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고산수식 → 일본(불교영향-용안사) : 물을 전혀 이용하지 않음/ 나무(산봉우리), 바위(폭포), 왕모래(물) 표현 [해설작성자 : 팔봉K]
5.
중국 진시왕 31년에 새로이 왕국을 축조하고, 구 안에 큰 연못을 조성한 후 그 속에 봉래산을 만들었다는 연못의 명칭은?
1.
곤명호(昆明浩)
2.
태액지(太液池)
3.
난지(蘭池)
4.
서호(西浩)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진시황 31년 난지궁과 난지를 조영했는데 동서 200리(약 78.5km), 남북 20리(약 7.8km)나 되는 큰 연못을 만들고 그 속에 섬을 쌓아 봉래산으로 삼고, 돌을 다듬어 200길이나 되는 고래를 만듦 [해설작성자 : 팔봉K]
6.
명나라 때 별서정원의 성격으로 꾸며진 소주 지방의 명원은?
1.
기창원
2.
이화원
3.
졸정원
4.
작원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명나라 때 만들어진 쑤저우 최대의 정원. 유원(留园), 창랑정(沧浪亭), 사자림(狮子林)과 함께 쑤저우 4대 정원으로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됨. 베이징의 이화원(颐和园), 청더의 피서 산장(避暑山庄), 쑤저우의 유원과 함께 중국의 4대 명원 [해설작성자 : 팔봉K]
7.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의 4개 중정 가운데 이슬람 양식은 부분적으로 보이면서도 기독교적인 색채가 강하게 가미되어 있는 중정은?
1.
알베르카 중정(Patio de la Alberca),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2.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다라하 중정(Patio de Leons)
3.
린다라야 중정(Lindaraja),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4.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알베르카 증정(Patio de la Alberca)
<문제 해설> 유원은 졸정원과 함께 중국 4대 정원 중 하나인 유원(留園)은 명나라 때 서시태가 만든 개인 정원으로 700m의 긴 회랑과 회랑 벽면의 각각 다른 모양의 창, 그리고 그 창을 통해 바라보는 정원의 경관이 그림처럼 아름다운 곳 [해설작성자 : 팔봉K]
9.
정원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백거이(白居易)와 관련 없는 것은?
1.
유명한 장한가(長恨歌)를 지었다.
2.
진나라 사람으로 유명한 시인이다.
3.
관사(官舍)에 화원을 만들고 동파종화(洞坡種化)라는 시를 지었다.
4.
공무를 마치고 낙향할 때 천축석(天竺石)과 학(鶴)을 가지고 갔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당나라 사람이다. [해설작성자 : 한울]
10.
창덕궁 후원 조경의 특징은 17개소에 정자를 건립함으로써 공간을 특화하였다. 이 공간 가운데 연못의 이름과 정자(亭子)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존덕지-존덕정
2.
반도지-취한정
3.
몽답지-몽답정
4.
빙옥지-청심정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취한정 : 소요정의 동쪽에 있다. ‘蒼翠凌寒’(푸른 나무들이 추위를 업신여기다)의 뜻에서 취했다.옥류천(玉流川) 가에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을 한 익공집으로 단청을 하였다. 크기는 3.7평으로 작은 건물 관람지[昌德宮觀纜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 후원에 있는 연못 중 하나이다. 연못가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합죽선(合竹扇) 모양의 정자인 관람정이 있다. 한반도처럼 생겼다 하여 반도지(半島池)라 불렸다가 관람지(觀纜池)로 명칭이 바뀜 [해설작성자 : 팔봉K]
11.
정원에 처음으로 도입된 것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조경가들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물 화단(parterres d' eau):르 노트르(Andre Le Notre)
2.
수정궁(crystal palace):팩스턴(Samuel Paxton)
3.
큐 가든의 중국식 탑:챔버(Sir William Chambrrs)
4.
하-하(Ha-ha):랩턴(Humphry Repton)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하하기법:영국 브릿지맨이 스토우가든에 적용 [해설작성자 : 팔봉K]
12.
사찰에서 구도자가 제석천왕이 다스리는 도리천에 올라 마지막으로 해탈을 추구하는 것을 상징하는 최종적인 문의 이름은?
1.
일주문
2.
사천왕문
3.
금강문
4.
불이문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불이문 : 사찰로 들어가는 3문(三門) 중 절의 본전에 이르는 마지막 문 ‘불이’는 진리 그 자체를 달리 표현한 말로, 본래 진리는 둘이 아님을 뜻하며 일체에 두루 평등한 불교의 진리가 이 불이문을 통하여 재조명되며, 이 문을 통해야만 진리의 세계인 불국토(佛國土)가 전개됨을 의미 또한, 불이의 경지에 도달해야만 불(佛)의 경지로 나아갈 수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어, 여기를 지나면 금당(金堂)이 바로 보일 수 있는 자리에 세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문을 해탈문(解脫門)이라함 [해설작성자 : 팔봉K]
13.
