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관상 산벌이나 택벌작업만 못하지만 개벌작업보다는 좋은 편이다. 2. 남겨질 모수는 산생(한그루씩 흩어져 있음)시키거나 군생(몇 그루씩 무더기로 남김)시켜 갱신에 필요한 종자를 공급하게 하고, 갱신이 끝나면 모수는 벌채된다. 4. 종자공급을 위해 남겨질 모수는 전임목 본수의 2~3%, 재적으로는 약 10%, 1ha당 약 15~30그루 정도이나 종자의 비산력이 낮은 활엽수종은 더 많이 남겨야한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9.
자웅이주에 해당하는 수종은?
1.
Ilex crenata
2.
Alnus japonica
3.
Pinus densiflora
4.
Cryptomeria japonica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자웅이주 :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나무에 피는 것. ex> 식나무, 은행나무, 뽕나무 등등 Ilex crenata 꽝꽝나무는 암수딴그루이다. [해설작성자 : 희망]
1. 낙엽수는 가을에 줄기 체내의 탄수화물 농도가 최고로 올라간다. 2. 낙엽수는 봄과 초가을에 줄기 내 전분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한다. 4. 성장과 호흡 시 탄수화물이 소모되므로 줄기생장이 이루어질 때마다 탄수화물이 감소한 다음 다시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문제 해설> 벚나무 빗자루병의 병원은 진균(자낭균류)이다. 겨울부터 이른 봄에 걸쳐 병든 가지 아래쪽의 부풀은 부분을 잘라서 태우고 도포제를 발라준다. 이른 봄에 꽃이 진 후 보르도액 등을 2~3회 전면 살포한다.
33.
수목병의 중간기주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소나무 줄기녹병 : 참취
2.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3.
소나무 혹병 : 졸참나무
4.
소나무 잎녹병 : 황벽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참취 : 소나무 잎녹병
소나무 줄기녹병= 목단, 작약
34.
리지나뿌리썩음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지 내에서 불을 피우는 행위를 막는다.
2.
피해 임지에 1ha 당 2.5톤 정도의 석회를 뿌린다.
3.
매개충 구제를 위하여 살충제를 봄에 살포한다.
4.
피해지 주변에 깊이 80cm 정도의 도랑을 파서 피해 확산을 막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리지나뿌리썩음병은 매개충이 아닌 포자에 의해 생김 [해설작성자 : 망고]
35.
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서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임목 피해이다.
2.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야 발생하는 임목 피해이다.
3.
차가운 바람에 의하여 나무 조직이 어는 피해이다.
4.
0℃ 이상이지만 낮은 기온에서 발생하는 임목 피해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번 0도씨 "이하"의 저온에서 [해설작성자 : 음]
한상 寒傷 [한상] 명사 식물 여름철의 이상 저온이나 일조량 부족으로 농작물이 자라는 도중에 입는 피해. [해설작성자 : D]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틀렸어요) 동해 (Freezing Injury / 얼 凍, 해할 害) : 0℃ 이하 저온에서의 피해 (주로 온대식물이 피해를 받음) 한상 (Chilling Injury / 찰 寒, 다칠 傷) : 0~5℃에서의 피해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수목이 피해를 받음) 한해 (Cold Injury / 찰 寒, 해할 害) :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겨울철 저온에 의한 피해를 총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산림임업용어사전에는 이렇게 정의되어 있습니다.
한상 [寒傷, cold damage, cold injury; 한해, 상해, 냉해, 동해] 0℃이상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냉해 (冷害, chilling injury, 주로 열대 및 아열대식물)와 0℃이하의 온도에서 얼음 결정에 의하여 일어나는 동해 (凍害, freezing injury, 온대 및 한대식물)를 모두 한해라고 한다. ⇒ 동상, 내동성.
즉, 찬 기온으로 얼지않아도 일어나는 해와 얼어서 일어나는 해를 총칭하는 용어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열공중]
36.
