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번 개회로 자동제어 시스템의 특징 2번 능동형 부하 제어 시스템의 특징 3번 개회로 자동제어 시스템의 특징 [해설작성자 : 한번 정리했습니다.]
15.
열전대에 사용하는 열전쌍의 조합이 틀린 것은?
1.
구리 - 백금
2.
철 - 콘스탄탄
3.
크로멜 - 알루멜
4.
크로멜 – 콘스탄탄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열전대에 사용하는 열전쌍의 조합에는 '구리 - 콘스탄탄','철 - 콘스탄탄','크로멜 - 알루멜','크로멜 - 콘스탄탄' 이 있다. [해설작성자 : 김대진]
백금-백금로듐이 맞음 [해설작성자 : 고기군인]
16.
설비의 효율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로스(Loss) 중 속도 로스에 속하는 것은?
1.
고장 정지 로스
2.
작업준비/조정 로스
3.
공전/순간 정지 로스
4.
초기 유동 관리 수율 로스
정답 : [
3
] 정답률 : 70%
17.
수요 변화에 따른 다양한 제품의 생산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높은 생산성의 요구에 대응하는 생산 시스템을 의미하는 용어는?
1.
FMS
2.
FTL
3.
LCA
4.
MRP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②FTL : 유연한 기능을 가진 공작기계군을 고정 루트인 자동반송장치로 연결한 것 ③LCA : 간이자동화(시설 투자비가 적게 들고, 운영 및 유지 보수가 간단,적당한 정도의 노력이 필요한 자동화) ④MRP : 자재소요계획(자재의 흐름을 수령과 시간에 기초하여 계획,관리하는 생산재고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헤헷]
시스템 물었으니 뒤에 s로끝나는게 정답 [해설작성자 : 아이스치]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 수요 변화에 따른 다양한 제품의 생산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높은 생산성의 요구에 대응하는 생산 시스템을 의미하는 용어
FTL(Flexible Transfer Line) : 유연한 기능을 가진 공작기계군을 고정 루트인 자동반송장치로 연결한 것
LCA(Low Cost Automation) : 간이자동화(시설 투자비가 적게 들고, 운영 및 유지 보수가 간단,적당한 정도의 노력이 필요한 자동화)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자재소요계획(자재의 흐름을 수령과 시간에 기초하여 계획,관리하는 생산재고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예스티켓 85]
18.
로드 커버와 피스톤에 연결되어 피스톤 출력 및 변위를 외부에 전달하는 공압 실린더의 구성 요소는?
1.
로드 부싱
2.
타이 로드
3.
실린더 튜브
4.
피스톤 로드
정답 : [
4
] 정답률 : 64%
19.
다음 블리드 오프 방식의 회로에서 점선 안에 들어갈 기호로 적절한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4%
20.
다음 중 능동센서가 아닌 것은?
1.
서미스터
2.
측온 저항체
3.
포토 다이오드
4.
스트레인 게이지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포토 다이오드 → 광센서 [해설작성자 : 배영재]
능동형센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그 대상물에서 나오는 정보를 감지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된 에너지가 특정대상물에서 또 다른 에너지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에너지를 정보로 검출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헤헷]
2과목 :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음파가 한 매질에서 타 매질로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면
2.
음선
3.
음의 굴절
4.
음의 회절
정답 : [
3
] 정답률 : 89%
22.
설비 효율을 저하시키는 손실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질가동률은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율이다.
2.
성능가동률은 속도가동률에 시간가동률을 곱한 수치이다.
3.
시간가동률은 단위시간당 일정속도로 가동하고 있는 비율이다.
4.
속도가동률은 설비가 본래 갖고 있는 능력에 대한 실제 속도의 비율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실질 가동률 : 단위 시간 내에서 일정속도로 가동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생산량 * 실제사이클시간 / (부하시간 - 정지시간) 2. 성능 가동률 => 속도가동률 * 실질가동률 3. 시간 가동률 :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율
계획공사의 견적공수와 현 보유 표준 능력을 비교하여 이월량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공사요구의 접수 조정, 예비공사 중간 차입, 외주 발주량 조정 등을 하는 것은?
1.
일정계획
2.
휴지공사
3.
진도관리
4.
여력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① 일정계획 : 공사 착수부턴 완료까지의 세부적인 작업예정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현장작업에 직접 관련을 유지하며 다른 업무 의 예정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휴지공사 : 장치산업과 같은 연속 생산공장에서는 공장 전체 또는 일련의 장치를 휴지하여 한번에 보전공사를 실시하는 방법 이 채택되는데, 이것을 정기수리, 대수리공사, SD공사라고도 한다 ③ 진도관리 : 납기의 확정과 공사기일의 단축이 목적이며 납기관리,일정관리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헤헷]
25.
설비의 효율화를 저해하는 가장 큰 로스(loss)는?
1.
고장로스
2.
조정로스
3.
