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제연설비의 소요배출량 27,000 m3/h, 송풍기 전압(全壓) 60mmAq, 효율 55%, 여유율 20%인 다익형 송풍기의 축동력(kW)과 본, 송풍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배출량만 20%로 증가시킬 경우 회전수(rpm)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익형 송풍기의 초기회전수는 1,200 rpm이다)
1.
축동력 6.63, 회전수 1,350
2.
축동력 6.63, 회전수 1,480
3.
축동력 9.63, 회전수 1,440
4.
축동력 9.63, 회전수 1,450
정답 : [
3
] 정답률 : 67%
20.
인간의 피난행동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옮지 않은 것은?
1.
퇴피본능 : 반사적으로 위험으로 멀리하려는 본능
2.
폐쇄공간지향본능 : 가능한 좁은 공간을 찾아 이동하다가 위험성이 높아지면 의외의 넓은 공간을 찾는 본능
3.
지광본능 : 화재 시 연기 및 정전 등으로 시야가 흐려질 때 어두운 곳에서 개구부. 조명부 등의 밝은 빛을 따르려는 본능
4.
귀소본능 : 피난 시 평소의 사용하는 문, 길, 통로를 사용하거나 자신이 왔었던 길로 되돌아가려는 본능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폐쇄공간지향본능 : 가능한 넓은 공간을 찾아 이동하다가 위험성이 높아지면 의외의 좁은 공간을 찾는 본능 [해설작성자 : 벽력]
21.
피난시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수단은 원식적인 방법에 의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피난대책은 Fool proof 와 Fail safe의 원칙을 중시해야 한다
3.
피난경로에 따라 일정한 구획을 한정하여 피난 Zone을 설정하고,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4.
피난설비는 이동식 시설에 의해야 하고, 가구식의 기구나 장치 등은 극히 예외적인 보조수단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2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시험, 측정 및 조정 등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등의 크기와 열리는 방향이 설계 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급기량과 보충량 등을 다시 산출하여 조정가능여부 또는 재설계ㆍ개수의 여부를 결절할 것
2.
제연구역의 출입문 및 복도와 거실(옥내가 복도와 거실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한한다)사이의 출입문마다 제연설비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폐쇄력을 측정할 것
3.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이 지하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차장에서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제연구역으로 들어가는 출구에 설치된 제연용 연기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해당 수직풍도에 연결된 일부 제연구역의 댐퍼가 개방되도록 할 것
4.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연설비를 가동시킨 후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측정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제연구역의 출입문 및 복도와 거실(옥내가 복도와 거실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한한다)사이의 출입문마다 제연설비가 작동하고 있지아니한 상태에서 그 폐쇄력을 측정할 것 3.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이 지하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차장에서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제연구역으로 들어가는 출구에 설치된 제연용 연기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해당 수직풍도에 연결된 모든 제연구역의 댐퍼가 개방되도록 할 것 4.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연설비를 가동시킨 후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측정할 것 [해설작성자 : 벽력]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3번오류] 둘 이상~ 둘 이상×(하나의)
23.
압력 0.8MPa, 온도 20℃의 CO2 기체 10Kg 을 저장한 용기의 체적(m3)은 약 얼마인가? (단, CO2의 기체상수 R=19.26Kgㆍm/㎏ㆍK, 절대온도 273K 이다)
1.
0.71
2.
1.71
3.
2.71
4.
3.71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보일 샤를 법칙 PV=GRT V=GRT/P =<10Kg*19.26Kgㆍm/㎏ㆍK*(20+273)K>/80000Kg/m2 =0.705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짱]
C3H8 + 5O2 = 3CO2 + 4H2O 공기몰수 = 5/0.21 = 23.81 23.81 X 0.79 / 23.81 + 3 + 4 = 0.6105 위 식에서 공기(산소+질소+이산화탄소+수증기(물)) 중에서 질소만의 부피비를 구해야 하므로 61.1%가 된다. 그러나 산소를 기체로 보지 않으므로 식은 23.81 X 0.79 / 23.81 x 0.79 + 3 + 4 = 0.7287로 해야 함. [해설작성자 : 아자~~]
31.