측백나무 검은돌기잎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풍이 나쁠 때 많이 발생한다.
2.
가을에 발생하는 낙엽성 병해이다.
3.
잎의 기공조선상에 병원체의 자실체가 나타난다.
4.
주로 수관하부의 잎이 떨어져서 엉성한 모습으로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6~8월경 주로 수관 하부의 침엽과 녹색가지가 갈색~암갈색으로 변하면서 낙엽되므로 하부가 엉성하게 변한다.
37.
배의 마디가 뚜렷하지 않고 머리도 명확하지 않은 유충의 형태이며, 벌목의 일부 기생벌 유충에서 볼 수 있는 형태는?
1.
원각형 유충
2.
다각형 유충
3.
소각형 유충
4.
무각형 유충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원각형 유충은 내시류 유충을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한 기생봉류의 유충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배에는 분절이 완전하지 못하고, 머리와 가슴의 부속지는 원시적인 형태이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38.
종실해충 방제를 위한 약제 살포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밤바구미는 8~9월에 살포한다.
2.
복숭아명나방은 7~8월에 살포한다.
3.
도토리거위벌레는 8월경에 살포한다.
4.
솔알락명나방은 우화기, 산란기인 8월경에 살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우화기나 산란기인 6~8월에 지효성이며 저독성인 트리플루뮤론 수화제나 클로르플루아주론 유제 5%를 2회 정도 수관에 살포한다. [해설작성자 : 원진연 ]
방제법 우화기, 산란기인 6월에 메프유제 또는 수화제, 아진포수화제, 주론수화제를 2회 정도 수관에 살포한다. 잣 수확기때 잣송이에 들어있는 유충을 모집포살한다. (8월~9월) [해설작성자 : 산림공무원]
성충발생기인 6월에 페니트로티온유제 수관살포 [해설작성자 : 이효석]
39.
청각기관인 존스톤기관은 곤충의 어느 부위에 존재하는가?
1.
더듬이의 기부
2.
더듬이의 자루마디
3.
더듬이의 채찍마디
4.
더듬이의 팔굽마디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존스톤기관은 팔굽마디에 있다.
곤충의 더듬는 강력한 각각센서의 역할을 한다. 머리에부착된 자루(기부)마디, 흔들(팔굽)마디, 채찍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40.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방 나무주사를 한다.
2.
저항성 품종을 식재한다.
3.
피해고사목은 훈증하거나 소각한다.
4.
솔수염하늘소 성충 발생시기에 지상 약제살포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나무 재선충병의 저항성 품종은 현재 연구 개발 중이다.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임업경영의 지도원칙 중 경제성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2.
일정한 비용으로 최대의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일정한 수익으로 올리기 위하여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다.
4.
최대의 비용으로 매년 같은 양의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경제성의 원칙은 일정한 수익에 대하여 비용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42.
산림청장 또는 시·도지사가 산림문화 휴양 기본계획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이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실시해야하는 기초조사 내용은?
1.
산림문화·휴양정보망의 구축·운영 실태
2.
산림문화·휴양자원의 보전·이용·관리 및 확충 방안
3.
산림문화·휴양을 위한 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4.
산림문화·휴양자원의 현황과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실태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산림청장 또는 시, 도지사는 기본계획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산림문화, 휴양자원의 현황과 주변지역의 토지이용실태 등에 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농지의 주변이나 둑, 농지와 산지의 경계에 유실수, 특용수, 속성수 등을 식재하여 임업 수입의 조기화를 도모하는 것은?
1.
혼목임업
2.
혼농임업
3.
농지임업
4.
