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체의 실제무게를 미국 NIOSH의 권고중량물한계기준(RWL)으로 나누어 준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량상수(LC)
2.
빈도승수(FM)
3.
비대칭승수(AM)
4.
중량물 취급지수(LI)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중량물 취급지수(LI) 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없어서 불편..]
7.
1994년 ABIH에서 채택된 산업위생전문가의 윤리강령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산업위생 활동을 통해 얻은 개인 및 기업의 정보는 누설하지 않는다.
2.
과학적 방법의 적용과 자료의 해석에서 경험을 통한 전문가의 주관성을 유지한다.
3.
전문적 판단이 타협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거나 이해관계가 있는 상황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4.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해 산업위생이론을 적용하고 책임 있기 행동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주관성말고 객관성을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프로합격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BIH -> AAIH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
최대작업영역(maximum working area)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양팔을 곧게 폈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최대영역
2.
팔을 위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경우에 도달할 수 있는 작업영역
3.
팔을 아래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경우에 도달할 수 있는 작업영역
4.
팔을 가볍게 몸체에 붙이고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자유롭게 손이 닿는 영역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어깨로부터 위팔까지를 뻗어 휘두를 때 닿을 수 있는 영역을 의미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없어서 불편..]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석면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결과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그 측정일로부터 몇 개월에 몇 회 이상의 작업환경측정을 하여야 하는가?
1.
1개월에 1회 이상
2.
3개월에 1회 이상
3.
6개월에 1회 이상
4.
12개월에 1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석면의 경우 사업장은 그 측정일부터 3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함.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없어서 불편..]
*3개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해야하는 경우 1) 화학적 인자(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허가대상유해물질, 특별관리물질)의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2) 화학적 인자(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은 제외)의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2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 -> 석면 :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허가대상물질에 해당 [해설작성자 : 이마크]
석면은87조 제조금지유해물질 [해설작성자 : 수영]
10.
미국산업위생학회(AHIA)에서 정한 산업위생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작업장에서 인종, 정치적 이념, 종교적 갈등을 배제하고 작업자의 알권리를 최대한 확보해주는 사회과학적 기술이다.
2.
작업자가 단순하게 허약하지 않거나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닌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안녕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이다.
3.
근로자 및 일반대중에게 질병, 건강장애,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는 작업 환경요인과 스트레스를 예측, 측정, 평가 및 관리하는 과학이며 기술이다.
4.
노동 생산성보다는 인권이 소중하다는 이념하에 노사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을 도모하여 최대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 증진하는 사회과학이며 자연과학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90%
11.
직업성 질환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합병증이 원발성 질환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2.
직업상 업무에 기인하여 1차적으로 발생하는 원발성 질환은 제외한다.
3.
원발성 질환과 합병 작용하여 제2의 질환을 유발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4.
원발성 질환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도 동일한 원인에 의하여 제2의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문제 해설>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 (고용노동부) 제 26조 (측정방법) 1. 소음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이하 "소음계” 라 한다)는 누적소음 노출량측정기, 적분형소음계 또는 이와 동등 이 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하되 개인 시료채취 방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지시소음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발생 시간을 고려한 등가소음레벨 방법으로 측정할 것. 다만, 소음발생 간격이 1초 미만을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소음(이하 "연속음”이라 한다)을 지시소음계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기기로 측정할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으로 할 것 3. 제1호 단서규정에 따른 소음측정은 다음과 같이 할 것 가.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느린(Slow) 상태로 한다. 나. 소음계의 지시치가 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지시치를 그 측정점에서의 소음수준으로 한다. 4.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로 소음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Criteria는 90dB, Exchange Rate는 5dB, Threshold는 80dB로 기기를 설정할 것 5.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최대음압수준이 120dB(A)이상의 소음인 경우에는 소음수준에 따른 1분 동안의 발생횟수를 측정할 것 [해설작성자 : 3회차필승]
39.
측정에서 변이계수를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표준편차/산술평균
2.
기하평균/표준편차
3.
표준오차/표준편차
4.
표준편차/표준오차
정답 : [
1
] 정답률 : 76%
40.
다음 중 자외선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전리 방사선이다.
2.
인체와 관련된 Dorno선을 포함한다.
3.
100~1000nm사이의 파장을 갖는 전자파를 총칭하는 것으로 열선이라고도 한다.
4.
UV-B는 약 280~315nm의 파장의 자외선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외선은 대략 100~400nm 범위이며 일명 화학선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
3과목 : 작업환경관리대책
41.
후드의 유입계수가 0.7이고 속도압이 20mmH2O일 때, 후드의 유입손실은 약 몇 mmH2O인가?
작업장이 음압수준이 86dB(A)이고, 근로자는 귀덮개(차음평가지수=19)를 착용하고 있을 때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약 몇 dB(A)인가?
1.
74
2.
76
3.
78
4.
8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9-7)/2=6 86-6=80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차음효과=(차음평가지수(NRR)-7)*0.5 = (19-7)*5=6 노출되는 음압수준=86-6=80 [해설작성자 : 늘 새로워]
46.