일시정체로스
4.
초기 수율로스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로스가 손실이니까 고장이 나면 고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손실(효율)이 가장 크겠죠? [해설작성자 : 당연하다]
26.
롤링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품의 베어링에 의한 진동
2.
다듬면의 굴곡에 의한 진동
3.
베어링 구조에 기인하는 진동
4.
베어링의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롤링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진동 *구조에 기인하는 진동 *다듬면 굴독에 의한 진동 *비선형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손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해설작성자 : 헤헷]
2대의 기계가 각각 90dB의 소음을 발생시킨다면 2대가 동시에 동작할 때의 소음도는 얼마인가?
1.
90 dB
2.
93 dB
3.
135 dB
4.
180 dB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두 소음이 같을 때 10*log(2)=3.01.. 근사치 3을 더해준다. 따라서 90+3=93
29.
설비진단 기술을 도입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효과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경향관리를 통하여 설비의 수명 예측이 가능하다.
2.
열화가 심한 설비에 효과적이며 오감에 의한 진단이 일반적이다.
3.
중요 설비, 부위를 상시 감시함에 따라 돌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4.
점검원이 경험적인 기능과 진단기기를 사용하면 보다 정량화할 수 있으므로 쉽게 이상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30.
설비의 유효가동률을 나타낸 것은?
1.
설비유효가동률 = 시간가동률 / 속도가동률
2.
설비유효가동률 = 시간가동룔 × 속도가동률
3.
설비유효가동률 = 시간가동룔 + 속도가동률
4.
설비유효가동률 = 시간가동룔 - 속도가동률
정답 : [
2
] 정답률 : 83%
31.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설비효율을 얻기 위하여 고장분석을 실시한다. 고장분석을 행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설비의 고장을 없애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설비의 가동시간을 늘리고 열화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설비의 보수비용을 늘려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
설비의 고장에 의한 휴지시간을 단축시켜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설비 보전의 목적은 경제성 향상에 있다. 보수비용을 늘리는 것은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일이기에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Juni]
32.
제품의 종류가 많고 수량이 적으며, 주문생산과 표준화가 곤란한 다품종 소량생산일 경우에 알맞은 설비배치 형태는?
1.
공정별 배치
2.
제품별 배치
3.
라인별 배치
4.
제품 고정형 배치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3. 제품별 배치 (라인별 배치) : 공정계열에 따라 각 공정에 필요한 기계가 배치되는 형식, 소품종 대량생산일때 적합 4. 제품 고정형 배치 : 주재료와 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있고 사람, 기계, 도구 및 기타 재료가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함 작업자의 기량을 신뢰할 수 있을 때 사용
33.
설비보전요원이 제조부분의 감독자 밑에 배치되어 보전을 행하는 설비보전 방식은?
1.
절충보전
2.
지역보전
3.
부분보전
4.
집중보전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집중보전:공장의 모든 보전 요원을 한사람의 관리자 밑에 조직하고 모든 보전을 관리하는 방식 2.지역보전:공장의 특정지역에 보전원을 배치하여 그 지역에 에방보전,검사,급유,수리등을 담당하게 하는 보전방식 3.부분보전:공장의 보전요원을 제조부문의 감독자 밑에 배치하여 보전을 행하는 보전 4.절충형보전: 지역,부분,집중보전의 장점만을 살리고 단점을 보정하고자 하는 보전 방식 [해설작성자 : sajdgad]
<문제 해설> P형 반도체 => 3족 원소 : 갈륨(Ga), 인듐(ln), 붕소(B), 알루미늄(Al) 등 N형 반도체 => 5족 원소 : 비소(As), 인(P), 안티몬(Sb), 비스무트(Bi) 등
46.
2개의 입력을 가지는 경우에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에는 출력이 “1”이 되고 같을 때는 출력이 “0”이 되는 배타적 OR 회로의 논리식은?
1.
Y = A · B
2.
Y = A + B
3.
Y = A ⊕ B
4.
Y = A ⊙ B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AND 회로 => 2개의 입력이 모두 1일때만 출력이 "1", 그 외엔 0 2. OR 회로 => 1개 이상의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1", 그 외엔 0
[추가 해설] 1. A, B의 AND 회로: A*B 2. A, B의 OR 회로: A+B 3. A, B의 XOR 회로: A⊕B [해설작성자 : 4번 해설좀..]
[관리자 입니다.
4번 해설을 해달라시니 제가 전공자라서. ㅎㅎ 해드릴께요. ⊙ 기호는 3번보기 기호 ⊕(XOR)의 반대로 NOT XOR인데요 공식 명칭은 NXOR이라고 부르지 않고 XNOR 이라고 부릅니다. (익스클루시브 노아 콩글리시로는 익스클루시브 낫오아)
결론적으로 4. A, B의 XNOR 회로: A⊙B 이렇게 설명 드릴수 있겠네요.
