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회로와 같은 단일접합트랜스지스터(UJT)를 사용한 펄스발생회로의 출력파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 - 더블베이스 다이오드라고도 함 - 저주파 및 중간 주파수 범위의 스위칭 소자, SCR의 게이트 펄스 발생, 타이머 등에 사용함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7.
수정 발진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가.
수정 진동자의 Q값이 크다.
나.
예민한 공진 특성을 이용한 주파수 필터로도 이용가능하다.
다.
발진 주파수의 변경은 수정편 자체를 교체하면 발진 주파수를 가변하기가 쉽다.
라.
주파수의 안정도가 매우 안정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수정 발진회로의 특징 1.수정 진동자의 Q가 높아 보통1,000~10,000정도 이고 안정도가 높다(10-5승 정도) 2.압전효과가있다 3.발진 주파수는 수정편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4.수정 진동자는 기계적, 물리적으로 강하다. 5.발진 조건을 만족하는 유도성 주파수 범위가 매우 좁다. 6.수정편에 항온조 등을 이용하므로 주위 온도의 영향이 적다. [해설작성자 : 도우미]
8.
다음 회로에서 RB1 = RB2 = 10kΩ이고, C1 = C2 = 0.5μF 일 때 발진주파수는?
가.
143 Hz
나.
14.3 Hz
다.
1.43 Hz
라.
0.143 Hz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F(주파수) = 1 / T (주기) = 1 / 1.4RC = 0.714 / RC = 0.714 / 10 X 10^3 X 0.5 X 10^(-6) ≒ 143 [Hz]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OR 게이트라고 오류신고 하시는분들... 인터넷 검색이라도 좀 하시고 오류신고 부탁 드립니다.]
OR게이트로 착각하는 이유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모르셔서 그러신 것 같아요.
현재 그림의 다이오드의 방향을 자세히 보시면 반대로 되어있습니다. 만약 A와 B가 0[V] 즉, 꺼져있다면 다이오드는 도통되어 C에 전압이 들어가지 않게됩니다. 즉, 0[V] OFF가 된다는 거죠 하지만 A와 B 둘 모두 ON이 된다면 0.7[V](실리콘 일 경우)의 차이가 생기지 않게 되어 C에 전압이 공급되고 ON이 되게됩니다. [해설작성자 : AND GATE인 이유!]
21.
다음 중 데이터 통신이나 미니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미국 표준 코드는?
가.
BCD
나.
ASCⅡ
다.
EBCDIC
라.
GRAY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① BCD (표준 2진화 10진 정수 코드) : 6비트, 64(2^6)개 문자 표현 가능, 대문자만 표현 가능 ② ASCII : 7비트, 128(2^7)개 문자 표현 가능, 전자우편, 데이터 통신, 개인용 PC 사용 ③ EBCDIC (확장 2진화 10진 정수 코드) : 8비트, 256(2^8)개 문자 표현 가능, 대.소문자 표현 가능 @ Unicode (유니코드) : 국제표준코드, 16비트(2바이트), 전세계 모든 문자 표현 가능 @ GRAY 코드 : A/D 변환, 비가중치 코드 @ 패리티 비트 : 에러 검출용 @ 해밍 코드 : 에러 검출 + 교정 @ 3초과 코드(Excess-3) : 0011 (3) 을 더한 결과로 나타남, 0011 이하로 존재하지 않음, 자기보수적 코드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22.
16진수 3E.A를 8진수로 표시한 것은?
가.
111110.1010
나.
175.2
다.
76.12
라.
76.5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제발 오류신고전에 정말 오류가 맞는지 본인이 잘못 생각하거나 잘못 푼게 아닌지 확인 후 오류신고 부탁 드립니다.
제 전공이라서 제가 한말씀 드리자면.. 뭘 어떻게 풀면 175.2가 나온는 걸까요?? 두분이나 똑같이 그러시니.. 뭔가 잘못되었지만 푸는 법이 있는거 같은데.. 정말 몰라서 물어 봅니다.
