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V/m의 전계내의 80V 되는 점에서 1C의 전하를 전계 방향으로 80cm 이동한 경우, 그 점의 전위(V)는?
1.
9
2.
24
3.
30
4.
56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V=80-E x r =80-30 x 0.8 =5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계 E = (전위 차)V/d(거리) 따라서 V = E * d = 30 * 0.8 = 24V 하지만 맨 처음 언급했듯, 이때 구한 것은 전.위.차. 이므로 이동한 점의 전위는 80-V = 80 - 24 = 56[V] [해설작성자 : 나에게도행운이]
6.
도전율 σ인 도체에서 전장 E에 의해 전류밀도 J가 흘렀을 때 이 도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표시한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P=VI에서 I= 전류밀도(J)*면적(S) [A] 대입하면 P=VJS 여기서 V=E*r이므로 (전계의 세기와 전위의 관계) P=E*r*J*S 여기서 체적 V(m^3)=r(m)*S(m^2) P=E*J*V 전력이 미소분에 대한 전력이었다고 치고 전체 식을 체적에 대해 적분하면 도체 전체에 대한 전력식이 된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7.
자극의 세기가 8×10-6Wb, 길이가 3cm인 막대자석을 120 AT/m의 평등자계 내에 자력선과 30°의 각도로 놓으면 이 막대자석이 받는 회전력은 몇 N ㆍ m인가?
<문제 해설> 옥내배선의 전서의 굵기를 결정한다는 의미는 전체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일이므로 가장 맞는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강도가 맞습니다. 3상4선식으로 하든 3상3선식으로 하든 그것은 전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고 공급측의 공급방식에 의하여 결정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게 일단 옥내배선의 굵기니까 전주에서 우리집으로 들어오는거는 이미 3상3선이든 4선이든 정해져있는 상태임 ! [해설작성자 : 이제 라이츄]
26.
선택 지락 계전기의 용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단일 회선에서 지락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2.
단일 회선에서 지락전류의 방향 선택 차단
3.
병행 2회선에서 지락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4.
병행 2회선에서 지락고장의 지속시간 선택 차단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선택지락계전기(SGR) : 다회선 사용시 지락고장회선만을 선택하여 신속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계전기 [해설작성자 : 용비불패 짱짱]
27.
33kV 이하의 단거리 송배전선로에 적용되는 비접지 방식에서 지락전류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말하는가?
1.
누설전류
2.
충전전류
3.
뒤진전류
4.
단락전류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① 저전압, 단거리 : 선로의 길이가 짧거나 전압이 낮은 계통(33 kV 이하)에 한해서 채택 ② 1선 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아주 적어서 그대로 송전 가능(보호계전기 동작 어려움) ○ 지락전류 Ig = j 3ωCs E (A), Cs : 각 선의 대지 정전 용량 ③ 1선 지락사고시 충전전류에 의한 간헐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전압 발생(√3배) [해설작성자 : 공dol2]
비접지 방식에서 지락전류는 전압 보다 90도 앞선다. 진상 전류=앞선전류,충전전류
28.
터빈(turbine)의 임계속도란?
1.
비상조속기를 동작시키는 회전수
2.
회전자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위험 회전수
3.
부하를 급히 차단하였을 때의 순간 최대 회전수
4.
부하 차단 후 자동적으로 정정된 회전수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터빈이 회전할 때의 진동 주파수와 터빈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의 진동 주파수가 일치하게 되면 물리적 힘이 증가하며 파손위험이 있다. 이때의 회전속도를 임계속도라 한다. [해설작성자 : 바이올렛]
29.
공통 중성선 다중 접지방식의 배전선로에서 Recloser(R), Sectionalizer(S), Line fuse(F)의 보호협조가 가장 적합한 배열은? (단, 보호협조는 변전소를 기준으로 한다.)
1.
S - F - R
2.
S - R - F
3.
F - S - R
4.
R - S - F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R-S-F 배열로 보호를 해야 하며 리클로저가 사고전류 발생시 반복적인 자동개폐를 정해진 횟수만큼 실행한다. 이 때 후비보호장치인 리클로저의 동작시 섹셔널라이저가 자동개방되며, 고장제거 후에는 리클로저 자동개폐시에도 닫혀있어야 한다. 그러나 퓨즈가 용단되는 등 영구적 사고가 발생 시, 리클로저가 반복개폐를 하여도 섹셔널라이저가 개방되며 이 때 섹셔널라이저가 정회진 횟수만큼 동작 후에 영구적으로 사고회로가 개방된다. 이 경우엔 사고제거 후에 수동으로 회로를 닫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30.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정수는 어떤 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가?
