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은폐효과 : 2개의 소음이 동시에 존재할 때 낮은 음의 소음이 높은 음에 가려 들리지 않는 현상 [해설작성자 : 커피콩]
12.
폰(ph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00Hz대의 20dB크기의 소리는 20phon이다.
2.
상이한 음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정보는 나타내지 못한다.
3.
40dB의 1000Hz순음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설정하는 척도의 단위이다.
4.
1000Hz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각 주파수별 동일한 음량을 주는 음압을 평가하는 척도의 단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000Hz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각 주파수별 동일한 음량을 주는 음압을 평가하는 척도 ● 사례: 1000Hz 대의 20dB 크기의 소리는 20phon ● 사람의 가청한계: 0~130phon ● 상이한 음의 상대적인 크기에 대한 정보는 표시할 수 없음 =>sone을 이용 [해설작성자 : 커피콩]
13.
인간의 기억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단기 기억은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오랫동안 감각이 지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2.
작업 기억 내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의미적 코드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3.
작업 기억은 감각저장소로부터 전이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4.
인간의 기억체계는 4개의 하부체계 혹은 과정(단기 기억, 감각 저장, 작업 기억, 장기 기억)으로 개념화되어 왔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① 감각기억 ② 장기기억 ④ 3개(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해설작성자 : 커피콩]
14.
시(視)감각 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공은 조도가 낮을 때는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2.
1디옵터는 1미터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요구되는 조절능(調節能)이다.
3.
망막의 표면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기인 원추체와 간상체가 분포되어 있다.
4.
안구의 수정체는 공막에 정확한 이미지가 맺히도록 형태를 스스로 조절하는 일을 담당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모양체가 조절한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공막에 이미지가 맺히는게 아니고 망망에 이미지를 맺히게 함 (스스로 가아니라 모양체근에 의해서) [해설작성자 : 눈박사]
15.
누름단추식 전화기를 사용하여 7자리를 암기하여 누를 경우 어떻게 나누어 누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1.
194-3421
2.
19-43421
3.
194342-1
4.
1-943421
정답 : [
1
] 정답률 : 91%
16.
광삼현상(irradiation)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조도가 낮은 표시장치에서 더욱 많이 나타난다.
2.
암조응이 필요한 경우에는 흰 바탕에 검은 글자가 바람직하다.
3.
검은 모양이 주위의 흰 배경으로 번지어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4.
검은 바탕에 흰 글자의 획폭은 흰 바탕의 검은 글자보다 가늘게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광삼현상: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있는 경우 글씨가 번져 보이는 현상으로 검은 바탕에 흰 글자의 획폭은 흰 바탕의 검은 글자보다 가늘게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커피콩]
출제 당시 답은 2번으로 되어 있으나, 4번이 정답이다. 2번이 정답이려면 독립사건이라는 단어가 빠져야 함 : 두 가지 동일 확률하에서 한 가지 대안이 명시되었을 때 정보량 4. 발생확률이 동일하지 않는 사건에 대한 정보량(Hi) = pi log2(1/pi) [해설작성자 : 커피콩]
출제 당시 답은 2번이라 되어있으나, 2번이 정답이려면 독립사건이라는 단어가 빠져야함. 두가지 동일 확률하에서 한가지 대안이 명시 되었을때 정보량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2bit는 두가지가 아니라 4가지 이어야함 log2(4)=2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2과목 : 작업생리학
21.
인체의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 가운데 경추, 흉추, 요추의 합은 몇 개인가?
1.
19개
2.
21개
3.
24개
4.
26개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경추 : 7개 흉추 : 12개 요추 : 5개 7 + 12 + 5 = 24 [해설작성자 : 커피콩]
22.
노화로 인한 시각능력의 감소 시 조명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무의 대비(對比) 뿐만 아니라 휘광(glare)의 통제도 아주 중요하다.
2.
느려진 동공 반응은 과도(過渡, transient) 적응 효과의 크기와 기간을 증가시킨다.
3.
색 감지를 위해서는 색을 잘 표현하는 전대역(full-spectrum) 광원(光源)이 추천된다.
4.
과도 적응 문제와 눈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광도비(光度比)가 필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높은 광도비는 눈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사무실과 산업현장의 추천광도비는 3:1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문제 해설> 오염물의 농도가 일정치 않을 때는 국소배기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27.
