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온도 15℃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900℃가 되었다면 기체의 부피는 약 몇 배로 팽창되는가?
1.
2.23
2.
4.07
3.
6.45
4.
8.05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샤를의 법칙을 이용해 (273+900) ---------- (273+15)
4.
숯, 코크스가 연소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분무연소
2.
예혼합연소
3.
표면연소
4.
분해연소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숯, 코크스, 목탄, 금속분 [해설작성자 : sodam]
5.
열의 전달 형태가 아닌 것은?
1.
대류
2.
산화
3.
전도
4.
복사
정답 : [
2
] 정답률 : 90%
6.
건축물 화재 시 계단실 내 연기의 수직 이동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0.5~1
2.
1~2
3.
3~5
4.
10~15
정답 : [
3
] 정답률 : 72%
7.
수소의 공기 중 폭발한계는 약 몇 vol% 인가?
1.
12.5~74
2.
4~75
3.
3~12.4
4.
2.5~81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2.5~74 = 일산화탄소 4~75 = 수소 3~12.4 = 에탄 2.5~81 = 아세틸렌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행인]
8.
피난대책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 명료하게 한다.
2.
피난설비는 고정식 설비보다 이동식 설비를 위주로 설치한다.
3.
피난수단은 원시적 방법에 의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2방향 피난통로를 확보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고정식 위주로 해야죠 [해설작성자 : .소방 합격.]
9.
다음 물질 중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석탄
2.
팽창질석
3.
셀룰로이드
4.
퇴비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팽창질석의 경우 소화약제로 사용
10.
액체 위험물 화재 시 물을 방사하게 되면 교란시켜 탱크 밖으로 밀어 올리거나 비산시키는 현상은?
1.
열파(thermal wave)현상
2.
슬롭 오버(slop over)현상
3.
화이어 볼(fire ball)현상
4.
보일오버(boil over)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슬롭오버:끓는 식용유에 물을 넣으면 기름이 확튀는것처럼 화재가난 액체위험물에 물을 방사하면 화재가 커지는 현상 보일오버:기름 표면아래 에멀전이나 수분이 팽창하여 화재 확대되는 현상 (프로스오버:보일오버와 동일하나 화재수반없음) [해설작성자 : roachinese]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구역에 소방본부장의 피난 명령을 위반한 사람
2.
소방활동구역을 대통령으로 정하는 사람외에 출입한 사람
3.
소방자동차의 출동에 지장을 준 자
4.
한국소방안전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번은 100이하 벌금 [해설작성자 : 시진pingping]
[관리자 입니다. 아래와 같이 관련 규정이 개정된 관계로 보기 내용일 일부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9조(화재 등의 통지) ① 화재 현장 또는 구조ㆍ구급이 필요한 사고 현장을 발견한 사람은 그 현장의 상황을 소방본부, 소방서 또는 관계 행정기관에 지체 없이 알려야 한다.
제56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22. 4. 26.> 1. 제19조제1항을 위반하여 화재 또는 구조ㆍ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거짓으로 알린 사람 2. 정당한 사유 없이 제20조제2항을 위반하여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을 소방본부, 소방서 또는 관계 행정기관에 알리지 아니한 관계인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6. 1. 27., 2017. 12. 26., 2020. 6. 9., 2020. 10. 20.> 1. 삭제 <2021. 11. 30.> 2. 삭제 <2021. 11. 30.> 2의2. 제17조의6제5항을 위반하여 한국119청소년단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3. 삭제 <2020. 10. 20.> 3의2. 제21조제3항을 위반하여 소방자동차의 출동에 지장을 준 자 4. 제23조제1항을 위반하여 소방활동구역을 출입한 사람 5. 삭제 <2021. 6. 8.> 6. 제44조의3을 위반하여 한국소방안전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③ 제21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전용구역에 차를 주차하거나 전용구역에의 진입을 가로막는 등의 방해행위를 한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신설 2018. 2. 9., 2020. 10. 20.>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시ㆍ도지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부과ㆍ징수한다. <개정 2018. 2. 9., 2020. 10. 20.> [전문개정 2011. 5. 30.]
48.
수용인원 산정방법 중 침대가 없는 숙박시설로서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종사자의 수는 5명, 복도, 계단 및 화장실의 바닥면적을 제외한 바닥면적이 158m2인 경우의 수용인원은?
1.
84명
2.
58명
3.
45명
4.
37명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용인원 산정법 침대가 없는거 종사자수+바닥면적합계/3
침대가 있는거 종사자수+침대수(2인용은 x2)
강의 휴게 상담 실습 교무 바닥면적합계/1.9
강당 문화집회 종교 운동시설(문화집회와 종교 운동시설은 거의 한세트이므로 문집종운 이렇게 암기) 바닥면적합계/4.6 [해설작성자 : roachinese]
49.
특정소방대상물의 의료시설 중 병원에 해당하는 것은?
1.
마약진료소
2.
장례식장
3.
전염병원
4.
요양병원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대고시기획 기출문제집에는 답이 2번 장례식장(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로서 장례식장이 별도로 구분된다.)인데 뭐가 맞는 건지.... [해설작성자 : 소방]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집회장∙관람장∙백화점∙도매시장∙소매시장∙판매시설∙공장∙창고시설 또는 지하가를 제외한다.)
1.
㉠ 4, ㉡ 6000
2.
㉠ 5, ㉡ 3000
3.
㉠ 4, ㉡ 3000
4.
㉠ 5, ㉡ 6000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4번 아닌가요?
