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무오염성: 기준 척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광도(luminous intensity)를 측정하는 단위는?
1.
lux
2.
candela
3.
lummen
4.
lambert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칸델라 (Candela) ㅇ 빛의 밝음,세기(즉,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광도(Luminous Intensity)`의 SI 단위 ㅇ 기호 : [cd], [candela] - 칸델라(Candela)는 라틴어 밀초(밀랍으로 만든 초)에서 유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상 시 거리인 71cm를 기준으로 정상조명에서는 1.3mm, 낮은 조명에서는 1.8mm가 권장 71:1.3 = 10,000: X X= 183mm 183*60/3.14= 3,495mm [해설작성자 : 산안기 준비생]
10.
시각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밤에는 빨강색보다는 초록색이나 파란색이 잘 보인다.
2.
눈이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를 근점이라 한다.
3.
근시인 사람은 수정체가 얇아져 가까운 물체를 제대로 볼 수 없다.
4.
간상체나 원추체가 빛을 흡수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 뇌로 전달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노화로 인해 근시력 즉 , 원시는 수정체가 얇은 상태로 남아 있어서 근점이 너무 멀어져 가까운 물체를 보기가 힘들다 [해설작성자 : 민찬이]
근시는 수정체가 두꺼워진 상태로 남아 있어 원점이 너무 가깝기 때문에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에는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이엔젤]
11.
작업환경 측정법이나 소음 규제법에서 사용되는 음의 강도의 척도는?
1.
dB(A)
2.
dB(B)
3.
Sone
4.
Phon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소음계는 주파수에 따른 사람의 느낌을 감안하여 세가지 특성인 A,B,C로 나눔 A는 대략 40phon, B는 70phon, C는 100phon의 등감곡선과 비슷하게 주파수의 반응을 보정하여 측정한 음압수준을 의미하며 각각 dB(A), dB(B), dB(C)로 표시하며 소음규제법에서는 dB(A)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인데개망함]
12.
구성요소 배치의 원칙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2.
작업공간의 활용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3.
기능적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한데 모아서 배치한다.
4.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정도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구성요소(부품) 배치의 원칙
1. 중요성의 원칙 - 부품을 작동하는 성능이 체계의 목표달성에 긴요한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2. 사용빈도의 원칙 - 부품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 기능적으로 관련된 부품들을 모아서 배치한다. 4. 사용순서의 원칙 - 사용순서에 따라 장치들을 가까이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울부짖는덕성]
13.
정보이론의 응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정보이론에 따르면 자극의 수와 반응시간은 무관하다.
2.
주의를 번갈아가며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돌보아야 하는 것을 시배분이라 한다.
3.
단일 차원의 자극에서 확인할 수 있는 범위는 Magic number 7±2로 제시되었다.
4.
선택반응시간은 자극 정보량의 선형함수임을 나타내는 것이 Hick-Hyman 법칙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힉스의 법칙에 의하면 선택반응시간은 자극과 반응의 수가 증가할수록 로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14.
회전운동을 하는 조종 장치의 레버를 25°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의 커서는 1.5cm 이동하였다. 레버의 길이가 15cm일 때 이 조종 장치의 C/R비는 약 얼마인가?
Wickens의 인간의 정보처리체계(human information processing) 모형에 의하면 외부자극으로 인한 정보가 처리될 때, 인간의 주의집중(attention resources)이 관여하지 않는 것은?
1.
인식(perception)
2.
감각저장(sensory storage)
3.
작업기억(working memory)
4.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감각저장이라는 용어는 없다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잠시동안 감각이 지속되는 임시보관장치인 ’감각기억‘ 이 있을 뿐이다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17.
인간공학의 정보이론에 있어 1bit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초당 최대 정보 기억 용량이다.
2.
정보 저장 및 회송(recall)에 필요한 시간이다.
3.
2개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때 얻어지는 정보량이다.
4.
일시에 보낼 수 있는 정보전달 용량의 크기로서 통신 채널의 Capacity를 의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BIT :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는 2가지의 대안 중에서 한 가지 대안이 명시되었을 때 얻을 수 있는 정보량 [해설작성자 : 신돈희]
18.