천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 의한 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설계농도(%)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A 광역시 교외에 위치한 산업단지의 노후화된 물탱크 안전진단 결과 철거결정이 내려졌다. 물탱크 구조물을 해체하기 전에 탱크안의 물을 먼저 배수하여야 하는데 수위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유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물을 대기압 하의 물탱크 바닥 오리피스에서 분출시킬 때 최대유량(m3/s)은 약 얼마인가? (단, 오리피스의 지름은 5cm, 초기수위는 3m 이다)
하도급계약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제외한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소방 분야 연구기관의 연구위원급 이상인 사람은 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위촉될 수 있다
3.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3분의 2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두 차례까지 연임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하도급계약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소방 분야 연구기관의 연구위원급 이상인 사람은 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위촉될 수 있다 3.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한 차례까지 연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SHARK]
57.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자보수 대상 소방시설과 하자보수 보증기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기구 - 3년
2.
자동화재탐지설비 - 3년
3.
자동소화장치 - 3년
4.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3년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년-피난기구,유도등,유도표시,비상경보설비,비상조명등,비상방송설비,무선통신보조설비 그 외 3년
58.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영업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 시ㆍ도지사가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경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업수행능력 평가에 관한 서류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등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입찰에 참여한 경우
2.
동일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에 대한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할 수 없으나 이를 위반하여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한 경우
3.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 공부원의 출입 또는 검사ㆍ조사를 기피한 경우
4.
공사감리자를 변경하였을 때에는 새로 지정된 공사감리자와 종전의 공사감리자는 감리 업무 수행에 관한 사항과 관계 서류를 인수ㆍ인계하여야 하나, 인수ㆍ인계를 기피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경우는?
지문 2 동일한 → 상이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하며 정답은 2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제10조(과징금처분) ① 시ㆍ도지사는 "제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영업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2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개정 2020. 6. 9.>
제9조1항 각 호에 문제 선지가 다 들어맞습니다.
① 24의3. 제26조의2제1항 후단에 따른 사업수행능력 평가에 관한 서류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등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입찰에 참여한 경우 ② 24. 제24조를 위반하여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한 경우 ③ 26. 정당한 사유 없이 제31조에 따른 관계 공무원의 출입 또는 검사ㆍ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 ④ 15. 제17조제3항을 위반하여 인수ㆍ인계를 거부ㆍ방해ㆍ기피한 경우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관련 규정을 봤는데 문제가 잘못된것 같기는 한데요. 문제지 원본과는 일치 합니다. 출제가 잘못 된것인지..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이 증축되는 경우는 기존 부분에 대해서는 증축 당시의 소방시설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존 부분과 증축 부분이 갑종 방화문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2.
기존 부분과 증축 부분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동방화셔터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3.
자동차 생산공장 내부에 연면적 50제곱미터의 직원 휴게실을 증축하는 경우
4.
자동차 생산공장에 3면 이상에 벽이 없는 구조의 캐노피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면적 33이하의 직원 휴게실 증축은 면제 [해설작성자 : 승진]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임시소방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상경보장치
2.
간이완강기
3.
간이소화기
4.
간이피난유도선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소화기, 비상경보장치,간이소화기,간이피난유도선 [해설작성자 : SHARK]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8] 임시소방시설의 종류와 설치기준 등 1. 임시소방시설의 종류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가스누설경보기, 간이피난유도선, 비상조명등, 방화포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6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해당하는 것은? (단,「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을 적용받는 특정소방대상물은 제외함)
1.
지하구
2.
철강 등 불연성 물품을 저장ㆍ취급하는 창고
3.
층수가 10층이고 연면적이 1만 5천제곱미터인 판매시설
4.
