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3.'잠갔다'의 기본형은 '잠그다'이다. '잠그다'의 'ㅡ'규칙변화로 '잠갔다'가 어문규정에 올바른 것이다.
[오답해설] 1.'나았다'의 기본형은 '낫다'이다. '낫다'는 'ㅅ'불규칙으로 뒤에 'ㅇ'이 오면 'ㅅ'이 탈락한다. 2.준말에 대한 '지'와 '치'를 구분하는 문제이다. '넉넉지'는 '지 앞의 넉'에서 받침의 소리가 안울리는 소리이므로 '넉넉지'가 올바른 것이다. 반대로 울림소리의 예를들어 '편안치'는 'ㄴ'의 받침이 울림소리 이므로 준말을 쓸 경우 '치'를 쓰는 것이다. 4.'이어서'는 'ㅅ' 불규칙을 알고 있는지 묻는 문제이다. '잇다'의 기본형 뒤에 'ㅇ'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올 경우 'ㅅ'이 탈락된다.
<문제 해설> ② 잘할뿐더러 ('-ㄹ뿐더러', 연결 어미이므로 붙여 쓴다.) ③ 시간 만에 ('만',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④ 안된다 (한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해설작성자 : 3706]
붙이는 안되다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 잘 안되었다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넌 내가 안되기를 바라니?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 너희중 안되어도 5명은... -가엾어 마음이 언짢다. 그냥 보내기가 안돼서 터미널까지 배웅했다. -얼굴이 많이 상하다. 안색이 안돼 보여서
안 되다 - 되다의 완전한 반댓말. -그렇게 하면 안 된다. -합격이 안 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독음이 모두 바른 것은?
1.
探險(탐험)-矛盾(모순)-貨幣(화폐)
2.
詐欺(사기)-惹起(야기)-灼熱(치열)
3.
荊棘(형자)-破綻(파탄)-洞察(통찰)
4.
箴言(잠언)-惡寒(악한)-奢侈(사치)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② 灼熱(작열)(사를 작, 더울 열) ③ 荊棘(형극)(가시나무 형, 가시 극) ④ 惡寒(오한)(미워할 오, 찰 한) [해설작성자 : 3706]
19.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ㄴ, ㅁ, ㅇ'은 유음이다.
2.
'ㅅ, ㅆ, ㅎ'은 마찰음이다.
3.
'ㅡ, ㅓ, ㅏ'는 후설 모음이다.
4.
'ㅟ, ㅚ, ㅗ, ㅜ'는 원순 모음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유음은 울림소리에 해당되며 비음과 유음 두 가지 갈래가 있습니다. 그러나 유음은 ㄹ 하나만 해당되며 ㄴ,ㅁ,ㅇ 은 비음에 해당합니다.
20.
내용의 전개에 따라 바르게 배열한 것은?
1.
(가)-(나)-(다)-(라)
2.
(가)-(나)-(라)-(다)
3.
(가)-(다)-(나)-(라)
4.
(가)-(라)-(나)-(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이것 저것 저쪽 이쪽 ㄴ-이것 저것은 혜시가 말하는 방생설 ㄹ-그러나 혜시도 삶-죽음 된다-안된다 가 있고 어느 하나에 의지하게 됨. ㄷ-그래서 성인들은 혜시가 말하는 상대적인 방법에 의존안함. 절대적인 자연의 조명에 비추어 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②
③
③
①
③
②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④
①
③
④
①
①
①
②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