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2.
환경기술인 등에 관한 교육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수교육 : 최초 교육 후 3년마다 실시하는 교육
2.
최초교육 : 최초로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실시하는 교육
3.
교육과정의 교육기간 : 5일 이상
4.
교육기관 : 환경기술인은 환경보전협회, 기술요원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교육과정의 교육기간은 4일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원종호]
63.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연 1회
2.
연 2회
3.
연 4회
4.
수시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시행 2021. 1. 1.] [환경부령 제890호, 2020. 11. 27., 일부개정] [별표 23] 위임업무 보고사항(제107조제1항 관련) 13.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 - 연 4회, 매분기 종류 후 15일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환경부장관이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정・고시하고 물환경을 정기적으로 조사・측정하여야 하는 호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1일 30만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2.
1일 50만톤 이상이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호소
3.
동식물의 서식지・도래지이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호소
4.
수질오염이 심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호소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환경부 장관은 법 제 28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호소로서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할 필요가 있는 호소를 지정 고시하고 그호소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정기적으로 조사 측정하여야 한다. 1. 1일 30만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2. 동식물의 서식지 도래지이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호소 3. 수질오염이 심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호소 [해설작성자 : 원종호]
2. 호소로서 만수위 면적이 50만제곱미터 이상인 호소 [해설작성자 : 냠냠펀치]
65.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 안내판의 규격 중 색상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바탕색:녹색, 글씨:회색
2.
바탕색:녹색, 글씨:흰색
3.
바탕색:청색, 글씨:회색
4.
바탕색:청색, 글씨:흰색
정답 : [
4
] 정답률 : 81%
66.
1일 폐수 배출량이 750m3인 사업장의 분류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종 사업장
2.
3종 사업장
3.
4종 사업장
4.
5종 사업장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제1종사업장 2000이상 제2종사업장 700이상 2000미만 제3종사업장 200이상 700미만 제4종사업장 50이상 200미만 제5종사업장 그 외 사업장 단위 1일 폐수배출량 m3 [해설작성자 : 원종호]
67.
다음 규정을 위반하여 환경기술인 등의 교육을 받게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 기준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1
] 정답률 : 70%
68.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세부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 )안에 옳은 내용은?
1.
50세제곱미터
2.
100세제곱미터
3.
200세제곱미터
4.
300세제곱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64%
69.
폐수처리업의 등록기준에서 등록신청서를 시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할 때 폐수처리업의 등록 및 폐수배출시설의 설치에 관한 허가기관이나 신고기관이 같은 경우, 다음 중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것은?
1.
사업계획서
2.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 및 그 도면
3.
공정도 및 폐수배출배관도
4.
폐수처리방법별 저장시설 설치명세서(폐수재이용업의 경우에는 폐수성상별 저장시설 설치명세서) 및 그 도면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도지사는 폐수처리업의 등록 및 폐수배출시설의 설치에 관한 허가기관이나 신고기관이 같은 경우에는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1. 사업계획서 2.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 및 그 도면 3. 공정도 및 폐수배출배관도 4. 폐수처리방법별 저장시설 설치명세서(폐수재이용업의 경우에는 폐수성상별 저장시설 설치명세서) 및 그 도면 [해설작성자 : 붙을거야 ㅜㅜ]
70.
수질환경기준(하천) 중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한 전수역에서 각 성분별 환경기준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비소:0.05 mg/L 이하
2.
납:0.05 mg/L 이하
3.
6가크롬:0.05 mg/L 이하
4.
수은:0.05 mg/L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은은 사람의 건강 보호를 위해 검출되어서는 안되며 나머지 비소, 납, 6가 크롬은 모두 0.05가 맞습니다. 따라서 맞지 않는 것으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kingnew]
71.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배출허용기준 초과 여부
2.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3.
배출시설의 정상가동 여부
4.
수질오염물질의 배출기간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한다. 1. 제32조에 따른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2.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3. 수질오염물질의 배출기간 4. 수질오염물질의 배출량 5. 제46조에 따른 자가측정여부 6. 그 밖에 수질환경의 오염 또는 개선과 관련되는 사항으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원종호]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한 도로법 규정에 따른 도로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로가 다음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해당 지역이 아닌 것은?
1.
상수원보호구역
2.
비점오염저감계획에 포함된 수변구역
3.
상수원보호구역으로 고시되지 아니한 지역의 경우에는 취수시설의 상류・하류일정 지역으로서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거리 내의 지역
4.
상수원에 중대한 오염을 일으킬 수 있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47%
77.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설치・운영하는 측정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퇴적물 측정망
2.
생물 측정망
3.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4.
기타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측정망
정답 : [
4
] 정답률 : 50%
78.
물환경보전법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의 건강과 환경상의 위해 예방
2.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의 물 환경을 적정하게 관리・보전
3.
국민으로 하여금 물환경 보전 혜택을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함
4.
수질환경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양질의 상수원수를 보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의 물환경을 적절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국민이 그 혜택을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래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한다 <개정 2017.1.17 > [해설작성자 : 원종호]
보전 + 물려주자 // 물려주자가 없어서 오답 [해설작성자 : 문제에 필요한 해설만 쓰자 제발좀]
79.
폐수처리업의 등록기준 중 폐수수탁처리업에 해당하는 기준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폐수저장시설은 폐수처리시설능력의 2.5배 이상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2.
폐수처리시설의 총 처리능력은 7.5m3/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3.
폐수운반장비는 용량 2m3이상의 탱크로리, 1m3이상의 합성수지제 용기가 고정된 차량이어야 한다.
4.
수질환경산업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 또는 화공산업기사 1명 이상의 기술능력을 보유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폐수저장시설의 용량은 1일 8시간(1일 8시간 이상 가동할 경우 1일 최대가동시간으로 한다.) 최대처리량의 3일분 이상의 규모이어야 하며, 반입폐수의 밀도를 고려하여 전체 용적의 90퍼센트 이내로 저장될 수 있는 용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종호]
80.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장치형 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여과형 시설
2.
저류형 시설
3.
식생형 시설
4.
침투형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자연형: 저류시설, 인공습지, 침투시설, 식생형 시설 장치형: 여과형 시설, 소용돌이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응집/침전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해설작성자 : 망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③
③
②
④
③
①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②
④
①
②
④
②
②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④
①
②
④
②
④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②
②
④
②
④
③
④
③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③
②
③
②
④
②
④
③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①
③
②
④
①
②
②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③
③
②
④
①
①
③
①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③
①
④
②
④
④
①
①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