정답은 76.5가 맞습니다. 175.2가 나오는 이유를 설명해 주시면 왜 그렇게 풀면 안되는지 설명을 다시 드리는걸로 하겠습니다.
간략한 풀기 방법은 16진수를 2진수로 표현할때 4자리를 끊어서 표기하면 3 : 0011 E : 1110 입니다. 이걸 2진수로 붙여서 보면
00111110 입니다. 이걸 8진수로 변환하니깐 3자리로 끊어서 읽자면
00 111 110 이렇게 됩니다. 0 7 6 입니다. 즉 76입니다.
소수점 자리도 같은 방식으로 A : 1010 입니다. 주의할점은 소숫점자리 기준으로 3자씩 분리 하므로 001 010 이 아니라 101 0 이렇게 분리 되므로 5 0 이 됩니다. 즉 .50 이란 뜻입니다. 합해보면
76.5가 정답이 됩니다.]
23.
다음 중 입력 장치가 아닌 것은?
가.
마우스
나.
터치 스크린
다.
디지타이저
라.
플로터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플로터 = 대형 프린터의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24.
다음 중 속도가 가장 빠른 주소지정 방식은?
가.
간접 주소 방식(Indirect addressing)
나.
직접 주소 방식(Direct addressing)
다.
즉시 주소 방식(Immediate addressing)
라.
상대 주소 방식(Relative addressing)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속도가 가장 빠른 주소지정 방식은 즉시 주소 방식입니다. 가장 빠른 순 즉시>직접>간접>인덱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중 멀티플렉서 채널과 셀렉터 채널의 차이는?
가.
I/O 장치 용량
나.
I/O 장치의 크기
다.
I/O 장치의 속도
라.
I/O 장치의 주기억장치 연결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셀렉터 채널은 고속의 입출력 장치에 사용 멀티플렉서 채널은 저속의 입출력 장치에 사용
따라서 I/O 장치의 속도 이다. [해설작성자 : DIMS 생자 5기]
26.
CPU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주변장치는 처리속도가 늦기 때문에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변 장치에서 요청이 있을 때만 취급을 하고 그 외에는 CPU가 다른 일을 하는 방식은?
가.
interrupt
나.
isolated I/O
다.
parallel processing
라.
DMA
정답 : [
1
] 정답률 : 48%
27.
다음 중 주소 변환을 위한 레지스터는?
가.
베이스 레지스터(Base Register)
나.
데이터 레지스터(Data Register)
다.
메모리 어드레서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라.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베이스 레지스터: 기준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주기억 장치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 기억 장소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 주소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DIMS 생자 5기]
28.
다음 명령어 중 제어명령에 속하는 것은?
가.
로드(load)
나.
무브(move)
다.
점프(jump)
라.
세트(set)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어 명령:점프, 스킵, 콜 전송 명령:로드, 무브, 스토어 [해설작성자 : DIMS 생자 5기]
29.
주소지정방식 중 명령어 내의 오퍼랜드부에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아니고,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저장된 곳의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은?
가.
직접 주소지정방식(Direct addressing)
나.
상대 주소지정방식(Relative addressing)
다.
간접 주소지정방식(Indirect addressing)
라.
즉시 주소지정방식(Immediate addressing)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기억장치에 한 번만 접근하며, 주소부의 내용이 실제 주소가 된다. 상대 주소 지정 방식 :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에 주소부의 값을 더해 유효주소를 구한다.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명령어의 주소부에 레지스터의 실제 주소가 저장되어 있다.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명령어의 주소부에 실제 데이터가 들어 있다.
[해설작성자 : 낸터킷]
30.
다음 중 성격이 다른 코드(code)는?
가.
BCD 코드
나.
EBCDIC 코드
다.
ASCⅡ 코드
라.