층수가 20층이고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60미터인 아파트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급 50층 이상 200미터 아파트 / 30층 이상 120미터 대상물 / 연면적 20만 2급 30층 이상 120미터 아파트 / 11층이상 대상물 / 연면적 1만5천 / 가연성 1천톤 3급 sp, 간이sp, 물분무 / 가연성 100톤 이상 1천톤 미만 / 지하구, 공동주택 ㅡㅡㅡㅡㅡㅡㅡㅡ
성능위주 = 30층 / 공동주택 5층이상 / 100미터 연면적 20만 / 연면적 3만(도시철도 철도 공항) / 영화관 10개 상영관 이상 [해설작성자 : 승진]
특급 : 50층이상(지하층제외) or 200미터 이상 아파트 / 30층 이상(지하층포함) or 120미터 대상물 / 연면적 10만이상 1급 : 30층이상(지하층제외) or 120미터 이상 아파트 / 연면적 1만5천이상 대상물(아파트x, 연립주택x) / 11층이상 대상물(아파트x) / 가연성가스 1천톤이상 저장취급시설 2급 :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물분무등(호스릴x) 설치대상물 / 가스제조설비 100톤이상 1천톤미만 / 지하구 / 공동주택(옥내소화전 or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된것만) / 보물,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3급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주택전용x) 설치대상 /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대상 * 2022년 12월 1일 법개정 최신화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6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ㆍ도지사는 소방시설관이업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서를 제출받은 때에는 3일 이내에 소방시설업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재교부하여야 한다
2.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소방시설관리업을 휴ㆍ폐업한 때에는 3일 이내에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장에게 그 소방시설괸리업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반납하여야 한다.
3.
시ㆍ도지사는 소방시설관리업자로부터 소방시설관리업등록사항 변경신고를 받은 때에는 7일 이내에 소방시설관리업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새로 교부하여야 한다
4.
피성년후견인이 금고 이상의 형의 빕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이 종요된 경우에는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재교부 3일 / 휴폐업 30일 이내 반납 / 변경신고 5일이내 건축허가 동의 5일이내(특급 10일이내) 보완요구 4일이내 [해설작성자 : 승진]
6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원은 근린생활시설이다
2.
보건소는 업무시설이다
3.
요양병원은 의료시설이다
4.
동물원은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동물원은 문화및집회시설
64.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주택용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주택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소방시설법 제8조) 1. 단독주택 2. 공동주택(아파트 및 기숙사 제외)
주택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1. 단독주택 2. 공동주택(아파트 및 기숙사 제외)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6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중 가스시설은 제외함)
1.
공동구
2.
지하가(터널은 제외)로서 연면적 1천 m2 이상인 것
3.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1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
4.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층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6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 [해설작성자 : SHARK]
6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우수품질 제품에 대한 인증 및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우수품질인증을 받으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2.
우수품질인증을 받은 소방용품에는 KS인증 표시를 한다.
3.
우수품질인증의 유효기간은 5년의 범위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4.
중앙행정기관은 건축물의 신축으로 소방용품을 신규 비치하여야 하는 경우 우수품질인증 소방용품을 반드시 구매ㆍ사용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40조 (우수품질 제품에 대한 인증) 1. 행안부령에 따라 청장에게 신청 2. KS표시의 경우 소방품질 인증을 받은 것임 3. 옳다 4. 반드시가 아닌 우선 구매 [해설작성자 : 승진]
6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본부장이 소방특별조사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위촉할 수 없는 사람은?
1.
소방기술사
2.
소방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
3.
과장급 직위 이상의 소방공무원
4.
소방공무원 교육기관에서 소방위 관련한 연구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설법 4조7항 소방특별조사 및 령 7조의2 소방특별조사에의 전문가의 참여 소방 관련 법인 또는 단체에서 소방 관련 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 소방공무원 교육기관 및 고등교육 기관에서 소방 관련 교육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 [해설작성자 : 승진]
6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지정수랑 이사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자에 대한 조치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방서장은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2.
