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목재 외팔보에 집중하중 P가 C점에 작용하고 있다. 목재의 허용압축응력을 8MPa, 끝단 B점에서의 허용 압축응력을 8MPa, 끝단 B점에서의 허용처짐량을 23.9mm라고 할 때 허용압축응력과 허용 처짐량을 모두 고려하여 이 목재에 가할 수 있는 집중하중 P의 최대값은 약 몇 kN인가? (단, 목재의 탄성계수는 12GPa, 단면2차모멘트 1022×10-6m4, 단면계수는 4.601×10-3m3이다.)
1.
7.8
2.
8.5
3.
9.2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처짐량 = 모멘트 선도의 면적 * 도심까지 거리 / (단면2차모멘트*탄성계수) 23.9*10^-3 ≥ 0.5*4P*4*(1+4*2/3) / (1022*10^-6 * 12*10^9) ∴P≤9992.4N (1) 굽힘모멘트로 인한 압축응력 압축응력 = M/Z 에서 8*10^6 ≥ 4P/(4.601*10^-3) ∴P≤9202N ∴Pmax = 9.2kN [해설작성자 : Fse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오류 :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목재의 허용압축응력 8MPa', '끝단 B점에서의 허용 처짐량 23.9mm' 두 가지 입니다. '끝단 B점에서의 허용압축응력이 8MPa'라는 조건은 해당 문제에서 없는 조건으로 삭제해야 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끝단 B점에서의 허용응력은 '위을복 저서의 일반기계기사 필기대비' 에 나와있지 않고 끝단의 처짐량만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길이가 ℓ+2a인 균일 단면 봉의 양단에 인장력 P가 작용하고, 양 단에서의 거리가 a인 단면에 Q의 축 하중이 가하여 인장될 때 봉에 일어나는 변형량은 약 몇 cm인가? (단, ℓ=60cm, a=30cm, P=10kN, Q=5kN, 단면적 A=4cm2, 탄성계수는 210GPa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림과 같이 초기온도 20℃, 초기길이 19.95cm, 지름 5cm인 봉을 간격이 20cm 인 두 벽면 사이에 넣고 봉의 온도를 220℃로 가열했을 때 봉에 발생되는 응력은 몇 Mpa인가? (단, 탄성계수 E=210Gpa이고, 균일 단면을 갖는 봉의 선팽창계수 a=1.2×10-5/℃ 이다.)
1.
0
2.
25.2
3.
257
4.
504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열응력 = EadT 이고 응력=E*e, e=변형량/길이 에서 변형량 = adT*L = 1.2*10^-5 * 200 * 19.95 = 0.04788cm 이 변형량은 간격보다 짧기 때문에, 봉이 벽에 닿지 않아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Fsen]
11.
그림과 같이 T형 단면을 갖는 돌출보의 끝에 집중하중 P=4.5 kN이 작용한다. 단면 A-A에서의 최대 전단응력은 약 몇 kPa인가? (단, 보의 단면2차 모멘트는 5313cm4이고, 밑면에서 도심까지의 거리는 125mm이다.)
1.
421
2.
521
3.
662
4.
721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전단응력 = VQ/Ib (b는 도심기준) 에서, V=4.5kN, Q=구하고자 하는 곳에서 위 또는 아래쪽 면적 * 구하고자 하는 곳에서 면적의 도심까지 거리
재료의 거동이 탄성한도로 국한된다고 하더라도 반복하중이 작용하면 재료의 강도가 저하 될 수 있다.
3.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하중을 가할 때와 제거할 때의 경로가 다르게 되는 현상을 히스테리시스라 한다.
4.
일반적으로 크리프는 고온보다 저온상태에서 더 잘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크리프의 예를 들면, 고무줄에 추를 매달면 순간적으로 고무는 늘어나지만 그대로 방치해두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무는 서서히 늘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고분자물질인 플라스틱에서 현저히 나타나지만, 철강과 같은 금속재료 또는 콘크리트 등에서도 일어난다.
