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예열불꽃이 너무 세면 - 절단면의 위 기슭이 녹아 아름답지 못하다. - 뒤쪽에 슬래그가 많아 달라붙는다. - 불꽃이 팁에서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주동글]
3.
정격전류 200A, 정격사용률 50%의 아크 용접기로 150A의 용접 전류로 용접하는 경우 허용사용률은 약 몇% 인가?
1.
38
2.
66
3.
89
4.
112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허용사용률 = (전격 2차 전류)2 / (실제 사용 전류)2 * 정격사용률 [해설작성자 : 주동글]
4.
MIG 용접에서 많이 사용하는 분무형 이행(spray transfer)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용융방울 입자(용적)가 느리게 모재로 이행한다.
2.
고전압, 고전류에서 주로 얻어진다.
3.
아르곤 가스나 헬륨가스를 사용하는 경합금 용접에서 주로 나타난다.
4.
용착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용착속도가 빠르고 능률적 2.알곤 가스나 헬륨가스를 사용하는 경합금 용접에서 주로 사용 3.고전압, 고전류에서 주로 사용 4.용융방울 입자가 빠르게 모재로 이행한다 [해설작성자 : 홍준기]
5.
용접전류 조정은 직류여자전류의 조정에 의하여 증감하며 조작이 간단하고 소음이 없으며 원격조정(remote control)이나 핫스타트가 용이한 용접기는?
1.
가동철심형 교류아크 용접기
2.
가포화 리액터형 교류아크 용접기
3.
탭전환형 교류아크 용접기
4.
가동코일형 교류아크 용접기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교류용접기 1. 가동철심형 : 낮은전류~높은전류 마음대로 지정이 가능, 가장많이 사용 2. 가동코일형 : 1차 코일과 2차코일이 같은 철심에 두고 일정 간격을 조절하여 전류를 조성, 비교적 안정적 아크, 잡음이 적음 3. 탭전환형 : 현재는 거의 사용X 1차코일-M1, 2차코일-M2 을 다른 제2CML 철심에 권수가 다른 또 하나의 2차코일을 감고 여기에 탭을 부착함, 코일의 권수비에 따라 전류가 커지고 작아짐
직류용접기 1. 정류기형 : 교류입력전압을 변환하여 변압기,외부특성곡선을 구현, 용접전류를 조정하는 교류측의 리액터,정류기,위상제어기,출력측(직류)의 리액터 등으로 구성. 소음이 없고 취급이 간단. 발전기형보다 저렴. 완전한전류를 기대하기 어려움. 2. 발전기형 : 완벽한직류 얻음, 옥외나 교류전원 없는장소 사용, 고장소음이 많고 구동부와 발전부로 나뉘어 고가이다 3. 가포화 리액터형 : 최근 개발됨. 가변저항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가포화 리액터의 자기회로(철심)의 포화도는 달라짐 4. 싸이리스터 : 정류기의 일종으로 양극과 음극의 통전제어용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5. 인버터형 :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사용 무부하손실이 적음.권선에 의한 동손이 감소. 빠른전력을 제어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주동글]
6.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중 주성분이 산화철에 철분을 첨가하여 만든 것으로 아크는 분무상이고 스패터가 적으며 비드표면이 곱고 슬래그의 박리성이 좋아 아래보기 및 수평필릿 용접에 적합한 용접봉은?
<문제 해설> 플라즈마 절단시 용도에 따른 혼합가스 선택 1. 알루미늄 등 경금속 - 알곤과 수소 2. 스테인레스강 - 질소와 수소 [해설작성자 : 주동글]
8.
용적이 40L인 산소 용기에 고압력계가 90kgf/cm2이 나타났다면 300L의 팁으로 몇 시간을 용접할 수 있겠는가?
1.
3.5시간
2.
7.5시간
3.
12시간
4.
20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M=P*V=90*40=3600/300=12
9.
전류가 일정할 때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늦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용융속도가 빨라지는 특성은?
1.
부저항 특성
2.
전압회복 특성
3.
정전압 특성
4.
아크길이 자기제어 특성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부저항 특성 - 일반 건기 화로는 옴(Ohm)의 법칙에 따라 동일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그 전압에 비례하지만 아크의 경우는 그 반대로 전류가 크게 되면 저항이 적어져 전압도 낮아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아크의 부저항 특성 또는 부특성이라고 한다.
㈏ 아크 길이 자기제어 특성(arc length self - control sharacteristics) - 아크 전류가 일정할 때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용접봉의 용융 속도가 늦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용융속도는 빨라진다. 이와 같은 특성을 아크 길이 자기제어 특성이라고 한다. 아크길이 자기제어 특성은 전류밀도가 클 때 잘 나타난다.
㈐ 절연 회복 특성 - 교류 아크에서는 1사이클(cycle)에 두 번 전류 및 전압의 순간 값이 0으로 되어 아크 발생이 중단되고 용접봉과 모재 간은 절연(insulation)된다. 이때 아크 기둥을 둘러싼 보호가스는 용접봉과 모재 간의 절연을 꺾고 전류가 잘 통하도록 만든다. 이와 같이 보호가스에 의해 순간적으로 꺼졌던 아크가 다시 일어나는 특성을 절연회복 특성이라고 한다.
㈑ 전압 회복 특성 - 아크가 발생되는 동안 아크 전압은 낮으나 아크가 꺼진 후에는 용접봉과 모재 간의 전압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단 아크가 꺼진 다음 아크를 다시 발생시키려면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아크 용접 전원은 아크가 중단된 순간에 아크 회로의 과도 전압을 급속히 상승 회복시크는 특성이 있으며, 이 특성을 전압 회복 특성이라 한다. 이 특성은 아크의 재발생을 쉽게 만든다. [해설작성자 : 주동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