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성 부하에 단상 100V의 전압을 가하면 30A의 전류가 흐르고 1.8kW의 전력을 소비한다고 한다. 이 유도성 부하와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회로의 합성역률을 100%로 하기 위한 용량성 리액턴스는 약 몇 Ω이면 되는가?
1.
2.32
2.
3.24
3.
4.17
4.
5.28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피상전력Pa=VI=100*30=3000[VA] 따라서 지상무효전력은 2400[Var] 필요한 진상무효전력량은 2400인데,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 되어 있으므로 병렬의 소비전력식을 써서 Pr=V^2 / X=2400=100^2 / X X는 4.16 [해설작성자 : 박재형]
무효전력Q=루트3000^2-1800^2 =2400 [해설작성자 : 프리덤]
유도성 부하 <- 지상 역률 피상전력 S = 100 x 30 = 3000[VA] 역률 = 유효전력(P) / 피상전력(S) = 1800 / 3000 = 0.6 = 60% <- 개선전 역률 개선전 역률 cosΘ1 = 0.6, 삼각함수 공식 cos^2Θ + sin^2Θ = 1에 의해, sinΘ1 = 0.8 100%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진상 Capacitor의 용량 Qc = P x (tanΘ1 - tanΘ2) = P x (sinΘ1/cosΘ1 - 0) = 1800 x 0.8 / 0.6 = 2400[VAr] ∴ cosΘ2 = 100% = 1, sinΘ2 = 0
오류는 아니고 박재형님의 문제 해설을 아래와 같이 좀더 명확하고 보기 좋게 수정합니다. 피상전력Pa=VI=100*30=3000[VA] 따라서 지상무효전력(Pr)은 2400[Var] 필요한 진상무효전력량은 2400인데,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 되어 있으므로 병렬의 소비전력식을 써서 Pr=V^2 / X, 2400=100^2 / X X=4.16 [해설작성자 : 김경관]
S:피상전력, P:유효전력, Q:무효전력 S^2 = P^2 + Q^2 --------- ① S = VI = 100*30 = 3000[VA] ------ ㉠ P = 1.8[kW] = 1800[W] ----------- ㉡ Q = V^2 / Xc = 100^2/Xc[Var] ---- ㉢
㉠,㉡,㉢을 식①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00 * 30)^2 = 1800^2 + (100^2/Xc)^2 ---- ②
식 ②을 공학용 계산기에 입력하고 SOLVE 기능을 이용하여 답을 얻는다. Xc=4.166666667 [해설작성자 : 김경관]
S:피상전력, P:유효전력, Q:무효전력 S2=P2+ Q2--------------------- ① S=VI=100×30[VA] ---------------- ㉠ P=1.8[kW]=1800[kW] -------------- ㉡ Q=VIsin?=V2/Xc=1002/Xc[Var] --- ㉢ ㉠,㉡,㉢을 식 ①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다. (100×30)2=18002+ (1002/Xc)2---- ②
식 ②을 공학용 계산기에 입력하고 SOLVE 기능을 이용하여 답을 얻는다. Xc≒4.166666667[Ω] [해설작성자 : 김경관]
2.
그림과 같은 병렬회로에서 저항 r=3Ω, 유도 리액턴스 X=4Ω이다. 이 회로 a-b간의 역률은?
환상 솔레노이드 중심선의 자계 세기 H는 H = μ0 X N X I / (2π X r) H: 자계 세기 (AT/m) ( μ0 : 진공의 투자율 (4π × 10^(-7) [H/m]) ☞ 생략, N : 권수, I : 전류 [A], r : 환상 솔레노이드 중심선의 반지름 [m] ) H = N X I / (2π X r) = 1000 X 0.02 A / (2π X 0.05 m) = 63.66 = 63.7 [AT/m]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동부산님 해설 중 투자율은 생략되는게 아니라 원래 자계세기 구할때 없습니다. 자속밀도 구하는 것과 헷깔리신 것 같습니다.
H = NI/2파이R B = 투자율XH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그림의 회로에서 5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 (A)는? (단, 각각의 전원은 이상적인 것으로 본다.)
