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구성체 타당도: 개념타당도, 구성타당도라고도 함.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 개념이 측정도구에 따라 적절하게 측정되었는가에 관한 문제.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에 초점을 맞춘 타당도. 이론적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타당도이며 평가방법에 다중속성-다중측정 방법과 요인분석이 있음.
예측적 타당도 : 우선 검사 데이터를 확보한 이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예측한 바가 얼마나 현실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기준관련(경험적) 타당도의 하나임.
43.
측정의 체계적 오류와 관련이 있는 것은?
1.
통계적 회귀
2.
생태학적 오류
3.
환원주의적 오류
4.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정답 : [
4
] 정답률 : 53%
44.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변수는 연구대상의 경험적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2.
인과적 조사연구에서 독립변수란 종속변수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변수이다.
3.
외재적 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에 개입하면서 그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3의 변수이다.
4.
잠재변수와 측정변수는 변수를 측정하는 척도의 유형에 따른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45.
모든 요소의 총체로서 조사자가 표본을 통해 발견한 사실들을 토대로 하여 일반화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것은?
1.
표본추출단위(sampling unit)
2.
표본추출분포(sampling distribution)
3.
표본추출 프레임(sampling frame)
4.
모집단(population)
정답 : [
4
] 정답률 : 73%
46.
우연표집(accidental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집단의 일련의 하위집단들을 층화시킨 다음 각 하위 집단에서 적절하게 표집하는 방법
2.
모집단의 전체구성요소들을 파악한 후 개별요소들을 난수표로 만들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3.
표집대상이 되는 소수의 응답자를 찾아 면접을 하고 이들이 소개한 다른 사람들도 면접하는 방법
4.
손쉽게 이용 가능한 대상만을 선택하여 표집하는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우연표집은 편의표집으로 손쉽게 이용 가능한 대상만을 선택하여 표집하는 방법이다.
1.할당표집에 대한 설명 2.단순무작위표집에 대한 설명 3.눈덩이표집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ㅎㅎㅎ]
47.
비확률표본추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집오류를 확인하기 어렵다.
2.
확률표본추출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3.
조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4.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48.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의 타당성(validity)과 관련이 있다.
2.
적절한 조작적 정의는 정확한 측정의 전제 조건이다.
3.
조작적 정의는 무작위로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없다.
4.
측정을 위해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49.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재검사법
2.
복수양식법
3.
반분법
4.
내용검사법
정답 : [
4
] 정답률 : 69%
50.
일반적으로 표본추출방법들 간의 표집효과를 계산할 때 준거가 되는 표본추출방법은?
1.
군집표집
2.
계통표집
3.
층화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 : [
4
] 정답률 : 67%
51.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집단의 평균에 가까운 요소가 평균에 멀리 떨어진 요소보다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더 크다.
모집단이 서로 상이한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 모집단을 유사한 특성으로 묶은 여러 부분집단에서 단순무작위추출법에 의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1.
할당표본추출법
2.
편의표본추출법
3.
층화표본추출법
4.
군집표본추출법
정답 : [
3
] 정답률 : 55%
54.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때, 다음 각 문항에 사용되는 측정 수준 (A) ~ (E)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문항은 리커트 척도로 제시함)
1.
명목-명목-비율-비율-서열
2.
서열-명목-비율-서열-서열
3.
명목-서열-등간-비율-비율
4.
서열-등간-등간-등간-비율
정답 : [
2
] 정답률 : 64%
55.
지수(index)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복합측정치로 여러 문항으로 구성된다.
2.
추상적 개념을 단일수치로 표현할 수 있다.
3.
지표(indicator)보다 변수의 속성을 파악하기 쉽다.
4.
측정대상의 개별속성에 부여한 개별지표 점수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보기에 개별지표 점수의 합으로 표시할 수 없다 라고 문제집에 나와있음 보기 오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측정대상의 속성을 객관화하여 그 본질을 보다 명백하게 파악하고 개별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하여 구성한다. = 틀린것찾으라는데 4번보기는 맞는말!
56.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도구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2.
측정항목수를 줄인다.
3.
조사대상자가 잘 모르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는다.
4.
측정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57.
아래의 질문에서 사용된 척도는?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 : [
1
] 정답률 : 75%
58.
다음 사례에서 성적은 어떤 변수에 해당되는가?
1.
독립변수
2.
통제변수
3.
매개변수
4.
종속변수
정답 : [
4
] 정답률 : 70%
59.
다음 중 측정수준과 예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명목측정 : 성별, 인종
2.