담양 소쇄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쇄원 48영시에는 목본 16종, 초본 5종의 식물이 나타난다.
2.
광풍, 제월의 당호는 이덕유의 평천장고사에서 인용한 것이다.
3.
조담에서 떨어지는 물은 홈통을 통해 방지로 유입된다.
4.
매대라고 불리는 화계는 자연석을 2단으로 쌓아 만든 구조물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 광풍, 제월의 당호는 주돈이의 인품을 두고 쓴시 '주돈이전'에 나오는 말이다. [해설작성자 : 한울]
14.
일본의 전통정원 오행석조방식에서 주석(主石)이 되는 바위의 명칭은?
1.
기각석
2.
심체석
3.
영상석
4.
체동석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영상석 : 일본 조원의 오행석조법으로 단정 근엄하고 부동안정을 상징하는 주석, 기세는 수직선상 심체석 : 자모의 상, 평화 안정하고 기세는 사선상 체동석 : 강의 준영하고 영웅호걸상이며 기세는 수직선상 기각석 : 견실 강건하며 시세는 사선상 [해설작성자 : 팔봉K]
심체석...맞고 수평방향 기각석...용기와 건강 상징. 사선부정형태 [해설작성자 : 양평곰]
15.
이집트 피라미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묘건축의 일종으로서 마스터바(Mastaba)도 여기에 포함된다.
2.
선(善)의 혼(Ka)을 통해 태양신(Ra)에게 접근하려는 탑이다.
3.
인간이 세운 가장 거대한 상징으로 볼 수 있다.
4.
신전은 강의 서쪽에 배치하고, 분묘는 강의 동쪽에 배치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사자(死者)와 관련된 구조물/시설물은 태양이 지는 쪽(서쪽)에 위치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신전은 새로운 생명을 뜻하는 해가 뜨는 동쪽에 분묘는 생명이 지는 해가 지는 서쪽에 위치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6.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콜롬비아 박람회가 여러 방면에 미친 영향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도시미화운동이 활발해졌다.
2.
로마에 아메리칸 아카데미를 설립하였다.
3.
박람회장 내 건축은 유럽고전주의 답습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였다.
4.
조경계획의 수립 시 타 분야와의 공동 작업이 활발해졌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17.
다음 중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영국 내 조경작품이 아닌 것은?
1.
멜버른 홀(Melbourne Hall)
2.
브라함 파크(Bramham Paek)
3.
햄프턴 코트(Hamptom Court)
4.
버컨헤드 공원(Birkenhead Park)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버켄헤드 공원은 풍경식 정원 전통을 이은 설계로 축 중심이고 정형적인 프랑스 조경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다정]
birkenhead park : 영국 리젠트파크에 영향을 받아 왕실 수렵원을 시민의 힘으로 공공공원으로 조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회교식 정원양식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이탈리아-사라센
2.
페르시아-사라센
3.
스페인-사라센
4.
인도-사라센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중세의 페르시아, 스페인, 인도는 회교식(사라센식) 정원양식이다. [해설작성자 : 드불]
19.
조선시대에 조영된 별서정원 작정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옥호정-김조순
2.
남간정사-송시열
3.
소쇄원-양산보
4.
명옥헌-정영방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명옥헌-오이정 서석지-정영방 [해설작성자 : 한울]
20.
고려시대 궁궐 정원에 대한 내용이 처음 기록된 시기는?
1.
태조 5년(942년)
2.
경종 2년(977년)
3.
성종 12년(994년)
4.
문종 5년(1052년)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지[경종2년(977)에 조성]에 관한 기록은 5대 경종 부터 31대 공민왕까지의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동국대조경학과 ]
<문제 해설> 1. 자극 탐구단계 - 호기심, 지루함 등 다양한 동기에 의함. - 생물적 본능과 관계없는 행위와 관계함. 2. 자극선택 - 어느 특정한 자극에 의한 선택. - 특정 자극에 의한 주의력 집중에 의함. 3. 자극해석 - 자극요소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지각함. - 시각적 지각에 현저한 영향을 끼침. 4. 반응 - 감정적 반응 : 두려움, 슬픔 등. - 행동적 반응 : 손, 근육 등의 움직임. - 구술적 반응 : 느낌이나 감정의 표현. - 정신 생리적 반응 : 생리적 작용의 변화 [해설작성자 : 팔봉K]
27.
