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상 최근 1년간 작업공정에서 공정 설비의 변경, 작업방법의 변경, 설비의 이전, 사용 화학물질의 변경 등으로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화가 없는 경우 작업공정 내 소음 외의 다른 모든 인자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사업장은 몇 년에 1회 이상 측정할 수 있는가?
1.
6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1년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할 수 있는 경우 1) 작업공정 내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85dB 미만인 경우 2) 작업공정 내 소음 외의 다른 모든 인자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 [해설작성자 : 이마크]
2.
해외 국가의 노출기준 연결이 틀린 것은?
1.
영국 - WEL(Workplace Exposure Limit)
2.
독일 - REL(Recommended Exposure Limit)
3.
스웨덴 - OEL(Occupational Exposure Limit)
4.
미국(ACGIH) - TLV(Threshold Limit Value)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미국 - TLV, REL, (PEL, WEEL) 독일 - MAK [해설작성자 : 켴]
3.
L5/S1 디스크에 얼마 정도의 압력이 초과되면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장해가 나타나는가?
1.
3400N
2.
4400N
3.
5400N
4.
6400N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NIOSH에서 제안한 중량물 취급작업의 권고치 중 감시기준(AL) L5/S1 디스크에 가하는 압력이 3,400N 미만인 경우 대부분의 근로자가 견딤 NOISH에서 제안한 중량물 취급작업의 권고치 중 최대허용기준(MPL) L5/S1 디스크에 6,400N압력 부하 시 대부분의 근로자가 견딜 수 없음 [해설작성자 : 똔또니]
4.
Flex - Time 제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하루 중 자기가 편한 시간을 정하여 자유롭게 출ㆍ퇴근 하는 제도
2.
주휴 2일제로 주당 40시간 이상의 근무를 원칙으로 하는 제도
3.
연중 4주간 년차 휴가를 정하여 근로자가 원하는 시기에 휴가를 갖는 제도
4.
작업상 전 근로자가 일하는 중추시간(core time)을 제외하고 주당 40시간 내외의 근로조건하에서 자유롭게 출ㆍ퇴근 하는 제도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Flex time제 종업원이 자유로운 시간에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전 근로자가 일하는 중추시간(core time)을 제외하고 출퇴근 시간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제도 [해설작성자 : 이마크]
5.
하인리히의 사고연쇄반응 이론(도미노 이론)에서 사고가 발생하기 바로 직전의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개인적 결함
2.
사회적 환경
3.
선진 기술의 미적용
4.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사고 연쇄반응>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선천적 결함)->개인적인 결함(인간의 결함)->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인적 원인과 물적 원인)->사고->재해 [해설작성자 : 물만두]
6.
화학물질의 국내 노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일 8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2.
직업병 진단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대기오염의 평가나 관리상 지표로 사용할 수 없다.
4.
직업성 질병의 이환에 대한 반증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TLV 적용 시 주의사항 - 대기오염평가 및 지표에 사용할 수 없다. - 24시간 노출 또는 정상작업시간을 초과한 노출에 대한 독성 평가에는 적용할 수 없다. - 기존의 질병이나 신체적 조건을 판단하기위한 척도로 사용될 수 없다. - 작업조건이 다른 나라에 TLV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 안전농도와 위험농도를 정확히 구분하는 경계선이 아니다. -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다. - 피부로 흡수되는 양은 고려하지 않은 기준이다. - 반드시 전문가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이다. [해설작성자 : 사험]
적혀있는 노출기준은 ACGIH의 허용농도 적용상 주의사항이고, 국내 노출기준 사용상의 유의사항은 하단과 같습니다.(구민사 참고) ① 1회 노출지속시간이 15분 이상인 경우 ② 1일 4회를 초과하여 노출되는 경우 ③ 각 회의 간격이 60분 미만인 경우 ④ 대기오염의 평가 또는 관리상의 지표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김름름]
7.
사업장에서의 산업보건관리업무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산업보건관리 업무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안전관리
2.
건강관리
3.
환경관리
4.
작업관리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안전관리는 산업안전 업무와 연관이 깊으며 산업보건과리 업무와 연관성이 다른것들에 비해 적음 [해설작성자 : 신둔사람]
8.
최근 실내공기질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색, 무취, 무미한 가스로 인간의 감각에 의해 감지할 수 없다.
2.