일반적으로 소음계는 3가지 특성에서 음압을 특정할 수 있도록 보정되어 있는데 A특성치란 40phon의 등음량 곡선과 비슷하게 보정하여 특정한 음압수준을 말한다. B특성치와 C특성치는 각각 몇 phon의 등음량곡선과 비슷하게 보정하여 특정한 값을 말하는가?
1.
B특성치 : 50phon, C특성치 : 80phon
2.
B특성치 : 60phon, C특성치 : 100phon
3.
B특성치 : 70phon, C특성치 : 100phon
4.
B특성치 : 80phon, C특성치 : 150phon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 = 40phon b = 70phon c = 100phon [해설작성자 : 빌충]
28.
가동성 관절의 종류와 그 예(例)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중쇠 관절(pivit joint) - 수근중수 관절
2.
타원 관절(elipsoid joint) - 손목뼈 관절
3.
절구 관절(ball-and-socket joint) - 대퇴 관절
4.
경첩 관절(hinge joint) - 손가락 뼈 사이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윤활관절 종류 1. 구상(절구)관절(ball and socket joint): 관절머리와 관절오목이 모두 반구상의 것이며, 3개의 운동축을 가지고 있어 운동범위가 가장 크다. 예) 어깨관절, 대퇴관절 2 경첩관절(hinge joint): 두 관절면이 원주면과 원통면 접촉을 하는 것이며, 한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다. 예) 무릎관절, 팔굽관절, 발목관절 3. 안장관절(saddle joint): 두 관절면이 말안장처럼 생긴 것이며, 서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2축성 관절이다. 예) 엄지손가락의 손목손바닥뼈관절 4. 타원관절(condyloid joint): 두 관절면이 타원상을 이루고, 그 운동은 타원의 장단축에 해당하는 2축성 관절이다. 예) 요골손목뼈관절 5. 차축관절(pivot joint): 관절머리가 완전히 원형이며, 관절오목 내를 자동차 바퀴와 같이 1축성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예) 위아래 요골척골관절 6. 평면관절(gliding joint): 관절면이 평면에 가까운 상태에서, 약간의 미끄럼 운동으로 움직인다. 예) 손목뼈관절, 척추사이관절 [해설작성자 : 이상경]
수근중수 관절은 안장관절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29.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압
2.
기온
3.
습도
4.
공기의 유동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교환에 영향을 주는 4요소: 온도, 습도, 복사온도, 대류 [해설작성자 : 커피콩]
30.
장력이 생기는 근육의 실질적인 수축성 단위(contractility unit)는?
1.
근섬유(muscle fiber)
2.
운동단위(motor unit)
3.
근원세사(myofilament)
4.
근섬유분절(sarcomere)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장력이 생기는 근육의 실질적인 수축성 단위는 근섬유분절(sarcomere)이다. [해설작성자 : 이엔젤]
31.
어떤 작업에 대해서 10분간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100리터 배기량에 산소가 15%, 이산화탄소가 6%로 분석되었다. 분당 산소소비량은?
입력사상 중 어느 하나라도 존재할 때 출력사상이 발생되는 논리조작을 나타내는 FTA 논리기호는?
1.
OR gate
2.
AND gate
3.
조건 gate
4.
우선적 AND gate
정답 : [
1
] 정답률 : 86%
44.
맥그리그(McGregor)의 X-Y 이론 중 Y이론에 대한 관리처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2.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3.
경제적 보상체계의 강화
4.
자체 평가제도의 활성화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경제적 보상체계의 강화는 X이론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45.
피로의 생리학적(physiological) 측정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뇌파 측정(EEG)
2.
심전도 측정(ECG)
3.
근전도 측정(EMG)
4.
변별역치 측정(촉각계)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변별역치는 심리학적 측정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46.
휴먼에러(human error)로 이어지는 배후 요인으로 4M 중 매체(Media)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의 자세
2.
작업의 방법
3.
작업의 순서
4.
작업지휘 및 감독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작업지휘 및 감독은 Management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47.
NIOSH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모형 중 중재요인(moderating factor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적 요인
2.
조직 외 요인
3.
완충작용 요인
4.
