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이 대형이고 제작수량이 적은 경우 제품 형태의 중요 부분만을 골격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목형은?
1.
골격형
2.
긁기형
3.
회전형
4.
코어형
정답 : [
1
] 정답률 : 82%
5.
유압펌프 중 피스톤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베인펌프라고도 한다.
2.
누설이 작아 체적효율이 좋다
3.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유압 작동유를 흡입하고 토출한다.
4.
작은 크기로 토출압력을 높게 할 수 있고 토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베인펌프 = 회전펌프,로터리펌프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하자]
6.
숫돌이나 연삭입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호닝
2.
래핑
3.
브로칭
4.
슈퍼피니싱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호닝, 래핑, 수퍼피니싱 = 숫돌 사용 초음파 가공 = 연삭입자 사용 [해설작성자 : 입자속옷예스]
1.호닝: 혼이라는 숫돌을 장착하고 회전과 왕복운동을 하여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작업 2.래핑: 공작물과 공구사이에 미분말 랩제와 윤활제를 넣어 표면을 마모시켜 매끈하게 다듬는 작업 3.브로칭: 브로치라는 많은 날을 가진 절삭공구로 필요한 형상을 가공(숫돌사용X) 4:슈퍼피니싱: 입도가 작고 무른 숫돌을 공작물 표면에 누르고 공작물을 이송시켜 다듬는 작업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 따자]
7.
언더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크길이가 짧을 때 생긴다.
2.
용접 전류가 너무 작을 때 생긴다.
3.
운봉 속도가 너무 느릴 때 생긴다.
4.
용접 시 경계부분에 오목하게 생기는 홈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언더컷은 용접봉이 불량일때 용접 속도가 빠를때 전류가 클때 아크의 길이가 길때 발생한다
언더컷의 정의는 용접부위 가장자리에 생기는 흠집 [해설작성자 : 입자속옷예스]
8.
밴드 브레이크 제동장치에서 밴드의 최소 두께 t(mm)를 구하는 식은? (단, 밴드의 허용인장응력은 σ(N/mm2), 밴드의 폭은 b(mm), 밴드의 최대 긴장측 장력은 F1(N)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8%
9.
원판클러치에서 마찰면의 마모가 균일하다고 가정할 때 바깥지름 300mm, 안지름 250mm, 클러치를 미는 힘 500N, 마찰계수가 0.2라고 할 경우 클러치의 전달토크는 몇 N∙mm인가?
1.
11390
2.
13750
3.
17530
4.
18275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T = uFr 토크 = 마찰계수 x 힘 x 유효반지름 T = 0.2 x 500 x ((300+250)/4) = 13750 [해설작성자 : minki]
10.
유체기계의 펌프에서 터보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왕복식
2.
원심식
3.
사류식
4.
축류식
정답 : [
1
] 정답률 : 57%
11.
그림과 같이 판, 원통 또는 원통용기의 끝부분에 원형단면의 테두리를 만드는 가공법은?
1.
버링(burring)
2.
비딩(beading)
3.
컬링(curling)
4.
시밍(seaming)
정답 : [
3
] 정답률 : 71%
12.
유압기계에 사용하는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윤활성
2.
유동성
3.
기화성
4.
내산성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화성 xxx [해설작성자 : 사냥꾼]
13.
재료의 인장강도가 3200 N/mm2인 재료를 안전율 4로 설계할 때 허용 응력은 약 몇 N/mm2인가?
1.
400
2.
600
3.
800
4.
1600
정답 : [
3
] 정답률 : 78%
14.
공구강의 한 종류로 텅스텐(W) 85~95%, 코발트(Co) 5~6%의 소결합금이며, 상품명은 비디아, 탕갈로이, 카볼로이 등으로 불리는 것은?
1.
스텔라이트
2.
고속도강
3.
초경합금
4.
다이아몬드
정답 : [
3
] 정답률 : 60%
15.
그림과 같은 탄소강의 응력(σ)-변형율(ε)선도에서 각 점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연료 10.4kg을 연소시키는 데 152kg의 공기를 소비하였다면 공기와 연료의 비는? (단, 공기의 밀도는 1.29kg/m3이다.)
