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0002를 2진수로 나타내면 000 000 000 010 -S 는 이것의 보수를 취해서 111 111 111 101 이고 이걸 문자로 나타낸겁니다. 디렉터리와 파일을 따지는 건 -S의 결과와 상관없습니다.
[추가 해설] 아래 디렉터리 / 파일에 상관없이 umask 시 0002 라고나왔고 이걸 토글시켜서 u,g,o에 표현이 어떻게 되는지를 -S가 해준다.
따라서 0002 라면 맨 앞 0을 버리고 002가 u= 111 g = 111 o = 101 이기에 u=rwx, g=rwx, o= rx가 마따
직접 돌려서 해봄.
umask가 권한을 마스크하는건 맞는데 이 문제는 느낌이 다름. [해설작성자 : ㅇㄱㅁㄸ]
[추가 오류 신고] umask 기본사용자가 0002 이고, 관리자가 022 이고, -S는 umask값을 문자로 u,g,o 와 r,w,x등으로 나타낼때 S로 옵션을 붙이는데 뭘 보고 답을 4번이라 한 건가요? [해설작성자 : 푸르딩딩]
[오류신고 반론] umask가 0002라고 나와있자나요...저 계정이 관리자계정이든 사용자계정이든 일단 0002로 설정되어있다는뜻입니다. 어느계정인지는 상관이없어요. 그리고 umask -S치면 디렉터리기준으로나옵니다.그러므로 775가 정답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사람들 헷갈리게하지마여]
4.
다음 중 Set-UID에 대한 설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s+u a.out
2.
chmod s+g a.out
3.
chmod u+s a.out
4.
chmod u+g a.out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특수권한인 Set-UID 는 이 권한이 사용된 파일을 실행 시 실행시킨 사람의 권한이 아닌 파일 소유주 권한으로 실행시킴.
유저 실행 권한에 x 대신 s가 붙은게 Set-UID가 적용된 파일이며, 기존의 x를 대체 했기 때문에 x의 유무는 소문자와 대문자로 구분함. ( S = x 없음 , s = x 있음 )
따라서 chmod 명령어로 Set-UID를 적용 시키는 방법은 chmod u+s a.out 를 하면 적용됨 만약 chmod u+s a.out 하기전 a.out 의 권한이 rw-r--r-- 이였다면 rwSr--r-- 이렇게 변할 것이고, a.out 권한이 rwxr--r-- 이라면 rwsr--r-- 이렇게 변할 것이다.
오답) 1번과 2번은 잘못된 모드이다. 4번. chmod u+g a.out 직접 실행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아무런 변화가 없다 ( 즉 , 무시 한다 )
5.
다음 명령과 같이 umask 값을 지정했을 경우에 파일 생성 시 부여되는 허가권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w-
2.
--------wx
3.
-rw-rw-r--
4.
-rwxrwxr-x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775는 이진수로 111 111 101 umask에 적힌 값의 보수를 취한 것으로 권한이 설정되므로 111 111 101의 보수는 000 000 010 따라서 2 [해설작성자 : 보수로 계산합시다]
[추가 오류 신고] 디렉토리 생성이 777-umask이고, 파일 생성은 666-umask입니다 문제는 오류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강사]
[추가 오류 신고] 문제 자체의 오류 인것 같습니다 파일의 권한은 666 인대 디렉터리 권한으로 umask하였네요
[오류신고 반론] 문제 오류는 아닌거로 보입니다.
umask 775로 설정하면 파일일경우 664로 인식이 되죠 그러면 666&664=002(and연산입니다) 그래서 답은 1번이네요 [해설작성자 : 열공중]
[오류신고 반론] 디렉 777-775 = 002 "-------w-" 파일 666-664 = 002 "-------w-" 파일 이든 디렉토리는 "-------w-" 가 나오죠 오류신고에 파일의 권한은 666이라고 하시는데 그건 실행권한이 빠진거고 권한 자체는 777이맞고요 umask 값을 넣을때는 기본적으로 풀권한 을 생각을 하고 넣습니다 777 에서 빠지는거죠 파일생성시 알아서 666으로 생각을하여 변환값이 나옵니다. 고로 문제에는 오류가 없는것이고 이해를 잘못한거죠 [해설작성자 : 초심자 3주남음..]
