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 = P11Q1 + P12Q2 = 3×2 + 2×1 = 8v [해설작성자 : 19년 산기 3차 21일남은 수험생]
Vb=2v이므로 2=P21*1+P22*0 따라서 P21=2
[추가 해설] A 1C 일때 A 에3v , B에2V 영향 (예시) A 2c 일때 A 에2*3V , B에4V 영향 B 1c 일때 A 에2V , B에3v 영향 (제일첫번째A 1c 일때반대로생각) 문제 A전위는 2번째 2*3v+ 3번째 2v 합하면 8V , 추가로 B전위문제이면 2번째 4V + 3번째 2V 해서 6V됨 [해설작성자 : 아재]
<문제 해설> 해설은 아니고 Tip입니다.. Pyro-electric에서 Pyro = 열, 불 이라는 접두어입니다 반대로 Cryo = 저온, 냉각 이라는 뜻이 있음 [해설작성자 : 19년 3회차 22일남은 수험생]
초전효과는 초전도체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전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자석을 밀어내고 전기전도도가 1에 가까워지기때문에 온도변화가 조건으로 붙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하나]
14.
권선수가 400회, 면적이 9π cm2인 장방형 코일에 1A의 직류가 흐르고 있다. 코일의 장방형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속밀도가 0.8 Wb/m2 인 균일한 자계가 가해져 있다. 코일의 평행한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축으로 할 때 이 코일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m 인가?
계산기 입력 수치 0.05+0.4605*log(1/2.5*10^-3) = 1.2482 =1.25 주의 log [해설작성자 : 성중]
26.
직류송전방식의 장점은?
가.
역률이 항상 1 이다.
나.
회전자계를 얻을 수 있다.
다.
전력 변환장치가 필요하다.
라.
전압의 승압, 강압이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류송전방식] 1. 승/강압이 어려움 2. 코로나 발생이 적음 3. 역률 1로 송전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7.
송전선로의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주 보호 계전기가 그 어떤 이유로 정지해 있는 구간의 사고를 보호한다.
나.
주 보호 계전기에 결함이 있어 정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구간 사고를 보호한다.
다.
차단기 사고 등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는 장소의 사고를 보호한다.
라.
후비 보호 계전기의 정정값은 주 보호 계전기와 동일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은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을 경우 백업하는 역할입니다. 예를 들어 100A의 과전류가 흘렀을 때 주 부호 계전기의 차단 시작 값이 110A 이면 주 보호 계전기가 차단을 하지 못합니다. 이를 대비해 차단 시작 값이 90A인 후비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여 주 부호 계전기가 차단하지 못한 사고를 백업해줍니다. 이 때문에 두 계전기의 정정값은 서로 다르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문제 해설> 문제 좀 그렇긴 함. 결론은 종단에 부하전류가 매우 작아진다. - 단락 시 단락된 권선보다 계자 권선의 저항이 훨씬 크기 때문에 계자 권선에 가해지는 전류가 적어짐. - 그러면 생성되는 자속도 줄게되고 결국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기자전류도 적어짐.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4.
단락비가 큰 동기발전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효율이 나쁘다.
나.
계자전류가 크다.
다.
전압변동률이 크다.
라.
안정도와 선로 충전용량이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단락비가 크다.] - 저속기(수차, 돌극형) -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 전기자 저항 및 동기 리액턴스가 작다 -> 전압변동률이 적다. - 철기계이므로 선로의 충전용량이 크고 과부하 내량이 크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무겁다. - 효율이 안 좋다(철기계 -> 철손 증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5.
어떤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60%일 때 전압변동률이 최대라고 한다. 지금 이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100%일 때 전압변동률을 측정 했더니 3%였다. 이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80% 일 때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
제가 자세히 써드릴게요 . 부하 역률이 60 % 일때 전압변동률이 최대라네요 그럼 공식은 이렇습니다. 부하역률이 60 % 일때 최대 전압변동률 공식은 CosMAX[0.6] = p (저항강하) / 루트(p^2 + q(리액턴스강하)^2) 이 공식 기억하시구 다음 식을 생각하실건 Cos@ 가 1 이라네요 그럼 자연스레 sin@ = 0 이 될 것 입니다.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은 기본 세타 공식 sin@ = 루트( 1- cos@^2) 참고하세요
그럼 다시 본론으로 전압 변동률 공식이용해서 3(e) = p x cos@ + q x sin@ 입니다 . 근데 cos 1 Sin 0 대입하면 3(e) = p x cos@ + q x 0 입니다. 즉 p = 3 이 됩니다. 그럼 위에 썻던 공식중에 CosMAX[0.6] = p (저항강하) / 루트(p^2 + q(리액턴스강하)^2) 이 공식에 p 값 3 을 대입하시면 이항해서 풀게 될 경우 1. 3 / 루트(3^2+q^2) = 0.6 2 루트 없애고 다른 숫자들한테 ^2승 해준다 3. 3^2 / (3^2 + q^2) = 0.6^2 4. 3^2 = 0.6^2 + (3^2 + q^2) 5. 3^2 / 0.6^2 = (3^2 + q^2) 6. ( 3^2 / 0.6^2 ) - 3^2 = q^2 7. 16 = q^2 8. q = 4
이제 마지막입니다.
P(3) x 0.8(cos@) + q(4) x 0.6(sin@) = e(전압변동률) e = 4.8 입니다 . [해설작성자 : 까리하네]
주파수 문제일때는 단상반파:1f 단상전파:2f 3상반파:3f 3상전파:6f [해설작성자 : ㅈㅁㅅ]
50.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저항제어법의 장점은?
가.
부하에 대한 속도변동이 크다.