서열측정 : 후보자 선호, 사회계층
3.
등간측정 : 온도, IQ지수
4.
비율측정 : 소득, 직업
정답 : [
4
] 정답률 : 70%
60.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에서 몇 개의 대학을 선정하고 이들로부터 다시 몇 개의 학과와 학년을 선정하여 해당되는 학생들을 모두 조사하는 표본추출방법은?
1.
군집표본추출방법
2.
층화표본추출방법
3.
체계적추출방법
4.
단순무작위표본추출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대학생을 상대로 나누는것은 층화표폰 추출 정답은 2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개하기싫어]
[오류신고 반론] 나누긴 했지만, 나눈 상태에서 뭔가 액션이 없으니 그냥 군집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층화표본추출 같습니다. 나눈 집단이 서로 이질적이지 않나요? 1학년과 4학년의 라이프스타일은 매우 다를텐데요... 문대생과 공대생의 라이프스타일도 이질적일 것이구요! [해설작성자 : ethan]
[오류신고 반론] 이질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집락 또는 집단<-대학 몇 개의 집락을 표본으로 추출<-학년과 학과 해당되는 학생들을 모두 조사한다<-전수조사 이므로 답은 군집표본추출입니다. 책에도 답이 1번이라고 나와있어요. [해설작성자 : 플라]
61.
5명의 남자와 7명의 여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2명의 남자와 3명의 여자로 구성되는 위원회를 조직하고자 한다. 위원회를 구성하는 방법은 몇 가지 인가?
1.
300
2.
350
3.
400
4.
450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C2*7C3=350 [해설작성자 : 성호맨]
62.
단순회귀모형에 대한 추정회귀직선이 일 때, b의 값은?
1.
0.07
2.
0.56
3.
1.00
4.
1.53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b=상관계수*(Y의표준편차/X의표준편차) [해설작성자 : 띠용]
63.
다음 중 분산분석표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제곱합
2.
자유도
3.
F-값
4.
표준편차
정답 : [
4
] 정답률 : 59%
64.
어떤 모수에 대한 추정량이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확률적으로 모수에 수렴하는 성질은?
1.
불편성
2.
일치성
3.
충분성
4.
효율성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확률적으로 모수에 수렴하는 성질을 일치성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홍ㅎ애홍]
1. 불편성 : 추정량의 기댓값과 모수의 실젯값 간에 차이가 없음. 2. 정답 3. 충분성 : 표본데이터가 내포하는 모수에 대한 지식, 정보를 포괄적으로 충분하게 요약해주는 추정량. 4. 효율성 : 불편추정량 중 표본분포의 분산이 작은 추정량.
65.
공정한 동전 두 개를 던지는 시행을 1,200회 하여 두 개 모두 뒷면이 나온 횟수를 X라고 할 때, P(285≤X≤315)의 값을 구하면? (단, Z~N(0, 1)일 때, P(Z<1)=0.84)
1.
0.35
2.
0.68
3.
0.95
4.
0.99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시행의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동전 두 개 모두 뒷면이 나오는 경우 2. 1이 아닌 모든 경우 (둘 중 한 개가 앞면이 나오는 경우 + 두 개 모두 앞면이 나오는 경우)
시행의 결과를 1과 2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문제의 시행은 베르누이 시행입니다. 베르누이 시행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서 도출되는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를 따릅니다. → X ~ B (n, p)
이항분포의 모수 n은 시행횟수, p는 확률입니다. 시행 횟수는 1,200회이며 확률은 1/4(=0.25)입니다.
따라서 X~B(1,200, 0.25)라고 할 수 있습니다.
np≥5, np(1-p)≥5 인 상황입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이항분포를 따르는 확률분포 X는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됩니다. 즉, X~N(평균, 분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X의 모수는 이항분포의 평균, 분산을 구하는 식을 이용하여 구하면 됩니다. 즉, 평균 = 1,200 x 0.25 = 300 / 분산 = 1,200 x 0.25 x (1-0.25) = 225 따라서 X~N(300,225)라고 할 수 있습니다. 225는 15의 제곱이므로 표준편차는 15.
이후로는 표준화한 다음에 확률 구해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hoboim]
66.
다음 내용에 대한 가설형태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5%
67.
어떤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5%의 불량률이 발생했다. 이 제품들 중 100개를 임의로 추출하였을 때 여기에 포함된 불량품의 수를 확률변수 X라 하면, X의 평균과 분산은?
Corr (X,Y) = -12 / 16 = -0.75 문제에서 구하는 것 = -Corr(X,Y) = 0.75 [해설작성자 : Choboim]
75.
