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해설에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에서 광원에서 투명 유리에 빛을 조사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투명유리는 피조면으로 보는것이 맞지 않나요? 투명유리를 피조면으로 보고 조도 E=광속/피조면의 면적=5500/4=1375[lx]로 구할 수 있습니다. 광속발산도 = 투과율 * 조도 = 0.8*1375=1100{rlx] 광속발산도 = 3.14 * 휘도 따라서 휘도 = 1100/3.14 = 약 350[nt]
이렇게 풀어야 맞는 것 같습니다. 위 해설에서는 면적을 광원의 표면적으로 보고 대입해서 푸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20.
전기로에 사용되는 전극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열전도율이 클 것
2.
전기전도율이 클 것
3.
고온에 견디며 기계적 강도가 클 것
4.
피열물과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61%
2과목 : 전력공학
21.
최대 수용전력의 합계와 합성 최대 수용전력의 비를 나타내는 계수는?
1.
부하율
2.
수용률
3.
부등률
4.
보상률
정답 : [
3
] 정답률 : 52%
22.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1.
뇌해 방지
2.
전선의 진동 방지
3.
철탑의 강도 보강
4.
코로나의 발생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60%
23.
3상 3선식 3각형 배치의 송전선로에 있어서 각 선의 대지 정전용량이 0.5038 μF이고, 선간 정전용량이 0.1237 μF일 때 1선의 작용 정전용량은 약 몇 μF 인가?
지상 역률 80%, 10000kVA의 부하를 가진 변전소에 6000kVA의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개선하면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kVA)는 콘덴서 설치 전의 몇 %로 되는가?
1.
60
2.
75
3.
80
4.
85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개선전 부하 용량은 10000kva 이고 개선후의 용량은 루트(10000*08)^2+(10000*06-6000)^2) = 8000kVA 임으로 설치 전의 80% [해설작성자 : 전기]
역률 개선 전 유효전력 P = Pa * cosθ ▶ 10,000 * 0.8 = 8000[kW] 역률 개선 전 무효전력 P = Pa * sinθ ▶ 10,000 * 루트(1-0.8^2) = 6000[kVar] 역률 개선 전 피상전력 P = Pa = 루트(P^2 + Pr^2) ▶ 루트(8,000^2 + 6000^2) = 10,000[kVA] 6000[kVA]의 콘덴서를 설치하면 무효전력이 0[kVar]이므로, 개선 후 역률은 1이다. 역률개선후 피상전력 Pa = 루트(P^2 + Pr^2) ▶ 루트(8000^2 + 0^2) = 8000[KVA] 따라서 역률 개선 후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 (8000[KVA] / 10,000[KVA]) * 100 = 80[%]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6.
그림에서 X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어떤 전류인가?
1.
b상 전류
2.
정상전류
3.
역상전류
4.
영상전류
정답 : [
4
] 정답률 : 60%
27.
연가를 하는 주된 목적은?
1.
미관상 필요
2.
전압강하 방지
3.
선로정수의 평형
4.
전선로의 비틀림 방지
정답 : [
3
] 정답률 : 63%
28.
증기의 엔탈피(Enthalpy)란?
1.
증기 1kg의 잠열
2.
증기 1kg의 기화 열량
3.
증기 1kg의 보유 열량
4.
증기 1kg의 증발열을 그 온도로 나눈 것
정답 : [
3
] 정답률 : 46%
29.
지름 5mm의 경동선을 간격 1m로 정삼각형 배치를 한 가공전선 1선의 작용 인덕턴스는 약 몇 mH/km 인가? (단, 송전선은 평형 3상 회로)
1.
1.13
2.
1.25
3.
1.42
4.
1.55
정답 : [
2
] 정답률 : 35%
30.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계기용변성기로부터 고장전류를 감지한 후 계전기가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
2.
차단기가 트립 지령을 받고 트립 장치가 동작하여 전류차단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3.
차단기의 개극(발호)부터 이동행정 종료시까지의 시간
4.
차단기 가동접촉자 시동부터 아크 소호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52%
31.
직류송전방식의 장점은?
1.
역률이 항상 1이다.
2.
회전자계를 얻을 수 있다.
3.
전력변환장치가 필요하다.
4.
전압의 승압, 강압이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32.
보호 계전 방식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여자돌입전류에 동작할 것
2.
고장 구간의 선택 차단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을 것
3.
과도 안정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한도 내의 동작 시한을 가질 것
4.
적절한 후비 보호 능력일 있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50%
33.
345 kV 송전계통의 절연협조에서 충격절연내력의 크기순으로 나열한 것은?
1.
선로애자 > 차단기 > 변압기 > 피뢰기
2.
선로애자 > 변압기 > 차단기 > 피뢰기
3.
변압기 > 차단기 > 선로애자 > 피뢰기
4.
변압기 > 선로애자 > 차단기 > 피뢰기
정답 : [
1
] 정답률 : 53%
34.
변압기의 보호방식에서 차동계전기는 무엇에 의하여 동작하는가?
1.
1, 2차 전류의 차로 동작한다.
2.
전압과 전류의 배수 차로 동작한다.
3.
정상전류와 역상전류의 차로 동작한다.
4.
정상전류와 영상전류의 차로 동작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35.
저압뱅킹 배전방식에서 저전압 측의 고장에 의하여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현상은?
1.
아킹(Arcing)
2.
플리커(Flicker)
3.
밸런서(Balancer)
4.
캐스케이딩(Cascading)
정답 : [
4
] 정답률 : 60%
36.
