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그림은 아이들(idle)상태에서 급가속 후 나타난 MAP센서 출력파형이다. 각 구간별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아이들 상태의 출력을 보여준다.
2.
b:급가속시 스로틀밸브가 빠르게 열리고 있다.
3.
c:스로틀 밸브가 전개(WOT)부근에 있다.
4.
d:급가속에 의한 흡입공기량 변화로 진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압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3.
가솔린 기관의 이론열효율에 대한 압축비와 비열비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압축비가 낮아지면 효율은 좋아진다.
2.
비열비가 낮아지면 효율은 좋아진다.
3.
압축비와 비열비를 작게하면 열효율이 좋아진다.
4.
압축비와 비열비를 크게하면 열효율이 좋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이클 별 열효율 증대 가솔린 (정적 사이클, 오토 사이클) : 압축비 상승, 비열비 상승 저속 디젤 (정압 사이클, 디젤 사이클 ) : 압축비 상승, 비열비 상승, 체절비 하강 고속 디젤 (사바테 사이클, 복합 사이클) : 압축비 상승, 압력비 상승, 체절비 하강
참고 : 체절비 = 단절비, 차단비, 정압팽창비, 절단비 [해설작성자 : 옌빠]
4.
공연비 피드백제어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삼원촉매장치의 정화율을 높여준다.
2.
입력센서의 정보가 연료분사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3.
인젝터의 분사시간을 제어한다.
4.
산소센서 고장시에는 피드백제어를 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5.
라디에이터 압력식 캡의 진공밸브가 열리는 시점으로 맞는 것은?
1.
라디에이터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
2.
라디에이터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3.
라디에이터 내의 압력이 규정치보다 높을 때
4.
보조탱크 내의 압력이 규정치보다 낮을 때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라디에이터 내의 압력이 규정치보다 높을 때 압력 밸브가 열려서 냉각수가 리저브 탱크로 이동하고 라디에이터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 지면 리저브 탱크의 냉각수가 라디에이터로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5일벼락치기]
6.
자동차용 LPG연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적당한 증기압을 가져야 한다.
2.
불포화(올레핀계)탄화수소를 함유하지 말아야 한다.
3.
가급적 불순물이 함유되지 말아야 한다.
4.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함유가 충분히 많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7.
직렬형 6실린더 기관의 점화순서가 1-5-3-6-2-4에서 1번 실린더가 폭발행정 ATDC30ㆍ에 위치할 때 2번 실린더의 행정과 피스톤위치는?
1.
배기행정, BTDC30ㆍ
2.
배기행정, BTDC60ㆍ
3.
배기행정, BTDC90ㆍ
4.
배기행정, BTDC180ㆍ
정답 : [
3
] 정답률 : 67%
8.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 전자, 소자 구품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인젝터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되며 통전되는 시간에 따라 분사량이 결정된다.
2.
릴레이는 기본 전원을 연결했을 경우 주회로에 연결되기 때문에 스위치기능이 있는 에어컨등에 주로 사용된다.
3.
트랜지스터는 NPN형과 PNP형이 있으며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만 전류가 흐른다.
4.
다이오드에는 여러종류가 있는데 어느 것이나 순방향으로 전원을 연결했을 경우에만 전류가 흐른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역방향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다이오드 : 제너 다이오드 (항복 전압 시), 포토 다이오드 (빛을 받을 시) [해설작성자 : 옌빠]
9.
흡배기 밸브의 헤드 형상 중 고출력 엔진이나 경주용차에 사용되는 것으로 열을 받는 면적이 넓은 결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플랫형
2.
튤립형
3.
서브형
4.
버섯형
정답 : [
2
] 정답률 : 64%
10.
밸브의 지름이 100mm인 경우 밸브간극은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2.5mm
2.
25mm
3.
1.5mm
4.
15mm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00/4=25 [해설작성자 : 태구]
11.
배기밸브가 열리는 순간 실린더내의 고온고압상태의 연소가스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방출되어 연소실내의 압력과 대기압이 거의 같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링 플러터현상
2.
밸브오버랩현상
3.
블로바이현상
4.