1.
뇌파시험
2.
정격부하시험
3.
절연강도 측정시험
4.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장거리 송전선로를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정수로 해석하는데 있어 무부하 시험에서 Y를 구하고 단락시험에서 Z를 구함. 따라서,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정수는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으로 구함.
cf.> 특성(파동) 임피던스 : 송전선을 이동하는 진행파에 대한 전압과 전류의 비 전파정수 : 진폭과 위상이 변해가는 특성
[해설작성자 : public_picca]
31.
단도체 방식과 비교하여 복도체 방식의 송전선로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선로의 송전용량이 증가된다.
2.
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3.
전선의 인덕턴스가 감소하고, 정전용량이 증가된다.
4.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저감되어 코로나 임계전압을 낮출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코로나임계전압을 높임
32.
10000 kVA 기준으로 등가 임피던스가 0.4% 인 발전소에 설치될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MVA 인가?
고압 배전선로 구성방식 중, 고장 시 자동적으로 고장개소의 분리 및 건전선로에 폐로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개폐기를 가지며, 수요 분포에 따라 임의의 분기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1.
환상식
2.
망상식
3.
뱅킹식
4.
가지식(수지식)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루푸식(=환상식) 1. 고장 개소의 분리 조작이 용이하다. 2. 전력손실과 전압강하가 작다. 3. 전압변동이 작다. 4. 보호 방식이 복잡하며 설비비가 비싸다. 5. 수용밀도가 큰 지역의 고압 배전선에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용비불패 짱짱]
환상식 - 결합개폐기 뱅킹식 - 구분퓨즈 (캐스케이딩 현상 방지) 망상식 - 네트워크 프로텍터 (역가압 방지) [해설작성자 : 추가]
34.
중거리 송전선로의 T형 회로에서 송전단 전류 Is 는? (단,Z, Y는 선로의 직렬 임피던스와 병렬 어드미턴스이고, Er은 수전단 전압, Ir은 수전단 전류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Es 1 Z/2 1 0 1 Z/2 Er
= ( ) * ( ) * ( ) * ( ) Is 0 1 Y 1 0 1 Ir
이 행렬식을 곱하면 된다. 임피던스는 병렬에서 역수로 계산, 같은 직렬선상에 N개만큼 있으면 Z/N 으로 나눈다. 어드미턴스는 직렬에선 역수로 계산, 같은 병렬선상에 N개만큼 있으면 Y/N으로 나눈다. 자리를 외우면 헷갈리니 T형 파이형 모두 4단자정수 행렬계산으로 푸는게 정확하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답 2번 맞습니다. 행렬상에 N개가 있으면 N개 만큼 나누어 주는게 맞아요. T는 Z축상의 임피던스가 2개 이기때문에 각각 Z/2가 됩니다. 그 결과 행렬식으로 풀면 2번이 답으로 나오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가즈아]
35.
전력계통 연계 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단락전류가 감소한다.
2.
경제 급전이 용이하다.
3.
공급신뢰도가 향상된다.
4.
사고 시 다른 계통으로의 영향이 파급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계통연계시 전체 회로는 병렬식이 되어 전체임피던스가 낮아지므로 단락전류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36.
아킹혼(Arcing Horn)의 설치 목적은?
1.
이상전압 소멸
2.
전선의 진동방지
3.
코로나 손실방지
4.
섬락사고에 대한 애자보호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킹혼의 사용 목적 : 애자련을 보호하거나 전선을 보호한다. [해설작성자 : 용비불패 짱짱]
37.
변전소에서 접지를 하는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기의 보호
2.
근무자의 안전
3.
차단 시 아크의 소호
4.
송전시스템의 중성점 접지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계전기가 동작하고 트립코일이 여자되어 차단기가 개방될 때 차단기의 접점이 떨어지며 아크가 발생한다. 이 때 아크를 소호시키는 방법에 따른 종류의 구분이 OCB,VCB,GCB등으로 나뉘며, 접지와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38.
그림과 같은 2기 계통에 있어서 발전기에서 전동기로 전달되는 전력 P는? (단, X=XG+XL+XM 이고 EG, EM은 각각 발전기및 전동기의 유기기전력, δ는 EG와 EM간의 상차각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공식을 제외하고서라도 P=VI에서 P=V^2/R 이 된다. 형태를 찾고 상차각을 sin으로 곱하기만 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수수전력 P=EG*EM/X*sin@ [해설작성자 : 김이삭]
39.