나.
역률이 좋고, 운전효율이 양호하다.
다.
구조가 간단하며, 제어조작이 용이하다.
라.
전부하로 장시간 운전하여도 온도 상승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차저항 제어법] 1.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조작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풍부하다. 2. 속도변동이 크고 효율이 안 좋으며 경부하 시 광범위한 속도조정 불가, 제어용 저항이 비쌈 [2차 여자제어법] - 크레머, 셀비우스법 존재 1. 역률 개선 가능, 속도 제어 범위가 넓음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51.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비례추이를 할 수 없는 것은?
가.
토크
나.
출력
다.
1차 전류
라.
2차 전류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례추이가 되는것: 토크,역률,1차,2차 전류 [해설작성자 : 진혁띠]
비례추이에서 구할 수 없는 것 출효동동 : 출력 효율 동손 동기속도 [해설작성자 : 200425산기]
저(항) 출(력) 효(율) 동(기속도) 동(손) [해설작성자 : 원마고박사]
52.
직류 직권전동기의 속도제어에 사용되는 기기는?
가.
초퍼
나.
인버터
다.
듀얼 컨버터
라.
사이클로 컨버터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것, 컨버터는 교류를 직류로 바꿔주는것 따라서 답은 초퍼 [해설작성자 : 부자외동]
53.
6극 유도전동기 의 고정자 슬롯(slot)홈 수가 36이라면 인접한 슬롯 사이의 전기각은?
<문제 해설> 단락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항목 : 동기 임피던스, 동기 리액턴스, 동손, 임피던스 전압 무부하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항목 : 무부하전류, 여자전류, 여자어드미턴스, 철손, 기계손 단락시험, 무부하시험 동시 시행으로 구할 수 있는 항목 : 단락비 [해설작성자 : 낼모레시험]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 하는 극저주파 전자계는 지표상 1m 에서 전계가 몇 kV/m 이하가 되도록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3.5
나.
2.5
다.
1.5
라.
0.5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유도장해방지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 저주파 전자계는 지표상 1m 에서 전계가 3.5kv/m 이하, 자계가 83.3 이하가 되도록 시설 [해설작성자 : 신현집]
88.
동일 지지물에 저압 가공전선(다중접지된 중성선은 제외)과 고압 가공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저압 가공전선은?
가.
고압 가공전선의 위로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나.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다.
고압 가공전선의 아래로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라.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주 한번만 들여다보시면 얇은 선이 아래에 있쬬 그게 저압선입니당 고압선 아래에 있어요 [해설작성자 : 하나]
89.
23kV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한 주상변압기의 2차측 접지선의 굵기는 공칭단면적이 몇 mm2 이상의 연동선인가? (단,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을 제외한다.)(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가.
2.5
나.
6
다.
10
라.
16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개정후]
142.3 접지도체·보호도체 142.3.1 접지도체 (-중간 생략-) 6. 접지도체의 굵기는 제1의 “가”에서 정한 것 이외에 고장 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음에 의한다. 가. 특고압·고압 전기설비용 접지도체는 단면적 6 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동등 이상의 단면적 및 강도를 가져야 한다.
중섬점 접지용 접지도체는 공칭단면적16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동등 이상의 단면적 세기를 가져야하지만 다음의 경우 안가진다고 되어있습니다 7kv이하 전로, 사용전압 2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 다만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 여기 문제는 다중접지 제외로 16mm^2가 정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꿈나무]
개정후로 말씀드리면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의 것이 공칭단면적 6 여기 지문에서는 중성선 다중접지식 것을 제외한다고 하였으니 16 즉 4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90.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되는 철탑은?
가.
내장형철탑
나.
인류형철탑
다.
각도형철탑
라.
보강형철탑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내장형 철탑 :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 2. 인류형 철탐 :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 3. 각도형 철탐 : 전선로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 4. 보강형 철탑 :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 [해설작성자 : 낼모레시험]
91.
철탑의 강도 계산에 사용하는 이상 시 상정 하중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좌굴하중
나.
수직하중
다.
수평횡하중
라.
수평종하중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좌굴:축(軸) 방향에 압력을 받는 기둥이나 판이 어떤 한계를 넘으면 휘어지는 현상 좌굴하중: 좌굴을 일으키기 시작한 한계의 압력. [해설작성자 : 강현구]
92.
교류 전차선 등이 교량 등의 밑에 시설되는 경우 교량의 가더 등의 금속제 부분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교량의 가더 등의 금속제 부분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것 판단기준 제207조 [해설작성자 : 부평시금치]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3.
사용전압 1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 다중 접지시설은 각 접지선을 중성 선으로부터 분리하였을 경우 1km 마다의 중성선과 대지사이의 합성 전기저항값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가.
30
나.
50
다.
400
라.
500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5kv이하-30옴 25kv이하-15옴 [해설작성자 : ㅈㅁㅅ]
[25kV 이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 - 지락 사고 시 2초 이내에 자동 차단 장치 시설 1. 접지점 간 거리: 300m 2. 접지점의 대지저항: 300옴 3. 접지점 분리 시 1km 마다의 전기저항 가. 15kV 이하: 30옴 나. 25kV 이하: 15옴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4.
고압 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종접지공사 -조가용선/지중전선/네온변압기/교량의가더등의금속제/강제배류기
조지네 교강 [해설작성자 : 참두부]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5.
강색 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터널 안, 교량 아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는 제외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2.5
나.
3.0
다.
3.5
라.
4.0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강색차선(판단기준 275조) 강색차선 레일면상 높이 4[m]이상 터널 안, 교량 아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3.5[m]이상 [해설작성자 : 경산직]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