소방본부장은 주택의 난방시설(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은 제외한다)을 위한 취급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3.
시ㆍ도지사는 축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4.
소방서장은 농예용으로 필요한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3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지정수량 20배 농축수산 [해설작성자 : 승진]
6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운반용기에 대한 수납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금속제의 운반용기는 3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외부의 점검 및 7년 이내의 사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내부의 점거에서 누설 증 이상이 없을 것
2.
경질플라스틱제의 운반용기에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당해 운반용기는 제조된 때로부터 7년 이내의 것으로 할 것
3.
플라스틱내 용기 부착의 운반용기에 있어서는 3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기밀시험에서 누설 등 이상이 없을 것
4.
금속제의 운반용기에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55℃의 온도에서 증기압이 130 KPa 이하가 되도록 수납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금속제, 경질플라스틱, 플라스틱내 용기 부착의 운반용기에 있어서 2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외부의 점검 및 5년 이내의 사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내부의 점거에서 누설 증 이상이 없을 것. 2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기밀시험에서 누설 등 이상이 없을 것 [해설작성자 : shark]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9] 위험물 운반에 관한기준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운반용기에 대한 수납기준 1. 금속제, 경질플라스틱, 플라스틱내 용기 부착의 운반용기는 다음의 시험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ㄱ. 2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기밀시험 ㄴ. 2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운반용기 외부점검, 기능점검 및 5년 이내에 실시한 내부점검 2. 경질플라스틱, 플라스틱내 용기 부착의 운반용기에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 제조된 때로부터 5년 이내의 것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7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안전교육의 교육대상자와 교육시기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관리자 - 신규 종사 후 3년마다 1회
2.
위험물운송자 - 신규 종사 후 3년마다 1회
3.
탱크시험자의 기술인력 - 신규 종사 후 6개월 이내
4.
위험물운송자가 되고자 하는 자 -신규 종사 전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안전관리자 - 신규 종사 후 2년마다 1회 [해설작성자 : SHARK]
7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 1류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염소산염류 - 50 킬로그램
2.
브롬산염류 - 200 킬로그램
3.
요오드산염류 - 300킬로그램
4.
중크롬산염류 - 1,000 킬로그램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브롬산염류 - 300 킬로그램 [해설작성자 : SHARK]
7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 등에 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1일, ㄴ:대통령령, ㄷ:소방서장
2.
ㄱ:1일, ㄴ:행정안전부령, ㄷ:시ㆍ도지사
3.
ㄱ:3일, ㄴ:대통령령, ㄷ:소방서장
4.
ㄱ:3일, ㄴ:행정안전부령, ㄷ:시ㆍ도지사
정답 : [
2
] 정답률 : 59%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로 인한 생명 .신체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화재위험평가를 할 수 있는 지역 또는 건축물에 해당하는 것은?
1.
3천제곱미터 지역 안에 다중이용업소가 40개 이상 밀집하여 있는 경우
2.
하나의 건축물에 다중이용업소로 사용하는 영업장 바닥면적의 합계가 5백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3.
5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다중이용업소가 10개 이상 있는 경우
4.
4천제곱미터 지역 안에 4층 이하인 건축물로서 다중이용업소가 20개 이상 밀집하여 있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개 건축물 바닥면적 1000m2 5층 이상 10개 업소 2000m2 내 50개 업소 1000 5 10 2000 50 [해설작성자 : 아직 맨땅]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관련 행정기관의 통보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14일, ㄴ: 시ㆍ도지사
2.
ㄱ: 30일, ㄴ: 시ㆍ도지사
3.
ㄱ: 14일, ㄴ: 소방본부방 또는 소방서장
4.
ㄱ: 30일, 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신규의 경우 14일 이내 소재지 관할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 통보 재개 및 변경 등의 경우 30일 이내 “ [해설작성자 : 혜운]
다중법 제 7조 다중이용업의 허가, 인가, 등록, 신고수리를 하는 행정기관은 허가 등을 한 날부터 "14일"이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통보
허가관청은 다음의 행위를 하였을 때 신고를 수리한 날 부터 30일 이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통보 휴업, 폐업, 휴업 후 영업 재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이용업소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촉진에 관한 사항
2.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안전에 관한 정보제계의 구축 및 관리
3.