부산물임업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농지임업 : 농지의 주변이나 둑, 농지와 산지와의 경계선 등지에 유실수, 특용수, 속성수 등을 식재 하여 임업수입의 조기화를 도모한다. - 비임지임업 : 비임지임업에서는 임지가 아닌 하 천부지, 구릉지, 원야, 도로변, 철도변, 부락 공 한지, 건물이나 운동장의 주변에 속성수, 밀원식 물, 연료목 등을 식재하여 수입의 다원화를 도모 한다. - 혼농임업 : 혼농임업의 본래의 뜻은 임목을 벌채하 고 2~3년간 농사를 지은 다음 나무를 식재하거나 식재 후 임목이 크기 전에 몇 해 동안 간작으로 농사를 짓는 형태의 임업이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혼농임업은 임지의 일부 또는 수목의 뜨문뜨문 있는 임지를 이용하여 목초, 특용식물(약초, 인삼 등), 산채 등을 재배하는 형태의 임업이다. - 혼목임업 : 혼목임업은 근래 임간방목이란 용어 로 표현하기도 하는 임업으로, 임목이 울폐되기 전 일정 기간 동안 삼림 내에 가축을 방목하여 임지의 야생초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 양봉임업 : 양봉임업은 삼림 내의 밀원식물을 이 용하여 양봉을 같이 하는 형태의 임업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복합임업은 산촌진흥사업으로 많은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다. - 부산물임업 : 부산물임업은 삼림의 부산물(종실, 수피, 수엽, 수액, 수근, 버섯, 산채, 약초 등)을 주로 채취하거나 증식하여 농가소득을 올리는 형태의 임업으로, 농 - 산촌의 소득을 제고하는 데 적절한 방법이다. - 수예적 임업 : 수예적 임업은 삼림에서 간벌한 임목을 대묘로 굴취하여 도시의 환경미화목으로 이용하거나 꽃나무와 기타 관광수를 생산하여중간수입을 거두는 임업경영 형태이다. - 수렵임업 : 수렵임업에서는 야생동물을 보호-증식하여 삼림에서의 수렵장 수입을 올리도록하여 삼림 수입의 증가를 도모한다. - 휴양임업 : 휴양임업은 삼림 내에 휴양시설을 갖 추어 휴양객을 유치함으로써 수입을 올리는 임업 경영으로, 관광임업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모두들합격합시다]
임도밀도 = 산림 1ha당 총 임도의 면적 공식 1) 총 임도면적 (m) / 산림면적 (ha) 공식 2) 10000 / 임도간격 (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임도의 설계 업무 순서로 옳은 것은?
1.
예비조사 → 예측 → 실측 → 답사 → 설계도 작성
2.
예비조사 → 예측 → 답사 → 실측 → 설계도 작성
3.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 작성
4.
예비조사 → 답사 → 실측 → 예측 → 설계도 작성
정답 : [
3
] 정답률 : 79%
72.
지표면 및 비탈면의 상태에 따른 유출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1.
떼비탈면
2.
흙비탈면
3.
아스팔트포장
4.
콘크리트포장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떼비탈면의 유출계수는 0.3으로 가장 작고 콘크리트포장은 0.8~0.9정도로 보기중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풀꽃]
임상 좋은 산지유역 - 0.35~0.45 임상 좋지 않은 산지유역 - 0.45~0.65 황폐 심한 유역 - 0.65~0.85 황폐 심한 민둥산 유역 - 1 [해설작성자 : 산림킹]
73.
임도망 계획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신속한 운반이 되도록 한다.
2.
운재비가 적게 들도록 한다.
3.
운재방법이 단일화되도록 한다.
4.
운반량의 상한선을 두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운반량은 되도록 한 번에 많이 운반할수록 좋다.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74.
배향곡선지에서 임도의 유효너비 기준은?
1.
3m 이상
2.
5m 이상
3.
6m 이상
4.
8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일반임도의 유효너비는3m를 기준으로하고 배향곡선지의 경우는6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암석을 굴착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
1.
로우더(loader)
2.
머캐덤 롤러(macadam roller)
3.
리퍼 불도저(ripper bulldozer)
4.