[추가 오류 신고] 해설 분들 전부 -------w- 라면서 그럼 1번인데 왜 계속 2번이라하는건가요? 파일 666 -> 110110110 과 umask 775의 보수 000000010 을 앤드 연산하면 000000010 이니깐 -------w- 라서 1번 나오는게 맞습니다.
6.
다음 중 fdisk 명령 실행 시에 파티션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
2.
m
3.
n
4.
t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 : 현재 디스크 및 파티션 보기 n : 신규파티션 추가 t : 파티션 종류 변경 (82 - 스왑 파티션 / 83 - 리눅스 파티션 / b - W95 FAT32) p : 파티션 설정 보기 m : 메뉴보기 a : 부트가능 플래그로 변경 d : 파티션 삭제 w : 파티션 설정 저장
[추가 해설]
a 부팅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b BSD로 디스크라벨 설정합니다. c DOS호환가능한 플래그 설정합니다. d 파티션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l 설정가능한 파티션 타입을 보여줍니다. m 파티션 설정도움말을 보여줍니다. n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o 새로운 도스파티션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p 현재 설정된 파티션정보를 보여줍니다. q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지않고 fdisk를 빠져나갑니다. s SUN 디스크라벨을 생성합니다. t 파티션 타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u 유닛(units)정보를 열람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v 지정된 파티션을 검사합니다. w 현재까지 설정한 파티션정보를 저장하고 fdisk를 빠져나갑니다. x 파티션설정 전문가 모드로 들어감. 이 전문가 모드에서는 실린더(cylinder)수나 헤드(head)수 그리고 트랙(track)당 섹터(sector)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7.
다음 중 파티션에 사용가능한 아이노드(I-node)의 수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df -i
2.
du
3.
fsck
4.
mount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df 명령어 -> Disk Free의 줄임말로 파티션의 전체 용량, 사용한 용량, 남은 용량, 마운트 정보 등의 디스크 관련 정보들을 보여주는 명령어
df -i 또는 df inode 파티션별 블록 사용 정보 대신 inode 정보를 표시합니다. 파일명, 소유주, 권한, 시간 정보 등 [해설작성자 : 경과기 14학번]
8.
다음 중 공유 디렉터리(world-writable directory) 설정이라고 부르는 스티키 비트(Sticky Bit)가 부여된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
1.
/bin
2.
/usr
3.
/etc
4.
/tmp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stick Bit 가 설정된 디렉토리에는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파일을 생성할수 있다 하지만 생성된 파일을 삭제 할때에는 파일생성자(소유자)와 관리자만 지울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렉토리에는 /tmp 디렉토리가 있다.
9.
다음 중 ihduser라는 사용자에 사용자 쿼터를 설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quota ihduser
2.
quotaon ihduser
3.
edquota ihduser
4.
quotacheck ihduser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quota quotaon : 디스크 할당량 제한 edquota : 디스크 할당량 설정 quotacheck : 디스크 사용량 할당 정보 체크
설정이므로 edquota ihduser [해설작성자 : HP증가량감소]
10.
다음 중 fsck 명령 실행 시에 발생한 오류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
1.
/sys
2.
/tmp
3.
/cgroup
4.
/lost+found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루트 디렉토리 /boot BOOT 부트 이미지 디렉토리 /bin BINaries 사용자 명령어 디렉토리 /dev DEVice 장치 파일 디렉토리 /etc ETCetera 시스템 환경 설정 디렉토리 /home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 /lib LIBraries 공유 라이브러리 및 커널 모듈 디렉토리 /lost+found LOST+FOUND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fsck의 링크 디렉토리 /misc MISCellaneous 아키텍처 독립 자료 디렉토리 /mnt MouNT 마운트 포인트 디렉토리 /opt OPeraTion 애드온(Add-on) 소프트웨어 패키지 디렉토리 /proc PROCess 커널과 프로세스를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root ROOT 루트 사용자 홈 디렉토리 /sbin System BINaries 시스템 명령어 디렉토리 /tmp TeMPorary 임시 작업 디렉토리 /usr USeR 공유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var VARiable data 가변 자료 디렉토리 [해설작성자 : hotchoco]
11.