작업장에 설치된 후드가 100m3/min으로 환기되도록 송풍기를 설치하였다. 사용함에 따라 정압이 절반으로 줄었을 때, 환기량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상사법칙을 적용한다.)
1.
환기량이 33.3m3/min으로 감소하였다.
2.
환기량이 50m3/min으로 감소하였다.
3.
환기량이 57.7m3/min으로 감소하였다.
4.
환기량이 70.7m3/min으로 감소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송풍기 상사법칙에서 (Q2/Q1)=(N2/N1)이고 (SP2/SP1)=(N2/N1)^2 이므로 (SP2/SP1)=(Q2/Q1)^2 라는 식을 얻을 수 있고, 구해야 하는 값이 Q2이므로 Q2에 대해 정리하면 Q2=Q1*(SP2/SP1)^0.5 라는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정압이 절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SP2 = 0.5*SP1 따라서 대입하면, Q2 = 100 x (0.5SP1/SP1)^0.5 = 70.71 [해설작성자 : ㅈㅎ]
47.
회전수가 600rpm이고, 동력은 5kW인 송풍기의 회전수를 800rpm으로 상향조정하였을 때, 동력은 약 몇 kW인가?
<문제 해설> 2번 설치 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장점) 1. 단점 + 부분적 폐쇄댐퍼는 침식, 분진퇴적의 원인이된다. 최대저항경로 선정이 잘못되도 쉽게 발견 할 수없다. 3. 장점 + 송풍량 조절이 비교적 용이함, 임의로 유량 변경 가능 4. 장점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52.
작업장 내 열부하량이 5000kcal/h이며, 외기온도 20℃, 작업장 내 온도는 35℃이다. 이 때 전체 환기를 위한 필요 환기량은 약 몇 m3/min인가? (단, 정압비열은 0.3kcal/(m3.℃)이다.)
<문제 해설> 사이클론 집진장치(원심력 집진장치)의 블로우 다운 1. 유효 원심력을 증대 2. 장치의 폐쇄현상을 방지(가교현상 방지) 3. 난류 억제로 집진된 입자 비산 방지 4. 처리가스의 5~10%를 흡인 [해설작성자 : 부경대]
60.
다음 중 개인보호구에서 귀덮개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귀 안에 염증이 있어도 사용 가능하다.
2.
동일한 크기의 귀 덮개를 대부분의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다.
3.
멀리서도 착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4.
고온에서 사용해도 불편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고온에서 사용 시 불편(땀때문에)
4과목 :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진동증후군(HAVS)에 대한 스톡홀름 워크숍의 분류로서 틀린 것은?
1.
진동증후군의 단계를 0부터 4까지 5단계로 구분하였다.
2.
1단계는 가벼운 증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 끝부분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3.
3단계는 심각한 증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 가운뎃마디 부분까지 하얗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4.
4단계는 매우 심각한 증상으로 대부분의 손가락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과 함께 손끝에서 땀의 분비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단계 - 가벼운 증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 끝부분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2단계 - 보통의 증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 가운뎃마디 부분까지 하얗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3단계 - 심각한 증상, 대부분의 손가락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단계이다. 4단계 - 매우 심각한 증상, 대부분의 손가락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과 함께 손끝에서 땀의 분비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쭈짱]
62.
다음 중 피부 투과력이 가장 큰 것은?
1.
X선
2.
α선
3.
β선
4.
레이저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x선,중성자 > 베타 > 알파` [해설작성자 : 코샥]
중성자> X선 or γ > β> α [해설작성자 : 공공잉]
63.
다음의 빛과 밝기의 단위로 설명한 것으로 ㉠, ㉡에 해당하는 용어로 맞는 것은?
1.
㉠ : 캔들(Candle), ㉡ : 럭스(Lux)
2.
㉠ : 럭스(Lux), ㉡ : 캔들(Candle)
3.
㉠ : 럭스(Lux), ㉡ : 푸트캔들(Footcandle)
4.
㉠ : 푸트캔들(Footcandle), ㉡ : 럭스(Lux)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fc (foot-candle) - 1촉광의 점광원으로부터 1foot 떨어진 곡면에 비추는 광밀도 - 1루멘의 빛이 1ft^2의 평면상에 수직방향으로 비칠 때 그 평면의 빛의 양을 말함 2. lux (meter-candle) - 1촉광의 점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곡면에 비추는 광밀도 - 1루멘의 빛이 1m^2의 평면상에 수직방향으로 비칠 때의 빛의 양을 말함 [해설작성자 : 이마크]
64.
저기압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소결핍을 보충하기 위하여 호흡수, 맥박수가 증가된다.
2.
고도 18000ft(5468m)이상이 되면 21%이상의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3.
고도 10000ft(3048m)까지는 시력, 협조운동의 가벼운 장해 및 피로를 유발한다.
4.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상승하여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상승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저하되고,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저하하며 산소결핍증을 주로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