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의 표면에 거품과 얇은 막을 형성하여 유류화재 진압에 뛰어난 소화효과를 갖는 포소화약제는?
1.
수성막포
2.
합성계면활성제포
3.
단백포
4.
알콜형포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막을 형성한답니다 보기에서 막이 들어있는 거는 수성막포가 유일 [해설작성자 : 이거보면지상렬]
18.
소화약제로서의 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첨가제가 아닌 것은?
1.
부동액
2.
침투제
3.
증점제
4.
방식제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첨가제 (부침증강유) - 부동액 : 물의 빙점강하 - 침투제 : 표면장력감소, 침투력 강하 - 증점제 : 점도를 높여 부착력 증가 - 유화제 : 유류의 응집력을 막고 에멀젼 형성 - 강화제 : 물의 밀도를 개선 예)Foam [해설작성자 : firebank]
19.
물이 소화약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약제에 비해 쉽게 구할 수 있다.
2.
비열이 크다.
3.
증발잠열이 크다.
4.
점도가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20.
정전기 발생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1.
상대습도를 높인다.
2.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3.
접지시설을 한다.
4.
가능한 한 부도체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정전기는 습도를 높이고 공기를 이온화 시키고 접지시키고 도체를 사용해서 전기를 흐르게해야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정전기는 전기가 흐르지 못하여 생기는것이기 때문에 부도체를 사용하면 전기가 흐르지 못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슬기로운 수X공고]
2과목 : 소방전기회로
21.
전압계와 전류계를 사용하여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려는 경우의 연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전압계 : 직렬, 전류계 : 병렬
2.
전압계 : 직렬, 전류계 : 직렬
3.
전압계 : 병렬, 전류계 : 병렬
4.
전압계 : 병렬, 전류계 : 직렬
정답 : [
4
] 정답률 : 83%
22.
서보전동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속이며,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다.
2.
급가속 및 급감속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3.
원칙적으로 정역전이 가능해야 한다.
4.
직류용은 없고, 교류용만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서보 전동기는 -빠른 응답과 속도제어의 넓은범위를 가진 제어용 전동기 -전원에 따라 직류 서보모터와 교류 서보모터로 분류 -교류 서보모터의 대부분은 3상 서보모터이다. -정지·시동·역전 등의 동작을 반복가능 [해설작성자 : firebank]
23.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 1개가 개방되었을 때 출력전압은?
1.
출력전압은 0 이다.
2.
입력전압의 1/4크기 이다.
3.
입력전압의 이다.
4.
반파 정류 전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24.
자동제어의 분류에서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정치제어
2.
서보기구
3.
프로세스제어
4.
자동조정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어량에 의한 분류 1.프로세스제어 2.서보 기구 3.자동조정 ※목표값에 의한 분류 : 정치제어,추종제어 [해설작성자 : 신재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인해 8,000제곱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연면적 600m2 미만의 기숙사
2.
연면적 600m2 미만의 숙박시설
3.
연면적 1000m2 미만의 아파트등
4.
교육연구시설 또는 수련시설 내에 있는 합숙소 또는 기숙사로서 연면적 2000m2 미만인 것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연면적 1000m2 미만의 기숙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공하성 책 기준 정답 3번입니다.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 기준 중 아파트는 해당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쌍기사]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
2.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시설로서 종교시설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4.
노유지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파트 제외 [해설작성자 : 합격하즈아]
5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수용인원 산정 방법 중 다음의 청소년시설의 수용인원은 몇 명인가?
1.
55
2.
75
3.
85
4.
105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침대수(2인침대는 곱하기2) + 종사자 [해설작성자 : 아레스]
5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인화성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를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유제의 기준 중 틀린 것은?
1.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에는 그 탱크 용량의 110% 이상으로 할 것
2.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 이상으로 할 것
3.
방유제의 높이는 1m 이상 3m 이하, 두께 0.2m 이상, 지하매설깊이 0.5m 이상으로 할 것
4.
방유제내의 면적은 80000m2이하로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옥외탱크 저장소 방유제 기준 -방유제 용량 .탱크가 1개일 경우 : 탱크용량의 110% 이상 .탱크가 2개 이상 : 최대 탱크의 110% 이상 -최대면적 : 8만제곱미터 이하 -높이 0.5미터 이상 3미터 이하 -최대 탱크수 : 10개 이하 [해설작성자 : firebank]
4. 지하매설깊이 0.5m 이상으로 할 것 ( X ) ⇒ 지하매설깊이 1m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52.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11월 30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400만원 이하의 벌금
2.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2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정ㆍ개정이유 안의 내용입니다.