인광석이나 산업폐기물을 포함하는 토양, 석재, 각종 콘크리트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3.
라돈의 감마(γ)-붕괴에 의하여 라돈의 딸핵종이 생성되며 이것이 기관지에 부착되어 감마선을 방출하여 폐암을 유발한다.
4.
우라늄 계열의 붕괴과정 일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알파 붕괴
라돈은 우라늄(238U)과 토륨(232Th)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서 만들어진 라듐(226Ra)이 붕괴했을 때에 생성되며, 붕괴를 거치면서 알파, 베타, 감마선이 방출하여 폐암을 유발한다. [해설작성자 : 이마크]
9.
어느 공장에서 경미한 사고가 3건이 발생하였다. 그렇다면 이 공장의 무상해 사고는 몇 건이 발생하는가? (단, 하인리히의 법칙을 활용한다.)
1.
25
2.
31
3.
36
4.
40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하인리히 법칙 1:29:300
경미한 사고 3건 발생으로 29/3 = 9.6666666.... 무상해 사고 ?건 발생건수 300/9.6 = 31.25.....
한 근로자가 트리클로로에틸렌(TLV 50ppm)이 담긴 탈지탱크에서 금속가공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절삭유 등의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탈지작업을 수행하였다. 또 이 과정을 마치고 포장단계에서 표면 세척을 위해 아세톤(TLV 500ppm)을 사용하였다. 이 근로자의 작업환경 측정 결과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이 45ppm, 아세톤이 100ppm 이었을 때, 노출 지수와 노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단, 두 물질은 상가작용을 한다.)
환기시설 내 기류가 기본적인 유체역학적 원리에 따르기 위한 전제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는 절대습도를 기준으로 한다.
2.
환기시설 내외의 열교환은 무시한다.
3.
공기의 압축이나 팽창은 무시한다.
4.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무게와 용량을 무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유체역학 질량보전 원리를 환기시설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전제조건 1. 건조공기 가정 2. 열교환(열전달) 효과 무시 3. 공기의 비압축성(압축성과 팽창성 무시) 4. 공기 속 오염물질 질량(무게),부피(용량) 무시 [해설작성자 : 야미]
47.
작업환경의 관리원칙인 대체 중 물질의 변경에 따른 개선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냥 제조 시 황린 대신 적린을 사용하였다.
2.
세척작업에서 사염화탄소 대신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
3.
야광시계의 자판에서 인 대신 라듐을 사용하였다.
4.
보온 재료 사용에서 석면 대신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야광시계의 자판을 라듐 대신 인 사용 [해설작성자 : 똔또니]
48.
다음 중 작업환경개선을 위해 전체 환기를 적용할 수 있는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발생원의 유해물질 발생량이 적은 경우
2.
작업자가 근무하는 장소로부터 오염발생원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3.
소량의 오염물질이 일정속도로 작업장으로 배출되는 경우
4.
동일작업장에 오염발생원이 한군데로 집중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체환기(희석환기) 적용 시 조건> - 유해물질의 독성이 비교적 낮은 경우, 즉 TLV가 높은 경우(가정 중요한 제한조건) - 동일한 작업장에 다수의 오염원이 분산되어있는 경우 - 소량의 유해물질이 시간에 따라 균일하게 발생될 경우 -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적은 경우 및 희석공기량이 많지 않아도 될 경우 - 유해물질이 증기나 가스일 경우 - 국소배기로 불가능한 경우 - 배출원이 이동성인 경우 - 가연성 가스의 농축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는 경우 - 오염원이 근무자가 근무하는 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 [해설작성자 : 물만두]
49.
20℃의 송풍관 내부에 480m/min으로 공기가 흐르고 있을 때, 속도압은 약 몇 mmH2O인가? (단, 0℃ 공기 밀도는 1.296kg/m3로 가정한다.)
고기압 조건은 주로 고공에서 비행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나타나며 이를 다루는 학문을 항공의학 분야이다.
2.
고기압 조건에서의 건강장해는 주로 기후의 변화로 인한 대기압의 변화 때문에 발생하며 휴식이 가장 좋은 대책이다.
3.
고압 조건에서 급격한 압력저하(감압)과정은 혈액과 조직에 녹아있던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여 조직과 순환기계 손상을 일으킨다.
4.