인간-기계 시스템의 설계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체의 특성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인간의 기계적 성능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시스템의 동작은 인간의 예상과 일치되어야 한다.
4.
단독의 기계를 배치하는 경우 기계의 성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간의 심리와 기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신호 및 정보 등의 경우 빛의 검출성에 따라서 신호, 경보 효과가 달라지는데, 빛의 검출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색광
2.
배경광
3.
점멸속도
4.
신호등 유리의 재질
정답 : [
4
] 정답률 : 86%
20.
인간공학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 향상
2.
안전성 향상
3.
사용성 향상
4.
인간기능 향상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인간공학의 기대효과] -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조건 마련 - 생산성의 향상 - 직무만족도의 향상 - 노·사 간의 신뢰성 증가 - 이직률 감소 - 산재 보상비용의 감소 - 제품의 품질 향상 [해설작성자 : 이꽁치]
2과목 : 작업생리학
21.
신체부위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고정된 물체에 힘을 가하는 상태의 근력을 의미하는 용어는?
1.
등장성 근력(isotonie strength)
2.
등척성 근력(isometric strength)
3.
등속성 근력(isokinetic strength)
4.
등관성 근력(sioinertial strength)
정답 : [
2
] 정답률 : 90%
22.
어떤 들기 작업을 한 후 작업자의 배기를 3분간 수집한 후 60리터(liter)의 가스를 가스 분석기로 성분을 조사하였더니, 산소는 16%, 이산화탄소는 4%이었다. 분당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가(價)를 구한 것으로 맞는 것은? (단, 공기 중 산소는 21%, 질소는 79%를 차지하고 있다.)
1.
1.053L/min, 5.265 kcal/min
2.
1.053L/min, 10.525 kcal/min
3.
2.105L/min, 5.265 kcal/min
4.
2.105L/min, 10.525 kcal/min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분당 배기량 = 60L/3min = 20L/min 분당 흡기량 = 분당배기량 x (100 - 가스 중 O2% - 가스 중 CO2) / 공기 중 N %) = 20 x (100-16-4)/79 = 20.25L/min 분당 산소 소비량 = (공기 중 O2 x 분당 흡기량) - (가스 중 O2 x 분당 배기량) = (0.21x20.25) - (0.16x20) = 1.05 에너지가 = 분당 산소소비량 x 5kcal = 1.05 x 5 = 5.26 [해설작성자 : 매웅거조아]
23.
휴식을 취할 때나 힘든 작업을 수행할 때 혈류량의 변화가 없는 기관은?
1.
뼈
2.
근육
3.
소화기계
4.
심장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운동시 비활동부위(소화기,간)의 혈류량은 제한되고, 뼈나 근육에 분포된 혈관은 확장하여 혈류량이 증가 한다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심장은 혈류량 4~5%를 항상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한다]
24.
근육이 피로해질수록 근전도(EMG) 신호의 변화로 맞는 것은?
1.
저주파 영역이 증가하고 진폭도 커진다.
2.
저주파 영역이 감소하나 진폭은 커진다.
3.
저주파 영역이 증가하나 진폭은 작아진다.
4.
저주파 영역이 감소하고 진폭도 작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근육의 피로가 증가하면 신호의 저주파 영역의 활성이 증가, 고주파 영역의 활성이 감소된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25.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 가운데 요추의 수는 몇 개인가?
1.
5개
2.
6개
3.
7개
4.
8개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몸통의 지주를 이루는 [척추는 26개]의 뼈로 구성되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미골]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26.
진동방지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진동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작업자는 방진 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3.
공장의 진동 발생원을 기계적으로 격리한다.
4.
진동 발생원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원격제어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기술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과 진동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박병훈]
27.
정신적 부하 측정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뇌전도
2.
부정맥지수
3.
근전도
4.
