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자동차를 냉각할때 윤활유가쓰입니다 소파의 회전부나 문틈의 경첩에 방청(녹의 부식을 막기위함)을 위해 윤활유가 쓰입니다 윤활을 위해 윤활유가 쓰입니다 [해설작성자 : 뱅뱅뱅]
13.
ø13이하의 작은 구멍 뚫기에 사용하며 작업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드릴 이송은 수동으로 하는 소형의 드릴링머신은?
1.
다두 드릴링머신
2.
직립 드릴링머신
3.
탁상 드릴링머신
4.
레이디얼 드릴링머신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다두 드릴링 머신 - 순서에 따라 drill, reamer, tapping 가공을 한다 직립 드릴링 머신 - 대형공작물 가공 , 주축 끝에서 테이블 면까지의 최대거리 탁상 드릴링 머신 - 소형공작물 가공 레이디얼 드릴링머신 - 대형공작물가공, 주축 중심부터 컬럼표면까지 최대거리 [해설작성자 : 뱅뱅뱅]
14.
서보기구의 종류 중 구동 전동기로 펄스 전동기를 이용하며 제어장치로 입력된 펄스 수만큼 움직이고 검출기나 피드백 회로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펄스 전동기의 회전 정밀도와 볼 나사의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방식은?
1.
개방 회로 방식
2.
폐쇄 회로 방식
3.
반폐쇄 회로 방식
4.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개방회로 방식 : 피드백장치 없이 스태핑 모터를 사용한 방식 반폐쇄회로 방식 : 타코 제너레이터에서 속도를 검출, 엔코더에서 위치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는 제어방식 폐쇄회로 방식 : 타코 제너레이터에서 속도를 검출, 스케일에서 위치를 검출하여 피드백시키는 방식 오차보정이 가능 [해설작성자 : res]
15.
마이크로미터의 나사 피치가 0.2 mm 일 때 심블의 원주를 100 등분하였다면 심블 1눈금의 회전에 의한 스핀들의 이동량은 몇 mm 인가?
1.
0.005
2.
0.002
3.
0.01
4.
0.02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0.2 / 100 = 0.002 [해설작성자 : JH88]
16.
슬로터(slott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규격은 램의 최대행정과 테이블의 지름으로 표시된다.
2.
주로 보스(boss)에 키 홈을 가공하기 위해 발달된 기계이다.
3.
구조가 셰이퍼(shaper)를 수직으로 세워 놓은 것과 비슷하여 수직 셰이퍼(shaper)라고도 한다.
4.
테이블의 수평길이 방향 왕복운동과 공구의 테이블 가로방향 이송에 의해 비교적 넓은 평면을 가공하므로 평삭기라고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작물을 테이블에 고정하여 바이트가 고정된 램을 수직 왕복 운동시켜 키 홈, 평면 절삭, 특수 형상 및 곡면 절삭하는 공작 기계를 말한다. 슬로터의 크기는 램의 최대 행정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로드니]
17.
드릴링 머신의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지 않는다.
2.
가공물을 손으로 잡고 드릴링 한다.
3.
구멍 뚫기가 끝날 무렵은 이송을 천천히 한다.
4.
얇은 판의 구멍가공에는 보조 판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가공시에는 손으로 잡으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맞음]
18.
절삭공구에서 크레이터 마모(crater wear)의 크기가 증가할대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구성인선(built up edge)이 증가한다.
2.
공구의 윗면경사각이 증가한다.
3.
칩의 곡류반지름이 감소한다.
4.
날끝이 파괴되기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19.
방전가공용 전극 재료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가공정밀도가 높을 것
2.
가공전극의 소모가 적을 것
3.
방전이 안전하고 가공속도가 빠를 것
4.
전극을 제작할 때 기계가공이 어려울 것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방전가공은 NC기계의 가공 후 일반적인 기계가 가공하기 어려운 부분을 열 or spark로 정밀가공하는 가공을 의미합니다 좁은 부분에 100V 의 전압을 걸어주면 방전이 저절로 일어납니다. 아주 단단한 재료도 쉽게 가공할 수 있고 공작물의 경도와 관계없이 정밀 가공이 가능합니다. cnc(컴퓨터 수치제어기기)와 연결되어 자동화공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즈다로]
20.
연삭숫돌의 입도(grain size) 선택의 일반적인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절삭 깊이와 이송량이 많고 거친 연삭은 거친 입도를 선택
2.
다듬질 연삭 또는 공구를 연삭할 때는 거친 입도를 선택
3.
숫돌과 일감의 접촉 면적이 작을 때는 거친 입도를 선택
4.
연성이 있는 재료는 고운 입도를 선택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공작물의 재질에 따라서 연질재료(軟質材料)에는 연삭율과 숫돌수명의 관점에서 경(硬)한 숫돌을 선택한다. 경질재료(硬質材料)에는 예리한 숫돌입자의 출현을 위한 자생작용의 관점에서 연한 숫돌을 선택한다.