<문제 해설> 콘덴서가 병렬일 때에는 두 콘덴서의 용량을 서로 더해줍니다. (직렬 연결일 때는 3번처럼 해주면 되겠네요^^) TMI살짝 더하자면 인덕터는 콘덴서와 직병렬 용량 구하는 방법이 반대하는 점^^ [해설작성자 :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10기 스웩]
9.
이상 변압기를 포함하는 그림과 같은 회로의 4단자 정수 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보기 nZ가 아니라 Z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변압기가 1:N이므로 nZ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3번에 A와 D가 바뀐거 같습니다 [n nZ] [0 1/n]
10.
다음 그림에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VL은 몇 V 인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V_L = L di/dt 이상전류원이 12sin pi/6t의 전류를 흘려주므로, 동일 전류가 폐회로에 흐르고 이것의 시간에 대한 미분치는 12* pi/6 cos pi/6 t가 되고 L이 3H이므로 결국 V L = 3 * 12 * pi /6 cos (pi/6)t 즉 V_L= 6pi cos (pi/6)t
* 참고로 전류원은 12sin pi/6이 아니라 12sin(pi/6)t가 되어야 함. t가 없으면 시변요소가 없으므로 결국 저건 직류전원이고 인덕터는 의미없어짐.
[해설작성자 : 서현 아빠님.]
11.
회로에 접속된 콘덴서(C)와 코일(L)에서 실제적으로 급격하게 변할 수 없는 것은?
1.
코일(L): 전압, 콘덴서(C) : 전류
2.
코일(L): 전류, 콘덴서(C) : 전압
3.
코일(L), 콘덴서(C) : 전류
4.
코일(L), 콘덴서(C) : 전압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코일(L) : 전류 ☞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할 수 없습니다. 만약 코일의 전류가 급격하게 변한다면, 자기장도 급격하게 변해야 하며, 이는 무한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2. 콘덴서(C) : 전압 ☞ 콘덴서는 전압에 반응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지만, 전류의 변화 속도는 제한됩니다. 만약 콘덴서의 전압이 급격하게 변한다면, 무한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실제로 발생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12.
많은 입력선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일 출력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회로는?
1.
인코드
2.
디코드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단일입력 많은출력 디멀티플렉서 많은입력 단일출력 멀티플렉서 두입력 많은 출력 : 디멀티 많은입력 두 출력 : 멀티 [해설작성자 : 하다보면]
1. 인코드 : 데이터를 다른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 2. 디코드 : 인코드된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로 변환하는 회로 3. 멀티플렉서 : 여러 개의 입력 데이터를 하나의 출력 데이터로 결합하는 회로 4. 디멀티플렉서 : 하나의 입력 데이터를 여러 개의 출력 데이터로 분할하는 회로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13.
전계내의 임의의 한 점에 단위 전하 +1C을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위
2.
전위차
3.
전속밀도
4.
전계의 세기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① 전위 : 전기장 내의 임의의 한 점에서 기준점까지의 전위차를 나타냅니다. 전위는 전계의 세기와 거리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② 전위차 : 두 점 사이의 전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전위차는 두 점 사이의 전계의 세기의 적분으로 계산됩니다. ③ 전속밀도 : 단위 면적당 흐르는 전속의 양을 나타냅니다. 전속밀도는 전기장의 세기와 유전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④ 전계의 세기 : 임의의 한 점에 단위 전하를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입니다. 전계의 세기는 전하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량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14.
유도 기전력에 관한 렌츠의 법칙을 맞게 설명한 것은?
1.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자기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2.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3.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코일을 지나는 자속의 매초 변화량과 코일의 권수에 비례한다.
4.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역방향으로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렌츠의 법칙은 패러데이 법칙의 보다 정확한 설명으로,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는 원리를 제시합니다. 즉, 자속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은 자속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렌츠의 법칙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해하고, 변압기, 전동기, 발전기 등 다양한 전기 기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렌츠의 법칙 공식 ε = -N dΦ/dt ( ε : 유도 기전력, N : 코일의 권수, Φ : 코일을 지나는 자속, t : 시간 )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15.
C1=1㎌, C2=2㎌, C3=3㎌인 3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접속하여 500V의 전압을 가할 때 C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약 몇 V인가?