GRAY 코드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에 정해진 값이 있는 것, 비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에 정해진 값이 없는 것 비가중치 코드의 대표적인 예로는 gray 코드와 3초과 코드가 있다. [해설작성자 : 아이폰99]
3과목 : 프로그래밍일반
31.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의미하는 기호는?
가.
#
나.
&
다.
라.
@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BNF 표기법; 배커스-나우어 형식(Backus-Naur-Form)의 약어로, 구문(Syntax) 형식을 정의하는 가장 보편적인 표기법 정의를 의미하는 기호는 3번이다. [해설작성자 : 이세계아이돌 최고!!]
32.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기준 중 단위시간에 처리하는 일의 양을 의미하는 것은?
가.
Cost
나.
Throughput
다.
Turn Around Time
라.
User Interface
정답 : [
2
] 정답률 : 52%
33.
로더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Transltion
나.
Allocation
다.
Linking
라.
Loading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로더는 할당, 연결, 재배치, 적재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1. Transltion 번역 2. Allocation 할당량 3. Linking 링크 4. Loading 로딩(적재의 기능)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 합격이다]
34.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사용 가능도 향상
나.
반환 시간 연장
다.
신뢰성 향상
라.
처리 능력 향상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운영체제의 목적- 처리능력 향상 사용 가능도 향상 신뢰도 향상 반환 시간 단축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2 ^ 3 = 8 즉 3개의 선택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2진수 (1110)2을 그레이 부호(gray code)로 나타낸 것으로 올바른 것은?
가.
1001
나.
1010
다.
1011
라.
1100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진수가 그레이 부호로 나타내는것이기 때문에 첫번째 1 그대로 내려오고 2진수의 첫번째부터 옆자리와 비교했을때 같으면 0, 다르면 1이 표현되므로 1110 → 1001 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공따라지]
43.
보기의 조합논리 회로 설계 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가.
ㄴ → ㄱ → ㄷ → ㄹ
나.
ㄴ → ㄱ → ㄹ → ㄷ
다.
ㄱ → ㄴ → ㄷ → ㄹ
라.
ㄱ → ㄴ → ㄹ → ㄷ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조합논리회로 설계 순서 - 입력과 출력 조건에 적합한 진리표를 작성한다. - 진리표를 가지고 카르노 도표를 작성한다. - 간소화된 논리식을 구한다. - 논리식을 기본 게이트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이세계아이돌 최고!!]
44.
다음 보기의 장치를 메모리 접근 및 처리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가.
㉮ → ㉯ → ㉰ → ㉱
나.
㉮ → ㉱ → ㉰ → ㉯
다.
㉰ → ㉱ → ㉯ → ㉮
라.
㉰ → ㉯ → ㉱ → ㉮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레지스터 2. 캐시 기억장치 3. RAM 4. 하드 디스크 [해설작성자 : 이상호]
45.
불 대수의 분배 법칙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가.
A + = 1
나.
A + B = B + A
다.
A + (B + C) = (A + B) + C
라.
A + B · C = (A + B) · (A + C)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A + A' = 1 불대수의 기본 법칙 2. A + B = B + A 불대수의 교환 법칙 3. A + (B + C) = (A + B) + C 불대수의 결합 법칙 4. A + B·C = (A + B)·(A + C) 불대수의 분배 법칙 [해설작성자 : 정한준]
46.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직렬 시프트 레지스터는 입력된 데이터가 한 비트씩 직렬로 이동된다.
나.
링 계수기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입력쪽에 궤한 시킴으로써, 클럭 펄스가 가해지는한 같은 2진수 레지스터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만든 것이다.
다.
시프트 계수기는 직렬 시프트 레지스터를 역궤환 시켜 만든 것으로 존슨 계수기라고도 한다.
라.
병렬 시프트 레지스터는 모든 비트를 클럭펄스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로 순차적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병렬 시프트 레지스터는 n비트의 데이터를 클록펄스에 의해 병렬로 로드 및 출력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DIMS 생자 5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