1.
공기(14.6kg) : 연료(1kg)
2.
공기(14.6m3) : 연료(1m3)
3.
공기(12.6kg) : 연료(1kg)
4.
공기(12.6m3) : 연료(1m3)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공기152KG / 연료10.4KG = 14.6 : 1
23.
전자제어 엔진에서 흡입되는 공기량 측정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스톤 직경
2.
흡기 다기관 부압
3.
핫 와이어 전류량
4.
칼만와류 발생 주파수
정답 : [
1
] 정답률 : 76%
24.
디젤 사이클의 P-V 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 2 : 단열 압축과정
2.
2 → 3 : 정적 팽창과정
3.
3 → 4 : 단열 팽창과정
4.
4 → 1 : 정적 방열과정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 2 → 3 : 정압 팽창과정 [해설작성자 : 변배켠뷘]
25.
실린더 내경 80mm, 행정 90mm인 4행정 사이클 엔진이 2000rpm으로 운전할 때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몇 m/sec인가? (단, 실린더는 4개이다.)
1.
6
2.
7
3.
8
4.
9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피스톤의 평균 속도를 구하는 공식에서는 내경이 필요 없습니다. 엔진 속도가 2000rpm 이면 피스톤은 분당 2000회 왕복했습니다. 1회 왕복은 90 x 2 이므로 180mm 입니다. 그러면 피스톤 속도는 180 x 2000 / 60 = 6000mm/sec 답은 6m/sec 입니다. [해설작성자 : minki]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삼원촉매가 답 아닌가요? 삼원촉매는 연료 증발가스 HC를 포집하는 장치라고 알고 있습니다. DPF는 배기가스 중 Nox나 카본퇴적을 막아주니 답과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행인]
[오류신고 반론] DPF는 배기가스 중 Nox나 카본퇴적을 막아주니 답과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DPF는 매연만 포집하여 태우며 NOX는 DOC에서 관여합니다. 별개의 장치죠 [해설작성자 : 야수교담벼락]
28.
전자제어 가솔린엔진(MPI)에서 급가속 시 연료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동기분사
2.
순차분사
3.
간헐분사
4.
비동기분사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비동기 분사는 연료분사증가가 필요한 시동 시 또는 급가속 시 사용 [해설작성자 : 변배켠뷘]
29.
운행차 배출가스 정기검사의 매연 검사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 )에 알맞은 것은?
1.
5
2.
10
3.
15
4.
30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5cm가 아닌 30cm로 삽입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mc안배]
[오류신고 반론] 시료채취관일경우 30가 아니라 5cm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자동차 종합검사원 입니다. 5cm 정답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예전 검사방식은 30cm가 틀린건아닌데 문제는 광투과식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저 지문이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22에 동일하게 써있어서 5cm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부작침]
30.
커먼레일 디젤엔진에서 연료압력 조절밸브의 장착 위치는? (단, 입구 제어 방식)
1.
고압펌프와 인젝터 사이
2.
저압펌프와 인젝터 사이
3.
저압펌프와 고압펌프 사이
4.
연료필터와 저압펌프 사이
정답 : [
3
] 정답률 : 64%
31.
엔진의 기계효율을 구하는 공식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70%
32.
산소센서 내측의 고체 전해질로 사용되는 것은?
1.
은
2.
구리
3.
코발트
4.
지르코니아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소센서의 고체 전해질에는 지르코니아, 티타니아가 있다 [해설작성자 : 도경수 사랑해]
33.
옥탄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탄화수소의 종류에 따라 옥탄가가 변화한다.
2.
옥탄가 90이하의 가솔린은 4 에틸납을 혼합한다.
3.
옥탄가의 수치가 높은 연료일수록 노크를 일으키기 쉽다.
4.
노크를 일으키지 않는 기준연료를 이소옥탄으로 하고 그 옥탄가를 0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옥탄가의 수치가 높을수록 노킹이 억제된다. -노크를 일으키지 않는 기준연료를 이소옥탄으로 하고 그 옥탄가를 100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도경수 사랑해]
34.
윤활유의 유압 계통에서 유압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윤활유 누설
2.
윤활유 부족
3.