변전소, 발전소 등에 설치하는 피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전전류는 뇌충격전류의 파고값으로 표시한다.
2.
피뢰기의 직렬갭은 속류를 차단 및 소호하는 역할을 한다.
3.
정격전압은 상용주파수 정현파 전압의 최고 한도를 규정한 순시값이다.
4.
속류란 방전현상이 실질적으로 끝난 후에도 전력계통에서 피뢰기에 공급되어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피뢰기의 정격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교류전압. [해설작성자 : 김선우]
정격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교류전압도 맞지만 3번에 정격전압은 상용주파수 정현파 전압의 최고 한도를 규정한 순시값이다에서 순시값이 아닌 실효값이면 맞는 말임. [해설작성자 : 의문의 고수]
40.
부하역률이 cosθ 인 경우 배전선로의 전력손실은 같은 크기의 부하전력으로 역률이 1인 경우의 전력손실에 비하여 어떻게 되는가?
1.
1 / cosθ
2.
1 / cos2θ
3.
cosθ
4.
cos2θ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역률이 1보다 작아졌으니 전력손실은 cos^2세타 배 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3과목 : 전기기기
41.
100V, 10A, 1500rpm인 직류 분권발전기의 정격 시의 계자전류는 2A이다. 이 때 계자 회로에는 10Ω의 외부저항이 삽입되어 있다. 계자권선의 저항(Ω)은?
1.
20
2.
40
3.
80
4.
100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0+Rf)*2=100 Rf=40 [해설작성자 : 얏호]
42.
직류발전기의 외부 특성곡선에서 나타내는 관계로 옳은 것은?
1.
계자전류와 단자전압
2.
계자전류와 부하전류
3.
부하전류와 단자전압
4.
부하전류와 유기기전력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무부하 포화 곡선 : 계자전류 단자전압 외부 특성 곡선 : 부하전류 단자전압 내부 특성 곡선 : 부하전류 유기기전력 부하 특성 곡선 : 계자전류 단자전압 계자 조정 곡선 : 부하전류 계자전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무부하 포화 곡선:계자전류 유기기전력 [해설작성자 : 시험 3일전]
무부하 If E 계자전류와 기전력 부하 If V 계자전류와 단자전압 내부 I E 부하전류와 기전력 외부 I V 부하전류와 단자전압
43.
가정용 재봉틀, 소형공구, 영사기, 치과의료용, 엔진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교류, 직류 양쪽 모두에 사용되는 만능전동기는?
1.
전기 동력계
2.
3상 유도전동기
3.
차동 복권전동기
4.
단상 직권정류자전동기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기 동력계: 고정자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회전력을 계측하는 기구 3상 유도전동기: 교류 전동기의 일종 차동 복권전동기: 직류 전동기의 일종 단상 직권정류자전동기: 만능전동기로 직류, 교류 양용 [해설작성자 : 해설 없길래 작성]
<문제 해설> 저항으로인한 전압강하가 230-(5+220)= 5V이고, 계자전류 10A 부하전류 40000/220 = 181.82A이다 . 즉 전기자전류는 10+181.82 = 191.82A가 되고 , 저항으로인한 전압강하가 5V이므로 저항의값은 R=V/I 에 의해 5/191.82 = 0.026옴 이 된다. [해설작성자 : 김의령]
무부하시험에서 if = (230-5)/22 부하전류 iL = 40000/220 ia = if+iL 해서 전기자 전류 구하고 전압강하/ia 해주면 저항 0.026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부하전류)I[A] = P / V ▶ 40 * 10^3 / 220 = 181.8181[A] 계자전류)If[A] = V / rf ▶ 220 / 22 = 10[A] 전기자전류)Ia[A] = I + If ▶ 181.8181 + 10 = 191.8181[A] 유기기전력)E[A] = V + IaRa + e ▶ Ra[Ω] = E - V - e / Ia ▶ 230 - 220 - 5 / 191.8181 = 0.026066[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유도전동기로 동기전동기를 기동하는 경우,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동기전동기의 극수보다 2극 적은 것은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단, s는 슬립이며 NS는 동기속도이다.)
1.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보다 sNS만큼 늦으므로
2.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보다 sNS만큼 빠르므로
3.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보다 (1-s)NS만큼 늦으므로
4.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보다 (1-s)NS만큼 빠르므로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N=(1-s)Ns=Ns-sNs -> 따라서 동기속도 Ns 보다 sNs 늦다 [해설작성자 : 마조]
59.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철손불변
2.