금속재료에서는 상온에서는 거의 느낄 수가 없으나, 고온에서는 무시할 수 없다. 고온 ·고하중의 경우에 처음에는 변형이 급속도로 진행하고, 다음에는 변형의 시간적인 변화가 거의 일정해지며, 최후에는 다시 변형이 급속도로 진행하여 파단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LEE K Y]
13.
다음 그림과 같이 집중하중 P를 받고 있는 고정 지지보가 있다. B점에서의 반력의 크기를 구하면 몇 kN인가?
1.
54.2
2.
62.4
3.
70.3
4.
79.0
정답 : [
4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B점에서 처짐이 같다를 이용 -B점에서 집중하중 P (53kN)과 모멘트 M(PxL=53kN x 1.8m)이 작용 이 두힘의 처짐은 PL^3/3EI + ML^2/2EI -반력 Rb 의 처짐은 RbL^3/3EI 따라서 PL^3/3EI + ML^2/2EI = RbL^3/3EI -> 53*5.5^3/3EI + (53*1.8)*5.5^2/2EI = Rb*5.5^3/3EI -> Rb = 79.02 [해설작성자 : 라연]
엔트로피(s) 변화 등과 같은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양들을 압력(P), 비체적(v), 온도(T)와 같은 측정 가능한 상태량으로 나타내는 Maxwell 관계식과 관련하여 다음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2%
28.
다음 4가지 경우에서 ( ) 안의 물질이 보유한 엔트로피가 증가한 경우는?
1.
ⓐ
2.
ⓑ
3.
ⓒ
4.
ⓓ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엔트로피는 가역이면 불변이고, 비가역이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비가역 과정의 예 : 마찰, 혼합, 교축, 열의 이동, 화학반응, 삼투압, 확산, 압축과 팽창
29.
공기압축기에서 입구 공기의 온도와 압력은 각각 27℃, 100kPa이고, 체적유량은 0.01m3/s이다. 출구에서 압력이 400kPa이고, 이 압축기의 등엔트로피 효율이 0.8일 때, 압축기의 소요 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기체상수는 각각 1kJ/(kg·K), 0.287kJ/(kg·K)이고, 비열비는 1.4이다.)
1.
0.9
2.
1.7
3.
2.1
4.
3.8
정답 : [
3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증기터빈 발전소에서 터빈 입구의 증기 엔탈피는 출구의 엔탈피보다 136kJ/kg 높고, 터빈에서의 열손실은 10kJ/kg이다. 증기속도는 터빈 입구에서 10m/s이고, 출구에서 110m/s일 때 이 터빈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일은 약 몇 kJ/kg인가?
1.
10
2.
90
3.
120
4.
140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반 에너지식
Q = W + m(V2^2-V1^2)/2*10^3 + m(h2 - h1) + mg(Z2-Z1)*10^-3 136 = W + (110^2-10^2)/2+10^3 + 10 + 0
W = 120 kJ/kg [해설작성자 : 비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 x가 +로 바뀐 오타가 있고 -10 = w+6-136 으로 하는게 이해 더 잘될거같네요
32.
그림과 같이 온도(T)-엔트로피(S)로 표시된 이상적인 랭킨사이클에서 각 상태의 엔탈피(h)가 다음과 같다면, 이 사이클의 효율은 약 몇 %인가? (단, h1= 30 kJ/kg, h2 = 31 kJ/kg, h3 = 274 kJ/kg, h4 = 668 kJ/kg, h5 = 764 kJ/kg, h6 = 478 kJ/kg이다.)