불대수로는 A⊕B = A'B + AB' A⊙B = AB + A'B' 이렇게 정확하게 반대입니다.
흠 근데 반대라고 했으면 오타난거 아니냐 이렇게 생각하실수도 있는데요. 조금만 더 설명드릴께요.
A⊕B = A'B + AB' 이거니깐 A⊙B = AB' + A'B 이거 아니냐는 분이 계신데 잘보시면 +기호를 기준으로 위 아래가 항목은 앞뒤 순서만 바뀐거지 똑같은 겁니다. 결론적으로 아니라는 겁니다.
A, B 두 입력에서 존재할수 있는 경우의 수는
1의 경우 : AB <--XNOR 2의 경우 : AB' <--XOR 3의 경우 : A'B <--XOR 4의 경우 : A'B' <--XNOR 위 네가지 경우 뿐입니다.
A⊕B 이 2, 3번의 경우 이므로 A⊙B 은 2, 3번의 반대인 1, 4번의 경우만 가져 가는 겁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A⊕B 이경우만 정확하게 이해하시면 A⊙B의 식도 금방 계산해 내실수 있습니다.
총정리 1. AND 회로 => 2개의 입력이 모두 1일때만 출력이 "1", 그 외엔 0 2. OR 회로 => 1개 이상의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1", 그 외엔 0 2. XOR 회로 => 두입력 A,B가 같으면 0, 다르면 1 출력 2. XNOR 회로 => 두입력 A,B가 같으면 1, 다르면 0 출력
이상입니다. 열공하세요.]
47.
전기 회로에서 일어나는 과도현상은 그 회로의 시정수와 관계가 있다. 과도현상과 시정수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시정수는 과도현상의 지속 시간에는 상관되지 않는다.
2.
시정수가 클수록 과도현상은 빨라진다.
3.
회로의 시정수가 클수록 과도현상은 오래 지속된다.
4.
시정수의 역이 클수록 과도현상은 천천히 사라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과도현상 : 어떤 원인에 의해 '과도상태(불안정상태)'에서 시간변화에 따라 '정상상태'로 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O]
48.
자기장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검출 헤드에 접근하는 금속체를 기계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 검출하는 스위치는?
서로 맞물려 있는 한 쌍의 기어에서 잇수가 많은것: 큰기어 라고 부릅니다. [해설작성자 : 예스티켓 85]
77.
열박음을 하기 위해 베어링을 가열 유조에 넣고 가열할 때 적당한 온도는?
1.
40℃ 정도
2.
100℃ 정도
3.
150℃ 정도
4.
190℃ 정도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거의 100[℃](90~120[℃])로 가열하고 120~130[℃] 이상 가열하면 베어링 자체의 경도 저하의 염려가 있음 [해설작성자 : bins]
78.
원심펌프 스터핑 박스의 봉수 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kgf/cm2 이다.)
1.
흡입 압력보다 0.5 ~ 1 정도 높게 한다.
2.
토출 압력보다 0.5 ~ 1.5 정도 낮게 한다.
3.
흡입 압력보다 1.5 ~ 2 정도 높게 한다.
4.
토출 압력보다 1 ~ 2 정도 낮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저는 이 문제를 스터핑 박스는 뭐 펌프 뭐시기 보호해주는 역할인 박스이겠거니 생각했고 그렇다면 토출압력은 이미 밖으로 나간 거니 신경을 안 쓴다 생각해서 흡입만 고려했고 흡입보다 0.5~1만큼 높으면 그게 높은 것도 아니니까 결론은 흡입보다 1.5~2보다 높다.라고 결론 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스터핑 박스: 피스톤, 플렌지 따위가 드나드는 곳에서 증기나 물이 새는 것을 막는 장치 [해설작성자 : 예스티켓 85]
79.
펌프를 구조상 분류할 때 왕복 펌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피스톤 펌프
2.
플런저 펌프
3.
다이어프램 펌프
4.
로터리 플랜지 펌프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왕복 펌프의 종류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윙펌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로터리(rotary) 뜻이 회전하는 이므로 왕복펌프가 아닙니다
80.
다음 배관용 공기구에서 파이프에 나사를 절삭하는 것은?
1.
오스터
2.
파이프커터
3.
파이프벤더
4.
플레어링 툴 세트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오스터 - 파이프 외관에 나사산을 내는 기구 파이프커터 - 파이프를 자르는데 쓰는 도구 파이프벤더 - 파이프를 구부리는데 쓰는 도구 플레어링 툴 세트 - 파이프를 넓히는데 쓰이는 기구. 확관기 라고도 불리기도 함.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③
④
③
②
④
①
③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②
①
④
①
③
①
④
④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④
④
①
①
②
②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①
③
④
③
②
①
①
③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②
④
③
③
③
①
②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①
④
②
①
④
②
①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②
④
②
④
①
②
①
③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②
①
④
③
③
②
③
④
①
설비보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