다중이용업소의 적정한 유지ㆍ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기술 연구ㆍ개발
4.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자체지도 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중이용업 기본계획 1. 다중이용업 안전곤리기본계획 / 5년마다 청장수립 / 기본계획 및 안전기준의 개발, 자율적인 안전관리능력의 향상, 화재배상책임보험제도의 정착 등에 관한 사항 2. 연도별 안전관리계획 / 연마다 전년도 12월31일까지 3. 안전관리 집행계획 / 연마다, 본부장, 1월 31일까지 청장 보고 / 소방시설 설치유지, 교육 훈련 및 자체지도계획 [해설작성자 : 승진]
4과목 :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발생하는 무기과산화물은?
1.
중크롬산나트륨
2.
과망간산나트륨
3.
과산화나트륨
4.
과염소산나트륨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무기과산화물] 과산화 칼륨 과산화 나트륨 과산화 마그네슘 과산화 리튬
77.
제 2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린은 황린에 비해 화학적으로 활성이 크고 공기 중에서 불안전하다
2.
마그네슘 화재 시 물을 주수하면 메탄가스가 발생하여 폭발적으로 연소한다.
3.
유황은 연소될 때 오산화인이 생성된다
4.
철분은 상온에서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적린은 황린에 비해 안정하다 2. 마그네슘 화재 시 물을 주수하면 수소가스가 발생하여 폭발적으로 연소한다. 3. 유황은 연소될 때 이산화황이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shark]
7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제 2류 위험물인 금속분에 해당되는 것은? (단, 150 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1.
칼슘분
2.
니켈분
3.
세슘분
4.
아연분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금속분 1. 알칼리금속,알칼리토금속,철 및 마그네슘 외의 금속의 분말 2. 구리분,니켈분 및 150um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wt% 미만인 것은 제외 3. 종류 : 알루미늄분,티탄분,지르코늄분,크롬분,망간분,코발트분,은분,아연분,카드뮴분,갈륨분,탈륨분,게르마늄분,주석분,납분,안티몬분,비스무스분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79.
황린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질은?
1.
오산화인
2.
황화수소
3.
인화수소
4.
이산화황
정답 : [
1
] 정답률 : 62%
80.
탄화칼슘 10kg이 질소와 고온에서 모두 반응한다고 가정할 때 생성되는 칼슘시안아미드(Calcium Cyanamide)의 질량(Kg)은? (단, 원자량은 Ca는 40, C는 12, N는 14로 한다.)
1.
10.3
2.
12.5
3.
14.4
4.
25.0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aC2 + N2 > CaCN2 + C 64 80 10 X 80*10/64 1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아세트알데히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 에틸알코올이 생성된다
2.
강산화제와 접촉 시 혼촉발화의 위험성이 있다
3.
인화점이 낮아 상온에서 인화히기 쉬운 물질이다.
4.
구리, 은,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산화되면 초산이 된다. CH3CHO +O2 ->CH3COOH
82.
탄화알루미늄과 트리에틸알루미늄이 각각 물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기체는?
1.
탄화알루미늄:CH4, 트리에틸알루미늄:C2H6
2.
탄화알루미늄:C2H2, 트리에틸알루미늄:H2
3.
탄화알루미늄:CH4, 트리에틸알루미늄:C2H4
4.
탄화알루미늄:C2H6, 트리에틸알루미늄: H2
정답 : [
1
] 정답률 : 61%
83.
제 4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레오소트유는 콜타르를 증류하여 제조하며 나프탈렌과 안트라센을 포함한 혼합물이다.
2.
콜로디온은 용제인 에탄올과 에테르가 증발하고 나면 제6류 위험물과 같은 산화성을 나타낸다.