공동 주거 공간 계획 시 주거의 쾌적성 및 안전성 확보 노력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인동 간격의 유지
2.
완충 공간의 확보
3.
도로 위계에 따른 영역성 확보
4.
자투리땅을 이용한 녹지 확보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주거공간의 쾌적성 과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자투리땅을 이용한 녹지 확보는 말도안되는거고 기본적인 상식이다. [해설작성자 : 오토야]
28.
주택단지 배치 계획시 주거군(住居群)의 조망이 양호하도록 배치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단지의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최적 위치 및 적정 높이를 결정하여 배치한다.
2.
각 방향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주택을 배치한다.
3.
밑에서 올려다보는 것보다 위에서 내려다 볼 수 있도록 배치한다.
4.
높은 지역에는 저층건물, 낮은 지역에는 고층건물을 배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레크리에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은?
1.
자원접근법
2.
활동접근법
3.
경제접근법
4.
행태접근법
정답 : [
4
] 정답률 : 79%
30.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대상사업이 실시되는 지역의 경관 및 방재가 포함되어야 한다.
2.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 및 조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3.
개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관계 행정기관의 의견 및 이에 대한 반영 여부가 포함되어야 한다.
4.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내용과 작성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① 법 제12조제1항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이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이라 한다)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요약문 2. 개발기본계획의 개요 3. 개발기본계획 및 입지(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만 해당한다)에 대한 대안
4.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5. 개발기본계획의 적정성 6. 입지의 타당성(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만 해당한다) 7.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내용 8. 제10조제2항에 따른 주민 등의 제출의견에 대한 검토 내용 [해설작성자 : 한울]
31.
조망(眺望, The vista)의 설계적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부분적으로 나눌 수 있다.
2.
경관특성과 조화되게 한다.
3.
시각적 관심이 분할되지 않게 한다.
4.
시작지점에서 한 눈에 전체가 보이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각적 초점이 되는 물체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보는 장소에서 볼 수 있도록 계획한다. *비스타 : 종점 혹은 지배적인 요소로 향하여 모아지는 전망을 말함.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3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한 “녹지의 설치ㆍ관리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전용주거지역에 인접하여 설치ㆍ관리하는 녹지는 그 녹화면적률이 50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
재해발생시의 피난을 위해 설치ㆍ관리하는 녹지는 녹화면적률이 50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할 것
3.
원인시설에 대한 보안대책을 위해 설치ㆍ관리하는 녹지는 녹화면적률이 80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할 것
4.
완충녹지의 폭은 원인시설에 접한 부분부터 최소 10미터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재해발생시의 피난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경우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에는 관목 또는 잔디 그 밖의 지피식물을 심으며, 그 녹화면적률이 70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오코]
33.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연경관의 훼손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지역
2.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3.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4.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 가치가 큰 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71%
34.
레크리에이션 계획 시 반영되는 표준치(standard)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법론적으로 우수하며, 확실성이 있다.
2.
목표의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3.
계획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침 또는 기준이 된다.
4.
여가시설의 효과도(effectiveness)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방법론적으로 애매하다는 단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표준치는 목표 달성을 평가하거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표준치는 항상 확실하거나 방법론적으로 우수한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때때로 표준치는 과학적 연구나 경험을 통해 도출되기도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완벽하게 정확하거나 확실한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다른 세 옵션들은 표준치의 특성과 역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표준치는 지침이 되는 기준일 뿐, 절대적인 방법론적인 정답은 아님. 또한 확실성이 있는 것도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우리나라 스키장 계획 관련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남서향 사면에 계획
2.
정상부는 급경사, 하부는 완경사로 계획
3.
관련 시설을 포함하여 최소 10ha 이상의 면적이 바람직함
4.
동계기간에 강설량이 많고, 적설기의 우천일수가 적은 곳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햇빛의 영향을 가장 덜받는 북동향 사면에 계획한다 [해설작성자 : 스키]
36.
골프장 코스 계획 시 잔디가 가장 잘 다듬어진 지역의 명칭은?
1.
그린(green)
2.
러프(rough)
3.
페어웨이(fairway)
4.
벙커(bunker)
정답 : [
1
] 정답률 : 80%
37.
오픈스페이스를 형질, 기능, 소유의 기준으로 공공녹지, 자연녹지 및 공개녹지로 분류할 때 “공개녹지”에 해당하는 것은?