블로다운 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블로바이현상과 블로다운은 다른 현상입니다 블로바이현상은 압축행정시 발생합니다
12.
디젤기관의 연소기간 중에서 디젤노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착화지연기간
2.
폭발연소기간
3.
제어연소기간
4.
후기연소기간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디젤기관의 노크는 착화 지연 기간이 길수록 발생하기 쉽다. 착화 지연 기간을 짧게 하기 위해 온도, 압축비를 높이는 등으로 노크를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옌빠]
13.
저압EGR(LP-EGR)시스템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비교적 깨끗한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2.
emergency filter는 터보차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3.
DPF전단의 배기가스일부를 분리하여 터보차저 전단에 공급한다.
4.
터보차저효율이 개선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PF 후단에서 배기가스 일부를 분리하여 터보차저 전단에 공급한다 [해설작성자 : 5일벼락치기]
14.
코일을 기계적인 브러쉬 대신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으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아 가스폭발위험이 적은 형식으로 LPG차량의 연료펌프에 모터형식은?
1.
코어리스(Coreless)모터
2.
BLDC모터
3.
초음파모터
4.
인덕션모터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BLDC : brush less DC 모터 브러쉬가 없이 TR을 이용하는 모터 [해설작성자 : 옌빠]
15.
유압식밸브 리프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밸브간극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2.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밸브기구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3.
기계식에 비해 작동소음이 작다.
4.
오일펌프나 오일회로에 고장이 생기면 작동이 불량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16.
3kW의 발전기를 가동하려면 최소한 몇 PS의 출력을 내는 기관이 필요한가? (단, 기관의 효율은 100%로 한다.)
1.
3.20PS
2.
4.08PS
3.
5.22PS
4.
6.22PS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kw = 1.36 [해설작성자 : 태구]
1ps=736w=0.736KW이므로 3KW÷0.736=4.076 약 4.08PS
17.
가솔린 기관의 제원이 실린더내경 d=55mm. 행정 s=70mm, 연소실체적 Vc=21cm3인 기관이 이론 공기표준사이클인 오토사이클로서 운전될 경우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비열비 k=1.2이다.)
<문제 해설> 링기어 수 / 선기어 수 + 링기어 수 = 60 / 90 = 0.666.. 증속 회전수 = 입력 회전수 X (선기어 수 + 링기어수) / 링기어 수 = 50 X 90/60 =75 [해설작성자 : 5일벼락치기]
31.
차속감응형 동력조향장치(EPS)에서 고속 주행시 조향력 제어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조향력을 가볍게 한다.
2.
조향력을 무겁게 한다.
3.
고속제어는 하지 않는다.
4.
조향력 제어를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32.
앞바퀴 정렬 중 캐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킹핀 중심선의 연장이 노면과 교차하는 지점을 캐스터 점이라 한다.
2.
캐스터 점과 타이어 접지면 중심과의 거리를 트레일이라 한다.
3.
캐스터는 주행 중 바퀴에 복원성을 준다.
4.
캐스터 점은 일반적으로 차륜 후방에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정(+) 캐스터 : 킹핀이 뒤쪽으로 기운 상태, 즉 캐스터 점은 차륜 전방, 전진 방향 안정과 직진 복원력과 시미 현상 감소 부(-) 캐스터 : 킹핀이 앞쪽으로 기운 상태, 즉 캐스터 점은 차륜 후방, 복원력 감소, 직진 성능 방해, 사이드 포스에 대한 저항력 증가, 레이싱 카등의 고속 주행, 선회 차량에서 이용 [해설작성자 : 옌빠]
33.
동력조향장치에서 세이프티 체크밸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이프티 체크밸브는 컨트롤 밸브에 설치되어 있다.
2.
엔진의 정지, 오일펌프의 고장 등 유압이 발생할 수 없는 경우 조향휠의 조작을 기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해 준다.
3.
세이프티 체크밸브는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열린다.
4.
세이프티 테크밸브는 유압계통이 정상일 경우 밸브시트에서 열려 오일이 잘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34.
쇽업소버의 감쇠력 제어 작동 설명이 틀린 것은?
1.
노면의 충격을 스프링이 흡수하고 쇽업소버는 스프링진동을 감쇠시킨다.