진동 콤팩터vibrating compactor)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도저의 작업 범위 : 땅파기, 노면다짐, 벌목 및 제근 (적재는 아님) - 리퍼 불도저(ripper bulldozer) : 암석을 굴착하기에 적합한 도저 - 레이크 도저(rake dozer) : 제근 작업에 많이 사용함
※ 추가 빈출 기계 - 모터 그레이더 : 정지작업(땅 고르기) - 탬핑 롤러(댐핑 롤러) : 롤러 표면에 돌기가 붙어있어 점착성이 큰 점성토 다짐에 적합, 유효깊이가 큼 - 트랜쳐(trencher) : 도랑 등 좁고 깊은 굴을 파는 기계(정지 및 전압 전용 기계아님) [해설작성자 : 로로로로로켓]
76.
임도의 평면선형에서 사용하지 않는 곡선은?
1.
단곡선
2.
배향곡선
3.
반향곡선
4.
포물선곡선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종단선형은 종간경사, 종단곡선 등으로 구성된다. 종단곡선으로는 원곡선과 포물선이 이용되고 지형에 따라 볼록곡선과 오목곡선의 형태가 된다.
<문제 해설> 소비수량 어느 지역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식물이 생장할 때의 증산이나 식물조직의 형성에 소비된 수량과 토양이나 강우차단시의 증산량의 합계 [해설작성자 : 댤리아]
증발산은 호수 및 지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과 식생으로부터의 증산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 증발산 중에서 식생으로 피복된 지면으로부터의 증발량과 증산량만을 특히 소비수량이라한다. 즉, 소비수량은 식생과 직접 접촉하는 증발산만을 가리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사방댐의 방수면에 설치하는 물받이 길이는 일반적으로 댐높이와 월류수심 합의 몇 배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0.5 ~ 1.0배
2.
1.0 ~ 1.5배
3.
1.5 ~ 2.0배
4.
2.0 ~ 2.5배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물받이의 길이는 6m미만 기준 댐높이와월류수심합의 2배, 6m이상의 경우 1.5배 정도로 한다 [해설작성자 : 풀꽃]
97.
빗물에 의한 침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중침식
2.
구곡침식
3.
누구침식
4.
면상침식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우격-면상-누구-구곡 [해설작성자 : 황쟉]
98.
선떼붙이기 공법에서 가장 윗부분에 사용되는 떼의 명칭은?
1.
선떼
2.
평떼
3.
받침떼
4.
머리떼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갓떼(머리떼)-선떼-받침떼-선떼-바닥떼 순으로 시공. [해설작성자 : 최에]
99.
돌골막이를 시공할 때 돌쌓기의 기울기 기준은?
1.
1 : 0.1
2.
1 : 0.3
3.
1 : 0.5
4.
1 : 0.7
정답 : [
2
] 정답률 : 77%
100.
비탈면 안정 평가를 위해 안전율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비탈의 활동면에 대한 흙의 압축응력을 전단강도로 나눈 값
2.
비탈의 활동면에 대한 흙의 전단응력을 전단강도로 나눈 값
3.
비탈의 활동면에 대한 흙의 압축강도를 암축응력으로 나눈 값
4.
비탈의 활동면에 대한 흙의 전단강도를 전단응력으로 나눈 값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흙깍기나 흙쌓기로 인한 비탈면이 붕괴에 대하여 안정한지를 역학적으로 계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안정률이란 말을 사용한다. 안정률은 활동붕괴를 일으키려는 작용에 대하여 저항하려는 작용의 비 즉, 비탈의 활동면에 대해 흙의 전단강도를 현재의 전단응력으로 나눈 값이다. [해설작성자 : 댤리아]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①
③
④
①
③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③
④
②
②
②
④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①
③
①
③
②
③
②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②
①
③
④
②
①
④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④
③
①
①
③
①
②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④
③
②
②
②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②
②
④
②
②
③
①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④
③
③
④
①
④
④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①
②
①
②
②
④
③
③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③
①
④
④
③
①
④
②
④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