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니트로셀룰로오스 는 제 5류 위험물 입니다. 다이너마이트 및 화약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질산과 황산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포함된 질소의 농도(%) 가 높을수록 그 위험성이 커집니다. 즉 질화도가 클수록 위험성이 큽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질산과 황산의 반응식 톨루엔 반응하여 트리니트로 톨루엔이 되는과정 C6H5OH + 3HNO2 -> C6H2OH(NO2)3 + H2O 반응하여 물이 탈수가된다 이런경우를 탈수반응이라한다 C-H2SO4 [해설작성자 : 위험물다리우스]
인화점은 공기 중에서 액체를 가열하는 경우 액체표면에서 증기가 발생하여 점화원에서 착화하는 최저온도를 말한다.
2.
인화점 이하의 온도에서는 성냥불을 접근시켜도 착화하지 않는다.
3.
인화점 이상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되어 성냥불이 접근하면 착화한다.
4.
인화점은 보통 연소점 이상, 발화점 이하의 온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인화점 : 불꽃을 대었을 때 물질의 증기에 순간적으로 불이 붙는 온도 연소점 : 불꽃을 대었을 때 물질이 계속 탈 수 있는 온도 발화점 : 불꽃을 대지 않아도 물질이 스스로 타기 시작하는 온도 따라서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해설작성자 : 찌뇨뇨]
6.
등유 또는 경유 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 : [
2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A:일반 B:유류 C:전기 D:금속 [해설작성자 : 소방공무원]
7.
소화기의 소화약제에 관한 공통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알칼리 소화약제는 양질의 유기산을 사용한다.
2.
소화약제는 현저한 독성 또는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3.
분말상의 소화약제는 고체화 및 변질 등 이상이 없어야 한다.
4.
액상의 소화약제는 결정의 석출, 용액의 분리, 부유물 또는 침전물 등 기타 이상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유기산 -> 무기산 [해설작성자 : 성식이]
8.
연소 시 분해연소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은?
1.
나프탈렌
2.
목재
3.
목탄
4.
휘발유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분해연소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스팔트, 플라스틱, 중유, 고무, 종이, 목재, 석탄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조르지니오 바이날둠]
9.
플래시 오버 (Flash-over) 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화재의 확산
2.
다량의 연기 방출
3.
화이어볼의 발생
4.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플래시 오버 현상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대류와 복사현상에 의해 일정 공간 안에 열과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고, 발화 온도에 이르게 되어 일순간에 폭발적으로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현상 입니다. 즉 에너지가 축적되어 폭발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화이어볼 현상은 핵폭탄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커다란 불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제5류 위험물의 대표적인 성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산화성
2.
자연발화성
3.
자기반응성
4.
가연성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제 1류 : 산화성 고체 제 2류 : 가연성 고체 제 3류 : 자연발화 제 4류 : 인화성 액체 제 5류 : 자기반응성 제 6류 : 산화성 액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가연물이 연소할 때 연쇄반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산소량을 일반적으로 약몇 % 이하로 억제해야 하는가?
1.
15
2.
17
3.
19
4.
21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연쇄반응 차단하기 위해서 산소는 15% 미만으로 떨어져야 한다. [해설작성자 : 히쿠쿠]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공하성 1 번이 정답인 이유는 저항이 감소하는 소자가 '아닌것은'? 하고 물어봤기때문입니다 23,22년도 책 모두 동일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렁이]
[추가 오류 신고] 문제 오류입니다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소자가 "아닌것은?"일때 답이 1번이고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소자는? 의 답은 1을 제외한 2 3 4번 전부입니다 [해설작성자 : ..]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3.
테브난의 정리를 이용하여 그림 (a)의 회로를 그림 (b)와 같은 등가회로로 만들고자 할 때 E(V)와 R(Ω)은?
1.
5, 2
2.
5, 3
3.
6, 2
4.
6, 3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R계산 0.8+(6/5)=2 E계산 10V 옆 3옴에 흐르는 전압 3*10/2+3=6 [해설작성자 : 최C]
24.
변위를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변환요소가 아닌 것은?
1.
가변저항기
2.
용량형 변환기
3.
가변저항 스프링
4.
전자 코일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자코일 - 전압을 변위로 변환시켜주는 요소 [해설작성자 : 합격]
25.
목표치가 임의로 변화하는 제어는?
1.
정치제어
2.
추종제어
3.
프로그램제어
4.
시퀀스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66%
26.
다음 중 강자성체인 것은?
1.
금
2.
니켈
3.
알루미늄
4.
구리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자성체 - 알루미늄, 백금
반자성체 - 금, 은, 구리(동), 아연, 탄소
강자성체 - 니켈, 코발트, 망간, 철 [해설작성자 : 소방합격하자]
27.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부족할 때의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황산을 넣는다.
2.
염산을 넣는다.
3.
(+)극을 바꾸어 준다.
4.
증류수로 채운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28.