2.숫돌의 원주속도에 따라서 속도가 클 때(얇은 chip이 발생됨)에는 숫돌입자의 자생작용을 고려하여 연한 숫돌을 선택한다. 속도가 작을 때에(두꺼운 chip이 발생됨)는 숫돌수명의 관점에서 경한 숫돌을 선택한다.
3.공작물의 원주속도에 따라서 속도가 클 때(두꺼운 chip이 발생됨)에는 숫돌수명의 관점에서 경한 숫돌을 선택한다. 속도가 작을 때(얇은 chip이 발생됨)에는 숫돌입자의 자생작용을 고려하여 연한 숫돌을 선택한다.
4.공작물과 숫돌의 접촉면적에 따라서 면적이 클 때에는 앞의 연삭입자가 제거하지 못한 것을 뒤에 오는 입자가 제거하므로 연한 숫돌을 선택한다. 면적이 적을 때에는 적은 수의 입자가 예정량을 제거해야 하므로 경한 숫돌을 선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에 절삭 깊이가 깊은 연삭은 연한 숫돌 쓰는거 아닌가요 이거 답 3번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문제에서의 선택사항은 경도가 아닌 입도
거친 입도 1. 거친 연삭, 절삭깊이와 이송을 많이 줄 때 2. 접촉 면적이 넓을(클) 때 3. 공작물이 연하고 연성, 점성, 질긴 성질일 때 가는 입도 1. 다듬 연삭, 공구 연삭 2. 접촉 면적이 적을 때 3. 공작물이 단단(경도가 높고)하고 취성(메진)인 재료 ※연삭숫돌과 가공물의 접촉면이 적을 때에는 미세한 입자를, 접촉면이 클 땐 거친 입자를 사용
결합도가 높은 숫돌(굳은 숫돌) 1. 연한 재료의 연삭 2. 숫돌차의 원주 속도가 느릴 때 3. 연삭 깊이가 얕을 때 4. 접촉면이 작을 때 5. 재료 표면이 거칠 때 결합도가 낮은 숫돌(연한 숫돌) 1. 단단한(경한)재료의 연삭 2. 숫돌차의 원주 속도가 빠를 때 3. 연삭 깊이가 깊을 때 4. 접촉면이 클 때 5. 재료표면이 치밀할 때
거친 숫돌 조직 1. 연질, 점성이 높은 재료 2. 거친 연삭 및 접촉 면적이 크다 치밀 숫돌 조직 1. 경질(굳고)이고 메짐(취성)이 있는 재료 2. 다듬질, 총형 연삭 및 접촉면이 적다. ※일반적으로 조식이 조밀해지면 기공이 적고, 거칠면 기공이 많다.
입도 숫돌 입자의 크기 결합도 연삭 입자를 고착시키는 접착력 조직 숫돌의 전체 용적 중 정도의 비율 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면 조밀 비율이 낮으면 조직이 치밀(거칠다) [해설작성자 : 기계초보]
2과목 : 기계제도
21.
다음 끼워맞춤 중에서 헐거운 끼워맞춤인 것은?
1.
25 N6/h5
2.
20 P6/h5
3.
6 JS7/h6
4.
50 G7/h6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표 그리기 방법을 몰라 텍스트로 대충 적습니다. 축 기준 끼워맞춤 기준 구멍의 공차역 클래스 축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h5 N6, P6 h6 G7 JS7 이 표에 따라 1번 : 억지 2번 : 억지 3번 : 중간 4번 : 헐거움 그러므로 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익명]
22.
다음 치수 보조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데이텀 치수 50mm를 나타낸다.
2.
: 판재의 두께 5mm를 나타낸다.
3.
: 원호의 길이 20mm를 나타낸다.
4.
: 구의 반지름 30mm를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50)참고치수 [해설작성자 : JH88]
23.
그림은 축과 구멍의 끼워 맞춤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 중 중간 끼워 맞춤에 해당하는 것은?
[오류신고 반론] 1번 정답 맞습니다 정면도에서 볼때 계단져있고 평면도볼때 삼각형 형태로 되어있는데 우측면도 보면 밑의 삼각형형태는 제대로 나왔으나 위쪽모양에 그냥 사각형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단이 져있고 평면도형태대로 삼각형형태의 일부인 사다리꼴이 맞다면 그만큼 위쪽 모양의 단에도 라인이 있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포철 기계 53기]
38.
그림과 같은 도시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하는 곳이 화살표쪽이다.
2.
온둘레 현장용접이다.
3.
필릿 용접을 오목하게 작업한다.
4.
한쪽 플랜지형으로 필릿 용접 작업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39.
최대 실체 공차방식으로 규제된 축의 도면이 다음과 같다. 실제 제품을 측정한 결과 축 지름이 49.8 mm 일 경우 최대로 허용할 수 있는 직각도 공차는 몇 mm 인가?
