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 태조왕건의 훈요10조 28조중 22개만 전해짐 태조에서 경종까지의 정책 비판 - 불교에대한 비판 팔관회 연등회 - 외관파견과 호족세력견제 중앙집권적인 정치추구 - 유교적인 군왕요구 전체군주반대 - 공신의 자손우대 존비에 따른 가족제도 유지 및 귀족의 입장을 비호하는 등 귀족관료의 권리 보장 - 제도의 개혁과 중국문물수용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문제 해설> 신석기시대 1. 벼농사는 청동기부터 2. 구석기 4. 청동기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3.
다음 나라의 풍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추수감사제인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2.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3.
민며느리제라는 결혼 풍속이 있었다.
4.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부여 1. 동맹 고구려 2. 무청 동예 3. 민며느리제 옥저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4.
어느 박물관의 철기시대 전시실에 들어갔다. 전시실에서 볼 수 있는 유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ㅁ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ㄴㄹ. 신석기 ㅁ. 구석기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5.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상인의 명칭은?
1.
사상
2.
공인
3.
보부상
4.
객주ㆍ여각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선 15세기 후반 전라도에서 장시 시작 -> 봇짐장수등장(보부상)-> 1833년 혜상공국 설치(보부상의통제) -> 1884년 갑신정변 혜상공국 폐지 1. 사상- 조선후기 민영상인 2. 공인 -조선후기 대동법-> 어용상인의 등장 (국가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 4.객주,여각 - 조선후기 포구에서의 상거래 활동 (물품판매,보관,금융)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6.
다음이 설명하는 군사 기구는?
1.
장용영
2.
어영청
3.
총융청
4.
훈련도감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임진왜란으로 5위가 붕괴 유성룡의 건의로 5군영의 시작 훈련도감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17.
조선의 중앙 통치 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성부에서는 서울의 치안과 행정을 담당 하였다.
2.
승정원은 왕의 명령을 출납하는 비서기관이었다.
3.
의금부에서는 왕명에 의해 중대한 사건의 죄인을 다스렸다.
4.
삼사로 불린 사헌부, 홍문관, 춘추관은 왕권을 견제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4. 조선시대의 삼사는 권력독점과 부정을 방지하고자 설치된 기구. 특히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언관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문제 해설> ㄱ.ㄴ 동학농민운동시기 폐정 개혁안의 내용 홍범14조 내용을 요약하면, 청나라의 대한종주권(對韓宗主權) 부인,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정치개입 배제, 근대적인 내각제도 확립, 탁지아문 관할하의 재정 일원화, 조세법정주의 및 예산제도 수립, 지방제도 개편, 해외유학생 파견에 의한 외국 선진문물 도입, 국민개병주의에 입각한 군사제도 확립, 법치주의에 의거한 국민의 생명 및 재산권 보호, 문벌 폐지와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등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홍범14조 [洪範十四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0.
조선 후기의 농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배, 인삼과 같은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2.
밭고랑에 곡식을 심는 견종법이 보급되었다.
3.
농사직설, 금양잡록과 같은 농서가 간행되었다.
4.
농법 개량으로 노동력이 절감되어 광작이 성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농사직설(정초) 조선전기 세종 ,금양잡록 강희맹- 15세기 후반 성종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1.
( ) 에 들어갈 실학자는?
1.
이익
2.
정약용
3.
유형원
4.
홍대용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토지소유 하한선을 주장하는 중농학파=이익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2.
( )에 들어갈 지도는?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곤여만국전도
3.
대동여지도
4.
동국지도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5세기 태종 현존하는 동양최고의 세계지도 일본에 필사본 2. 곤여만국전도 - 17세기 청으로 부터 수용된 서학의 대표적인 세계지도 3. 대동여지도 - 19세기 철종 김정호 (십리) 4. 동국지도 - 18세기 영조 정상기 (백리)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3.
다음이 설명하는 단체는?
1.
신민회
2.
신간회
3.
대한협회
4.
독립협회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독립협회 1896 1898에 대한 내용 1896년 서재필등이 중심이 되어 아관파천시기에 조직됨. 1. 신민회 = 양기탁 비밀결사조직 , 실력양성 독립군 기지, 공화정 2. 신간회 = 이상재 홍명희 국내최대 민족 유일당 3. 대한협회 1907년 대한자강회를 계승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4.
다음 내용의 인물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동호문답과 성학집요를 저술하였다.
2.
지행합일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양명학을 연구하였다.
3.
유성룡, 김성일 등의 영남학파에 영향을 끼쳤다.
4.