[오류신고 반론] 시대고시 책에는 정답이 1번으로 되어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1.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는 그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할 것. 다만,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층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가. 아파트의 1층 및 2층 나. 소방차의 접근이 가능하고 소방대원이 소방차로부터 각 부분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피난층 다. 송수구가 부설된 옥내소화전을 설치한 특정소방대상물(집회장·관람장·백화점·도매시장·소매시장·판매시설·공장·창고시설 또는 지하가를 제외한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층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하이고 연면적이 6,000m2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상층 (2)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70.
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설계농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HFC-125 : 9%
2.
IG-541 : 50%
3.
FC-3-1-10 : 43%
4.
HCFC-124 : 1%
정답 : [
4
] 정답률 : 52%
71.
상수도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및 밸브 등의 설치순서로 옳은 것은?
1.
수도용계량기-급수차단장치-개폐표시형밸브-체크밸브-압력계-유수검지장치-2개의 시험밸브 순으로 설치
2.
수도용계량기-급수차단장치-개폐표시형밸브-압력계-체크밸브-유수검지장치-2개의 시험밸브 순으로 설치
3.
수도용계량기-개폐표시형밸브-압력계-체크밸브-압력계-개폐표시형밸브 순으로 설치
4.
수도용계량기-개폐표시형밸브-압력계-체크밸브-압력계-개폐표시형밸브-일제개방밸브 순으로 설치
정답 : [
1
] 정답률 : 48%
72.
호스릴포소화설비 또는 포소화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차고∙주차장의 부분이 아닌 것은?(2021년 08월 05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지상 1층으로서 지붕이 없는 부분
2.
완전 개방된 옥상주차장
3.
고가 밑의 주차장으로서 주된 벽이 없고 기둥뿐이거나 주위가 위해방지용 철주 등으로 둘러싸인 부분
4.
지상에서 수동 또는 원격조작에 따라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의 유효면적의 합계가 바닥면적의 10% 이상인 부분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시행 2021. 8. 5.] [소방청고시 제2021-29호, 2021. 8. 5., 일부개정] 제4조(종류 및 적응성) 특정소방대상물에 따라 적응하는 포소화설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 8. 20.> 1. 「소방기본법 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공장 또는 창고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포헤드설비 또는 고정포방출설비,압축공기포소화설비 <개정 2012. 8. 20.><전문개정 2015. 10. 28.> 2. 차고 또는 주차장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포헤드설비 또는 고정포방출설비, 압축공기포소화설비.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차고·주차장의 부분에는 호스릴포소화설비 또는 포소화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12. 8. 20.><전문개정 2015. 10. 28.> 가. 완전 개방된 옥상주차장 또는 고가 밑의 주차장으로서 주된 벽이 없고 기둥뿐이거나 주위가 위해방지용 철주 등으로 둘러쌓인 부분 <개정 2019. 8. 13.> 나. 삭제 <2019. 8. 13.> 다. 지상 1층으로서 지붕이 없는 부분 <개정 2019. 8. 13.> 라. 삭제 <2019. 8. 13.> 3. 항공기격납고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포헤드설비 또는 고정포방출설비, 압축공기포소화설비. 다만,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이고 항공기의 격납위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한정된 장소외의 부분에 대하여는 호스릴포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4. 발전기실, 엔진펌프실, 변압기, 전기케이블실, 유압설비, :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미만의 장소에는 고정식 압축공기포소화설비를 설치 할 수 있다.<신 설 2015. 10. 28.> [해설작성자 : .]
73.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는 차고 또는 주차장의 배수설비,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100분의1이상이 경사를 유지할 것
2.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5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3.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4.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50m 이하마다 집수관∙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번 : 1/100 ->2/100 2번 : 5cm -> 10cm 3번 : 정답 4번 : 50m -> 4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중 수직배수관의 구경은 최소 몇 m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수직배관의 구경이 50mm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1.
40
2.
45
3.
50
4.
60
정답 : [
3
] 정답률 : 53%
75.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포소화설비 자동식 기동장치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고 화재 시 즉시 해당 조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1.
하나의 감지장치 경계구역은 하나의 층이 되도록 할 것
2.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표시온도가 79℃이상 121℃미만인 것을 사용할 것
3.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1개의 경계면적은 20m2 이하로 할 것
4.
부착면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5m 이하로 하고, 화재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는표시온도가 79℃미만인 것을 사용할 것 [해설작성자 : 11]
76.
옥외소화전이 31개 이상 설치된 경우 옥외소화전 몇 개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
2.
5
3.
9
4.
11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0개 이하 : 5m 이내의 장소에 1개 이상 11~30개 : 1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각각 분산하여 설치 31개 이상 : 3개 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설치 [해설작성자 : 외워져라제발]
77.
소화기구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1/2
2.
1/3
3.
1/4
4.
1/5
정답 : [
1
] 정답률 : 67%
7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배관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16.5, ㉡3.75
2.
㉠25, ㉡3.5
3.
㉠16.5, ㉡2.5
4.
㉠25, ㉡3.75
정답 : [
1
] 정답률 : 54%
79.
물분무소화설비의 물분무헤드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닌 것은?
1.
식물원∙수족관∙목욕실∙관람석 부분을 제외한 수영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2.
물에 심하게 반응하는 물질 또는 물과 반응하여 위험한 물질을 생성하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3.
고온의 물질 및 증류범위가 넓어 끓어 넘치는 위험이 있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4.
운전 시에 표면의 온도가 260℃ 이상으로 되는 등 직접 분무를 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