다음 중 스크립트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스크립트이다.
2.
backup.tar.gz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3.
바이너리 전송모드를 사용한다.
4.
서버의 서비스 포트는 21번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mput backup.tar.gz mput은 파일을 업로드할때 mget은 파일을 다운로드할때 mget대신 mput이 적혀있으므로 backup.tar.gz파일을 다운로드한다가 아닌 업로드한다가 맞다. [해설작성자 : HP증가량감소]
1. ftp =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전송프로토콜인데 자동으로 전송하는지 잘 모르면 우선 세모표시) 3. 바이너리 전송모드 (bin을 통해서 유추 가능) 4. ftp는 전송(20번포트)와 제어(21번포트) 사용 2. mput은 업로드임. mget이 다운로드임. 따라서 1번을 잘 몰라도 2번이 확실히 틀린것이므로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자격증 사냥꾼]
12.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sh -s /bin/ksh
2.
usermod -s /bin/ksh ihduser
3.
chsh
4.
useradd -s /bin/ksh ihduser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shell 변경명령어입니다. 문제에 답이 나와있습니다. Changing shell for ~~ chsh(change shell) [해설작성자 : hotchoco]
셸 변경 명령어 : chsh (change shell)
[형식] chsh [옵션] 계정명 셸
[옵션] -s : 지정하는 셸을, 앞으로 사용할 로그인 셸로 변경 -l : /etc/shells 파일 안에 지정된 셸을 나열 [해설작성자 : 이상하게 시험만 보면 기억이 하나도 안난다]
chsh이 셸 변경어인데, 밑에 New shell을 입력하라는 명령을 보아서 -s 옵션은 되지 않았네요 (s 옵션 쓸 경우 -s 뒤에 쓸 셸 입력) 고로 chsh 만 쓴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장샤미]
13.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 출력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출력 내용 없음 ㉡ 출력 내용 없음
2.
㉠ VAR1=linux ㉡ 출력 내용 없음
3.
㉠ 출력 내용 없음 ㉡ VAR2=linux2
4.
㉠ VAR1=linux ㉡ VAR2=linux2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VAR1=linux의 경우 세션이 종료되지 전까지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4번 정답 [해설작성자 : 재은책임바보]
'VAR1=linux' : VAR1의 변수를 linux로 지정 'export VAR2 =linux2' : VAR2의 변수를 linux2로 다음 시작시에도 지정 [해설작성자 : 이런거 써도 시험볼때는 기억 안날거같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직접해본 결과 둘다 나오는게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응 직접 해봐~]
[오류신고 반론] 18년도 1회차는 env로되어잇음 [해설작성자 : 대우낄길]
[오류신고 반론]+ 정답지 확인해보고 직접 해본 결과 4번입니다. set 명령어는 shell 변수와 global 변수 모두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떨러]
[오류신고 반론] set 하면 둘다 출력되고 env하면 VAR2만 출력되요. 그래서 env라면 3번이 답이구요. 해당문제는 set이니깐 4번이 답. export가 환경변수 생성하는거거든요.
14.
다음 중 명령어 출력 결과와 상관있는 변수로 알맞은 것은?
1.
HISTTIMEFORMAT
2.
HISTFILE
3.
DISPLAY
4.
HISTCHK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HISTTIMEFORMAT : 명령어를 수행할 때마다 현재시각을 history에 기록 HISTFILE : 히스토리 파일의 절대 경로 [해설작성자 : HP증가량감소]
15.
다음 중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disk1 내용을 /disk2로 옮긴다.
2.
/disk2 내용을 /disk1로 옮긴다.
3.
/disk1 내용만 백업 받는다.
4.
/disk2 내용만 백업 받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d /disk1; -> disk1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tar cvf - . -> 현재 폴더의 모든 내용을 c(묶는다)v(과정을 보여준다)f(파일명 지정)한뒤 cd /disk2; -> disk2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tar xvf -; -> 모든 내용을 x(묶음해제한다)vf
따라서 /disk1의 모든 내용을 /disk2로 옮긴다.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16.