유도 전동기의 기동 시 관계로 옳은 것은? (단, T1 : 기동 시 토크, T2 : 전전압 기동 시 토크, I1 : Y-△ 기동 시 전류, I2 : 전전압 기동 시 전류)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8%
29.
다음 법칙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노이만의 법칙
2.
페러데이의 법칙
3.
렌츠의 법칙
4.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노이만의 법칙 / 페러데이의 법칙/ 렌츠의 법칙은 모두 전자력과 전자유도에 관한 법칙이다. [해설작성자 : 창원사람]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은 자기유도법칙 [해설작성자 : 합격]
30.
다음 회로에서 전전류 I는 몇 A인가?
1.
6
2.
8
3.
10
4.
14
정답 : [
3
] 정답률 : 78%
31.
다음 논리회로의 명칭은?
1.
AND
2.
OR
3.
NOT
4.
NAND
정답 : [
1
] 정답률 : 81%
32.
전원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발광 다이오드
2.
제너 다이오드
3.
바렉터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 : [
2
] 정답률 : 87%
33.
전해액에 전류가 흐름으로서 화학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국부작용
2.
감극현상
3.
성극(분극)작용
4.
전기분해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지에서 일어나는 현상 국부작용 : 전극의 불순물로 인하여 기전력이 감소하는 현상, 건전지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못쓰는 현상 성극작용(분극작용) : 전지에 부하를 걸면 양극 표면에 수소가스가 생겨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 전기분해 : 전해액에 전류가 흘러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현상 [해설작성자 : 피곤해]
34.
그림과 같이 전류계 A1, A2 를 접속하였더니 A1 에는 30A, A2 에는 10A를 지시하였다. 전류계 A2 의 내부저항은 몇 Ω 인가?
1.
0.01
2.
0.03
3.
0.06
4.
0.09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1에 걸리는 전류가 A2와 0.03옴 저항으로 분배되는데 전류는 저항과 반비례한다. 0.03을 R3라 하고 여기에 걸리는 전류를 A3, A2에 걸리는 저항을 R2 라 할때 A2 : A3 = 10 : 20 이고 R2 : R3 = 2 : 1 [해설작성자 : 용용]
35.
정전압계와 콘덴서를 직렬로 접속하고 그 양단에 2000V를 가할 때 정전전압계에 인가되는 전압은 몇 V 인가? (단, 정전전압계의 정전용량은 C1(F),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C2(F)이며 C1=4C2 관계에 있다.)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는 관계인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의 벌금 규정은?
1.
100 만원 이하
2.
200 만원 이하
3.
300 만원 이하
4.
1천만원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미선임 , 비밀누설 - 300만원 [해설작성자 : 용용]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근무자 및 거주자에게 소방훈련·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1.
3
2.
5
3.
7
4.
10
정답 : [
4
] 정답률 : 64%
49.
소방시설공사업법상 소방시설업자가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이 지날 때까지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하거나 계속하여 1년 이상 휴업한 때는 몇 개월 이내의 영업정지를 당할 수 있나?
1.
1개월 이내
2.
2개월 이내
3.
3개월 이내
4.
6개월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방시설공사업법 9조]
소방시설업 등록의 취소와 6개월 이내 영업정지 (1)등록의 취소 또는 6개월 이내 영업정지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후 30일 경과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계속하여 1년 이상 휴업한 때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없이 1년이 지날 경우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경우 (2)등록취소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등록 결격사유에 해당된 경우 ㉢영업정지기간 중에 소방시설공사 등을 한 경우 [해설작성자 : 소전충]
50.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지하구
2.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 700m 이상인 것
3.
노유자 생활시설
4.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탐설비의 경우 터널 1000 m 이상입니다.
51.
자체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제조소 등으로 옳은 것은?
1.
지정수량 3000배의 아세톤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2.
지정수량 3500배의 칼륨을 취급하는 제조소
3.
지정수량 4000배의 등유를 이동저장탱크에 주입하는 일반취급소
4.
지정수량 4500배의 기계유를 유압장치로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지정수량의 3000배,제4류 위험물 제조소 일반취급소
52.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별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1.
급수탑 개폐밸브는 지상에서 1.5m 이상 1.7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할 것
2.
소화전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 하고,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100mm로 할 것
3.
저수조 홉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cm 이상, 원형의 경우에는 지름이 60cm 이상일 것
4.
저수조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소화전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 하고,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100mm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찌뇨뇨]
소화전 65mm 급수탑 100m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소화전의 설치기준 :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 하고,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65mm로 할 것
급수탑의 설치기준 : 급수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으로 하고, 개폐밸브는 1.5m 이상 1.7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할 것
[추가 해설]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의무를 위반해서 피난시설 또는 방화시설을 폐쇄·훼손·변경하는 등의 행위를 하면 1차 위반인 경우 100만원, 2차 위반인 경우 200만원, 3차 이상 위반인 경우에는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해설작성자 : MSG]
[오류신고 반론] 2번 300만원이 맞습니다. 소방시설법에 관련하여 3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맞으며, 위반할 경우 기본적으로 1차 100만원, 2차 200만원, 3차 이후 300만원으로 부과됩니다.
