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산림경영계획에서 국유림의 특수용도기준벌기령이 가장 긴 수종은?
1.
편백
2.
삼나무
3.
잣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 : [
3
] 정답률 : 75%
4.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우리나라는 산림자원의 효율적 조성과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산림의 기능을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원함양림
2.
산림휴양림
3.
생활환경보전림
4.
유전자원보전림
정답 : [
4
] 정답률 : 94%
5.
임목 측정에 이용하는 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수는 실제 임목의 재적과 일정 부위의 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원기둥 체적과의 비를 의미한다.
2.
일반적으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가 크다.
3.
절대형수는 직경의 지표부위와 접촉하는 입목의 최하단을 이용한다.
4.
직경의 측정위치에 따라 형수는 일반적으로 흉고형수, 정형수, 절대형수로 구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6.
법정상태의 잣나무림이 1~20년생까지 각각 100ha씩 있다. 20년 동안 매년 간벌수확 30m3/ha와 주벌수확 90m3/ha를 얻을 수 있다면, 이 잣나무림의 1ha당 평균연년생장량[m3]은?
1.
4
2.
5
3.
6
4.
7
정답 : [
3
] 정답률 : 71%
7.
벌기 60년에 도달한 편백림을 구입하고 벌채해서 1,000,000원의 수입을 얻었다. 이후부터는 벌기마다 같은 금액의 수입을 얻는다고 가정하면 전가합계[원]는? (단, 이율=3%이고 1.0360=6을 적용한다)
1.
200,000
2.
1,000,000
3.
1,200,000
4.
2,000,000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무한정기전가식을 이용한다
무한정기전가식 : 주벌수입*(1.0p)^(n-v)/((1.0p)^n -1) n: 벌기령, n-p: 처음 수익을 얻는 기간(벌기 60년 도달한 편백림을 구입했으니 0년에 수입 한번 있다. 그 후에 60년 마다 수입이 생김, 만약 벌기40년에 도달한 편백림 구입시 v=40,p=60 n-v=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