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의 특성 중 2개음 사이의 진동수 차이가 얼마 이상이 되면 울림(beat)이 들리지 않고 각각 다른 두 개의 음으로 들리는가?
1.
5Hz
2.
11Hz
3.
22Hz
4.
33Hz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3Hz 이하가 되면 같은 음처럼 들림 [해설작성자 : 노인탈출]
2.
작업대 공간의 배치 원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성의 원리
2.
사용 순서의 원리
3.
중요도의 원리
4.
오류 방지의 원리
정답 : [
4
] 정답률 : 88%
3.
사용자의 기억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잔상은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의 일종이다.
2.
인간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용량은 유한하다.
3.
장기 기억을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한다.
4.
정보를 수초동안 기억하는 것을 장기기억(long-term memory)이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잔상은 장기기억의 일종이다. 3. 단기기억을 작업기업이라고도 한다. 4. 정보를 수초동안 기억하는 것을 단기기억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수초동안 기억하는것은 감각기억 [해설작성자 : 지에스망해라]
4.
시스템의 성능 평가척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적절성-평가척도가 시스템의 목표를 잘 반영해야 한다.
2.
실제성-기대되는 차이에 적합한 단위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무오염성-비슷한 환경에서 평가를 반복할 경우에 일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4.
신뢰성-측정하려는 변수 이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5.
최소치를 이용한 인체 측정치 원리를 적용해야 할 것은?
1.
문의 높이
2.
안전대의 하중강도
3.
비상탈출구의 크기
4.
기구조작에 필요한 힘
정답 : [
4
] 정답률 : 92%
6.
그림은 인간-기계 통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 기능의 유형이다. 그림의 A부분에 가장 적합한 내용은?
1.
통신
2.
정보수용
3.
정보보관
4.
신체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86%
7.
동적 표시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도표
2.
지도
3.
속도계
4.
도로표지판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동적표시장치 3가지 -동침형 : 자동차 속도계 -동목형 : 체중계 -계수형 : 전력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조종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C/R비가 크면 민감한 장치이다.
2.
C/R비가 작은 경우에는 조종 장치의 조종시간이 적게 필요하다.
3.
C/R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감소하고, 조종시간은 증가한다.
4.
C/R비가 반응장치의 움직인 거리를 조종장치의 움직인 거리로 나눈 값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9.
빛이 어떤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양을 지칭하는 용어는?
1.
휘도(Brightness)
2.
조도(Illumination)
3.
반사율(Reflectance)
4.
광량(Luminous intensity)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휘도 : 단위면적 당 표면에 반사 또는 방출되는 빛의 양 2. 조도 : 점광원에서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 3. 반사율 :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비율 4. 광량 :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 에너지의 양 [해설작성자 : 2024 1회차 화이팅]
10.
출입문, 탈출구, 통로의 공간, 줄사다리의 강도 등은 어떤 설계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조절식 원칙
2.
최소치수의 원칙
3.
평균치수의 원칙
4.
최대치수의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키가 크거나 체구가 큰 사람도 통과할 수 있어야 하므로 "최대치수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레빈의 인간행동 법칙] 인간의 행동(B)은 그 자신이 가진 자질, 개체(P).환경(E)과의 상호관계에 있다고 말하였으며 인간의 행동은 주변 환경의 자극에 의해 일어나며, 항상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개된다는 이론이다. B=f(P·E) B(behavior): 인간의 행동 f(fucmtion, 함수관계): P와 E에 영향을 미칠 조건 P(person, 인적요인): 지능, 시각기능, 성격, 연령, 심신 상태인 피로도 등 E(environment, 외적요인): 가정 내 불화나 대인 관계 등 인간관계와 작업환경요인인 소음, 온도, 습도, 먼지, 청소 등 [해설작성자 : 나람]
46.
Max Weber가 제시한 관료주의 조직을 움직이는 4가지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구조
2.
노동의 분업
3.
권한의 통제
4.
통제의 범위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노동의 분업 권한의 위임 통제의 범위 구조 [해설작성자 : 둥두니]
47.
집단역학에 있어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갈등 관리
2.
소시오메트리
3.
시너지 효과
4.
집단의 응집력
정답 : [
2
] 정답률 : 73%
48.
인간의 불안전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Harvey에 의해 제안된 안전대책의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Education
2.
Enforcement
3.
Engineering
4.
Environment
정답 : [
4
] 정답률 : 84%
49.
재해 발생에 관한 하인리히(H.W. Heinrich)의 도미노 이론에서 제시된 5가지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인간오류확률 추정 기법 중 초기 사건을 이원적(binary) 의사결정(성공 또는 실패)가 지들로 모형화하고, 이 이후의 사건들의 확률은 모두 선행 사건에 대한 조건부 확률을 부여하여 이원적 의사결정 가지들로 분지해나가는 방법은?
1.
결함 나무 분석(Fault Tree Analysis)
2.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3.
인간 오류 시뮬레이터(Human Acyion Tree)
4.