3.
이황화탄소는 액체비중이 물보다 크며 완전연소 시 이산화황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4.
이소프로필알코올은 25℃ 에서 인화의 위험이 있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체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콜로디온 제4류 위험물 용제(에탄올과 에테르)가 증발하면 제5류 위험물과 같은 위험성이 있다.
84.
트리니트로페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00℃ 이상으로 가열하면 폭발한다.
2.
순수한 것은 상온에서 황색의 액체이다.
3.
에탄올에 녹는다.
4.
피크린산이라고도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순수한 것은 상온에서 황색의 (고체)이다. *제5류 위험물의 전체특성 중 하나가 고체성
8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운반하는 경우 질산에탈올과 함께 운반할 수 있는 것은?
1.
염소산암모늄, 과망간산칼륨
2.
적린, 아크릴산
3.
아세톤, 황린
4.
등유, 과염소산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질산에탈올 : 제5류 위험물 => 제5류 + 제 2류 + 제4류 제1류 + 제 6류 제3류 + 제 4류 [해설작성자 : shark]
8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에 관한 기준 중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환기설비 설치기준 1. 환기구는 지붕위 또는 지상 2m 높이 2. 환기는 자연배기 방식으로 할 것. 3. 급기구는 바닥면적 150m2 마다 1개 이상으로 하되, 급기구의 크기는 800cm2 이상으로 할 것. 4.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고 가는 눈 구리망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할 것.
9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와 인근 건축물 등과의 안전거리가 다음 중 가장 긴 것은? (단,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를 제외한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하탱크저장소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이중벽탱크와 특수누설방지구조는 제외한다.)
1.
지하저장탱크의 윗부분은 지면으로부터 0,5m 이상 아래에 있어야 한다.
2.
지하저장탱크와 탱크전용실의 안쪽과의 사이는 5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3.
지하저장탱크는 용량이 1,500 L 이하일 때 탱크의 최대 직경은 1,067mm, 강철판의 최소두께는 4.24mm로 한다.
4.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탱크전용실의 벽. 바닥 및 뚜껑은 두께 0.3m 이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직경 9mm부터 13mm까지의 철근을 가로 및 세로로 5cm 부터 20cm까지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지하탱크저장소 설치기준 1. 지면으로부터 0.6m 이상 아래 2. 간격 0.1m 3. 탱크의 재질은 두께 3.2m 이상의 강철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1000L 이하 일 때 기준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어섬랑]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름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동탱크저장소 구조 기준 ㄱ.주입설비의 길이는 50m, 분당 토출량 200L ㄹ.방호틀은 두께 2.3mm 이상의 강철판
9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기준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ㄱ:0.1, ㄴ: 0.5
2.
ㄱ:0.1, ㄴ.1.0
3.
ㄱ:0.2, ㄴ:0.5
4.
ㄱ:0.2, ㄴ.1.0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옥외탱크저장소 방유제 1.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3m 이하, 두께 0.2m 이상, 지하매설깊이 1m 이상으로 할 것. 2. 방유제 내의 면적은 8만m2 이하로 할 것. 3. 방유제 외면의 2분의 1 이상은 자동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3m 이상의 노면폭을 확보할 것.
9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저장소의 전축물 외벽이 내화구조이고 연면적이 900 m2인 경우, 소화설비의 설치기준에 의한 소화설비 소요단위의 계산값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노유자시설 : 1 2 3층 미 대 교 다 승 4-10층 대 교 다 승 답 중복인 것 같습니다 2,3번 답인 듯 듯듯 [해설작성자 : 공부님공주중]
11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상 축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으로부터 높이 50cm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할 것
2.
구획된 각 실로부터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설치할 것
3.
피난유도 표시부는 1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 할 것
4.