압력 2Mpa, 온도 300℃의 수증기가 20m/s 속도로 증기터빈으로 들어간다. 터빈 출구에서 수증기 압력이 100kPa, 속도는 증기터빈으로 들어간다. 터빈 출구에서 수증기 압력이 100kPa, 속도는 100m/s이다. 가역단열과정으로 가정 시, 터빈을 통과하는 수증기 1kg 당 출력일은 약 몇 kJ/kg인가? (단, 수증기표로부터 2MPa, 300℃에서 비엔탈피는 3023.5 kJ/kg, 비엔트로피는 6.7663kJ/(kg·K)이고, 출구에서의 비엔탈피 및 비엔트로피는 아래 표와 같다.)
1.
1534
2.
564.3
3.
153.4
4.
764.5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이문제는 건도를 구하면 된다 가역 단열과정이기 때문에 엔트로비피 변화량은 0이므로 6.7663=1.3025+x(7.3593-1.3025) 을 통해 x를 구하면 x=0.9 정도나옴 이걸로 출구의 엔탈피를 구하면 h2=417.44+0.9(2675.46-417.44) 출력일은 h1-h2다 [해설작성자 : 항공대]
정확한 수치가 나오려면 개방계 에너지 방정식에 적용해야됩니다. 즉 속도도 고려해서 계산해야됩니다. 단순히 출력일 h1-h2로 하면 569정도나오고 속도에너지 등등 다 고려하면 564.3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전 압력 2Mpa, 온도 300℃의 수증기가 20m/s 속도로 증기터빈으로 들어간다. 터빈 출구에서 수증기 압력이 100kPa, 속도는 증기터빈으로 들어간다. 터빈 출구에서 수증기 압력이 100kPa, 속도는 100m/s이다. 후 압력 2Mpa, 온도 300℃의 수증기가 20m/s 속도로 증기터빈으로 들어간다. 터빈 출구에서 수증기 압력이 100kPa, 속도는 100m/s이다.
39.
520K의 고온 열원으로 18.4kJ 열량을 받고 273K의 저온 열원에 13kJ의 열량 방출하는 열기관에 대하여 옳은 설명은?
1.
Calusius 적분값은 -0.0122kJ/K이고, 가역과정이다.
2.
Calusius 적분값은 -0.0122kJ/K이고, 비가역과정이다.
3.
Calusius 적분값은 +0.0122kJ/K이고, 가역과정이다.
4.
Calusius 적분값은 +0.0122kJ/K이고, 비가역과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Calusius 적분값
= 1(dQ/T)2 = 18.4/520 - 13/273 = - 0.0122kJ/K
적분값이 0보다 작기 때문에 비가역 과정 [해설작성자 : 비니]
40.
랭킨 사이클에서 25℃, 0.01MPa 압력의 물 1kg을 5MPa 압력의 보일러로 공급한다. 이때 펌프가 가역단열과정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펌프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단, 물의 비체적은 0.001m3/kg이다.)
1.
2.58
2.
4.99
3.
20.10
4.
40.20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w(일)=Vdp 즉 0.001(5×103KJ-0.01×103KJ)= 4.99KJ [해설작성자 : 잇찡]
3과목 : 기계유체역학
41.
지름 0.1mm, 비중 2.3인 작은 모래알이 호수바닥으로 가라앉을 때, 잔잔한 물 속에서 가라앉는 속도는 약 몇 mm/s인가? (단, 물의 점성계수는 1.12×10-3,N s/m2이다.)
1.
6.32
2.
4.96
3.
3.17
4.
2.24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스토크스 법칙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잔잔한 물 속에서 가라앉는 상황이므로 전체합력은 0인 상황입니다. (가속도 없음) 스토크스에 의한 점성력 + 모래알에 작용하는 부력 (=떠오르는 방향 힘) = 모래알의 무게(=가라앉는 방향 힘) 3πμvD + γg = mg 에서 모래의 m은 비중 2.3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모래의 비중이 2.3 이므로, 모래의 밀도는 2300[kg/m3] 즉 2300=모래의 무게/모래의 부피 모래는 구형으로 취급하므로, 구의 부피공식을 이용하여 m(모래의 무게)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3πμvD + γg = mg 에서 미지수는 v 하나만 있으므로 v를 구하면 6.32[m/s]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soucoz]
42.