다음 중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틀린 것은?
1.
SHELL 변수의 내용을 확인한다.
2.
/etc/group 파일의 내용을 확인한다.
3.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확인한다.
4.
finger 명령어의 -l 옵션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 입니다. /etc/passwd 파일 안에 shell 정보 들어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답 2번 맞습니다. /etc/passwd 파일안에 shell 정보 들어 있기 때문에 틀린 것을 찾는 문제이므로 2번입니다.
17.
다음 중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etc/profile
2.
/etc/bashrc
3.
$HOME/.bash_logout
4.
$HOME/.bashrc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etc/bashrc 전역 환경변수이고 개인사용자의 환경변수 설정 파일은 $HOME/.bashrc 파일이다.
18.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 구문으로 알맞은 것은?
1.
ls file1*
2.
ls file?
3.
ls file[12].py
4.
ls file[!1].py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의 의미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txt라고 하면 확장자가 txt인 모든 파일이름을 뜻합니다. [12]가 의미하는 것은 1또는 2라고 보시면 되며, 1이 우선이라는 의미입니다. ls file[12].py는 확장자가 py로 끝나고 file이라는 이름 뒤에 1또는 2를 찾아 출력하라는 의미입니다. [해설작성자 : 누군가]
따라서 crontab -e -u ihd 옵션을 같이 해주면 된다. [해설작성자 : 김대웅]
-l : crontab에 설정된 내용 출력 -e : crontab을 작성하거나 수정 -r : crontab 내용 삭제 -u : 특정 사용자의 일정 수정 crontab [옵션] 파일명 특정사용자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이므로 -e와 -u옵션을 둘 다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정답은 2번 [해설작성자 : 규리]
24.
시그널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IG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
2.
SIGINT는 키보드로부터 오는 인터럽트 시그널로 실행을 중지시킨다.
3.
시그널의 전체 목록은 명령행에서 'kill -a'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4.
특정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시그널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kill -l'명령으로 시그널의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요ㅕ]
25.
다음 중 [Ctrl] + [z] 입력 시 전송되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
1.
SIGINT
2.
SIGQUIT
3.
SIGSTOP
4.
SIGTSTP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SIGINT : 인터럽트 실행을 중지시킴. [CTRL] + [C] 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 SIGQUIT : Quit했을때 정지 SIGSTOP : 프로세스 정지 SIGTSTP : 실행 정지후 다시 실행을 계속하기 위하여 대기시키는 시그널. [CTRL] +[Z] 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 [해설작성자 : HP증가량감소]
26.
다음 설명에 알맞은 명령어는?
1.
pstree
2.
fork
3.
exec
4.
ps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stree: 프로세스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할때 *fork: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기능 사용자가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유일한 방법 *exec 시스템호출: 프로세스가 지정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해설작성자 : *DPCW10조38항*]
27.
다음 중 프로세스에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최초의 프로세스는 init로 PID는 0이다.
2.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프로세스는 fork방식으로 생성된다.
3.
프로세스 호출은 fork와 inetd 방식이 있다.
4.
inetd 방식으로 호출된 프로세스는 작업 종료 유무에 상관없이 항상 메모리에 상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fork와 exec 방식으로 프로세스 호출 [해설작성자 : ㅁㄴㅇㄹ]
1. 최초의 프로세스 PID는 1. 3. 프로세스 호출은 fork 와 exec 방식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inet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이 들어왔을 때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접속 종료 후에는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방식 [해설작성자 : 이거 적어도 시험볼때는 기억안날것 같은데]
28.
다음 중 스케줄링에 관련된 명령어로 알맞게 짝지은 것은?
1.
jobs, crontab
2.
jobs, command
3.
at, crontab
4.
at, command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jobs 는 작업목록을 보여주는거고, at,crontab으로 작업예약을 함. [해설작성자 : 123341]
스케줄링 :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것으로 리눅스에서는 at과 cron을 사용한다. 둘 모두 데몬으로 실행 중에 있어야한다. at는 주로 한번 만 실행할 때 사용하고 cron은 주기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이거 지금써도 시험볼때는 기억안날것 같은데]
29.
