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축척변경위원회의 심의·의결사항 ① 축척변경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②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의 결정과 청산금의 산정에 관한 사항 ③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 ④ 그 밖의 축척변경과 관련하여 지적소관청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해설작성자 : 고봉밥]
30.
지적소관청은 1필지의 토지소유자가 최소 몇 인 이상일 때 공유지연명부를 비치하는가?
1.
2인
2.
3인
3.
4인
4.
5인
정답 : [
1
] 정답률 : 77%
31.
지적측량 중 세부측량은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기초로 하여 어떤 방법에 따라야 하는가?
1.
레벨측량방법
2.
평판측량방법
3.
전파기측량방법
4.
사진측량방법
정답 : [
2
] 정답률 : 69%
32.
축척 1/1200지역에서 도곽선을 측정한바 +1.0m, +0.8m, 0.9m, +0.8m이고 도상거리가 8cm 일 때 보정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5.00 m
2.
95.81 m
3.
96.00 m
4.
96.81 m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95.61m에요 책에도 그렇게 되있어요
[관리자 입니다. 시험 사진 원본 확인결과 95.81이 맞습니다. 다른책 확인 가능하신분 확인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한솔 지적기능사 2020년 책에는 0.9960 X 96= 95.61 이라고 나와있네요
[오류신고 반론] 지적법시행규칙 32조의 4항 ③제2항의 규정에 의한 보정량의 산출은 다음식에 의한다. 축척 1/1200 도상거리 8cm → 실제거리 96m 보정량 =신축량×4/도곽선길이의 합×실측거리 신축량=(1.0+0.8+0.8+0.9)/4=0.875 그러면 보정량=(0.875x4)/(400x2+500x2)x96m = 0.186666 보정거리 → 실측거리-보정량= 96m-0.1867=95.81m [해설작성자 : 쓰다보니 조금 난잡해졌나..?]
33.
지적제도를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지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2.
발전 단계에 의한 분류
3.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4.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적제도의 분류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 2차원 지적, 3차원 지적 •발전단계에 의한 분류 :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 지적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 소극적 지적, 적극적 지적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 도해지적, 수치지적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주세요]
34.
다음 중 지적공부가 아닌 것은?
1.
토지대장
2.
공유지연명부
3.
대지권등록부
4.
도로대장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적공부에는 토지 및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 대지권등록부, 지적 및 임야도, 경계점좌표부
35.
현행 지적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목의 종류는?
1.
16개
2.
20개
3.
24개
4.
28개
정답 : [
4
] 정답률 : 77%
36.
다음 중 토지대장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번
2.
지목
3.
경계
4.
면적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토지대장의 등록사항 1.토지의 소재 2.지번 3.지목 4.면적 5.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 6.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주세요]
37.
도곽선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접 도면과의 접합 기준
2.
지적기준점 전개의 기준
3.
도곽 신축량의 측정 기준
4.
필지별 경계를 결정하는 기준
정답 : [
4
] 정답률 : 50%
38.
물권이 미치는 권리의 객체로서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토지의 등록단위는?
1.
택지
2.
필지
3.
대지
4.
획지
정답 : [
2
] 정답률 : 80%
39.
축척이 1/1000 인 지적도의 포용면적 규격은 얼마인가?
1.
30000 m2
2.
50000 m2
3.
80000 m2
4.
120000 m2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용면적 규격이란 지적도 한 장이 포함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축척이 1/1000인 지적도의 경우, 한 장이 포함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은 120000 m2입니다. [해설작성자 : 머이따꼬]
40.
지적공부를 멸실하여 이를 복구하고자 하는 경우, 지적소관청은 멸실 당시의 지적공부와 가장 부합된다고 인정되는 관계자료에 의하여 토지의 표시에 관한 사항을 복구하여야 한다. 이 때의 복구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공부의 등본
2.
임대계약서
3.
토지이동정리결의서
4.
측량결과도
정답 : [
2
] 정답률 : 66%
41.
다음 중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면의 제명 및 축척
2.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3.
도곽선과 그 수치
4.
지번과 결번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일람도의 등재사항 ①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및 인접지역의 행정구역 명칭 ② 도면의 제명 및 축척 ③ 도면번호 ④ 도곽선 및 도곽선 수치 ⑤ 하천·도로·철도·유지·취락 등 주요 지형·지물의 표시 [해설작성자 : 고봉밥]
42.
지적공부의 정리시 검은 색으로 하는 것은?
1.
도곽선
2.
도곽선수치
3.
말소사항
4.
문자정리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62%
43.
지적소관청은 바다로 된 등록말소 토지의 대상이 있는 때에는 토지소유자에게 등록말소신청을 하도록 통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 토지소유자의 등록말소 신청기간 기준은?
1.
통지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2.
통지받은 날부터 30일 이내
3.
통지받은 날부터 60일 이내
4.
통지받은 날부터 90일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59%
44.
지목의 설정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필지 1지목의 원칙
2.
