 온도에 의해 심하게 활 성화되기 직전의 온도로 사용 ② 유속제어 : 유속이 너무 빠르면 배관내의 라이닝이나 방식제에 의한 보호피 막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유속은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좋다.(유속을 1.5㎧ 이하로 억제) ③ 용존산소의 신속한 제거 : 회로내를 가급적 가압상태로 유지하고 최고 지점에 자동공기배출 밸브로 유리기체를 제거한다. ⑸ 산소와 금속표면과의 접촉차단 밀폐사이클에서 배관내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킨다.(에어벤트) ⑹ 서로 다른 배관 재질 사용시 절연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제 배관(강관+덕타일배관)을 연결할 경우, 연결부분에 절연가스켓을 설치한다. ⑺ 전기방식방법 ① 양극 방식법 ② 음극 방식법 : 유전양극방식(Mg, Zn, Al), 외부전원방식, 배류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가스배관에 있어서 가스가 누설될 경우 중독 및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조금만 누설되어도 냄새로 충분히 감지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장치는?
1.
부스터설비
2.
정압기
3.
부취설비
4.
가스홀더
정답 : [
3
] 정답률 : 83%
56.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트랩을 설치한다. 배수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가솔린트랩
2.
디스크트랩
3.
하우스트랩
4.
벨트랩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디스크트랩은 평평한 디스크 밸브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에 따라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유량조절밸브의 일종임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7.
건식 진공 환수배관의 증기주관의 적절한 구배는?
1.
1/100~1/150의 선하(先下)구배
2.
1/200~1/300의 선하(先下)구배
3.
1/350~1/400의 선하(先下)구배
4.
1/450~1/500의 선하(先下)구배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진공환수관의 증기주관은 1/200~1/300의 하향구배를 주고 방열기 브랜치관등에서 선단에 트랩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1/50~1/100의 역기울기를 만들고 응축수를 증기주관에 역류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증기 트랩장치에서 벨로즈 트랩을 안전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트랩 입구쪽에 최저 약 몇 m이상을 냉각관으로 해야 하는가?
1.
0.1
2.
0.4
3.
0.8
4.
1.2
정답 : [
4
] 정답률 : 66%
59.
배관 부속 중 분기관을 낼 때 사용하는 것은?
1.
밴드
2.
엘보
3.
티
4.
유니온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관을 도중에 분기 : 티, 와이, 크로스 관의 방향을 바꿀때 : 엘보, 벤드 [해설작성자 : 팔봉K]
60.
도시가스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 가스배관 주위에서 다른 매설물을 설치할 때 적절한 이격거리는?
1.
20㎝ 이상
2.
30㎝ 이상
3.
40㎝ 이상
4.
50㎝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1%
61.
서보기구에서의 제어량은?
1.
유량
2.
위치
3.
주파수
4.
전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서보기구는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변위를 제어량(출력)으로 하고, 목표값(입력)의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한 제어계이다 [해설작성자 : CALC]
62.
유도전동기에서 인가전압은 일정하고 주파수가 수 % 감소할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동기속도가 감소한다.
2.
철손이 약간 증가한다.
3.
누설리액턴스가 증가한다.
4.
역률이 나빠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누설 리액턴스는 감소 [해설작성자 : 도영인대구가야행]
63.
부하 1상의 임피던스가 60+j80Ω인 △결선의 3상 회로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선전류는 몇 A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