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전열파트 관련법칙 제백 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생겨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 '열전온도계'의 원리. 펠티에 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이 흡수 또는 발생되는 현상. 톰슨 효과 : 동일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을 흡수 또는 발생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2.
서로 관계 깊은 것들끼리 짝지은 것이다. 틀린 것은?
1.
유도가열 : 와전류손
2.
형광등 : 스토크 정리
3.
표면가열 : 표피 효과
4.
열전온도계 : 톰슨 효과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열파트 관련법칙 제백 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생겨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 '열전온도계'의 원리. 펠티에 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이 흡수 또는 발생되는 현상. 톰슨 효과 : 동일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을 흡수 또는 발생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3.
금속의 표면 담금질에 가장 적합한 가열은?
1.
적외선 가열
2.
유도 가열
3.
유전 가열
4.
저항 가열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금속 - 유도가열 비금속 - 유전가열 이렇게 외우면 편함 [해설작성자 : 필기과목면제즈]
※적외선가열 1.적외선 전구에 의해 발생하는 복사열을 이용한 가열방법 2.용도 (1)도장등의 표면건조, 섬유공업의 건조, 인쇄잉크의 건조 3.특징 (1)구조와 조작이 간단한다 (2)설비비가 적다 (3)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이 감소하는 수하특성을 이용한 방식이다
※저항가열 1.직접가열:피열물 자체에 60[Hz]의 AC 또는 DC를 인가하여 줄열에 의해 발열시킨다. (1)직접가열 전기로:카보런덤로, 카바이드로, 알유미늄 전해로, 유리 용융로, 흑연화로.(카카-알유흑으로 암기) 2.간접가열:다른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피열물에 전도·대류·복사로 전달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말한다.(전도:열운동에 의한 에너지의 전달, 대류:액채나 기체의 유동, 복사:전자파의 유동) (1)간접가열 전기로:염욕로(발열체:용융염(1300℃)), 크립톨로(발열체:탄화규소(1800℃)) (2)발열체의 종류 ⓐ금속발열체:니크롬 1종(1100℃), 니크롬2종(900℃), 철크롬1종(1200℃), 철크롬2종(1100℃) ⓑ비금속발열체:탄화규소(1400℃, 탄화규소의 경우 합금 발열체보다 약 400℃정도 더 높은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저항값을 낮추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있다. 400℃더 높은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기에 위 간접가열 전기로의 탄화규소 온도에 1800이라고 적혀있다), 규화몰리브덴(1500℃), 흑연관 ⓒ발열체의 구비조건 -내열성, 내식성이 크고 가공이 용이해야 한다. -저항률이 적당해야 한다 -온도계수가 양(+)의 값을 갖는 작은 값일 것. -발열체의 최고온도가 가열온도보다 높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4.
피열물에 직접 통전하여 발생시키는 방식의 전기로는?
1.
직접식 저항로
2.
간접식 저항로
3.
아크로
4.
유도로
정답 : [
1
] 정답률 : 80%
5.
단위 변환이 틀리게 표현된 것은?
1.
1[J]=0.2389×10-3[kcal]
2.
1[kWh]=860[kcal]
3.
1[BTU]=0.252[kcal]
4.
1[kcal]=3968[J]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J]=0.24[cal] 1[cal]=4.2[J] [해설작성자 : 직접 민주주의 ]
1[Kwh]=3.6*10^6[J]=860[Kcal] 3.6*10^2이 아니라 3.6*10^6입니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6.
교류식 전기철도가 직류식 전기철도보다 유리한 점은?
1.
전철용 변전소에 정류장치를 설치한다.
2.
전선의 굵기가 크다.
3.
차내에서 전압의 선택이 가능하다.
4.
변전소간의 간격이 짧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2, 4번의 경우 비용이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기철도에서 전기방식에 의한 분류 1.직류방식:1500[V] (1)교류에 비해 전압이 낮으므로 절연에 유리하다. (2)통신선 유도 장해가 없다. (3)경량, 단거리용으로 사용된다. (5)전압강하 및 전력손실이 크다. (6)발전소에서 따온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하기에 설비비가 비싸다. (7)전식의 위험이 있다(전식이란 외부의 직류전원에 의해서 금속이 이온화하여 용출하는 부식). (8)브러시 및 정류자가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및 유지보수를 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2.교류방식:25000[V] (1)주변압기를 T결선(스코트결선 : 3상 -> 2상)하여 전압불평형을 감소시킨다. (2)속도제어범위가 넓어 고속운전에 적합하다. (3)전식이 발생되지 않는다. (4)계전기로는 거리계전기를 사용한다. (5)차내에서 전압의 선택이 가능하다. (6)교류를 사용하므로 통신선 유도장해가 존재한다. 교류로 인해 발생되는 누설전류를 없애기위해 '흡상 변압기'를 사용한다. (7)인버터 제어방식으로 주회로를 무접점화 할 수 있다. (8)제한된 공간에서 소형,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대출력화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7.
전기철도의 곡선부에서 원심력 때문에 차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외측 레일을 약간 높여준다. 이 내외측의 레일 높이의 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이드 레일
2.
이도
3.
고도
4.
확도
정답 : [
3
] 정답률 : 67%
8.
트랜지스터 정합(Junction) 온도 Tj의 최대 정격값을 75℃, 주위온도 Ta=35℃일 때의 컬렉터 손실 Pc의 최대 정격값을 10W라고 할 때 열저항[℃/W]은?
1.
40
2.
4
3.
2.5
4.
0.2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75-35) / 10 = 4 [해설작성자 : 전기슈나]
9.
단상 유도전동기 중 운전 중에도 전류가 흘러 손실이 발생하여 효율과 역률이 좋지 않고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없는 전동기는?
1.
반발 기동형
2.
콘덴서 기동형
3.
분상 기동형
4.
세이딩 코일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셰이딩코일형의 특징 고정자 부분의 세돌극에 홈을 파고 한쪽 부분에 단락권선(셰이딩 코일)을 설치한다. 이 셰이딩 코일은 고정자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켜 셰이딩 코일쪽에선 자속이 없는 것처럼 만든다. 셰이딩 코일쪽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흘려줘야 하니 손실이 생길 수 밖에 없고 코일 위치를 운전중에 바꿀 순 없으니 회전방향을 바꿀 수 없다. (좀더 제대로 된 해설 있음 남겨주세용) [해설작성자 : 가을선배]
10.
어떤 종이가 반사율 50%, 흡수율 20%이다. 여기에 1200lm의 광속을 비추었을 때 투과 광속은 몇 lm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