점멸융합수파수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근전도는 정신적 부하가 아닌 육체적 부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근전도(EMG)는 정신적 부하가 아닌 육체적 부하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파라미터입니다. * 참고로 점멸융합주파수(VFF)는 정신적 부하를 측정하는 대표 파라미터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85dB(A) 1일 노출기준 16시간에서 삭제 되었기 때문에 계산하지 않습니다. (3/8)+(3/4)=1.125 2번이 정답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산업안전보건법에서 하루 8시간 동안 85dB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소음작업이라 합니다. 85dB이상이므로 85dB도 소음의 노출지수 계산에 포함해야합니다. 그래서 2/16+3/8+3/4=1.25 정답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정답 3번이 맞습니다. 85dB도 16시간 기준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맞습니다. 산업위생관리기사에서도 같은 문제 풀이 시 포함시킵니다. 80dB 이하만 미포함 [해설작성자 : 시계는와치]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강렬한 소음기준은 90dB부터 입니다. 따라서 소음작업에 해당하는 85dB은 반영되지 않는 게 바람직합니다. 문제 지문에 정확하게 나오지 않더라도 법에서는 90dB부터 소음노출시간을 규정하고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도라희]
[오류신고 반론] 2024년 산업위생관리기사 (출판사:구민사) 소음노출지수 계산 시 소음 기준이 85dB이상부터여서 16시간 기준으로 포함하여 계산했습니다. 강렬한 소음기준이 90dB부터입니다. 소음 기준은 85dB부터이며, 산위생 문제 상 제시되는 수치인 80dB는 소음노출지수 계산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해설작성자 : 디데이4일]
[오류신고 반론] 문제 지문을 보면 국내 관련 규정을 따른다,고 나와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안전보건규칙 등 어디에서 소음 관련 노출 수준에서 85 데시벨에 대한 내용이 나오지 않습니다. 지문에 국내 관련 규정을 따른다,고 나와 있는 문제에 한해서는 유일하게 노출 수준을 정해 놓은 강렬한 소음기준인 90데시벨 이상부터 계산하는 게 바람직 합니다. 국내 관련 규정이라는 말이 없거나 다른 규정을 따른다,고 하면 그때서야 85데시벨 반영하세요. 출판사를 믿을 필요 없습니다. 출판사는 개인이고, 법은 나라에서 정한 겁니다. [해설작성자 : 도라희]
[오류신고 반론] 강렬한소음기준90이고 일반소음85예요 오답우기시네
[추가 오류 신고] KOSHA 최신 기준에는 90dB 부터 기준에 산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인공기]
[추가 오류 신고] 소음작업의 뜻(정의)과 소음노출지수 산정에 대한 지표가 다른 것입니다. 소음작업: 85 dB, 8 시간 이상 / 강렬한 소음작업: 90 dB, 8시간 이상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직무는 4명의 운전원으로 구성된 근무조에 의해 수행되고, 이들의 직무 간에는 서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근무조원 중 1차 계통의 운전원 A와 2차 계통의 운전원 B간의 직무는 중간 정도의 의존성 (15%)이 있다. 그리고 운전원 A의 기초 인간실수확률 HEP Prob{A} = 0.001일 때, 운전원 B의 직무실패를 조건으로 한 운전원 A의 직무실해 확률은? (단, THERP분석법을 사용한다.)
<문제 해설> 주의작업범위 1. 몸으로부터 조금 더 떨어진 범위 2. 팔을 완전히 뻗쳐서 손을 어깨까지 들어 올리고 허벅지까지 내리는 범위 3. 허리의 지탱한계에 도달한 상태로 40kg 정도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64.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예방이 최선의 정책이다.
2.
작업자의 정신적 특징 등을 고려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3.
공학적 개선을 통해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공정을 중단한다.
4.
사업장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정책에 노사가 협의하면 작업자의 참여는 중요하지 않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65.
작업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상 항목이 아닌 것은?
1.
노동
2.
기계
3.
재료
4.
세금
정답 : [
4
] 정답률 : 88%
66.
NIOSH의 들기작업 지침에서 들기지수 값이 1이 되는 경우 대상 중량물의 무게는 얼마인가?
1.
18kg
2.
21kg
3.
23kg
4.