여자전류감소
3.
온도상승증가
4.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철손 = f*B^2 = f*(자속/면적)^2 = f*E /(4.44*N*f*면적) 즉, 철손= E^2/f에 비례. E->1.1E,f'=0.6/0.5*f => (1.1)^2/1.2 = 1.008, 거의 변화가 없다. 2.E=V-Ia*Ra, V가 1.1배 증가-> Ia 증가 -> If 감소 (분권전동기로 가정시) 3.I는 변화가 없으므로 온도상승 없음 4.출력 일정 = V상승분만큼 감소.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계산해주면 s2+7s+12 = 0 -> (s+3)(s+4)=0 그러므로 s = -3 , -4 [해설작성자 : 운송이]
66.
다음 중 이진 값 신호가 아닌 것은?
1.
디지털 신호
2.
아날로그 신호
3.
스위치의 On-Off 신호
4.
반도체 소자의 동작, 부동작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진(이진)은 0, 1과 같이 컴퓨터 신호를 말함 (기계신호) 아날로그는 사람 목소리와 같이 값이 천차만별 [해설작성자 : 북부방순대]
67.
보드 선도에서 이득여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위상곡선 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2.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3.
위상곡선 -9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4.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0dB의 축과, 위상이 180°인 직선축을 기준으로 이득곡선이 0dB에서의 이득곡선 점을 기준으로 위상차를 구할 수 있고, -180°의 축과 위상곡선이 교차하는 점을 기준으로 이득곡선의 0dB과의 이득여유를 구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안승진]
68.
블록선도 변환이 틀린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 (X1+X2)G=X3 ② X1G=X2 ③ X1=X1, X1G=X2 ④ X1G+X2=X3 ≠ (X1+X2G)G=X3 [해설작성자 : 영스프릿]
69.
그림의 시퀀스 회로에서 전자접촉기 X에 의한 A접점(Normal open contact)의 사용 목적은?
1.
자기유지회로
2.
지연회로
3.
우선 선택회로
4.
인터록(interlock)회로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자기유지 한번 동작된 회로가 취급한 상태를 원래대로 하여도 정해진 다른 값이 입력되기 전까지 계속 동작하고 있는 것을 자기유지회로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70.
단위 궤환제어계의 개루프 전달함수가 일 때, K가 -∞로부터 +∞까지 변하는 경우 특성방정식의 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 K < 0 에 대하여 근은 모두 실근이다.
2.
0 < K < 1 에 대하여 2개의 근은 모두 음의 실근이다.
3.
K=0 에 대하여 s1=0, s2=-2의 근은 G(s)의 극점과 일치한다.
4.
1 < K < ∞ 에 대하여 2개의 근은 음의 실수부 중근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4. 2개의 음의 실수부를 갖는 공액복소근이다. [해설작성자 : 합겨어어어억]
폐루프 제어계의 특성방정식 1+G(s)=0을 사용해서 K값의 변화에 따른 근의 특성을 살펴보자. 특성방정식 s2+2s+K=0. 판별식 D=b2-ac > 0이면 2개의 실근, D=0이면 중근, D<0이면 2개의 공액복소근을 가진다. 따라서 1,2,3번 모두 맞는 말이고 4번은 D < 0인 범위가 1<K면 D<0인 2개의 공액복소근을 갖는 범위이므로 4번이 오답이다. 따라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일주일뒤시험]
71.
길이에 따라 비례하는 저항 값을 가진 어떤 전열선에 E0(V)의 전압을 인가하면 P0(W)의 전력이 소비된다. 이 전열선을 잘라 원래 길이의 2/3 로 만들고 E(V)의 전압을 가한다면 소비전력 P(W)는?
그림과 같은 순 저항회로에서 대칭 3상 전압을 가할 때 각 선에 흐르는 전류가 같으려면 R의 값은 몇 Ω 인가?
1.
8
2.
12
3.
16
4.
20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델타-Y 변환 Za = ZacZab / Zab+Zbc+Zac Zb = ZabZbc / Zab+Zbc+Zac Zc = ZacZbc / Zab+Zbc+Zac
위와같이 변환하여 각 상의 저항을 구하면
Za = 8 Zb = 24 Zc = 24
그러므로 Za상에 필요한 저항은 직렬이므로 8 + 16 = 24 16의 저항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두번세번확인해라시간은넘쳐흐른다]
굳이 Y결선으로 변환하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 Z가변을 제외한 나머지로 계산을 하게되면 a-b : 160*40/160+40 = 32 옴 b-c : 120*80/120+80 = 48 옴이 됩니다. 48-32=16이기 때문에 16옴을 가변저항기로 상승시켜주면 전체 선에 흐르는 전류값은 동일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날라리]
75.