다음 중 vi 편집기의 문자열 치환과 같은 패턴으로 셸 환경에서 치환 가능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at
2.
awk
3.
sed
4.
printf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sed는 대화형 기능이 없는 편집기. 명령어와 파일을 지정하여 작업한 후 결과를 화면으로 확인 가능. 1. cat : 파일이름을 인자로 터미널에 보여줌 2. awk : 패턴 탐색과 처리를 위한 명령어 -> grep과 비슷하고 바로 입력이 가능. 4. printf : 자료를 형식화 하여 화면에 출력 (C언어형식) ex) printf "%d는 바보\n" 10 10은 바보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30.
vi 편집기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려고 한다. vi편집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축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yy, p
2.
dd, p
3.
db, o
4.
dl, o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dd-1줄 잘라내기 p-붙여넣기 [해설작성자 : 복사는 paste]
yy - 단순 복사로 커서가 위치한 줄이 삭제되지는 않음 [해설작성자 : 아이유내꺼]
31.
다음과 같은 명령의 수행 결과 가장 알맞은 것은?
1.
ihd.txt 파일을 삭제한다.
2.
.ihd.txt.swp 파일의 내용을 불러온다.
3.
ihd.txt 파일의 스왑(swap)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4.
ihd.txt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만들고 vi가 실행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vi -r : 스왑파일이 있다면 표시하고 끝내기.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vi -r 파일이름을 안쓰면 스왑파일 리스트 나열 vi -r 파일 이름 .. : 복구모드 : 파일이름.swp 내용을 불러온다 [해설작성자 : 열공중]
32.
다음 중 emacs 편집기에서 커서가 위치한 부분부터 줄 전체를 삭제하는 단축키로 알맞은 것은?
1.
[Ctrl] + [x]
2.
[Ctrl] + [k]
3.
[Ctrl] + [d]
4.
[Alt] + [d]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저장하기: ctrl+x, ctrl+s 종료: ctrl+x, ctrl+c 마크 설정: ctrl+space 잘라내기: 마크 설정 후 ctrl+w 붙이기: ctrl+y 한 줄 지우기: ctrl+k 커서 이동: ctrl+a(커서를 줄의 맨 앞으로 이동) ctrl+e(커서를 줄의 맨 뒤로 이동) ctrl+n(커서를 한 줄 아래도 이동) 문자열 검색: ctrl+s(커서의 아랫부분에서 찾을 문자열을 검색) ctrl+r(커서의 윗부분에서 찾을 문자열을 검색) 문자열 치환: ESC, %, "치환될 문자열", "치환할 문자열" 명령 끄기: ctrl+g
5) 패키지 정보: yum info package Example: yum info httpd
6) 특정단어가 포함 된 패키지 리스트: yum list term Example: yum list httpd
7) 특정 파일을 제공한 패키지 검색: yum whatprovides filename Example: yum whatprovides httpd.conf
8) 커널 패키지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 yum -y update Example: yum -y update
40.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ar zcvf linux.tar.gz *.txt
2.
tar jcvf linux.tar.bz2 *.txt
3.
tar zxvf linux.tar.gz *.txt
4.
tar jxvf linux.tar.bz2 *.txt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tar로 압축하기 >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2. tar 압축 풀기 > tar -xvf [파일명.tar]
3. tar.gz로 압축하기 > 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4. tar.gz 압축 풀기 > tar -zxvf [파일명.tar.gz]
-c 파일을 tar로 묶음
-p 파일 권한을 저장
-v 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
-f 파일 이름을 지정
-C 경로를 지정
-x tar 압축을 풂
-z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41.
다음 조건과 같을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vh
2.
-uvh
3.
-Uvh
4.
