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3. 채종포에서는 호밀을 재배하였던 포장에 밀이나 보리의 종자를 생산하거나, 앨팰퍼를 재배하였던 포장에 같은 콩과 사료작물인 레드클로버의 종자를 생산하는 것은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콩 종자 100립을 치상하여 5일 동안 발아시킨 결과이다. 이 실험의평균발아일수(MGT)는? (단,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계산한다)
1.
2.2
2.
2.4
3.
2.6
4.
2.8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평균발아일수 공식 : {(치상 후 경과 일 수)*(당일에 발아한 종자 수)}의 합/(발아한 모든 종자 수) (1*15)+(2*15)+(3*30)+(4*10)+(5*10)/80 = 2.81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과수 중 인과류가 아닌 것은?
1.
배
2.
사과
3.
자두
4.
비파
정답 : [
3
] 정답률 : 95%
4.
다음 글에 해당하는 용어는?
1.
유전적 침식
2.
종자의 경화
3.
유전적 취약성
4.
종자의 퇴화
정답 : [
1
] 정답률 : 94%
5.
중위도지대에서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따르는 재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종과 모내기를 일찍 할 때 blt형은 조생종이 된다.
2.
묘대일수감응도는 감온형이 낮고 기본영양생장형이 높다.
3.
조기수확을 목적으로 조파조식할 때 감온형이 적합하다.
4.
감광형은 만식해도 출수의 지연도가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묘대일수감응도는 감온형이 높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묘대일수감응도 ; 감온형>감광형>기본영양생장형 [해설작성자 : 뱅]
6.
다음은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성에 대한 내용이다. F1의 핵과 세포질의 유전자형 및 표현형으로 옳게 짝 지은 것은? (단, S는 웅성불임성 세포질이고 N은 가임 세포질이며, 임성회복유전자는 우성이고 Rf며, 임성회복유전자의 기능이 없는 경우는 열성인 rf이다) (순서대로 핵의 유전자형, 세포질의 유전자형, 표현형)
1.
rfrf, S, 웅성가임
2.
rfrf, N, 웅성불임
3.
Rfrf, S, 웅성가임
4.
Rfrf, N, 웅성불임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왼쪽에서 S/N 결정 -> S 오른쪽에서 Rf/rf + 왼쪽에서 Rf/rf -> Rfrf [해설작성자 : 뱅]
7.
작물군락의 포장광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광능률은 군락의 수광태세와 총엽면적에 영향을 받는다.
2.
콩은 키가 작고 잎은 넓고, 가지는 길고 많은 것이 수광태세가 좋고 밀식에 적응한다.
3.
포장동화능력은 총엽면적, 수광능률, 평균동화능력의 곱으로 표시한다.
4.
작물의 최적엽면적은 일사량과 군락의 수광태세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2. 콩은 키가 크고 잎은 좁고, 가지는 짧고 적은 것이 수광태세가 좋고 밀식에 적응한다. [해설작성자 : ]
8.
작물의 교배 조합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조합능력은 어떤 자식계통이 다른 많은 검정계통과 교배되어 나타나는 평균잡종강세이다.
2.
잡종강세가 가장 큰 것은 단교배 1대잡종품종이지만, 채종량이 적고 종자가격이 비싸다.
3.
특정조합능력은 특정한 교배조합의 F1에서만 나타나는 잡종 강세이다.
4.
잡종강세는 이형접합성이 낮고 양친 간에 유전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게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4. 1대잡종품종의 잡종강세는 이형접합성이 높을 때 크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판매용 F1 종자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채종하는 작물만으로 짝 지은 것은?
1.
무∙배추∙브로콜리
2.
수박∙고추∙양상추
3.
멜론∙상추∙양배추
4.
참외∙호박∙토마토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자가불화합성 이용 작물 : 무, 순무,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등 웅성불임성 이용 작물 : 벼, 밀, 옥수수, 쑥갓, 상추, 고추, 가지, 파, 양파 등 인공교배 이용 작물 : 오이, 수박, 멜론, 참외, 호박, 토마토, 피망, 가지 등 [해설작성자 : 모기기린]
10.
작물의 습해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수의 내습성은 복숭아나무가 포도나무보다 높다.
2.
미숙유기물과 황산근 비료를 시용하면 습해를 예방할 수 있다.
3.
과습한 토양에서는 내습성이 강한 멜론 재배가 유리하다.
4.
과산화석회를 종자에 분의해서 파종하거나 토양에 혼입하면 습지에서 발아가 촉진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 멜론은 수중에서 발아를 하지 못하는 종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