그림과 같은 RC 저역통과 필터회로에 단위 임펄스를 입력으로 가했을 때 응답 h(t)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H(s)=r과c 라플라스 바꾸고 R과 1/sc 의 전압분배[컨덴서에 걸려야 출력단] ×임펄스(라플라스 변환=1ㅋ) 그후 역변환 ㄱ [해설작성자 : 이제 라이츄]
전기집진장치에 특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변압기로부터 정류기에 이르는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제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사람 접촉 우려 없는 경우에는 3종접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6.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되는가?
1.
1.2
2.
1.8
3.
2.2
4.
2.5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판단기준 제060조] 가공전선로 지지물의 승탑 및 승주방지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의 지표상 1.8[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발판 볼트 등을 내부에 넣을 수 있는 구조 2. 지지물에 승탑 및 승주 방지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3. 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울타리·담 등을 시설 4. 산간 등에 있으며 사람이 쉽게 접근할 우려가 없는 곳 [해설작성자 : 운송이]
87.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주에서 각도형은 전선로 중 몇 도를 넘는 수평 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되는가?
조상설비의 조상기(調相機)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하는 뱅크용량(kVA)으로 옳은 것은?
1.
1000
2.
1500
3.
10000
4.
15000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조상기의 뱅크용량의 구분은 15,000[kVA] 이상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옥궁]
특고압 변압기의 보호장치 1.뱅크용량 5000kVA 이상 10,000kVA 미만으로서 내부고장의 경우 : 자동차단장치 또는 경보장치를 시설할 것 2.뱅크용량 10,000kVA 이상으로서 내부고장의 경우 : 자동차단장치를 시설할 것 조상 설비 보호 => 차단장치 1.전력용 콘덴서, 분로리액터 - (1)500kVA ~ 15,000kVA 미만 : 과전류, 내부고장 (2)15,000kVA 이상 : 과전류, 내부고장, 과전압 2.조상기 - 15,000kVA 이상 : 내부고장 [해설작성자 : 코로나종식기원]
90.
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으로 나경동선을 사용할 때의 최소 굵기(mm)는?
1.
3.2
2.
3.5
3.
4.0
4.
5.0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장강도 5.26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mm 이상의 나경동선 사용 [해설작성자 : 옥궁]
나 경동선 = 4 경동선
나 = 4 모양 똑같쥬? [해설작성자 : 나 = 4 겠쥬?]
특고압은 5m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440V용 전동기의 외함을 접지할 때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
2.
20
3.
30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40v넘는 저압의 경우 특3종 접지 적용하고, 특3종은 10옴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92.
전로에 시설하는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은 제1종 접지공사를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옥궁]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93.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0.6
2.
0.8
3.
1.0
4.
1.2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94.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버스덕트 공사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버스덕트는 구리판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철제 덕트이고 외부는 400v미만 접촉우려 없을시 동실하게 3종접지 [해설작성자 : 안승진]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5.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
1.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인 경우
2.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3.
옥내에 설치한 기계기구를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치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공장 등의 구내에서 기계기구의 주위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고압용 기계기구 4.5m [해설작성자 : 김동현피카피카]
시가지내4.5m 시가지외 4m [해설작성자 : 킹스컹스]
96.
특고압용 변압기의 보호장치인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 변압기의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유입 풍냉식
2.
유입 자냉식
3.
송유 풍냉식
4.
송유 수냉식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타냉식 변압기일경우 경보장치설치해야함 [해설작성자 : 박근학]
97.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정격 출력이 7.5kW 이상인 경우
2.
정격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3.
정격 출력이 2.5kW이며, 과전류 차단기가 없는 경우
4.
전동기 출력이 4kW이며, 취급자가 감시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212.6.4(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보호장치의 시설)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정격 출력이 0.2kw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에는 전동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leesm0417]
98.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일반적인 경우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4.3
2.
4.8
3.
5.2
4.
5.8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 높이는 4.8m 이상, 전용부지위에 시설될 때에는 4.4m이상 [해설작성자 : 옥궁]
[규정 개정]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으로 인하여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는 폐지되었습니다. 본 문제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99.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 시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가 100mA 이면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