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오가작통제, 면리제의 시행 목적 ⑴ 촌락 주민에 대한 원활한 지배 ⑵ 농민들의 도망과 이탈 방지 (농민 통제) ⑶ 부세와 군역의 안정적인 확보
ㄷ. 유향소, 향약, 서원 등 [해설작성자 : 3706]
4.
다음 발의로 개최된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2.
한국국민당을 통한 정당정치 실시가 결정되었다.
3.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강령이 채택되었다.
4.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국민대표 회의 > ① 국민대표 회의 소집(1923. 1): 임시 정부의 무력함 + 이승만의 위임 통치안 제출(1919. 2)이 원인 ② 전개(창조파 vs. 개조파) ∨ 공통점: 임시 정부의 한계성 인정 ∨ 창조파: 문창범, 신채호, 김만겸 등 / 임시 정부 해체 → 새로운 정부 조직 주장 / 무장투쟁론 ∨ 개조파: 안창호, 김동삼, 이동휘 등 / 임시 정부의 법통 인정 → 개혁을 통한 개선 / 실력 양성론 + 무장독립론 ③ 결과: 국민대표 회의 결렬(1923. 6) → 임시 정부 유명무실화 → 이승만 탄핵·파면 + 제2대 대통령 박은식 취임(1925. 3) → 박은식 4개월만에 사임(1925. 7) → 국무령제로 전환(이상룡, 1925. 7) [해설작성자 : 혈구진은 문성왕]
5.
(가)∼(라)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가)-현량과를 실시하였다.
2.
(나)-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3.
(다)-두 차례에 걸친 예송이 일어났다.
4.
(라)-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현량과를 실시는 중종 때 조광조의 개혁안이므로 (X) 정답:(나) 2.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난 시기는 연산군 때 이므로 (X) 정답:(가) 3.두 차례에 걸친 예송(기해예송, 갑인예송)은 효종 다음 왕인 현종 때 일이므로 (O) 4.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을 폐지한 왕은 정조 이므로 (X)
6.
다음 자료에 나타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후ㆍ읍군ㆍ삼로 등이 하호를 통치하였다.
2.
국읍마다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는 천군이 있었다.
3.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다음 뼈만 추려 목곽에 안치하였다.
4.
아이가 출생하면 돌로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 천군,소도는 삼한의 문화 3. 옥저의 골장제 4. 편두는 삼한(진한)의 풍습. (삼국지 위서동이전): 어린아이가 출생하면 곧 돌로 그 머리를 눌러서 납작하게 만들려 하기때문에, 진한 사람의 머리는 모두 납작하다. [해설작성자 : 가즈앙꼬꼬]
7.
다음 건의문이 결의된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1.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개혁이 추진되었다.
2.
황제권 강화 작업의 일환으로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3.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4.
서재필을 중심으로 민중 계몽을 위한 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다음 건의문은 헌의 6조이다.(1898) 1.군국기무처의 설치(1894) 2.원수부는 광무개혁의 내용으로 1899~1904 3.고종의 아관파천(1896) 4.독립신문 창간(1896) [해설작성자 : 도화]
8.
밑줄 친 '이 기구'가 설치된 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복원궁을 건립하여 도교를 부흥시켰다.
2.
흥덕사에서 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하였다.
3.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속장경을 간행하였다.
4.
시무 28조를 수용하여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화통도감 - 고려 우왕 3년,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
2. 직지심체요절- 고려 공민왕 21년, 백운화상 경한이 편찬하였고 우왕 3년, 제자들이 금속활자로 인쇄
1. 복원궁- 고려 예종 때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도관 3. 교장도감- 교장도감(1086, 고려 선종), 속장경의 판각을 담당하던 기관으로 의천의 요청으로 흥왕사에 설치함 4. 시무 28조- 고려 성종, 유교 정치 실현을 위해 최승로가 건의한 28가지 개혁안으로 성종이 받아들임.
9.
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 중립국화를 건의하였다.
2.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응하여 영국 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3.
조ㆍ청 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여 청나라 상인에게 통상 특혜를 허용하였다.
4.