<문제 해설> 1.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묶은 것이 C', 세로로 긴 직사각형이 A'가 됩니다. 2. 네 귀퉁이로 인접한 4개의 사각형이 B'D'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자기인덕턴스가 50mH인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01초 사이에 5A에서 3A로 감소하였다. 이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몇 V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V = -L * DI/DT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50×10'3×((5-3)/0.01) = 10[V] [해설작성자 : 하다보면]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 공식 ε = - L X di / dt ( ε :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 [V], L : 자기인덕턴스 [H], di / dt : 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변화율 [A/s] ) ε = - 50 X 10^-3 H X (3 A - 5 A) / 0.01 s = 10 [V]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진수의 1의 보수 : 0, 1 반전을 시키면 됨 101101 (2)의 1의 보수는 반전을 통하여 010010 (2)가 됨. 다시, 2진수의 2의 보수는 1) 2진수의 1의 보수 즉, 각 digit의 반전 + 1을 통하여 구할 수 있음. 010010 + 1 = 010011 (2)가 되는 것임.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1. 010001 : 1의 보수는 맞지만,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1을 더해야 합니다. 3. 101110 : 1의 보수와 2의 보수를 혼동한 것입니다. 4. 010010 : 1의 보수는 맞지만,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1을 더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19.
동일 정격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1.
역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2.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절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필터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다이오드 병렬 연결시 효과 1. 역방향 전압 변화 없음 : 각 다이오드 역방향 특성 유지 2. 순방향 전류 증가 : 다이오드 개수만큼 전류 경로 확보 3. 절연 효과 변화 없음 : 다이오드 병렬 연결은 절연에 영향 없음 4. 필터 회로 필요성 변화 없음 : 다이오드 병렬 연결은 필터 회로에 영향 없음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0.
아래 그림의 3상 인버터 회로에서 온(On)되어 있는 스위치들이 S1, S6, S2오프(Off)되어 있는 스위치들이 S3, S5, S4라면 전원의 중성점 g와 부하의 중성점 N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부하의 각 상에 공급되는 전압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0%
2과목 : 임의구분
21.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에 필요 없는 것은?
1.
단락시험
2.
반환부하법
3.
무부하시험
4.
저항측정시험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반환부하법:온도상승 시험 [해설작성자 : 열공]
1. 단락시험 : 변압기의 2차측을 단락시킨 후 1차측에 가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Xs)를 계산합니다. 2. 무부하시험 : 변압기의 2차측을 개방시킨 후 1차측에 가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변압기의 무부하 전류(Io)와 무부하 역률(Po)을 계산합니다. 3. 반환부하법 : 변압기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등가회로 작성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4. 저항측정시험 : 변압기의 권선 저항(R1, R2)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등가회로 작성에 필요한 정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Torque = 회전력 = 힘(F) x 반지름(r) = F·r [N·m] 출력(P) = ω·T [N·m/s] ∴ ω[rad/s] = angular velocity = 2πf 분당 회전수[RPM] 을 N 이라고 하면, P = ω·T = 2πf·T = 2π x N/60 x T ∴ f = frequency [Hz] 3000 = 2π x 1500/60 x T T = 60 / π = 19.1 [N·m] = 1.95 [kg·m] ∴ 1 [kg] = 9.806 [N] [해설작성자 : 나대로]
전동기의 토크 공식 T = P / (2πn / 60) ( T : 토크 [kg·m], P : 출력 [kW], n : 회전수 [rpm] ) T = 3000 W / (2π X 1500 rpm / 60) = 19.098 [N·m] X (1 / 9.806) = 1.95 ≒ 2 [kg·m]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간기안전과]
23.
150kVA의 전부하 동손이 2kW, 철손이 1kW일 때 이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전부하의 몇 % 일 때 인가?
1.
50
2.
63
3.
70.7
4.