물리적 환경 요인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중재요인에는 개인적 요인, 비직무적 요인, 완충적 요인이 있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48.
시각을 통해 2가지 서로 다른 자극을 제시하고 선택반응시간을 특정한 결과가 1초였다면, 4가지 서로 다른 자극에 대한 선택반응시간은 몇 초인가? (단, 각 자극의 출현확률은 동일하고, 시각 자극에 반응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0.2초라 가정하면, Hick-Hymann의 법칙에 따른다.)
1.
1초
2.
1.4초
3.
1.8초
4.
2초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RT(Response Time) = A + b log2(N) 1 = 0.2 + b log2(2), 따라서 b = 0.8초 0.2 + 0.8log2(4) = 1.8초 [해설작성자 : 커피콩]
49.
재해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성요인도 : 재해와 원인의 관계를 도표화하여 재해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2.
파레토도 : flow-chart에 의한 분석방법으로, 원인 분석 중 원점으로 돌아가 재검토하면서 원인을 찾는다.
3.
관리도 : 재해 발생건수 등의 추이를 파악하고 목표관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발생건수를 그래프화하여 관리한계를 설정한다.
4.
크로스도 : 2개 이상의 문제관계를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집계하고 표로 표시하여 요인별 결과 내역을 교차시켜 분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레토도 : 관리대상이 많은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분류항목을 큰 값에서 작은 값의 순서로 도표화 [해설작성자 : 커피콩]
50.
재해에 의한 상해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진폐
2.
추락
3.
비래
4.
전복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추락, 비래, 전복 등은 상해의 종류가 아니라 재해의 종류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51.
휴먼에러와 기계의 고장과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와 설비의 고장조건은 저절로 복구되지 않는다.
2.
인간의 실수는 우발적으로 재발하는 유형이다.
3.
인간은 기계와는 달리 학습에 의해 계속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4.
인간 성능과 압박(stress)은 선형관계를 가져 압박이 중간 정도일 때 성능수준이 가장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간의 성능과 압박은 선형관계를 가지지 않는다. 너무 스트레스가 없어도 안되고, 너무 많아도 적합하지 않아 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가 유지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52.
스트레스 상황하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해설> 시모차트 : 서블릭의 요소동작으로 분리하여 양손의 동작을 시간축에 나타낸 도표로 17가지 서어블릭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하게 작업내용을 분석하고 시간까지 도시함. [해설작성자 : 커피콩]
64.
NIOSH의 RWL(recommended weight limit)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계수에 대한 상수의 범위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비대칭계수 : 135° ~ 0°
2.
수평계수 : 63㎝ ~ 25㎝
3.
거리계수 : 175㎝ ~ 25㎝
4.
수직계수 : 175㎝ ~ 50㎝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수직계수의 측정범위는 0~175cm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65.
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키보드와 키 윗부분의 표면은 무광택으로 할 것
2.
빛이 작업 화면에 도달하는 각도는 화면으로부터 45°이내일 것
3.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작업대 끝면과 키보드의 사이는 5㎝이상을 확보할 것
4.
화면을 바라보는 시간이 많은 작업일수록 밝기와 작업대 주변 밝기의 차를 줄이도록 할것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작업대 끝면과 키보드의 사이는 15cm 이상을 확보하고 손목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받침대(패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갈산동보이]
66.
사무작업의 공정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도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스템차트
2.
유통공정도
3.
작업공정도
4.
다중활동분석표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사무공정 분석에서 사무작업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분석하는 데는 시스템차트(system chart)를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이엔젤]
시스템차트 : 사무작업의 공정분석에 가장 적합 2. 공정 중에 발생하는 작업의 정보를 나타냄. 3. 원재료로부터 완제품이 나올때 까지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과 검사의 모든 과정을 공정순서대로 표현한 도표로 재료와 시간 정보를 함께 나타냄. 4. 한 개의 작업부서에서 발생하는 한 사이클 동안의 작업현황을 작업자와 기계 사이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표현한 도표 [해설작성자 : 커피콩]
67.
작업에 대한 유해요인의 관리적 개선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작업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2.
작업일정 및 작업속도를 조절한다.
3.
작업강도를 조절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킨다.
4.
작업공간, 공구 및 장비의 정기적인 청소 및 유지보수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68.