2.
쇽업소버에는 작동유를 봉입한 실린더 피스톤 및 오리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3.
쇽업소버 내부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오일이 에너지를 흡수함으로 감쇠력이 생긴다.
4.
쇽업소버 내부의 오리피스의 지름을 작게하면 감쇠력이 작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35.
유체 클러치에서 와류에 의한 유체충돌을 감소시키는 장치는?
1.
클러치
2.
베인
3.
가이드링
4.
터빈 러너
정답 : [
3
] 정답률 : 65%
36.
공차상태의 승용차(차량총중량이 차량중량의 1.2배 이상)는 최대안전경사각도가 좌우 각각 몇 도 이상 기울인 상태에서 전복되지 않아야 하는가?
1.
좌25도, 우35도
2.
좌우 각각 35도
3.
좌우 각각 25도
4.
좌35도, 우 25도
정답 : [
2
] 정답률 : 72%
37.
압축공기식 브레이크에서 공기탱크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공기탱크내의 압력에 의해 압축기를 다시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
1.
드레인 밸브
2.
언로더 밸브
3.
체크밸브
4.
로드센싱 밸브
정답 : [
2
] 정답률 : 58%
38.
차량의 여유 구동력을 크게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주행저항 적게 한다.
2.
총감속비를 작게 한다.
3.
엔진회전력을 크게 한다.
4.
구동바퀴의 유효반지름을 작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회전속도와 구동력의 반비례 관계 총감속비를 크게 하면 회전속도는 내려가고 구동력은 올라감 유성기어장치의 원리 [해설작성자 : 옌빠]
39.
유압식 브레이크 회로에 잔압을 유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브레이크 작동지연방지
2.
회로내에 공기침입방지
3.
베이퍼록 발생방지
4.
제동압력 과다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76%
40.
ABS에서 슬립상태를 판단하여 각 종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증압 및 감압형태를 결정하는 부품은?
1.
모터 및 펌프
2.
ABS ECU
3.
하이드로릭 밸브
4.
EBD
정답 : [
2
] 정답률 : 85%
41.
자동차의 전면 투영면적이 20%증가할 때 공기저항의 증가비율은? (단, 투영면적을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
1.
20%
2.
40%
3.
60%
4.
80%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공기저항 = 공기저항계수 X 전면투영면적(제곱미터) X 속도의 제곱 즉 전면투영면적과 공기저항의 증가 비율은 1:1 [해설작성자 : 옌빠]
42.
자동변속기 차량을 밀거나 끌어서 시동을 할 수 없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크컨버터가 마찰열에 의해 파손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2.
구동바퀴로부터의 동력이 회전부분의 마찰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3.
충분한 윤활이 안되어 구동부품의 소결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4.
중량이 무겁고 또한 밀어서 시동을 걸 경우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43.
자동변속기의 스톨테스트 결과 엔진회전수가 규정보다 낮을 때의 결함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변속기내의 유압라인 압력이 너무 낮다.
2.
엔진 출력이 부족하다.
3.
클러치 및 브레이크가 미끌어진다.
4.
댐퍼클러치가 미끄러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44.
스파크 플러그의 절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절연 저항 측정은 절연저항계를 사용한다.
2.
절연저항이 10MΩ이상이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3.
절연저항 측정은 중심전극과 고전압 커넥터(단자너트)에서 측정한다.
4.
절연체 균열이 발생되어도 엔진부조와 무관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45.
자동차 네트워크 통신에서 게이트웨이 모듈의 설치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간 서로 다른 통신속도 해결
2.
서로 다른 프로토콜 중계
3.
시스템 요구에 맞는 네트워크 구성 후 필요한 정보 공유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
정답 : [
4
] 정답률 : 74%
46.
할로겐 전조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온도가 높아 밝은 적색광을 얻을 수 있다.
2.
전구의 효율이 높아 밝기가 크다.
3.
교행용의 필라멘트 아래에 차광판이 있어서 눈부심이 적다.
4.
할로겐 사이클로 흑화현상이 없어 수명을 다할 때 까지 밝기가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할로겐 전구는 색온도가 높아 밝은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적색광(X) [해설작성자 : 옌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