2. 배구장 코트는 장축을 ‘남-북’으로 설치하고, 바람의 영향을 막기 위해 주풍 방향에 수목 등의 방풍시설을 마련한다. 3. 야구장의 방위는 내 외야수가 오후의 태양을 등지고 경기할 수 있도록 홈플레이트를 동쪽과 북서쪽 사이에 자리잡게한다. 4. 테니스 코트의 장축 방위는 ‘정남-북’을 기준으로 동서 5~15도 편차 내의 범위로 하며, 가능하면 코트의 장축 방향과 주풍 방향이 ‘일치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의자의 계획ㆍ설계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등받이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95~110°를 기준으로 한다.
2.
앉음판의 높이는 34~46cm를 기준으로 하되 어린이를 위한 의자는 낮게 할 수 있다.
3.
앉음판의 폭은 38~45cm를 기준으로 한다.
4.
의자의 길이는 1인당 최소 70cm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인당 어깨넓이 기준 1인용 45~60CM 이다. [해설작성자 : 오토야]
의자 길이는 1인당 최소 45cm를 기준으로 하되, 팔걸이 부분의 폭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자연지역에서 그 보호와 이용을 합리적으로 하는데 적정수용력의 개념이 사용된다. 이용자가 만족스럽게 공원경험(park experience)을 만끽하는 데는 일정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것이 적정할 것인가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적정 수용력은?
1.
물리적 수용력
2.
심리적 수용력
3.
위락적 수용력
4.
사회적 수용력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심리적 수용력 : 휴양경험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에 근거한 수용력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3과목 : 조경설계
41.
시각적 환경의 질을 표현하는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친근성(familiarity)
2.
복잡성(complexity)
3.
새로움(novelty)
4.
의미성(meaning)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각적 환경의 질을 표현하는 특성 : 조화성, 기대성, 새로움, 친근성, 놀람, 단순성, 복잡성 [해설작성자 : 오코]
42.
먼셀의 색입체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나타나는 특징을 표현한 용어는?
1.
등색상면
2.
등명도면
3.
등채도면
4.
등대비면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색상(Hue) : 바깥 부분에 둥글게 위치함 --> 옆으로 튀어나갈수록 고채도, 중심축으로 갈수록 저채도 (Chroma) 명도(Value) : 중앙의 수직 축으로 세워진 막대기(회전 중심축) [해설작성자 : 오코]
43.
조경설계기준 상의 미끄럼대의 설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미끄럼판의 끝에서 계단까지는 최단거리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2.
미끄럼판(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기울기)은 20~25°로 재질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3.
착지판에서 놀이터 바닥의 답면까지 높이는 10cm 이하로 설계한다.
4.
착지판의 길이는 50cm 이상으로 하고, 물이 고이지 않도록 수평면에서 바깥쪽으로 2~4°의 기울기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한다.
<문제 해설> 생물과 환경과의 영양물 교환 속도는 초기단계에 가까울수록 빨라진다. [해설작성자 : 오토야]
생태적 천이 - 성숙단계로 갈수록 순군집생산량이 낮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크기가 크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활사이클이 길고 복잡하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좁아진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양료순환은 개방적인 단계에서 폐쇄적인 단계로 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와 기타 낙엽수 및 활엽수가 풍부히 자생하고 있다.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자작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때죽나무, 개나리, 진달래, 산철쭉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산구절초, 도라지, 앵초, 잔대, 더덕, 꽃며느리밥풀 및 꽃향유 등이 흔히 분포하고 있고 특수한 것으로 미선나무, 매미꽃, 자리바꽃이 자생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과목 : 조경시공구조학
81.
다음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동해에 의한 피해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어느 현상을 설명한 것인가?
1.
Pop Out
2.
폭렬 현상
3.
Laitance
4.
알칼리 골재반응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콘크리트 표면이 알칼리 골재반응 혹은 동해현상에 의해서 한 웅큼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다음 설명하는 배수 계통의 종류는?
1.
직각식(直角式)
2.
차집식(遮潗式)
3.
선형식(扇形式)
4.
방사식(放射式)
정답 : [
4
] 정답률 : 69%
83.
축척 1:15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축척 1:1000으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 나왔다면 실제의 면적은?
1.
15,000m2
2.
18,700m2
3.
22,500m2
4.
24,300m2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축적의 변화에 따른 면적산출 실제면적=도상면적×(축적)2 10000=도상면적×(1000)2 도상면적=0.01m2 실제면적=0.01m2 × (1500)2 = 22500m2 [해설작성자 : 겸사겸사]
실제로 지오이드면과 기준 타원체면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지오이드는 지구의 중력장과 관련된 높이의 등치면으로서, 지구의 불균일한 물질 분포와 중력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기준 타원체면은 더 간단한 모델로 지구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오이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han1110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