기계 가동시간이 25분, 적재(load 및 unloading) 시간이 5분, 기계와 독립적인 작업자 활동시간이 10분일 때 기계 양쪽 모두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담당해야 하는 이론적인 기계대수는?
1.
1대
2.
2대
3.
3대
4.
4대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작업자가 담당할 수 있는 이론적 기계대수(n) = (a + t)/(a + b) = (5 + 25)/(5 + 10) = 30/15 = 2 [해설작성자 : 커피콩]
69.
워크샘플링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특별한 시간 측정 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2.
관측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에 방해가 적다.
3.
짧은 주기나 반복적인 작업의 경우에 적합하다.
4.
조사기간을 길게 하여 평상시의 작업현황을 그대로 반영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짧은 주기나 반복 작업인 경우 부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70.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업장내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한다.
2.
사업주는 유해요인 조사에 근로자 대표 또는 해당 작업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3.
신규 입사자가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배치되는 경우 즉시 유해요인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신설되는 사업장의 경우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에 최초의 유해요인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신규입사자가 배치되는 경우가 아니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새로운 작업, 설비를 도입한 경우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71.
수공구의 설계 원리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손목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한다.
2.
지속적인 정적 근육부하를 피하도록 한다.
3.
특정 손가락의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도록 한다.
4.
가능하면 손바닥으로 잡는 power grip보다는 손가락으로 잡는 pinch grip을 이용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72.
동작경계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나도록 한다.
2.
휴식시간을 제외하고는 양손이 동시에 쉬지 않도록 한다.
3.
눈의 초점을 모아야 작업할 수 있는 경우는 가능하면 없앤다.
4.
탄도동작(Ballistics Movements)은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 더 느리고 부정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탄도동작은 제한된 동작보다 더 신속, 용이, 정확하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7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은?
1.
하루에 25㎏의 물건을 5회 들어 올리는 작업
2.
하루에 2시간씩 시간당 15회 손으로 쳐서 기계를 조립하는 작업
3.
하루에 2시간씩 집중적으로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작업
4.
하루에 4시간씩 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작업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이엔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류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직업 2022 Win Q 인간공학기사 필디 단기완성입니다. 문제는 15회라고 명시되었으나 해설에서는 10회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관리자 입니다. 저는 비전공자라서 잘 모르겠지만. 규정을 물은게 아니고 해당하는 작업을 물었으니 15회면 10회 이상에 해당하므로 부담이 되는 작업이 맞으므로 정답은 2번이 맞는게 아닐까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관리자분 말도 일리가 있는데 다른 선지를 봤을때 3번 같은 경우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이라고 나와 있기 때문에 선지의 의도는 하루에 2시간씩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을 물어보려고 낸 문제인 것 같습니다 우선 교문사 책에는 15회라고 나와있긴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오류신고 반론] 답2번. 맞습니다. 규정이 아닌 부담 작업이오니 규정이상 부담되는 작업성을 고르는 겁니다 [해설작성자 : 물산 정치인]
74.
근골격계 질환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상과염은 팔꿈치 부위의 인대에 염증이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증상이다.
2.
수근관증후군은 손의 손목뼈 부분의 압박이나 과도한 힘을 준 상태에서 발생한다.
3.
백색수지증은 손가락에 혈액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증상이다.
4.
결절종은 반복, 구부림, 진동 등에 의하여 건의 섬유질이 손상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결절종은 손이나 손목, 발, 발목등에 생길 수 있는 물혹 [해설작성자 : 티케이짱]
75.
요소작업의 분할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불변 요소작업과 가변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2.
외적 요소작업과 내적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3.
규칙적 요소작업과 불규칙적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4.
숙련공 요소작업과 비숙련공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불변 요소작업과 가변 요소작업으로 구분 외적 요소작업과 내적 요소작업으로 구분 규칙적 요소작업과 불규칙적 요소작업으로 구분 [해설작성자 : 커피콩]
76.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단순 반복 작업은 기계를 사용한다.
2.
작업방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한다.
3.
작업순환(Job Rotation)을 실시한다.
4.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작업속도와 강도를 늘린다면 예방이 아닌 몸에 부담이 가겠죠? ㅎㅎㅎ [해설작성자 : HSU 안전보건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