전선에서 전류의 밀도가 도선의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작아지는 현상은?
1.
표피효과
2.
근접효과
3.
접지효과
4.
페란티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56%
37.
화력발전소의 기본 사이클이다. 그 순서로 옳은 것은?
1.
급수펌프 → 과열기 → 터빈 → 보일러 → 복수기 → 급수펌프
2.
급수펌프 → 보일러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 급수펌프
3.
보일러 → 급수펌프 → 과열기 → 복수기 → 급수펌프 → 보일러
4.
보일러 → 과열기 → 복수기 → 터빈 → 급수펌프 → 축열기 → 과열기
정답 : [
2
] 정답률 : 51%
38.
송전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은?
1.
중간 조상설비를 설치한다.
2.
조속기의 동작을 느리게 한다.
3.
계통의 연계는 하지 않도록 한다.
4.
발전기나 변압기의 직렬 리액턴스를 가능한 크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39.
보일러 절탄기(economizer)의 용도는?
1.
증기를 과열한다.
2.
공기를 예열한다.
3.
석탄을 건조한다.
4.
보일러 급수를 예열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40.
송전선로의 후비 보호 계전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 보호 계전기가 그 어떤 이유로 정지해 있는 구간의 사고를 보호한다.
2.
주 보호 계전기에 결함이 있어 정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구간 사고를 보호한다.
3.
차단기 사고 등 주 보호 계전기로 보호할 수 없는 장소의 사고를 보호한다.
4.
후비 보호 계전기의 정정값은 주 보호 계전기와 동일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후비 보호 계전기의 값은 주 보호 계전기보다 커야한다. [해설작성자 : gangs]
3과목 : 전기기기
41.
누설 변압기에 필요한 특성은 무엇인가?
1.
수하특성
2.
정전압특성
3.
고저항특성
4.
고임피던스특성
정답 : [
1
] 정답률 : 52%
42.
그림은 복권발전기의 외부특성곡선이다. 이 중 과복권을 나타내는 곡선은?
1.
A
2.
B
3.
C
4.
D
정답 : [
1
] 정답률 : 60%
43.
직류 분권발전기가 운전 중 단락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과전압이 발생한다.
2.
계자저항선이 확립된다.
3.
큰 단락전류로 소손된다.
4.
작은 단락전류가 흐른다.
정답 : [
4
] 정답률 : 33%
44.
동기발전기의 단락시험, 무부하시험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
철손
2.
단락비
3.
동기리액턴스
4.
전기자 반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47%
45.
단락비가 큰 동기발전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효율이 나쁘다.
2.
계자전류가 크다.
3.
전압변동률이 크다.
4.
안정도가 선로 충전용량이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36%
46.
직류 직권전동기의 속도제어의 사용되는 기기는?
1.
초퍼
2.
인버터
3.
듀얼 컨버터
4.
사이클로 컨버터
정답 : [
1
] 정답률 : 58%
47.
동기발전기의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
1.
난조를 방지한다.
2.
파형이 좋아진다.
3.
권선의 리액턴스가 커진다.
4.
집중권에 비하여 합성 유도 기전력이 높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48.
다음은 직류 발전기의 정류곡선이다. 이 중에서 정류 말기에 정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은?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44%
49.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저항제어법의 장점은?
1.
부하에 대한 속도변동이 크다.
2.
역률이 좋고, 운전효율이 양호하다.
3.
구조가 간단하며, 제어조작이 용이하다.
4.
전부하로 장시간 운전하여도 온도 상승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50.
직류전압의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회로는? (단, 저항부하를 사용한 경우이다.)
1.
단상전파
2.
단상반파
3.
3상반파
4.
3상전파
정답 : [
4
] 정답률 : 53%
51.
단상변압기 3대를 이용하여 △-△ 결선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다.
2.
Y-Y 결선에 비해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 배이므로 절연이 용이하다.
3.
3대 중 1대에서 고장이 발생하여도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4.
결선 내에 순환전류가 흐르나 외부에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통신장애가 대한 염려가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52.
동기 주파수변환기의 주파수 f1 및 f2 계통에 접속되는 양극을 P1, P2라 하면 다음 어떤 관계가 성립되는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53.
유도전동기에서 공간적으로 본 고정자에 의한 회전자계와 회전자에 의한 회전자계는?
1.
항상 동상으로 회전한다.
2.
슬립만큼의 위상각을 가지고 회전한다.
3.
역률각만큼의 위상각을 가지고 회전한다.
4.
항상 180°만큼의 위상각을 가지고 회전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54.
어떤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60%일 때 전압변동률이 최대라고 한다. 지금 이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100%일 때 전압변동률을 측정했더니 3%였다. 이 변압기의 부하역률이 80%일 때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
1.
2.4
2.
3.6
3.
4.8
4.
5.0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최대 전압변동률 조건 tanθ= X/R sinθ=X/✓R^2+X^2, cosθ= R/✓R^2+X^2 부하역률 60% 일 때 전압변동률이 최대라고했을때 tanθ=X/R =cos60∘/sin60∘ = 0.8/0.6 = 4/3 부하역률 80%일 때 전압변동률 VR=IR+IX/V = IR/V VR = 0.8 + I(4/3)0.6 / V = 1.6/V = 0.03 x 1.6 = 0.048 = 4.8% [해설작성자 : 그냥 그렇다고요]
55.
200V의 배전선 전압을 220V로 승압하여 30 kVA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권변압기가 있다. 이 단권변압기의 자기용량은 약 몇 kVA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