다음의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앙값은 55이다.
2.
표본평균은 중앙값보다 작다.
3.
최빈값은 54와 81이다.
4.
자료의 범위는 61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76.
어느 회사는 노조와 협의하여 오후의 중간 휴식시간을 20분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총무과장은 대부분의 종업원이 규정된 휴식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쉬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종업원 1,000명 중에서 25명을 조사한 결과 표본으로 추출된 종업원의 평균 휴식시간은 22분이고 표준편차는 3분으로 계산되었다. 유의수준 5%에서 총무과장의 의견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로 옳은 것은? (단 t(0.05,24))=1711)
1.
검정통계량 t<1.711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2.
검정통계량 t<1.711이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한다.
3.
종업원의 실제 휴식시간은 규정시간 20분보다 더 길다고 할 수 있다.
4.
종업원의 실제 휴식시간은 규정시간 20분보다 더 짧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문제 마지막 부분에서 (단 t_(0.05, 24))=1711) 부분을 "(단, t_(0.05, 24) = 1.711)"로 수정해야 하며, 보기 2번은 검정통계량 t > 1.711로 부등호를 바꿔야 합니다.
77.
단순회귀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독립변수는 오차없이 측정가능해야 한다.
2.
종속변수는 측정오차를 수반하는 확률변수이다.
3.
독립변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4.
종속변수의 측정오차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3.독립변수는 확률적이 아니라 확정적으로 주어진 값이다. [해설작성자 : ㅎㅎㅎ]
78.
다음 통계량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
1.
평균
2.
분산
3.
최빈값
4.
중앙값
정답 : [
2
] 정답률 : 68%
79.
동물학자인 K박사는 개들이 어두운 곳에서 냄새를 더 잘 맡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같은 품종의 비슷한 나이의 개 20마리를 임의로 10마리씩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은 밝은 곳에서, 다른 그룹은 어두운 곳에서 숨겨진 음식을 찾도록 하고, 그때 걸린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음식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정규분포를 따르고 두 그룹의 분산은 모르지만 같다고 가정한다. μX밝은 곳에서 걸리는 평균시간, μY어두운 곳에서 걸리는 평균 시간이라 하자. K 박사의 생각이 옳은지를 유의수준 1%로 검정할 때, 다음 중 필요하지 않은 것은? (단, t(0.01,18)=2.552)
1.
2.
제2종 오류
3.
공통분산 Sp2
4.
t(0.01,18)
정답 : [
2
] 정답률 : 49%
80.
아파트의 평수 및 가족수가 난방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Y는 아파트 난방비(천원)이다.)
1.
추정된 회귀식은 이다.
2.
유의수준 5%에서 종속변수 난방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평수이다.
3.
가족수가 주어질 때, 난방비는 아파트가 1평 커질 때 평균 3.37(천원) 증가한다.
4.
아파트 평수가 30평이고 가족이 5명인 가구의 난방비는 122.44(천원)으로 예측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81.
연속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함수를 f(x)라 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f(x)≧0
2.
3.
4.
a≤b 이면, P(X≤a)≤P(X≤b)
정답 : [
3
] 정답률 : 36%
82.
버스전용차로를 유지해야 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의 비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1,00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700명이 찬성한다고 응답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중 버스전용차로제에 찬성하는 사람의 비율의 추정치는?
1.
0.4
2.
0.5
3.
0.6
4.
0.7
정답 : [
4
] 정답률 : 67%
83.
검정력(pow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귀무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각시킬 확률이다.
2.
참인 귀무가설을 채택할 확률이다.
3.
대립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시킬 확률이다.
4.
거짓인 귀무가설을 채택할 확률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84.
다음 중 대푯값이 아닌 것은?
1.
최빈값
2.
기하평균
3.
조화평균
4.
분산
정답 : [
4
] 정답률 : 66%
85.
어느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신장은 평균이 168cm이고, 표준편차가 6cm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을 임의 추출할 때, 표본평균이 167cm이상 169cm 이하일 확률은? (단, P(Z≤1.67)=0.9525)
1.
0.9050
2.
0.0475
3.
0.8050
4.
0.7050
정답 : [
1
] 정답률 : 42%
86.
다음 중회귀모형에서 오차분산 σ2의 추정량은? (단, ei 는 잔차를 나타낸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오차 분산의 추정값 = MSE
독립변수(=처리 자유도) : 2개 총 자유도 : n-1 오차 자유도 = n-1-2 = n-3 → 분자
분모 : SSE = 편차 제곱의 합 [해설작성자 : Choboim]
87.