141.4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2 * 100 = 70.7 [해설작성자 : 재빵이]
변압기는 고정/불변적 손실인 철손과 부하전류의 양에 따라 가변적인 손실인 동손이 같을 때 최대의 효율을 갖는데, 동손은 전류의 제곱 x 저항 입니다. 즉, 문제의 주어진 조건에서 100%의 부하전류를 흘렸을때 동손이 2kW인데, 저항(r)은 고정된 값이므로, 이것을 1kW가 되게 하려면 흘려주게 되는 부하전류를 제곱한 값이 전체 대비 50% 즉 1/2 의 값이어야 합니다. 즉 제곱해서 0.5가 되는 값은 1/√2 = 1/1.414 = 0.707 = 70.7% 의 부하전류가 흐르게 될 때, 동손과 철손이 1kW로 같아지게 되니, 변압기의 최대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대로]
최대의 효율은 철손과 동손이 동일할 때 철손=(1/m)제곱*동손 (1/m)=√(철손/동손) (1/m)=√1/2 그러므로 답은 0.707 70.7% [해설작성자 : 나그네]
24.
전압 스너버(snubber) 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항(R)과 캐패시터(C)로 구성된다.
2.
전력용 반도체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다.
3.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회로로 사용된다.
4.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전류상승률(di/dt)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사이리스터가 오프될 때의 전압 상승률을 억제하며, 첨두 회복 전압의 크기와 소자의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 [해설작성자 : 일지매]
전압 스너버 회로의 기능 1.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dv/dt 및 di/dt를 제한하여 과전압 스파이크로부터 보호 2.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여 소음 감소 및 효율 향상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5.
직류 복권전동기 중에서 무부하 속도와 전부하 속도가 같도록 만들어진 것은?
1.
과복권
2.
부족복권
3.
평복권
4.
차동복권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과복권 : 자기장 강도가 강하여 무부하 속도가 높고 전부하 속도가 낮습니다. 2. 부족복권 : 자기장 강도가 약하여 무부하 속도가 낮고 전부하 속도가 높습니다. 3. 평복권 : 자기장의 강도가 일정하여 무부하 속도와 전부하 속도가 동일합니다. 4. 차동복권 : 자기장 강도가 부하에 따라 변하여 속도 변화가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6.
동기발전기를 병렬 운전할 때 동기검정기(synchro scope)를 사용하여 측정이 가능한 것은?
1.
기전력의 크기
2.
기전력의 파형
3.
기전력의 진폭
4.
기전력의 위상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기전력의 크기 : 간접적으로 측정 가능 (동기 검정기의 눈금을 통해 비교) 2. 기전력의 파형 : 직접 측정 불가, 오실로스코프 등 다른 장치 필요 3. 기전력의 진폭 : 기전력의 크기와 동일 4. 기전력의 위상 : 동기 검정기의 주요 측정 항목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7.
정격출력 P[kW], 역률 0.8, 효율 0.82로 운전하는 3상 유도전동기에 V결선 변압기로 전원을 공급할 때 변압기 1대의 최소 용량은 몇 kVA인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대의 단상 변압기를 사용하여 3상을 공급하는 경우, 그 이용률은 '루트3 / 2' 이다. 단상 변압기의 용량을 P1 이라고 했을 때, 2대의 단상 변압기의 3상의 출력은 '루트3/2 * P1'이 된다. 정격출력 P 를 얻기 위해서는 ..... 'root 3/2*P1* 역률 * 효율' = P 가 되어야 하므로, P1 = 2P / (0.8 * 0.82 * root 3)이 된다. 이는 2대의 단상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용량이므로, 이를 2로 나누면 P1 (1대의변압기의 출력) = P / (0.8 * 0.82 * root 3) 이 된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28.
기동 토크가 큰 특성을 가지는 전동기는?
1.
직류 분권전동기
2.
직류 직권전동기
3.
3상 농형 유도전동기
4.
3상 동기전동기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직류 직권전동기 ■ 장점 1. 강력한 기동 토크를 제공하여 높은 부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저속에서 높은 토크를 유지합니다. 3.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합니다. ■ 단점 1. 고속 영역에서 속도 변동이 큽니다. 2. 속도 제어가 다소 복잡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29.
변류기의 오차를 경감시키는 방법은?
1.
암페어 턴을 감소시킨다.
2.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3.
도자율이 작은 철심을 사용한다.
4.