주자의 학문 체계를 비판하여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성학십도-이황(주자서절요,성학십도,이학통록 주자의 이기 이원론을 발전시켜 주리 철학을 확립 동방의 주자로 불리며 경사상을 강조하고 일본성리학에도 영향을 미침
1. 기호학파=이이 2. 18세기 강화학파 - 정제두 4. 17세기 후반 남인 - 윤휴,소론=박세당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5.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 것은?
1.
칠정산
2.
계미자
3.
동의보감
4.
원각사지 10층석탑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조선태종 주자소에서 만들어진 활자 3. 동의보감 - 17세기 광해군 허준의 의학서 4. 원각사지 10층석탐 - 15세기 세조 경첞사지 10층석탑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석탑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26.
우리나라의 관광권 설정순서로 올바른 것은?
1.
ㄱ - ㄴ - ㄷ
2.
ㄴ - ㄷ - ㄱ
3.
ㄷ - ㄱ - ㄴ
4.
ㄷ - ㄴ - ㄱ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10대 관광권 1972년 2. 5대 관광권 1990년 3. 7대 문화관광권 1998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낙안읍성 (사적) 고려후기부터 왜구가 자주 침입하자 김빈길이 흙으로 쌓은 성 전통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있음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6.
박물관과 소재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박물관 - 정선
2.
한지박물관 - 전주
3.
동강사진박물관 - 영월
4.
하회동탈박물관 - 안동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철도박물관-경기도의왕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7.
불상에서 ‘나발’은 무엇을 뜻하는가?
1.
부처님의 머리카락
2.
정수리에서 나오는 광명
3.
오른쪽 소매를 벗어서 어깨를 드러낸 것
4.
부처님의 정수리에 솟은 상투 모양의 머리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나발은 부처님의 머리털을 뜻하는것으로 소라 껍데기처럼 말린모양이라 나발이라 불림 2. 두광 : 정수리에서 나오는 광명 3. 우견편단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것 모두 감쌀경우 통견 4. 육계 : 부처님의 정수리에 솟은 상투모양의 머리 (불정이라고도 칭함)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8.
다음 사액서원 중 경상북도에 위치하지 않은 것은?
1.
필암서원
2.
옥동서원
3.
도산서원
4.
옥산서원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필암서원 = 전남 장성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39.
중요무형문화재로 땅과 곡식의 신에게 드리는 국가적인 제사의 명칭은?
1.
석전대제
2.
사직대제
3.
종묘대제
4.
별신대제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석전대제 : 공자를 모시는 사당 에서 지내는 제사 2. 사직대제 3. 종묘대제 : 조선시대 왕과왕비의 신위를 모셔놓은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 4. 별신대제 :마을의 수호신인 별신에게 지내는 제사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40.
다음 문화재 중 국보가 아닌 것은?
1.
경주 불국사 사리탑
2.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3.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경주 불국사 사리탑 보물 제 61호,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에 있는 고려 초기의 사리탑 [해설작성자 : 이진석]
41.
다음 중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기준의 기본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진정성
2.
완전성
3.
홍보전략
4.
뛰어난 보편적 가치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어떤 유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어야한다. 기본적으로 재질이나 기법등에서 유산이 진정성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모두 유산의 가치를 보여줄수있는 제반요소를 포함해야하며, 법적 제도적 관리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
42.
분청사기의 제작기법 중 귀얄기법에 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1.
넓고 굵은 붓으로 형체가 완성된 그릇에 백토를 바르는 기법
2.
백토를 묽게 한 것에 그릇을 덤벙 담가 전체를 도장하는 기법
3.
조각칼로 그릇에 문양을 새긴 다음 자토와 백토로 문양을 메우는 기법
4.
그릇의 표면에 백토를 입힌 후 문양을 선각하고 바탕의 백토를 긁어내는 기법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귀얄(풀비 : 풀이나 옻을 칠할 때에 쓰는 기구) 같은 넓고 굵은 붓으로 형체가 완성된 기면(器面) 위에 백토(白土)를 바르는 기법을 일컫는다. [해설작성자 : 이진석]
1. 넓고 굵은 붓으로 형체가 완성된 그릇에 백토를 바르는 기법 = 귀얄기법 2. 백토를 묽게 한 것에 그릇을 덤벙 담가 전체를 도장하는 기법 = 분장기법 3. 조각칼로 그릇에 문양을 새긴 다음 자토와 백토로 문양을 메우는 기법 = 상감기법 4. 그릇의 표면에 백토를 입힌 후 문양을 선각하고 바탕의 백토를 긁어내는 기법 = 박지기법 [해설작성자 : 루리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