인간실수율 예측기법(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위급직무의 순서에 초점을 맞추어 조작자행동나무를 구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사건의 위급경로에서의 조작자의 역할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OAT는 여러 의사결정의 단계에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성공과 실패의 경로로 가지가 나누어지도록 나타내며, 최종적으로 주어진 직무의 성공과 실패확률을 추정해낼수 있다. 출처 : 인간공학기사 청문각 필기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Win-Q 인간공학기사 (시대고시기획) 책에보면 4번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THERP : 확률론적 안전기법으로 인간의 과오율 추정법은 5개의 단계로 되어있음. 직무 작업단위로 분해하여 휴먼에러신뢰도 수목을 구성 100만 운전시간당 과오도수를 기본 과오율로 하여 평가 [해설작성자 : ㅅㅊㅇ]
[오류신고 반론]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THERP 평가 작성 방법으로 인간신뢰도 분석나무에 대한 설명 1. 사건들을 일련의 이원적(binary) 의사결정 분지들로 모형화 한다. 2. 각 마디에서 직무는 옳게 or 틀리게 수행 3. 첫 번째 분지를 제외하면 모두 조건부 확률 4. 대문자는 실패, 소문자는 성공
--- OAT - 위급직무의 순서에 초점 ~~ FAT - 사건의 결과로부터 시작해 원인이나 조건을 찾아나가~ (논리기호 사용) Human action tree : ???? [해설작성자 : 둥두니]
56.
오류를 범할 수 없도록 사물을 설계하는 기법은?
1.
Fail-Safe 설계
2.
Interlock 설계
3.
Exclusion 설계
4.
Prevention 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lock system 기계와 인간은 각각 특수성과 생리적 관습에 의하여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불안정한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계에 interlock system, 인간의 중심에 interlock system, 그 중간에 translock system을 두어 불안전한 요소에 대해서 통제를 가한다. 출처 : 인간공학기사 청문각 필기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THERP는 완전 독립에서 완전 정(正)종속까지의 비연속을 종속정도에 따라 3수준으로 분류하여 직무의 종속성을 고려한다.
4.
연속적 직무에서 인간의 실수율이 불변(stationary)이고, 실수과정이 과거와 무관(independent)하다면 실수과정은 베르누이 과정으로 묘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인간신뢰도 : 인간의 성능이 특정한 기간 동안 실수를 범하지 않을 확률 [해설작성자 : 신돈희]
58.
인간이 장시간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주의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배칭성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변동성 : 주의는 장시간 지속될수 없음, 리듬이 존재 선택성 : 주의는 동시에 2개의 방향에 집중할 수 없음 방향성 : 한 방향에 집중하면 다른곳에서는 약해짐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59.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성능 요인
2.
환경 요인
3.
작업 요인
4.
조직 요인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직무 스트레스 요인 = 작업 요인, 조직 요인,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미래인간공학전문가]
60.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협적인 환경특성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2.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 성과와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3.
적정수준의 스트레스는 작업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4.
지나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며 인체는 자기조절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성과와 정비례하지 않는디. [해설작성자 : 깨모]
61.
파레토 차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고관리에서는 ABC곡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2.
20%정도에 해당하는 중요한 항목을 찾아 내는 것이 목적이다.
3.
불량이나 사고의 원인이 되는 중요한 항목을 찾아 관리하기 위함이다.
4.
작성 방법은 빈도수가 낮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하고, 항목별 점유비율과 누적비율을 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작성 순서는 빈도수가 높은 순서부터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62.
유해요인조사도구 중 JSI(Job Strain Index)의 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손/손목의 자세
2.
1일 작업의 생산량
3.
힘을 발휘하는 강도
4.
힘을 발휘하는 지속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2. 1일 작업의 지속시간 [추가] 5. 분당 힘의 발휘 6. 작업속도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63.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관리적 개선 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규칙적이고 적절한 휴식을 통하여 피로의 누적을 예방한다.
2.
작업 확대를 통하여 한 작업자가 할 수 있는 일의 다양성을 넓힌다.
3.
전문적인 스트레칭과 체조 등을 교육하고 작업 중 수시로 실시하도록 유도한다.
4.
중량물 운반 등 특정 작업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별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경감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중량을 낮춰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적절한 입식작업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어깨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2.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미세부품 조립과 같은 섬세한 작업일수록 작업대의 높이는 낮아야 한다.
4.
일반적인 조립라인이나 기계 작업 시에는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높아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65.
손동작(manual operation)을 목적에 따라 효율적과 비효율적인 기본 동작으로 구분한 것은?
1.
task
2.
motion
3.
process
4.
therbling
정답 : [
4
] 정답률 : 78%
66.
SEARCH 원칙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Composition : 구성
2.
How often : 얼마나 자주
3.
Alter sequence : 순서의 변경
4.
Simplify opertion : 작업의 단순화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 : Simplify operations 작업의 단순화 E : Eliminate unnecessary work and material 불필요한 작업이나 자재의 제거 A : Alter sequence 순서변경 R : Requirement 요구조건 C : Combine operations 작업의 결합 H : How often 얼마나 자주, 몇 번인가? [해설작성자 : ㅇㅇ]
67.
동작경계의 원칙 3가지 범주에 들어가지 않은 것은?
1.
작업개선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60%
68.
작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ilbreth 부부는 적은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짧은 시간에 이룰 수 있는 작업방법을 연구한 동작연구(Motion Study)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2.
Taylor(Frederick W. Taylor)는 벽돌 쌓기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방법과 작업도구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발전시켜 과학적 관리법을 주장하였다.
3.
작업관리는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경제적인 작업방법을 연구하는 작업연구와 표준작업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측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Hawthorn의 실험결과는 작업장의 물리적 조건보다는 인간관계와 같은 사회적 조건이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도록 한 시발점이 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테일러는 노동자와 경영자 간의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공정한 이익 배분을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하였고, 공장에서 일하면서 노동자들의 작업방식과 속도를 측정하고, 불필요한 동작이나 낭비를 제거하고, 적합한 공구나 기계를 도입하고, 작업량에 따른 임금제도를 도입하는 등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관리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이스원쏘니]
2. Gilbreth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워크샘플링 조사에서 초기 idle rate가 0.05라면, 99% 신뢰도를 위한 워크샘플링 회수는 약 몇 회인가? (단, u0.995는 2.5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