외광 또는 조명장치에 의하여 상시 조명이 제공되거나 비상조명등에 의한 조명이 제공되도록 설치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축광식- 높이 50cm, 간격 50cm 광원점등식- 높이 1m, 간격 50cm(곤란시 1m) [해설작설자 : 퍼스트]
11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소방대상물의 최소 경계구역 수는?
1.
12개
2.
21개
3.
23개
4.
24개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수평경계 600m^2 기준에 층별 605m^2 이므로 10층 * 2 = 20개 2. 수직경계 지하/지상구분하며 40m가 넘으면 다시 구분 한층에 4.3m --> 지하 8.6m (1개), 지상 34.4m (1개) 3. 계단/엘레베이터 별도 1개 총 23개 [해설작성자 : 갈길이 멀다.]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복합건축물로서 배관 길이 80m, 관경 100 mm, 마찰손실계수 0.03인 배관을 통해 높이 60m 까지 소화수를 공급할 경우,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펌프효율 : 0.8.전달계수: 1.15, 중력가속도 : 9.8m/s2, 헤드의 방수압 : 10mAq, π : 3.14, 헤드는 표준형이다.)
1.
47.28
2.
52.28
3.
57.28
4.
62.28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복합건축물(판매시설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복합건축물이고 건물높이 60m이상이니 스프링클러 갯수 30개이상일것으로하고 2400lpm 이니 2.4m3나누기 60초 하면 q 그뒤 관경 100미리이니 속도를구하면 5.19 이걸로 달시공식 f*L/D*U제곱/2g 하여 마찰손실을구하고 거기에 높이 60m를더하여 총 높이구한후 kw공식에넣으면 끝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114.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전원 및 콘센트 등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m2 이상인 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설비는 자가발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한다.
2.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3.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mm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
4.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 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5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비상콘센트설비 설치대상 1.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2.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3. 지하가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퍼스트]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 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
5.소화활동설비
라.비상콘센트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한다)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1.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2.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3. 지하가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문제에선 "화재안전기준"상의 "전원 및 콘센트" 설치기준에 대해 묻고 있음.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4)
2.1.1.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m2 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m2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에는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다만, 2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관리사화이팅]
11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광전식분리형감지기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2.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60% 이상으로 할 것
3.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30cm 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4.
감지기의 수평면은 햇빛이 잘 비추는 곳으로 놓이도록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80%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퍼스트]
116.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수신기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6층 이상의 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할 것
2.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할 것
3.
하나의 경계구역은 여러 개 표시등으로 표시하여 공동감시가 가능토록 설치할 것
4.
실내면적이 50m2 이상으로 열이나 연기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일시적인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를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4)층 이상의 3.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4. 실내면적이 (40m2 미만의) [해설작성자 : 퍼스트]
지상 5층 복합건축물 각층에 최대 옥내소화전 3개와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 60개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필요한 수원의 양(m3)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01.2
2.
57.8
3.
53.2
4.
52.6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옥내소화전의 경수 최대 기준 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때문에 옥내 소화전의 경우는 2.6 * 2 를 하여 5.2이 되며 스프링클러의 경우 1.6*30(설치갯수)=48 입니다.
따라서 48+5.2=53.2가 정답이 됩니다.
12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옥외소화설비 설치 대상으로 옳은 것은?
1.
동일구내 각각의 건축물이 다른 건축물의 2층 외벽으로부터 수평거리가 10.5m 이며, 지상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5,000m2 인 건축물
2.
가연성 액체류 1,000m3 이상을 저장하는 창고
3.
국보로 지정된 석조건축물
4.
볏짚류 750,000Kg 이상을 저장하는 창고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옥외소화전 설치대상 1.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9,000m2 이상 2.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 된 목조건축물 3.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75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 [해설작성자:퍼스트]
124.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
2.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1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3.
복도ㆍ통로ㆍ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하며, 각 부분으로 부터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것
4.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 등에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15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25.
소방펌프 시운전 시 공급유량이 원활하지 않아 펌프 임펠러 교체로 회전수를 변경하였다. 이 때 소요 펌프동력 (KW)은 약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