25kg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들기지수가 1이 되는 대상 중량물의 무게는 23kg 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작업연구의 내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재고량 관리
2.
표준시간의 산정
3.
최선의 작업방법 개발과 표준화
4.
최적 작업방법에 의한 작업자 훈련
정답 : [
1
] 정답률 : 86%
68.
배치설비를 분석하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은?
1.
서블릭
2.
유통선도
3.
관리도
4.
간트차트
정답 : [
2
] 정답률 : 62%
69.
다음 중 작업 대상물의 품질 확인이나 수량의 조사, 검사 등에 사용되는 공정도 기호에 해당하는 것은?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 작업, 가공 □ = 검사 ▽ = 저장 ⇒ = 이동 [해설작성자 : alyssa]
70.
작업개선에 따른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열심히 탐문한다.
2.
유사한 문제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도록 한다.
3.
현재의 작업방법을 완전히 잊어버리도록 한다.
4.
대안 탐색 시에는 양보다 질에 우선순위를 둔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대안의 탐색 1. 정신적인 노력 없이는 창조적인 결과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이 방면에 집중적이며 적극적 노력을 한다. 2. "왜"라는 단어로 항상 탐구적 자세를 지닌다. 3. 체계적 접근방식을 이용한다. 4. 체크리스트를 사용한다. 5. 대안의 탐색 시 질보다는 양에다 우선 순위를 둔다. 6. 다른 사람에게 열심히 탐문한다. 7. 현재의 작업방법을 완전히 잊도록 한다. 8.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집단 아이디어 창출방식 채택한다. 9. 보수적인 태도를 지양한다. 10. 대안탐색 과정에서 미리 대안을 평가하여 거부하거나 받아들이면 안된다. 11. 유사한 문제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도록 한다. 12. 사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쾌적하고 조용한, 창조적인 분위기 하에서 작업을 한다. 13. 정신적 사고과정의 취약점을 항상 경계한다. [해설작성자 : 대안탐색실패한사람]
대안탐색은 브레인스톰방식이 적합하여 질은 나중에 생각하고 무조건 양을 많이 쏟아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71.
근골격계 질환 중 손과 손목에 관련된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결절종(Ganglion)
2.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3.
회전근개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4.
드퀘르뱅건초염(Dequervain's Syndrome)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회전근개증후군은 어깨와 관련된 질환이다. [해설작성자 : 이엔젤]
72.
근골격계질환 발생의 주요한 작업 위험 요인으로 분류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부적절한 휴식
2.
과도한 반복 작업
3.
작업 중 과도한 힘의 사용
4.
작업 중 적절한 스트레칭의 부족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근골격계질환의 작업특성 요인 1. 반복성 2. 부자연스러운 또는 취하기 어려운 자세 3. 과도한 힘 4. 접촉스트레스 5. 진동 6. 온도, 조명 등 기타 요인 [해설작성자 : 이엔젤]
73.
근골격계 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보건관리자의 역할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기본 정책을 수립하여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2.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수립 및 수정에 관한 사항을 결정한다.
3.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개발ㆍ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준수한다.
4.
주기적인 근로자 면담 등을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 증상 호소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일을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기본 정책을 수립하여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 사업주의 역할 2.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수립 및 수정에 관한 사항을 결정한다. > 예방관리추진팀의 역할 3.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개발ㆍ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준수한다. > 근로자의 역할 4. 주기적인 근로자 면담 등을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 증상 호소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일을 한다. > 보건관리자의 역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손과 신체의 동작은 작업을 원만하게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동작등급을 사용한다.
4.
가능한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되, 작업자가 관성을 억제해야 하는 경우에는 발생하는 관성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순차가 아닌 동시에 시작해서 동시에 끝나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정미시간이 0.177분인 작업을 여유율 10%에서 외경법으로 계산하면 표준시간이 0.195분이 된다. 이를 8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여유시간은 총 44분이 된다. 같은 작업을 내경법으로 계산할 경우 8시간 기준으로 총 여유시간은 약 몇 분이 되겠는가? (단, 여유율은 외경법과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