아마 소방용수시러 및 소화기구, 소화기구 설비 등의 설치명령을 위반한 경우 2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것과 혼선이 있으신듯 합니다.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화재조사를 하는 관계인의 정당한 업무를 방해하거나 화재조사를 수행하면서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누설한 사람에 대한 벌칙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150만원 이하의 벌금
3.
2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00만원 이하의 벌금 1. 소방특별조사를 정당한 사유없이 거부.방해.기피 2. 소방기술과 관련된 법인 또는 단체 위탁시 위탁받은 업무종사자의 비밀누설 3. 2 이상의 업체에 취업한 자 [해설작성자 : 화명동 와꾸대장]
5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 기준 중 ㉠, ㉡에 알맞은 것은?
1.
㉠ 33, ㉡ 1/2
2.
㉠ 33, ㉡ 1/3
3.
㉠ 50, ㉡ 1/2
4.
㉠ 50, ㉡ 1/3
정답 : [
1
] 정답률 : 70%
58.
소방활동구역의 출입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에 속하지 않는 사람은?
1.
의사·간호사 그 밖의 구조 구급업무에 종사하는자
2.
소방활동구역 밖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소유자·관리자 또는 점유자
3.
취재인력 등 보도업무에 종사하는 자
4.
수사업무에 종사하는 자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소방활동구역의 출입자 소방활동구역 안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 [해설작성자 : 세오기]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예방규정을 정하는 제조소등의 위험물 저장·취급에 관한 사항
2.
소방시설·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점검·정비계획
3.
특정소방대상물의 근무자 및 거주자의 자위소방대 조직과 대원의 임무에 관한 사항
4.
방화구획, 제연구획,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불연재료·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사용된 것) 및 방염물품의 사용현황과 그 밖의 방화구조 및 설비의 유지·관리계획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2. 물분무소화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 3.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4.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기를 제외한다)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인 것(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을 두어서는 안 된다. <개정 2008. 12. 15.> 5.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이기 때문에 1번 위험물이랑은 연관없다 생각하면 쉽습니다. (위험물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규정) [해설작성자 : 으어]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중 종합정밀점검 대상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제연설비가 설치된 터널
2.
노래연습장으로서 연면적이 2000m2 이상인 것
3.
아파트는 연면적 5000m2 이상이고 16층 이상인 것
4.
소방대가 근무하지 않는 국공립학교 중 연면적이 1000m2 이상인 것으로서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된 것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 아파트는 연면적 5000m2이상이고 11층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찌뇨뇨]
61.
화재안전기준에서 비상콘센트의 저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직류는 550V 이하, 교류는 400V 이하인 것을 말한다.
2.
직류는 650V 이하, 교류는 500V 이하인 것을 말한다.
3.
직류는 750V 이하, 교류는 600V 이하인 것을 말한다.
4.
직류는 850V 이하, 교류는 700V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도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소방소방]
[추가 오류 신고] 21년도에 법이 개정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압 직류 : 1.5KV이하 교류 : 1kv이하
[동일출판사] [해설작성자 : 무야호~]
[추가 오류 신고] 2021. 4. 5. 현재 법령을 확인한 결과 개정된 사항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안알랴줌]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성안당 자압의 경우 직류 1500v이하 , 교류 1000v이하
62.
공장 및 창고시설 또는 업무시설로서 바닥면적이 최소 몇 m2 이상인 층이 있는 경우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
1.
500
2.
1000
3.
1500
4.
2000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수련시설,노유자시설,요양병원 - 500이상 공장 및 창고시설, 업무시설, 국방.군사시설, 발전시설 - 1500이상 [해설작성자 : 화명동 와꾸대장]
63.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
2.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15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3.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분산되는 객석부 부분 등에 설치할 것
4.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할 것
제6조(전원) ① 비상방송설비의 상용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 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해야 한다. ②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비상전원으로서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제6조(전원) 2번에서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비상전원으로서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때문에 4번이 틀립 것 으로 정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4번도 정답인 이유 제6조(전원) ① 비상방송설비의 상용전원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 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개정 2016.7.13.>
2. 개폐기에는 "비상방송설비용"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②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2.15., 2013.6.11., 2016.7.13.>
2번에서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2.15., 2013.6.11., 2016.7.13.>때문에 4번도 정답이다 .
국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개정이 늦게 있었어도 16년까지만 개정한 법인데 19년도 문제에서 4번이 복수 정답이 아닌 4번이 틀린 것이 아닌 맞는 것이다 하시면 이건 잘못된 문제 입니다. [해설작성자 : 너굴맨]
72.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설치장소로 적합한 것은? (단, 누전경보기에 대하여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이다.)
1.
옥내 건조한 장소
2.
습도가 높고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3.
대전류회로·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4.
가연성의 증기·먼지·가스 등이나 부식성의 증기·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80%
73.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수신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