반지름 R인 파이프 내에 점도 μ인 유체가 완전발달 층류유동으로 흐르고 있다. 길이 L을 흐르는데 압력 손실이 Δp만큼 발생했을 때, 파이프 벽면에서의 평균전단응력은 얼마인가?
안지름이 20cm, 높이가 60cm인 수직 원통형 용기에 밀도 850kg/m3인 액체가 밑면으로부터 50cm 높이만큼 채워져 있다. 원통형 용기와 용기와 액체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할 때, 액체가 넘치기 시작하는 각속도는 약 몇 rpm인가?
1.
134
2.
189
3.
276
4.
392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H=v^2/2g=r^2*ω^2/2g 에서 H:0.2 r:0.1 ω:2πN/60
0.2=0.1^2*ω^2/2*9.8 에서 N을 구하면된다. 고로 N 값은 189.07rpm 대략 189rpm 이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H는 높이를 말하므로 높이차인 0.1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w = 14가 나오고 rpm을 구하게 되면 약134rpm이 나오게 된다 [해설작성자 : ㅎ]
[오류신고 반론] 회전X시 높이 차는 0.1m이지만 회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물의 중앙과 끝의 높이차는 0.2m가 된다. 따라서 H = 0.2m, N = 189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기사어려워요 흑흑]
52.
유체 계측과 관련하여 크게 유체의 국소속도를 측정하는 것과 체적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유체의 국소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는?
1.
벤투리미터
2.
얇은 판 오리피스
3.
열선 속도계
4.
로터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얇은 판 오리피스 정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속도 측정이나 열선 속도계가 맞습니다. 다른거는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티핀]
53.
유체(비중량 10N/m3)가 중량유량 6.28N/s로 지름 40cm인 관을 흐르고 있다. 이 관 내부의 평균 유속은 약 몇 m/s인가?
1.
50.0
2.
5.0
3.
0.2
4.
0.8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중량유량=rAV(비중량*면적*속도)에서 속도=질량유량/비중량*면적 V=6.28/10*(π(0.4)^2/4)=4.9974 대략 5.0
54.
(x,y)좌표계의 비회전 2차원 유동장에서 속도 포텐션(potential)는 ø=2x2y로 주어졌다. 이때 점(3, 2)인 곳에서 속도 벡터는? (단, 속도포텐셜 ø는 ø≡∇ø=gradø로 정의된다.)
1.
24+18
2.
-24+18
3.
12+9
4.
-12+9
정답 : [
1
] 정답률 : 63%
55.
수평면과 60° 기울어진 벽에 지름이 4m인 원형창이 있다. 창의 중심으로부터 5m 높이에 물이 차있을 때 창에 작용하는 합력의 작용점과 원형창의 중심(도심)과의 거리(C)는 약 몇 m인가? (단, 원의 2차 면적 모멘트는 (πR4)/4이고, 여기서 R은 원의 반지름이다.)
1.
0.0866
2.
0.173
3.
0.866
4.
1.73
정답 : [
2
] 정답률 : 45%
56.
연직하방으로 내려가는 물제트에서 높이 10m인 곳에서 속도는 20m/s였다. 높이 5m인 곳에서의 물의 속도는 약 몇 m/s 인가?
공기로 채워진 0.189m3의 오일 드럼통을 사용하여 잠수부가 해저 바닥으로부터 오래된 배의 닻을 끌어올리려 한다. 바닷물 속에서 닻을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은 1780N이고, 공기 중에서 드럼통을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힘은 222N이다. 공기로 채워진 드럼통을 닻에 연결한 후 잠수부가 이 닻을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최소 힘은 약 몇 N 인가? (단, 바닷물의 비중은 1.025이다.)
1.
72.8
2.
83.4
3.