청ㆍ일 양국 군대가 조선에서 철수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톈진조약이 체결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갑신정변 이후 영국의 거문도 불법점령 등의 열강침탈 경쟁이 심화되자 조선의 중립화론을 영국의 부들러가 유길준에게 제안하고 고종에게 건의하였으나 정책화되지는 않았다. 2.영국의 거문도 불법점령(1885-1887) 3.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1882) 임오군란 이후 4.톈진조약(1884) 청일 양군 공동 철수 [해설작성자 : 도화]
10.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임을 입증하는 근거로만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이범윤의 보고문-은주시청합기
2.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삼국접양지도
3.
미쓰야 협정-시마네 현 고시 제40호
4.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어윤중의 서북경략사 임명장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1900년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시키고 독도를 관할하게 한 조치 삼국접양지도: 일본의 하야시 시헤이가 1785년 편찬한 <삼국통람도설>의 부도로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것이라고 일본인 스스로 표기 은주시청합기: 1667년 사이토 호센이 간행한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확인한 일본 최초의 문헌으로 책의 해석을 두고 한일 학자간의 논쟁이 있음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1870년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인정하는 문서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 러일전쟁중인 1905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를 발표하여 독도를 시마네현에 강제 편입 이범윤: 1902년 간도시찰원으로 파견, 1903년 간도관리사가 되어 간도지방의 한인 보호에 힘씀 미쓰야 협정: 만주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만주 군벌인 장쭤린과 조선총독부 경부국장 미쓰야 미야마스가 체결한 조약 어윤중: 서북경략사로 1883년 파견, 청과 국경 문제를 협의하도록 함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폐가 사용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2.
책, 차 등을 파는 관영상점을 두었다.
3.
동시전이 설치되어 시장을 감독하였다.
4.
청해진이 설치되어 무역권을 장악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은병 : 고려 충혜왕 원년(1331)에 만든 은화.
1.조선후기 2.고려 3.지증왕 4.통일신라 [해설작성자 : 정서안]
[추가 해설] 은병활구는 숙종때 발행. 통용. 충혜왕은 동을 섞어 만든 위조 은병이 성행하자 1331년 소은병을 제작하고 이전에 유통된 은병의 사용은 금지하였음.
12.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다.
2.
백성들의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다.
3.
여진족을 두만강 밖으로 몰아내고 6진을 개척하였다.
4.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왕조의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불씨잡변』 저술 → 정도전 : 『조선경국전』,『경제문감』 등을 편찬하였다.
<문제 해설> '짐' 과 '황실시위' 단어를 볼때 대한제국임을 유추할 수 있다. 고종과 순종을 구별하면 되는데, 고종은 전제군주권 강화를 위해 군대(원수부)를 설치하였다. 을사늑약이 체결된 후 억울함을 알리기 위해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다. 을사늑약에 반발해 을사의병이 일어난다. 이때 최초의 평민의병장인 신돌석이 출현한다. 헤이그특사파견을 계기로 고종은 강제퇴위 당하고 정미 7조약이 추가적으로 체결된다. 그후 순종(융희)이 즉위하며 군대 해산을 발표한다. 고종의 강제퇴위, 정미7조약, 군대강제해산에 반발하여 정미의병이 일어난다. 정미의병은 유생 + 해산군인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13도 창의군' 창설로 이어진다. 13도 창의군은 1908년 서울진공작전을 계획하고 서울까지 진격하지만(허위) 일본의 '남한 대토벌작전'으로 해산당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십건웅]
16.
국권이 침탈되기까지의 과정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ㄱ → ㄹ → ㄷ
3.
ㄴ → ㄷ → ㄱ → ㄹ
4.
ㄹ → ㄴ → ㄱ → ㄷ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아래 보기 설명 참고
ㄱ.고종의 강제퇴위는 1907년 7월입니다. ㄴ.고문정치는 1차 한일협약의 내용입니다. 이것은 1904년의 협약 입니다. ㄹ.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이 관리로 임명된 시기는 고종퇴위 후 입니다. [해설작성자: chopin]
기유약조는 1609년 광해군시기에 일본과 맺은 외교 관계 수립에 관련된 약조이고 기유각서가 1909년에 있었던 것으로 '각서'로 수정해야 옳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