고기압 조건에서 주요 건강장해 기전은 산소부족이므로 일차적인 응급치료는 고압산소실에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잠합병(케이슨병) 1)직접적 원인:혈액과 조직에 질소기포 증가 2)치료:재가압 산소요봅 3)고압환경에서 Henry법칙에 따라 체내에 과다하게 용해되었던 불활성기체는 압력이 낮아질때 과포화 상태로 되어 혈액과 조직에 기포형성해서 혈액순환 방해하거나 조직에 기계적영향을 줌 [해설작성자 : 야미]
- 전기용접, 자외선 살균 취급자 등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전광성 안염인 급성각막염이 유발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6~12시간에 증상이 최고도에 달함) - 자외선의 파장에 따른 흡수 정도에 따라 ‘arc-eye(welder’s flash)’라고 일컬어지는 광각막염 및 결막염등의 급성 영향이 나타나며, 이는 270~280nm의 파장에서 주로 발생한다. - 나이가 많을수록 자외선 흡수량이 많아져 백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72.
일반적으로 전신진동에 의한 생체반응에 관여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2.
강도
3.
방향
4.
진동수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한랭환경은 전신진동이 아닌 국소진동에서의 생체반응을 더 악화시킬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함. [해설작성자 : 천우]
납중독 확인 시험사항 - 혈액 내의 납 농도 - 헴(heme)의 대사 - 말초신경의 신경 전달속도 - Ca-EDTA 이동시험 - B-ALA(Amino Levulinic Acid) 축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화학적 질식제(chemical asphyxiant)에 심하게 노출되었을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되는 이유로 적절한 것은?
1.
폐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때문
2.
심장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
3.
폐속으로 들어가는 산소의 활용을 방해하기 때문
4.
신진대사 기능을 높여 가용한 산소가 부족해지기 때문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혈액 중의 혈색소와 결합하여 산소운반 능력을 방해하거나 조직이 산소를 받아들이는 능력을 잃게 하여 내질식을 일으킨다 -> 일산화탄소, 황하수소, 시안화수소, 아닐린 단순 질식 : 생리적으로는 아무 작용도 하지 않으나 공기중에 많이 존재하여 산소분압을 저하시켜 조직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부족을 초래한다 -> 수소, 이산화탄소, 질소, 헬륨 등 [해설작성자 : 합격룹]
98.
다음 중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간의 중요한 장해인 중심소엽성 괴사를 일으키는 물질로 옳은 것은?
1.
수은
2.
사염화탄소
3.
이황화탄소
4.
에틸렌글리콜
정답 : [
2
] 정답률 : 76%
99.
다음 중 유해물질의 흡수에서 배설까지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된 유해물질은 원래의 형태든, 대사산물의 형태로든 배설되기 위하여 수용성으로 대사된다.
2.
흡수된 유해화학물질은 다양한 비특이적 효소에 의한 유해물질의 대사로 수용성이 증가되어 체외로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3.
간은 화학물질을 대사시키고 콩팥과 함께 배설시키는 기능을 담당하여, 다른 장기보다도 여러 유해물질의 농도가 낮다.
4.
유해물질은 조직에 분포되기 전에 먼저 몇 개의 막을 통과하여야 하며, 흡수속도는 유해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막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간은 다른장기보다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다. +흡수속도는 유해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막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100.
다음 중 중금속에 의한 폐기능의 손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폐증(siderosis)은 철분진 흡입에 의한 암 발생(A1)이며, 중피종과 관련이 없다.
2.
화학적 폐렴은 베릴륨, 산화카드뮴 에어로졸 노출에 의하여 발생하며 발열,기침, 폐기종이 동반된다.
3.
금속열은 금속이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될 때 형성되는 산화금속을 흄 형태로 흡입할 경우 발생한다.
4.
6가 크롬은 폐암과 비강암 유발인자로 작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철폐증(siderosis)은 철분진(주로 산화철) 흡입에 의한 병적 증상 있으며 중피종과 관련이 있다. [해설작성자 : lwj]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④
④
④
④
①
③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①
①
③
①
②
③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③
②
④
④
②
③
①
④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③
③
①
①
③
④
①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④
①
②
②
①
③
④
②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③
③
③
①
②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④
③
②
③
②
①
③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①
④
③
②
④
③
①
①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②
②
③
②
②
③
④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③
②
①
④
①
③
②
③
①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