강판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25개의 제품을 임의로 추출하여 두께는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가 5(mm)이었다. 모분산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이 아닌 것은? (단, 강판의 두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1.
X2(24,0.025)
2.
X2(24, 0.975)
3.
X2(24, 0.95)
4.
표본분산 25
정답 : [
3
] 정답률 : 38%
88.
공정한 주사위 1개를 굴려 윗면에 나타난 수를 X라 할 때, X의 기댓값은?
1.
3
2.
3.5
3.
6
4.
2.5
정답 : [
2
] 정답률 : 50%
89.
남, 여 두 집단의 연간 상여금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200만원, 30만원), (130만원, 20만원)이다. 두 집단의 산포를 변동(변이)계수를 통해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남자의 상여금 산포가 더 크다.
2.
여자의 상여금 산포가 더 크다.
3.
남녀의 상여금 산포가 같다.
4.
비교할 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변이계수(변동계수)=표준편차/평균 남자의 변이계수=30/200=0.15 여자의 변이계수=20/130=0.154 따라서, 여자의 상여금 산포가 더 크다. [해설작성자 : 오랜망갑]
90.
어떤 공장에서 두 대의 기계 A, B를 사용하여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기계 A는 전체 생산량의 30%를 생산하며 기계 B는 전체 생산량의 70%를 생산한다. 기계 A의 불량률은 3%이고 기계 B의 불량률은 5%이다. 임의로 선택한 1개의 부품이 불량품일 때, 이 부품이 기계 A에서 생산되었을 확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2
] 정답률 : 53%
91.
모집단 {1, 2, 3, 4}로부터 무작위로 2개의 수를 복원으로 추출할 때, 표본평균의 기대값과 분산은?
1.
기대값 : 2.5, 분산 : 0.884
2.
기대값 : 1.25, 분산 : 0.625
3.
기대값 : 2.5, 분산 : 0.625
4.
기대값 : 1.25, 분산 : 0.884
정답 : [
3
] 정답률 : 49%
92.
왜도가 0이고 첨도가 3인 분포의 형태는?
1.
좌우 대칭인 분포
2.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
3.
오른쪽으로 치우친 분포
4.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뾰족한 모양의 분포
정답 : [
1
] 정답률 : 67%
93.
주사위 1개와 동전 1개를 동시에 던질 때, A는 동전이 앞면일 사건, B는 주사위 눈의 수가 5일 사건으로 정의하자. 이 때 P(A|B)의 값은?
1.
1/6
2.
1/2
3.
1/12
4.
5/6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P(A)=1/2(동전이 앞면일확률) P(B)=1/6(주사위 5나올 확률) P(A)P(B)=2/1 * 6/1 = 1/12 (1/12)/(1/6)=0.5 즉 2번
94.
어느 질병에 대한 세 가지 치료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모형 에서 오차항 에 대한 가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정규분포를 따른다.
2.
서로 독립이다.
3.
분산은 i 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시계열 모형을 따른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95.
평균이 μ이고 분산이 σ2=9인 정규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크기 100인 확률표본의 표본평균 를 이용하여 가설 을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는 경우 기각역이 Z≥1.645 이다. 이때 검정통계량 Z에 해당하는 것은? (단, P(Z>1.645)=0.05)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38%
96.
다음 결과를 이용하여 X와 Y의 표본상관계수 r을 계산하면? (단, )
1.
0.35
2.
0.40
3.
0.45
4.
0.50
정답 : [
4
] 정답률 : 28%
97.
A, B, C 세 공법에 대하여 다음의 자료를 얻었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위의 세 가지 공법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할 때, 처리제곱합의 자유도는?
1.
1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53%
98.
카이제곱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유도가 k인 카이제곱분포의 평균은 k이고, 분산은 2k이다.
2.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오른쪽으로 치우쳐있고, 왼쪽으로 긴 꼬리를 갖는다.
3.
V1, V2가 서로 독립이며 각각 자유도가 k1, k2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를 때 V1+V2는 자유도가 k1+k2 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4.
Z1∙∙∙Zk가 서로 독립이며 각각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일 때 Z12+∙∙∙+Zk2은 자유도가 k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왼쪽으로 치우쳐있고, 오른쪽으로 긴 꼬리를 갖는다. [해설작성자 : 일주일뒤셤^*^]
99.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결정계수 R2값과 기울기에 대한 가설 H0 : β1=0 에 대한 유의수준 5%의 검정결과로 옳은 것은? (단, α=0.05, t(0.025, 3)=3.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