92.5
4.
103.5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힘의 평형문제 드럼통의힘+잠수부의힘(N)=닷의힘 N=닷의힘-드럼통의힘=1780-(0.189*1.025(10^6/10^3)*9.8-222) =103.495 [해설작성자 : 알과카]
(드럼통의 부력)F_B + (잠수부가 들어 올리는 힘)F = (드럼통의 무게)W_D + (닻의 무게)W_닻 (드럼통의 비중량 * 드럼의 체적) + (잠수부가 들어 올리는 힘)F = (드럼통의 무게)W_D + (닻의 무게)W_닻 (물의 비중량 * 바닷물의 비중 * 드럼의 체적) + F = 222[N] + 1780[N] 9800[N/m^3] * 1.025 * 0.189[m^3] + F = 222[N] + 1780[N] (잠수부가 들어 올리는 힘)F = 103.495[N] [해설작성자 : 항우기]
59.
수력기울기선(Hydraulic Grade Line; HGL)이 관보다 아래에 있는 곳에서의 압력은?
1.
완전 진공이다.
2.
대기압보다 낮다.
3.
대기압과 같다.
4.
대기압보다 높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60.
원관 내부의 흐름이 층류 정상 유동일 때 유체의 전단응력 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중심축에서 0이고, 반지름 방향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2.
관 벽에서 0이고, 중심축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3.
단면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포물선 분포를 가진다.
4.
단면적 전체에서 일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원관 층류정상유동 전단응력과 속도 전단응력=관중심에서는 0이고,반지름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속도=관중심에서최대 속도를 나타내며 반름 거리에 따라 포풀선으로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잇찡]
4과목 :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61.
플라스틱 재료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완충성이 크다.
2.
성형성이 우수하다.
3.
자기 윤활성이 풍부하다.
4.
내식성은 낮으나, 내구성이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플라스틱의 내식성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3706]
62.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의 질별 기호 중 T6가 의미하는 것은?
1.
어닐링 한 것
2.
제조한 그대로의 것
3.
용체화 처리 후 인공시효 경화 처리한 것
4.
고온 가공에서 냉각 후 자연 시효 시킨 것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① 어닐링 한 것 - O ② 제조한 그대로의 것 - F ③ 용체화 처리 후 인공시효 경화 처리한 것 - T6 ④ 고온 가공에서 냉각 후 자연 시효 시킨 것 - T1 [해설작성자 : 3706]
63.
주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철은 액상일 때 유동성이 좋다.
2.
주철은 C 와 Si 등이 많을수록 비중이 커진다.
3.
주철은 C 와 Si 등이 많을수록 용융점이 높아진다.
4.
흑연이 많을 경우 그 파단면은 백색을 띄며 백주철이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주철은 액상일 때 유동성이 좋고 C와 Si가 많을 수록 비중과 용융점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20m/s의 속도를 가지고 직선으로 날아오는 무게 9.8N의 공을 0.1초 사이에 멈추게 하려면 약 몇 N의 힘이 필요한가?
1.
20
2.
200
3.
9.8
4.
98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무게 W=mg=9.8N, g=9.81m/s^2이므로 m=1kg. 물리 속도 공식 v=v(0)+at에서 v(0)=20m/s이고, t=0.1s만에 물체가 멈추었으므로 v=0, a=(-)200m/s^2. 무게 9.8N의 공을 멈추려면 그에 맞는 가속도를 주어야 하므로, F=ma=1kg*200m/s^2=200N 200N이 된다. [해설작성자 : dongsin03]
87.
기계진동의 전달율(transmissibility ratio)을 1이하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진동수 비(ω/ωn)를 얼마로 하면 되는가?
그림과 같이 스프링상수는 400N/m, 질량은 100kg인 1자유도계 시스템이 있다. 초기에변위는 0이고 스프링 변형량도 없는 상태에서 방향으로 3m/s의 속도로 움직이기 시작한다고 가정할 때 이 질량체의 속도 v를 위치 x에 관한 함수로 나타내면?