"화재경계지구"를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설비 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소방특별조사"를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재안전조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산시스템 등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함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50조(벌칙)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제1항에 따른 화재안전조사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제7조(화재안전조사) ① 소방관서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실제 주거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화재예방안전진단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5.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6.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제1호부터 제6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예방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은 화재안전조사를 해야합니다. 같은 법령 제50조에 따라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몽몽]
53.
소방기본법상 명령권자가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소방대장에게 있는 사항은?
1.
소방활동을 할 때에 긴급한 경우에는 이웃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소방업무의 응원 요청할 수 있다.
2.
화재, 재난ㆍ재해, 그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그 관할구역에 사는 사람 또는 그 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3.
수사기관이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어서 이미 피의자를 체포하였거나 증거물을 압수하였을 때에 화재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수사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그 피의자 또는 압수된 증거물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4.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소방대를 현장에 신속하게 출동시켜 화재진압과 인명구조ㆍ구급 등 소방에 필요한 활동을 하게 하여야 한다.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당해 제조소등을 설치하거나 그 위치·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위험물의 품명·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할 수 있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주택의 난방시설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2.
공통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3.
수산용으로 필요한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4.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제조소 등의 설치허가 1. 설치허가자 : 시.도지사 2. 설치허가 제외장소 1). 주택의 난방시설(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은 제외)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2).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농예용.축산용.수산용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의 저장소 3. 제조소 등의 변경신고 :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 [해설작성자 : 오단미]
60.
소방특별조사 결과 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이 화재나 재난·재해 예방을 위하여 보완될 필요가 있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때 관계인에게 그 소방대상물의 개수·이전·제거,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사용패쇄, 공사의 정지 또는 중지, 그 밖의 필요할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
1.
소방서장
2.
소방본부장
3.
소방청장
4.
시·도지사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명령권자 -> 청/ 본/ 서장 [해설작성자 : 나는7급공무원]
61.
누전경보기에 표시등을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 및 기능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전구는 사용전압의 110%인 교류전압을 20시간 연속하여 가하는 경우 단선, 현저한 광속변화, 흑화, 전류의 저하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전구는 2개 이상을 직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다만,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3.
전구에는 적당한 보호카바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발광다이오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
주위의 밝기가 300lx인 장소에서 측정하여 앞면으로부터 1.5m 떨어진 곳에서 켜진 등이 확실히 식별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사용전압의 130% 2.전구는 2개 이상 병렬로 접속 4.3m떨어진 곳에어 쉽게 식별 [해설작성자 : 멀티ff]
62.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지하가 중 터널, 축사 및 지하구는 제외한다.)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인 것
2.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
3.
연면적 3000m2 이상인 것
4.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비상방송설치 대상 1.연면적 3,500제곱미터 이상인것 2.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것 3.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인것 다만, 가스시설 지하구 및 지하가중 터널은 제외 한다. [해설작성자 : firebank]
보기 4번은 비상경보시설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해설작성자 : .소방 합격.]
6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500
2.
600
3.
700
4.
1000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경계구역의 면적은 600제곱미터이하로하고 1변의 길이는 50미터 이하로할것(내부 전체가 보이면 50미터 범위내에서 1000제곱미터 이하) 1경계구역의 높이는 45미터 이하 [해설작성자 : 피곤해]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할것. 다만, 500제곱미터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가능 [해설작성자 : 소방 댕어렵다]
64.
계단통로유도등의 조도시험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5, ㉡ 10, ㉢ 0.5
2.
㉠ 2.5, ㉡ 5, ㉢ 0.5
3.
㉠ 2.0, ㉡ 10, ㉢ 1
4.
㉠ 2.0, ㉡ 5, ㉢ 1
정답 : [
1
] 정답률 : 43%
65.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5
2.
4
3.
3
4.
2
정답 : [
2
] 정답률 : 61%
66.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한다.)
1.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2.
지하가(터널은 제외)로서 연면적 500m2 이상인 것
3.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6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
4.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 또는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터널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30층 이상인 경우 16층 이상의 층 ▶지하층 3층 이상 이고 바닥면적 합 1천m2 이상인 것은 지하 전층 [해설작성자 : firebank]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설치장소별 감지기 적응성 기준 중 회의실, 노래연습실 등 장소에 적응성을 갖는 감지기가 아닌 것은? (단,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이며, 흡연에 의해 연기가 체류하며 환기가 되지 않는 환경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