-Fvh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관련옵션 -i :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한다. (--install) -U : 기존의 패키지를 새로운 버전의 패키지로 업그레이드할 때 사용하고 설치된 패키지가 없을 경우 패키지를 설치를 한다. ( -i 옵션과 같음) -F : 이전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만 설치한다.(--freshen) -v : 메시지를 자세히 보여준다. -h : '#'기호로 표시해 준다. --force :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와 관계없이 강제로 설치 한다. --nodeps : 의존성 관계를 무시하고 설치 한다. -vv : 메시지를 아주 자세히 보여준다. --oldpackage : 구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할 때 사용한다. --rebuilddb : 특정한 패키지 설치후에 rpm패키지로 검색했으나 나타나지 않을 때 rpm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3) 정리 -ivh : 새로운 패키지 설치 -Uvh :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패키지 설치 -Fvh : 이전 버전의 패키지가 있는 경우에만 패키지 설치
<문제 해설> USB포트에 연결 : /dev/usb/lp0 직렬 포트 연결 : /dev/lp0 [해설작성자 : 아무도 안하길래해봄ㅋ]
44.
다음 중 시스템에 설치된 장치 목록을 출력해주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vmstat
2.
netstat
3.
top
4.
lspci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vmstat 가상메모리 상태(용량)확인 netstat 네트워크의 연결과 포트를 출력 top 시스템 전체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해설작성자 : HP증가량감소]
4. lspci // (list of pci ?) : 시스템의 모든 PCI BUS와 장치에 대한 목록과 각개 하드웨어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 또한 트리형태로 옵션을 주어 장치번호를 트리형태로 보여주고 내용내역까지 출력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45.
다음 중 프린터 큐의 작업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pq
2.
lpm
3.
lpr
4.
lp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lpd : 프린터의 데몬 lpc : 프린터를 제어한다. lpq : 기본 프린터의 큐의 내용을 보여준다. lpr : 파일 내용을 출력한다. lprm : 프린터 큐의 작업을 삭제한다. lpstat : Lp 프린터의 상태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 콜(POSIX READ, WRITE, IOCTL 등)에 기반을 둔 것은 OSS (Open Sound System)
OSS는 리눅스 및 유닉스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처하는 인터페이스. 현재 리눅스 커뮤니티에서 ALSA로 대체되었음.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48.
다음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LPRng
2.
BPRng
3.
CUPS
4.
ALSA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PRng: 버클리 프린팅 시스템. 프린터 스풀링과 네트워크 프린터 서비스 지원. BDS와 System V 계열 명령어도 지원. CUPS: 애플이 개발한 오픈소스 프린팅 시스템. HTTP 기반의 IPP를 사용합니다. BSD와 System V 계열 명령어도 지원. 사용자와 호스트 기반의 인증도 제공합니다.
49.
다음 중 X 서버에서 보내온 키 값을 설치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xauth add $DISPLAY . ed41d4ee4d147d67d26
2.
xauth add $DISPLAY ed41d4ee4d147d67d26
3.
xauth add DISPLAY . ed41d4ee4d147d67d26
4.
xauth add DISPLAY ed41d4ee4d147d67d26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xauth 명령은 .Xauthority 파일 쿠키 내용을 추가,삭제,리스트 출력하는 유틸리티이다.
xauth add dpyname protoname hexkey 의 구문으로 내용을 추가한다. (display name) / (protocal name)
프로토콜 네임 값이 없기 때문에 . 을 찍는다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50.
다음 중 K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 윈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이다.
2.
Q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3.
GNOME 보다 먼저 개발되었다.
4.
초기에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아니었으나 추후에 BSD 라이선스로 공개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4. KDE는 자유소프트웨어이다. 노키아의 Qt툴킷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대부분의 유닉스, 리눅스, BSD, AIX 등의 운영체제에서 작동.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5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ImageMagicK
2.
eog
3.
GIMP
4.
Totem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비트맵이미지등을 수정함 2. 이미지뷰어 3. 사진속의 프로그램 포토샵처럼 이미지등을 편집하거나 만드는 프로그램 4. 동영상플레이어 [해설작성자 : 길가던분]
52.
다음 중 가장 저수준의 X 관련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알맞은 것은?
1.
XCB
2.
GTK+
3.
Qt
4.
Xt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다음 X 윈도 응용 프로그램 중 텍스트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틀린 것은?