평균 자로의 길이를 길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철심 단면적 증가 : 철심 포화 감소, 변류기 정확도 향상 2. 2차측 권선 회수 증가 : 2차측 전류 감소, 오차 감소 3. 철심 길이 감소 : 누설 자속 감소, 오차 감소 4. 고도의 자기 재료 사용 : 철심 손실 감소, 오차 감소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30.
서보(servo)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자의 직경이 크다.
2.
교류용과 직류용이 있다.
3.
속응성이 높다.
4.
기동·정지 및 정회전·역회전을 자주 반복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서보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회전자 직경이 작습니다. 2. 작은 회전자는 관성이 작아 빠른 속도 변화에 적합합니다. 3. 높은 출력 밀도를 위해 회전자 직경을 작게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31.
n차 고조파에 대하여 동기 발전기의 단절 계수는? (단, 단절권의 권선피치와 자극 간격과의 비를 β라 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39%
32.
아래 그림과 같은 반파 다이오드 정류기의 상용 입력전압이 vs=Vmsinθ라면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은 얼마인가?
1.
Vm/π
2.
Vm
3.
Vm/2
4.
Vm/√2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이오드에 역전압이 걸리면, 전류는 흐르지 못하므로, R에서의 전압 강하는 없다.(이론상,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고 가정함) 그러므로, 최대 전압 Vm이 걸리게 된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33.
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 보다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2.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 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보다 클 때 벅 컨버터와 같이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비해 낮아진다.
3.
출력전압의 극성은 입력전압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반대 극성으로 나타난다.
4.
벅-부스트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비의 관계에 따르면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인 경우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크기가 같게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벅 - 부스트 컨버터는 '강압/승압' 조절이 가능한 컨버터 이다. Duty 비가 0.5 일 때, '입력전압 = 출력 전압' 이다.
그러므로, 0.5 보다 작으면 출력이 입력보다 낮고 ( 벅, 강압 ), 0.5 보다 커지면 입력 보다 출력이 높아진다. (부스트, 승압)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벅-부스트 컨버터의 승압비율 = D / (1-D) * 100 D : duty rate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34.
60㎐의 전원에 접속된 4극, 3상 유도전동기의 슬립이 0.05일 때의 회전속도[rpm]는?
유도 전동기의 동기 속도 = Ns = 120 x f / p [RPM] where f: frequency [time^-1], p: number of pole 유도 전동기의 Slip = S = 동기 속도(Ns)에서 실제로 회전한 속도(N)를 뺀 값을 Ns로 나눈 값. 즉, 회전 속도 차이와 동기 속도의 비율을 뜻함. S = (Ns - N) / Ns x 100% Slip을 고려한 유도 전동기의 실제 회전 속도 N = Ns x (1 - S) = 120 x 60 / 4 x (1 - 0.05) = 1800 x 0.95 = 1710 [RPM] [해설작성자 : 나대로]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N) N = (120 X f X (1 - s)) / P ( N : 회전속도 [rpm], f : 전원 주파수 [Hz], s : 슬립, P : 극수 ) (120 x 60 x (1 - 0.05)) / 4 = 1710 [rpm] 1. 슬립이 증가할수록 회전속도는 감소합니다. 2.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부하에 따라 변합니다. 3.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35.
포화하고 있지 않은 직류 발전기의 회전수가 1/2로 감소되었을 때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하자면 여자를 속도 변화 전에 비하여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1.5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유기 기전력 e = kΦN [V] where, Φ: magnetic flux [Wb], N: 분당 회전수[RPM], k = PZ / 60a ∴ P: Number(s) of pole(s), Z: Number(s) of Total Conductor(s), a: Number(s) of Parallel Circuit(s)
위 식에 따라, 기전력은 자속과 회전수에 비례하니, 회전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만큼, 자속이 두배가 되게 여자시켜 감쇄분을 상쇄해서 원상태의 값을 유지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나대로]
직류 발전기의 기전력 공식 E = KΦn ( E : 기전력 [V], K : 기계적 상수 [V·s/rad], Φ : 자속 [Wb], n : 회전수 [rpm] ) 1. 회전수가 1/2로 감소하면 기전력도 1/2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Φ 또는 K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2. 포화하지 않은 직류 발전기에서는 자속 Φ가 여자 전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기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여자 전류를 2배 증가시켜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36.
