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kV 이하의 가공전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이상이어야 하는가?
1.
4
2.
5
3.
6
4.
6.5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따르면 35kV 이하 가공전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레일면상)의 높이는 6.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운행하는 차량과 가공전선 사이에 충분한 안전 거리를 확보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1. 4m :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할 때 2. 5m : 일반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3. 6m :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
사이리스터의 병렬 연결시 발생하는 전류 불평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기(磁氣)적으로 결합된 인덕터를 사용하여 전류 분담을 일정하게 한다.
2.
사이리스터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류 분담을 일정하게 한다.
3.
전류가 많이 흐르는 사이리스터는 내부 저항이 감소한다.
4.
병렬 연결된 사이리스터가 동시에 턴온되기위해서는 점호 펄스의 상승 시간이 빨라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병렬접속시 저압부담의 균등화를 위해 리액터를 사용하거나 저항을 직렬로 연결 [해설작성자 : 강부만]
3상 동기 발전기의 무부하 단자 전압을 계산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E = √3 × (4.44 × f × N × ϕ × K) = √3 × (4.44 × 60 × 83 × 0.3 × 10^-3 x 0.96) = 11.02974388 = 11 f : 주파수 N : 코일수 ϕ : 유효자속 K : 권선계수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승강기 안전과]
10.
2중 농형전동기가 보통 농형전동기에 비해서 다른 점은?
1.
기동전류 및 기동토크가 모두 크다.
2.
기동전류 및 기동토크가 모두 적다.
3.
기동전류는 적고, 기동토크는 크다.
4.
기동전류는 크고, 기동토크는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11.
다음 그림에서 계기 X가 지시하는 것은?
1.
영상전압
2.
역상전압
3.
정상전압
4.
정상전류
정답 : [
1
] 정답률 : 80%
12.
SCR을 완전히 턴온하여 온상태로 된 후, 양극 전류를 감소시키면 양극 전류의 어떤 값에서 SCR은 온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양극 전류는?
LI = NΦ 기자력 F = RΦ = NI where: R = 자기저항 = l/μS where: μ = 투자율 = μs x μ0, l = 길이[m], S = 단면적[m^2] ∴ μ0 = 4π x 10^(-7) 여기서 자속 Φ = NI/R 임을 알 수 있기에, LI = N^2 x I/R 이 되고, L = N^2/R 이 됨. 여기서 R 대신에 l/μS을 대입하면, L = N^2 x μS / l이 됨. 이제 주어진 각 수치를 대입하면, L = 425^2 x 3000 x 4π x 10^(-7) x 0.003 / 0.5 = 4.086[H] 전자 Energy W = 1/2 x L x I^2 = 0.5 x 4.086 x 0.5^2 = 0.511[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8.
단상 교류 위상제어 회로의 입력 전원전압 이 vs=Vmsinθ이고, 전원 vs 양의 반주기 동안 사이리스터 T1을 점호각 α에서 턴온 시키고,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에는 사이리스터 T2를 턴온 시킴으로써 출력전압(v0)의 파형을 얻었다면 단상 교류 위상제어 회로의 출력전압에 대한 실효값은?
1.
2.
3.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에 등록 부탁 드립니다.)
4.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에 등록 부탁 드립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Vm a sin2a 3. -- √1 - -- + --- √2 π 2π
Vm a sin2a 4. -- √1- -- + --- √2 π 2π [해설작성자 : suno]
19.
전동기의 외함과 권선 사이에 절연상태를 점검하고자 한다. 다음 중 필요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접지저항계
2.
전압계
3.
전류계
4.
메거
정답 : [
4
] 정답률 : 91%
20.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무엇으로 제어 하는가?
1.
게이트 전압
2.
게이트 전류
3.
소스 전류
4.
소스 전압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게이트-소스 전압(Vgs)"으로 제어됩니다. 게이트-소스 전압이 증가하면, 채널의 전도성이 증가하여 드레인 전류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게이트-소스 전압이 감소하면 드레인 전류도 감소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OS-FET은 전압 제어 전류 소스(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 VCCS)로 작동하며,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칭 및 증폭 용도로 널리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승강기 안전과]
2과목 : 임의구분
21.
2대의 직류 분권발전기 G1, G2를 병렬 운전시킬 때, G1의 부하 분담을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G1의 계자를 강하게 한다.
2.
G2의 계자를 강하게 한다.
3.
G1, G2의 계자를 똑같이 강하게 한다.
4.
균압선을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22.
반파 정류 회로에서 직류 전압 220V를 얻는데 필요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부하는 순저항이고, 변압기 내의 전압강하는 무시하며, 정류기 내의 전압강하는 50V로 한다.)
<문제 해설> 동기전동기가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률 1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계자전류를 감소시키면 뒤진 역률의 전기자 전류가 증가합니다. 이는 역률이 1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류를 더 많이 흘려보내면 무효전류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승강기 안전과]
31.
엔트런스 캡의 주된 사용 장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저압 인입선 공사시 전선관 공사로 넘어갈 때 전선관의 끝부분
2.
케이블 헤드를 시공할 때 케이블 헤드의 끝 부분
3.
케이블 트레이 끝부분의 마감재
4.
부스 덕트 끝부분의 마감재
정답 : [
1
] 정답률 : 84%
32.
정격출력 20kVA, 정격전압에서의 철손150W, 정격전류에서 동손 200W의 단상변압기에 뒤진 역률 0.8인 어느 부하를 걸었을 경우 효율이 최대라 한다. 이 때 부하율은 약 몇 %인가?
1.
75
2.
87
3.
90
4.
97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대 효율 조건: 동손(Pc) = 철손(Pi) 한편 또 다른 표현으로 철손이 최대 효율시 부하율의 제곱과 동손의 곱과 같다는 식이 있음 Pi = (1/m)^2 x Pc = M^2 x Pc ∴ 1/m = M <- 표현의 차이 최대 효율시 부하율 M = √(Pi/Pc) = (Pi/Pc)^(1/2) = (Pi/Pc)^0.5 = (150/200)^0.5 = √0.75 = 0.866 = 86.6[%] [해설작성자 : 나대로]
33.
정류회로에서 교류 입력 상(phase) 수를 크게 했을 경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모두 증가한다.
2.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모두 감소한다.
3.
맥동 주파수는 증가하고 맥동률은 감소한다.
4.
맥동 주파수는 감소하고 맥동률은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34.
수전단 전압 66kV, 전류 100A, 선로저항 10Ω, 선로 리액턴스 15Ω, 수전단 역률 0.8인 단거리 송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약 몇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