1.
gvim
2.
kwrite
3.
gedit
4.
evince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evince = pdf , 포스트 스크립트를 GNOME 데스크탑에서 열 때 사용
54.
다음 중 X 윈도를 부팅 시에 실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fstab
2.
/etc/x.org
3.
/etc/inittab
4.
/etc/initdefault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tc/fstab -> 마운트 가능한 사용자에 대해 파일 시스템을 지정 /etc/x.org ->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X 윈도우 시스템 /etc/inittab -> 부팅 시에 실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파일 /etc/initdefault -> init 프로세스의 설정 파일 [해설작성자 : 0수생]
55.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LibreOffice Writer
2.
LibreOffice Impress
3.
LibreOffice Calc
4.
LibreOffice Draw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Libreoffice writer은 문서 작성기 Libreoffice impress 프레젠테이션 Libreoffice calc 스프레드시트 Libreoffice Draw 드로잉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배문성]
56.
다음 중 X 윈도 기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으로 틀린 것은?
1.
ImageMagick
2.
Juk
3.
gthumb
4.
eog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ImageMagick = 그래픽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하는 프로그램 3. gThumb = GNOME 데스크톱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4. eog = GNOME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2. Juk = KDE 3.2 데스크톱환경의 음악 재생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5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RFC
2.
ISO
3.
CVE
4.
STD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RFC에 컴퓨터 네트워크 공학 등에서 인터넷 기술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연구, 혁신, 기법을 올리면 메모의 형태로 전문가의 비평을 받을 수 있다.
2. ISO : 국제 표준화 기구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을 개발 및 보급 3. CVE : 보안 취약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보안 취약성과 기타 노출사항을 기록한 목록. 4. STD : 인터넷에 해당하는 기술이나 방식의 규범적 규격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하여 출판.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5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
1.
IANA
2.
IETF
3.
ICANN
4.
ITU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의 약자로 IP 주소, 최상위 도메인 등을 관리하는 단체이다. 현재 ICANN이 관리하고 있음.
2. IETF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인터넷의 운영, 관리, 개발에 대해 협의하고 프로토콜과 구조적인 사안들을 분석하는 인터넷 표준화 작업기구이다.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의 산하기구로 인터넷의 운영, 관리 및 기술적인 쟁점 등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망 설계자, 관리자, 연구자, 망 사업자 등으로 구성된 개방된 공동체. 주로 자발적인 참여와 논의 과정을 통하여 인터넷 관련 기술표준을 마련하고 있음.
3. ICANN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기구(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1998년에 설립된 인터넷의 비즈니스, 기술계, 학계 및 사용자 단체 등으로 구성된 기관으로 인터넷 DNS의 기술적 관리, IP 주소공간 할당, 프로토콜 파라미터 지정, 루트 서버 시스템 관리 등의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함.
4.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유엔의 산하 기구로 전기 통신의 개선과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국제 협력을 증진하고 전기 통신 업무의 능률 향상, 이용 증대 및 보급의 확대를 위해 기술적 수단의 발달과 효율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 기구. [해설작성자 : 김대웅]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ysconfig/network
2.
/etc/hosts
3.
/etc/host.conf
4.
/etc/resolv.conf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네트워크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60.
다음 중 Xen 서버 가상화를 사용할 경우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장치명으로 알맞은 것은?
1.
xbr0
2.
xe0
3.
xen0
4.
xenbr0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xbr0 -> 유튜버 xe0 -> 라틴어 글자 à 코드 xen0 -> 가수 xenbr0 -> 네트워크 장치명
[해설작성자 : 0수생]
61.
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때 생성되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4
2.
8
3.
32
4.
64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55.255.255.192에서 사용가능한 호스트의 개수는 64개(256-192) 여기서 문제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를 물어봤기 때문에 총 4개가 되는것!(256/64) 호스트개수랑 네트워크 개수랑 헷갈리지 마세용~ [해설작성자 : 결혼하고싶다]
C클래스는 255.255.255.0~255.255.255.255가 사용가능.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라면 /192/쪽만 변경이 가능.