1.
±(9-4x2)
2.
±√(9-4x2)
3.
±(16-9x2)
4.
±√(16-9x2)
정답 : [
2
] 정답률 : 45%
91.
다음 가공법 중 연삭 입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초음파가공
2.
방전가공
3.
액체호닝
4.
래핑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 방전가공 (EDM,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공작물을 가공액이 들어있는 탱크 속에 가공할 형상의 전극과 공작물 사이에 전압을 주면서, 가까운 거리로 접근시키면 아크방전에 의한 열작용과 가공액의 기화폭발작용이 일어나는데, 이 작용들로 공작물을 미소량씩 용융소모시켜 가공용 전극의 형상에 따라 가공하는 방법
참고 도서: 『PASS 기계일반』 (위을복 저, 학진북스) [해설작성자 : 3706]
92.
다음 중 주물의 첫 단계인 모형(pattern)을 만들 때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목형 구배
2.
수축 여유
3.
팽창 여유
4.
기계가공 여유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목형(pattern) 제작 시 유의사항 (1) 수축 여유 (shrinkage allownace) (2) 가공 여유 (machining allowance) (3) 목형 구배 (구배 여유, 기울기 여유) (4) 코어 프린트 (core print) (5) 라운딩 (rounding) (6) 덧붙임 (stop off)
참고 도서: 『PASS 기계일반』 (위을복 저, 학진북스) [해설작성자 : 3706]
93.
선반에서 주분력이 1.8kN, 절삭속도가 150m/min일 때, 절삭동력은 약 몇 kW인가?
다음 중 심냉 처리(sub-zero treat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강철은 담금질하기 전에 표면에 붙은 불순물은 화학적으로 제거시키는 것
2.
처음에 기름으로 냉각한 다음 계속하여 물속에 담그고 냉각하는 것
3.
담금질 직후 바로 템퍼링 하기 전에 얼마 동안 0 에 두었다가 템퍼링 하는 것
4.
담금질 후 0℃ 이하의 온도까니 냉각시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화 하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심냉처리 (sub-zero treatment) 상온으로 담금질 된 잔류오스테나이트를 0℃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마텐자이트화 하는 열처리
참고 도서: 『PASS 기계일반』 (위을복 저, 학진북스) [해설작성자 : 3706]
96.
다음 측정기구 중 진직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실린더 게이지
2.
오토콜리메이터
3.
측미 현미경
4.
정밀 수준기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실린더 게이지 (cylinder gauge) 2점 접촉식에 의한 지침측미계를 이용한 내경측정기
참고 도서: 『PASS 기계일반』 (위을복 저, 학진북스) [해설작성자 : 3706]
진직도는 대상이 얼마나 곧은지 나타내는 정도임.
*오토콜리메이터 : 빛과 반사경을 이용해 진직도 측정 *측미 현미경 : 강철선을 활용해 진직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 기구. *정밀 수준기 : 수평도와 경사도를 측정하는 고정밀 측정기구.
※실린더 게이지 : 내경 측정용 도구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97.
전해연마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공 변질 층이 없다.
2.
내부식성이 좋아진다.
3.
가공면에는 방향성이 있다.
4.
복잡한 형상을 가진 공작물의 연마도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가공면은 깨끗하고, 방향성이 없다. [해설작성자 : 3706]
98.
냉간가공에 의하여 경도 및 항복강도가 증가하나 연신율은 감소하는데 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공경화
2.
탄성경화
3.
표면경화
4.
시효경화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가공 경화 (work hardening) = 변형 경화 (strain hardening) 금속재료가 어떤 방향의 소성변형을 받으면 그 방향으로 내부 저항력이 증가하는데, 이로 인해 탄성한계와 경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가공경화가 일어나면 강도, 경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 단면수축률, 인성은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