윤활유 공급펌프 손상
4.
윤활유 점도가 너무 높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점도가 높으면 유압이 증가됩니다 [해설작성자 : 창폴 자과 섀시조교]
35.
디젤엔진 후처리장치의 재생을 위한 연료 분사는?
1.
주 분사
2.
점화 분사
3.
사후 분사
4.
직접 분사
정답 : [
3
] 정답률 : 83%
36.
전자제어 가솔린엔진(MPI)에서 동기분사가 이루어지는 시기는 언제인가?
1.
흡입행정 말
2.
압축행정 말
3.
폭발행정 말
4.
배기행정 말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젝터 연료분사방식 1. 동기분사(독립분사,순차분사): 배기행정 끝 무렵에 분사한다. 크랭크각센서의 신호에 의해 동기하여 구동 2. 그룹분사: 각 실린더 그룹을 지어 1회분사할때 2실린더씩 짝을지어 분사 3. 비동기분사(동시분사): 전체 실린더에 동시에 1사이클당 2회 분사한다.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 따자]
37.
자동차 엔진에서 인터쿨러 장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차량의 속도 변화
2.
흡입 공기의 와류 형성
3.
배기 가스의 압력 변화
4.
온도 변화에 따른 공기의 밀도 변화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인터쿨러] - 공기를 압축해 실린더에 공급하여 흡입효율을 높여 출력을 향상시킨다 - 근데 압축시켜(단열압축) 고온이되어 공기밀도가 낮아지네...? - 그래서 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밀도를 다시 높여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창폴 자과 섀시조교]
38.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에서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기본 입력신호가 아닌 것은?
1.
냉각수온 센서
2.
MAP 센서
3.
크랭크각 센서
4.
공기유량 센서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냉각수온센서는 연료분사량에 입력신호가 맞는데요? 크랭크각센서는 단지 rPm회전속도만 검출한걸로 알고 있는데 틀린내용인가요?
[오류신고 반론] 기본분사량:rpm+흡입공기량 즉 크랭크센서 AFS [해설작성자 : 뜻아]
[오류신고 반론] 크랭크각센서는 TDC센서랑같이 연료분사,점화시기 제어인데....
[추가 오류 신고]
크랭크각 센서는 연료분사량 제어가 아니고 분사시기 제어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추가 오류 신고] 냉각수온센서는 항상 시동 후 어느정도까지 엔진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 분사량 자체를 많이 가져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크랭크각센서는 연료분사량의 기본 입력신호가 아닌 분사시기를 위한 기본 입력신호이고요 [해설작성자 : 필이]
[추가 오류 신고] 크랭크각 센서는 분사시기 제어 입니다. [해설작성자 : 니쮸]
[오류신고 반론] 크랭크 각센서는 기본 연료분사량 제어,점화시기 제어,분사시기 제어,연료펌프구동 제어 를 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크랭크각 센서의 주 역할은 연료 분사시기 결정이지만 연료 분사량 제어 역할도 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실제분사량(연료분사량)=기본분사량+센서의보정량 입니다 기본분사량=rpm(크랭크각)+AFS(공기유량)을 말합니다. 연료분사량제어에 냉각수온센서도 포함이되지만 냉각수온센서는 세부적으로 연료보정센서에 더 가깝습니다. 문제가 기본분사량(기본입력)을 뜻하는 문제이므로 냉각수온센서가 답입니다.
가솔린엔진에서 기동전동기의 소모전류가 90A이고, 배터리 전압이 12V일 때 기동전동기의 마력은 약 몇 PS인가?
1.
0.75
2.
1.26
3.
1.47
4.
1.78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동기의 출력은 토크와 속도의 곱으로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전류와 전압만 가지고는 출력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 전류와 전압을 가지고 구할 수 있는 것은 전동기의 입력입니다. 즉, 12V에서 90A가 흘렀다면 전동기의 입력은 12V * 90A = 1080 W가 됩니다. 만약 전동기의 효율을 알고 있다면 위의 입력에 효율을 곱하여 전동기의 출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PS 단위로 바꾸기 위해서는 1PS = 736 W 를 이용해서 1080W * 1/736 PS/W = 1.467 PS 로 바꿀 수는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minki]
66.