스프링 지수 C = D/d D = 코일지름 d = 소선의지름 즉, 이 문제에서 C=8로 하고 위의 K 식에 대입하면 위의 설명처럼 1.184..이 됩니다 참고로 C가 12를 넘어가면 K=1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52.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은? (단, 공칭응력을 기준으로 한다.)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극한강도
4.
상항복점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탄성한도(Elastic Limit)**는 재료가 비탄성(영구적) 변형 영역으로 들어가기 바로 직전의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 지점을 넘어가면 재료는 원래의 형태로 완전히 돌아오지 못합니다. 즉, 비탄성 영역에서 발생한 변형은 영구적입니다. **극한강도(Ultimate Strength)**는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나타냅니다. 이 지점에서 응력이 최대값에 도달하지만, 이후에도 변형은 계속됩니다. 이 지점을 지나면 재료는 점점 약해지며, 결국 파괴됩니다. 문제에서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물었기 때문에, 이는 탄성한도를 나타냅니다. 극한강도는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응력의 최대값을 나타내지만, 그 지점에서 재료는 이미 탄성한도를 넘어서서 비탄성 변형 영역에 있으며, 파괴에 가까워집니다. 따라서,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나타내는 것은 탄성한도인거 같아서 글 남김니다. [해설작성자 : 말랑이]
[오류신고 반론] 3번 극한강도 맞습니다. 극한강도 이후 재료는 응력이 늘어나지 않더라도 변형이 계속되며 결국 파괴점 까지 지속되며 결국 파괴됩니다.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수 있는 = 재료가 버틸 수 있는 최대 응력값 = 인장강도 = 극한강도 = 최대 공칭응력 전부 같은 말 입니다. [해설작성자 : Alicl]
공간상에 존재하는 2개의 곡면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교차되는 부분에서 모서리(edge)가 발생하는데, 이 모서리(edge)를 주어진 반경으로 부드럽게 처리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ntersecting
2.
projecting
3.
blending
4.
stretching
정답 : [
3
] 정답률 : 82%
62.
CAD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주변 장치 중 입력장치는 어느 것인가?
1.
프린터(printer)
2.
LCD
3.
모니터(Monitor)
4.
마우스(Mouse)
정답 : [
4
] 정답률 : 80%
63.
솔리드 모델을 정육면체와 같은 간단한 입체의 집합으로 대략 근사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을 분해 모델(decomposition model)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이러한 분해 모델의 표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복셀(voxel) 표현
2.
컴파운드(compound) 표현
3.
옥트리(octree) 표현
4.
세포(cell) 표현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복셀, 옥트리, 세포 표현이 있다 [해설작성자 : 팔용을 위해]
64.
m 행과 n 열을 가진 행렬을 m × n 행렬이라고 한다. 3×2 행렬과 2×3 행렬을 서로 곱했을 때, 행(row)의 개수는?
1.
2
2.
3
3.
5
4.
6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행의 개수는 3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잠수부팀장]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Reverse engineering
2.
Feature-based modeling
3.
Digital Mock-Up
4.
Virtual Manufacturing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everse engineering(역공학):장치 또는 시스템의 기술적인 원리를 그 구조분석을 통해 발견하는 과정 Feature-based-modeling(특징형상기반모델링) Digital mock-up:개발 초기 단계 CAD,CAM이용 솔리드 모델링 제작전 검토,조립, Virtual manufacturing(가상제조):컴퓨터 상에서 제품을 가상제조 [해설작성자 : 집중해서원트가요]
66.
화면에 나타난 데이터를 확대하여 데이터의 일부분만을 스크린에 나타낼 때 상당부분이 viewport를 벗어나는데 이와 같이 일정한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버리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윈도잉(Windowing)
2.
클리핑(Clipping)
3.
매핑(Mapping)
4.
패닝(Panning)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클리핑 : 확대로 보이지 않는 부분을 잘라버리는 것 [해설작성자 : 팔용을 위해]
67.
전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혹은 EL 패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스로 빛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2.
TFT-LCD 보다 시야각에 제한이 없다.
3.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한다.
4.
응답시간이 빨라 고화질 영상을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68.
퍼거슨(Ferguson) 곡면의 방정식에는 경계조건으로 16개의 벡터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곡면 내부의 볼록한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1.
꼭짓점 벡터
2.
U 방향 접선벡터
3.
V 방향 접선벡터
4.
꼬임 벡터
정답 : [
4
] 정답률 : 46%
69.
래스터 방식의 그래픽 모니터에서 수직, 수평선을 제외한 선분들이 계단모양으로 표시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나?
1.
플리커
2.
언더컷
3.
클리핑
4.
앨리어싱
정답 : [
4
] 정답률 : 52%
70.
CAD 활용의 확장과 관련하여 공정의 계획, 운용, 공장 자원과의 직간접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한 생산운전 제어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하는 기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