3상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에 Y결선을 채택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상전압이 낮기 때문에 코로나, 열화 등이 적다.
2.
권선의 불균형 및 제3고조파 등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중성점 접지에 의한 이상 전압 방지의 대책이 쉽다.
4.
발전기 출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발전기의 출력은 전압 * 전류 이다. 이는 delta / Y에 관계 없이 'root 3 * V * I'로 동일하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Y결선은 델타결선에 비해 출력이 약 15% 낮습니다. 하지만, Y결선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상전압이 낮기 때문에 코로나, 열화 등이 적다. 2. 권선의 불균형 및 제3고조파 등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중성점 접지에 의한 이상 전압 방지의 대책이 쉽다. 4. 중성선을 이용하여 단상 부하를 공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승강기안전과]
37.
전기설비가 고장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 또는 회로의 노출 도전성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1.
접촉전류
2.
누설전류
3.
스트레스전류
4.
계통의 도전성 전류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모든 전기기기는, 완전 절연이 되지 못할 것이므로, 일부 '누설되는 전류가 발생한다.'
이를 '누설전류'라 부르며 통상 1 mA 이하이면 양호한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38.
동기조상기에 유입되는 여자전류를 정격보다 적게 공급시켜 운전했을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저항부하로 작용한다.
3.
부하의 앞선 전류를 보상한다.
4.
부하의 뒤진 전류를 보상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동기 조상기(同期調相機) = Synchronous Capacitor = Synchronous Phase Modifier : 전력 계통에 있어서 역률(力率)을 개선하기 위하여 쓰는 동기 전동기. 계자 전류를 조정하여 제로(0) 역률의 진상(進相) 또는 지상(遲相) 전류를 사용하면서 보통 부하 없이 운전한다.
: 동기전동기를 무부하로 운전해서 여자전류를 변화시켜 진상 또는 지상 전류를 공급해서 송전 계통의 전압 조정과 역률을 개선
평균 조도 E = FUN / AD [lx or lux] = 광속[lm]/면적[m^2] = 단위 면적당 입사 광속 where, F: 광속[lm], U: 조명률, N: 등기구 개수, A: 면적[m^2], D: 감광보상률 광도(Luminous Intensity) I = 한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속 / 방향각도(steradian) [cd] = [lm] / [sr] 평균 구면 광도 I = 200[cd] = F / 4π에서, 광속 F = 200 x 4π = 2513.3[lm] E = FUN / AD = 2513.3 x 0.5 x 10 / (π x 5^2 x 1.5) = 106.6666667 [lx] [해설작성자 : 나대로]
42.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고압 옥내배선의 시설에 있어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8cm 이상일 것
2.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3.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4㎝ 이상 일 것
4.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할 때에는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5cm 이상 일 것 [해설작성자 : 푸른늑대]]
보기 1번: 전선 상호간의 거리는 8 cm 이상일 것 보기 2번: 지지점간의 거리는 6m, 단 조영재 면을 따라 붙이는 경우 2m 이하 보기 3번: 전선 ⇆ 조영재간의 이격거리 5 cm 이상 보기 4번: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할 때에는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43.
2종 가요전선관을 구부리는 경우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서 관을 시설하고 제거하는 것이 부자유 하거나 또는 점검이 불가능한 경우는 곡률 반지름을 2종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배
2.
6배
3.
8배
4.
12배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자유는 3배 부자유는 표준 시공 6배 [해설작성자 : 푸른늑대]
44.
저압, 고압 및 특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 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이 제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2.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 kVA 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3.
특고압 수전에서 100 kVA 이하의 단상 변압기 3대로 Δ결선하는 경우
4.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 kVA 이하인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델타 결선이 아닌 역기결선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푸른늑대]
45.
소도체 2개로 된 복도체 방식 3상 3선식 송 전선로가 있다 소도체의 지름 2㎝, 간격 36㎝, 등가 선간거리가 120 ㎝인 경우에 복도체 1 km의 인덕턴스는 약 몇 mH/km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