자동차의 회로 부품 중에서 일반적으로 “ACC 회로”에 포함된 것은?
1.
카 오디오
2.
히터
3.
와이퍼 모터
4.
전조등
정답 : [
1
] 정답률 : 70%
67.
전자배전 점화장치(DLI)의 구성 부품으로 틀린 것은?
1.
배전기
2.
점화플러그
3.
파워TR
4.
점화코일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DLI는 DistributorLess Ignition의 약자입니다. Distributror는 배전기 입니다. DLI는 배전기가 없는 형식의 점화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붙고 싶다]
68.
직류 직권식 기동 전동기의 계자 코일과 전기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자 코일 전류와 전기자 코일 전류가 같다.
2.
계자 코일 전류가 전기자 코일 전류보다 크다
3.
전기자 코일 전류가 계자 코일 전류보다 크다.
4.
계자 코일 전류와 전기자 코일 전류가 같을 때도 있고, 다를 때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직류 직권식은 계자와 전기자가 직렬로 연결되므로 전류는 같음 *직류 연결일 때 어느 위치에서나 전류값은 동일함 [해설작성자 : 변배켠뷘]
69.
리모콘으로 록(Lock) 버튼을 눌렀을 때 문은 잠기지만 경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후드 스위치 불량
2.
트렁크 스위치 불량
3.
파워윈도우 스위치 불량
4.
운전석 도어 스위치 불량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각 좌석의 창문을 움직이는 스위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
70.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감속 시 전기에너지를 고전압 배터리로 회수(충전)한다. 이러한 발전기 역할을 하는 부품은?
1.
AC 발전기
2.
스타팅 모터
3.
하이브리드 모터
4.
모터 컨트롤 유닛
정답 : [
3
] 정답률 : 67%
71.
1개의 코일로 2개 실린더를 점화하는 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시점화방식이라 한다.
2.
배전기 캡 내로부터 발생하는 전파 잡음이 없다.
3.
배전기로 고전압을 배전하지 않기 때문에 누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4.
배전기 캡이 없어 로터와 세그먼트(고압단자) 사이의 전압에너지 손실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배전기 캡이 없어 로터와 세그먼트(고압단자) 사이의 전압에너지 손실이 작다. [해설작성자 : 카페인중독자]
72.
자동차 에어백 구성품 중 인플레이터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충돌 시 충격을 감지한다.
2.
에어백 시스템 고장 발생 시 감지하여 경고등을 점등한다.
3.
질소가스, 점화회로 등이 내장되어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 역할을 한다.
4.
에어백 작동을 위한 전기적인 충전을 하여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어도 에어백을 전개 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73.
다음 회로에서 전압계 V1과 V2를 연결하여 스위치를 ⌜ON⌟ , ⌜OFF⌟ 하면서 측정한 결과로 옳은 것은? (단, 접촉저항은 없음)
1.
ON : V1 - 12V, V2 - 12V, OFF : V1 - 12V, V2 - 12V
2.
ON : V1 - 12V, V2 - 12V, OFF : V1 - 0V, V2 - 12V
3.
ON : V1 - 12V, V2 - 0V, OFF : V1 - 12V, V2 - 12V
4.
ON : V1 - 12V, V2 - 0V, OFF : V1 - 0V, V2 - 0V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왼쪽의 12V는 커패시터입니다.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커패시터는 12V의 전위차를 가질때까지 전류를 흘리다가 12V가 되면 전류가 흐르기 어렵게 됩니다. 여기서는 스위치가 전원이라고 생각하고 풀겠습니다. 스위치를 ON하면 부하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전압 V2는 0V이고 부하를 지나 측정하면 V1에 12V의 전압이 측정됩니다. 스위치를 OFF하면 커패시터가 전원처럼 동작하여 부하에 도달하기 전의 전압 V1은 0V, 부하를 지나 측정하면 V2에 12V가 측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붙고 싶다]
스위치를 ON했을 때는 V1에는 전원전압인 12V가, V2에는 접지전압인 0V가 측정되고 스위치를 OFF했을 떄는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압계 V1과 V2에는 모두 12V가 측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