일시변경 가능의 원칙
3.
주용도 추종의 원칙
4.
지목 법정주의
정답 : [
2
] 정답률 : 64%
45.
대한제국시대에 양전을 위해 설치된 최초의 지적행정 관청은?
1.
지계아문
2.
양지아문
3.
양안
4.
토지조사국
정답 : [
2
] 정답률 : 56%
46.
다음 중 경계의 결정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1.
축척종대의 원칙
2.
주지목추종의 원칙
3.
평등배분의 원칙
4.
일시 변경의 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52%
47.
토렌스시스템(Torrens System)의 일반적 이론과 거리가 먼 것은?
1.
거울이론
2.
보험이론
3.
커튼이론
4.
점증이론
정답 : [
4
] 정답률 : 73%
48.
다음 중 임야도의 축척 구분이 옳은 것은?
1.
1/1000, 1/3000
2.
1/1200, 1/3000
3.
1/1200, 1/6000
4.
1/3000, 1/6000
정답 : [
4
] 정답률 : 75%
49.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의 소재
2.
지번
3.
소유자의 성명
4.
대지권 비율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대지권의 비율은 대지권등록부에 등록됩니다. [해설작성자 : 공사쟁이 ]
50.
경계를 기하학적으로 표시하여 위치나 형태를 파악하기 쉬운 지적제도는?
1.
경제지적
2.
유사지적
3.
도해지적
4.
3차원지적
정답 : [
3
] 정답률 : 64%
51.
신규등록할 토지가 있을 때는 발생한 날부터 최대 며칠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30일
2.
40일
3.
50일
4.
60일
정답 : [
4
] 정답률 : 65%
52.
지적소관청이 토지소유자에게 지적정리 등을 통지하여야 하는 시기는 그 등기완료의 통지서를 접수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단, 표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한 경우)
1.
60일
2.
30일
3.
15일
4.
7일
정답 : [
3
] 정답률 : 46%
53.
다음 중 우리나라 지적측량에 사용하는 구소삼각원점이 아닌 것은?
1.
망산원점
2.
현창원점
3.
고성원점
4.
금산원점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구소삼각원점에는 망산,계양,조본,가리,등경,고초,율곡,현창,구암,금산,소라 원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무조건 붙음]
54.
일필지의 모양이 다음과 같은 경우 토지의 면적은?
1.
500 m2
2.
350 m2
3.
200 m2
4.
150 m2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2*20*30*SIN(30) [해설작성자 : 꺆]
55.
지적측량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성측량
2.
전파기측량
3.
사진측량
4.
천문측량
정답 : [
4
] 정답률 : 72%
56.
다음 일반적인 경계의 구분 중 측량사에 의하여 측량이 행해지고 지적 관리청의 사정에 의하여 확정된 토지 경계는?
1.
고정경계
2.
지상경계
3.
보증경계
4.
인공경계
정답 : [
3
] 정답률 : 65%
57.
지번이 105-1, 111, 122, 132-3 인 4필지를 합병할 경우 새로이 부여해야 할 지번으로 옳은 것은?
1.
105-1
2.
111
3.
122
4.
132-3
정답 : [
2
] 정답률 : 73%
58.
축척 1/1200 지적도에서 원면적이 1500m2인 필지를 분할할 때 273번지의 면적이 850m2, 273-1의 면적이 670m2이라면 273-1번지의 결정면적은?
1.
661 m2
2.
670 m2
3.
839 m2
4.
850 m2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결정면적 r=(F/A)*a r: 각필지의 산출면적(결정면적), F: 원면적, A: 측정면적 합계 또는 보정면적합계, a: 각 필지의 측정면적 또는 보정면적 r=(F/A)*a=[1500/(850+670)]*670=661m2 [해설작성자 : 나폴리]
59.
결번발생으로 결번대장에 등록할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행정구역변경
2.
도시개발사업
3.
지번변경
4.
토지분할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결번은 지적공부상 필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재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 결번대장은 이러한 결번 필지를 관리하기 위해 작성되는 대장입니다. [해설작성자 : gpt]
결번대장 ① 행정구역변경ㆍ도시개발사업ㆍ축척변경ㆍ지번정정 등의 사유로 지번의 순서에 결번이 생긴 경우에 소관청이 작성하는 대장을 말한다. ② 소관청이 지번의 결번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그 사유를 결번대장에 등록하여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적초보]
60.
현행 지적업무처리규정에 의한 지적도의 도곽크기는?
1.
가로 30cm, 세로 20cm
2.
가로 40cm, 세로 30cm
3.
가로 30cm, 세로 40cm
4.
가로 40cm, 세로 50cm
정답 : [
2
] 정답률 : 6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③
②
③
②
②
①
②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④
④
①
④
①
②
②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①
①
②
①
④
②
②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②
②
④
④
③
④
②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④
②
②
①
④
④
④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③
③
④
④
③
②
①
④
②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