255는 8비트(8자리) 1111 1111 로 구성되어있고
192라는 숫자는 1100 0000 입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1100 0000 이기때문에 1과0을 나누어 (11 / 00 0000) 부분을 각각 (서브넷 / 호스트주소)로 사용합니다.
서브넷의 숫자는 2자리로 표현가능한 숫자가 2^2 = 4이기 때문에 총 4개의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건 6레벨의 SSL (소켓 보안 계층;secure socket layer)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LS와 SSL 은 표현 계층이 아니라 5계층인 세션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싹싹]
[오류신고 반론] 계층 두가지입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구조와 OSI 모델 계층이 있으며 OSI로 했을때 TLS 즉 SSL은 세션계층에 속합니다 TLS의 옛말이 SSL 입니다 두개 같은거에요 [해설작성자 : 계층은 두가지]
68.
다음 중 LAN 및 MAN 관련 표준을 제정한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
1.
ISO
2.
IEEE
3.
ANSI
4.
ITU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ISO: OSI 7계층과 관련 프로토콜 제정 2. IEEE: LAN 및 MAN 관련 표준 제정 3. ANSI: 미국내 규격. ASCII 코드 제정 4. ITU: 전기통신의 개선과 효율을 위한 국제 연합 산하기구. [해설작성자 : 조이]
69.
다음 중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더넷 카드, 모뎀, 시리얼/패러럴 케이블 기반의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지원한다.
2.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데, 관련 프로토콜은 직접 설치해야 한다.
3.
Xen, KVM, VirtualBox 등의 서버 가상화 관련 네트워크 장치도 지원한다.
4.
ISDN, AX.25, ATM 등의 네트워크도 지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직접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박기백 화이팅!!]
70.
다음 중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시스템의 맥(MAC)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p
2.
ss
3.
arp
4.
ifconfig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arp : 네트워크에 등록된 하드웨어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Ip주소와 MAC주소 확인 가능. ss : netstat의 대체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위한 설정 또는 확인 가능. ip : ip주소와 특성 정보, 네트워크 상태, 라우팅 테이블, 멀티캐스트, ARP 테이블 등 확인 가능.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ifconfig 는 자신의 MAC 주소를 확인 가능하고 apr 는 자신을 제외한 다른 호스트들의 MAC 주소를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024]
71.
다음 중 네트워크 카드에 물리적으로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etstat
2.
ss
3.
arp
4.
ethtool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etstat : 전송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 및 연결 상태 확인 가능. ss : netstat 의 대체 arp : IP주소로 MAC주소를 알기 위한 프로토콜. ARP테이블로 IP주소에 대한 MAC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
eth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mii-tool보다 상세한 상태정보 확인.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ss : 소켓 상태를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TCP의 상태정보를 제공 [해설작성자 : 공부하고있다]
72.
다음 중 삼바(Samba)와 가장 관련 있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SSH
2.
NFS
3.
FTP
4.
CIFS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SH -> 원격 로그인 클라이언트 NFS -> 유닉스 시스템간 파일시스템 공유 FTP -> 파일전송 프로토콜 CIFS -> SAMBA 의 SMB 프로토콜 확장버전 [해설작성자 : 와니와니]
73.
다음 중 웹키트 레이아웃 엔진을 이용해서 개발한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로 알맞은 것은?
1.
파이어폭스
2.
크롬
3.
갈레온
4.
인터넷 익스플로어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웹키트 레이아웃 엔진을 이용하여 구글이 개발중인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이다. 버전 28 이후는 웹키트의 포크인 블링크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ㄱㅣㅁ대웅]
<문제 해설> OSI-7은 하위 계층부터 물데네 전세표응 으로 외워두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대우4반라이더]
76.
다음 중 물리 계층 및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만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게이트웨이
2.
라우터
3.
리피터
4.
브리지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게이트웨이: 타 통신망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을 통신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 2~4번 모두 게이트웨이 장치입니다. 2. 라우터: 물리(1), 데이터(2), 네트워크(3)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입니다. 3. 리피터: 물리 계층에서만 동작합니다. 4. 브리지: 물리 계층과 데이터 계층에서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