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W] = 100/√2 x 20/√2 x cos 60˚ + (-50) x 15 / 2 x cos 30˚ - 25 x 10 / 2 x cos 150˚ = 1000 x 0.5 - 375 x 0.866025404 - 125 x (-0.866025404) ∴ cos(-60˚) = -sin(-150˚) = 283.4936491[W]
A는 개방 전압이득. 입출력 전압의 관계 변수. I2가 0이면 순수한 전압비 개념. B는 단락 Impedance. 입력 전압과 출력 전류와의 관계 변수. V2가 0이면 순수한 저항/impedance 개념. C는 개방 Admittance.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과의 관계 변수. I2가 0이면 순수한 Admittance 개념. D는 단락 전류이득. 입출력 전류의 관계 변수. V2가 0이면 순수한 전류비 개념.
A =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16/7 B = 단락 Impedance 개념이니까 출력측 2 ports/단자를 short/단락시키면 9[Ω]만 있는 회로가 되니 9의 값을 갖고! C = 출력측 2 ports/단자를 open/개방했을 때(I2 = 0일때), 7[Ω]에 흐르는 입력 전류, 걸리는 전압 관계이므로, = I1 / V2 = I1 / 7·I1 = 1/7[℧] D = 단락 전류이득이니까, 출력측 2 ports/단자를 short/단락시키면/0[Ω]으로 만들면, 입력측 전류 I1이 7[Ω]쪽 회선으로 분배되어 흐름없이 모두 short시킨 출력측 회로로 흐르므로 I2 = I1 가 되어, 1의 값을 가짐!
이라는 행렬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A=16/7 B=9 C=1/7 D=1 이니 Z02=루트(BD/AC) 로 구한 값은 21/4가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Z01= 루트(AB/CD)로 구하시면됩니다. (2020년 1회2회 통합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에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27.
불평형 3상전류 Ia=25+j4(A), Ib=-18-j16(A), Ic=7+j15(A) 일 때의 영상전류 I0(A)는?
샘플러의 주기를 T라 할 때 s평면상의 모든 점은 z = esT에 의하여 z평면상에 사상된다. s평면의 우반 평면상의 모든 점은 z평면상 단위원의 어느 부분으로 사상되는가?
1.
내점
2.
외점
3.
z평면 전체
4.
원주상의 점
정답 : [
2
] 정답률 : 59%
37.
특성방정식 s4+7s3+17s2+17s+6=0 의 특성근 중에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몇 개인가?
1.
1
2.
2
3.
3
4.
무근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In control system theory, the Routh-Hurwitz stability criterion is a mathematical test that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stability of a linear time invariant (LTI) control system.
위 수열의 제 1열이 모든 요소가 같은 부호를 가지고 있기에, 특성근들이 모두 음의 실수부를 갖으며 안정한 계통임.
만약 제1열의 요소의 부호 변화가 있으면, 변화 횟수에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양의 실수부를 가지며 불안정한 계통임! [해설작성자 : 나대로]
38.
보드선도의 안정판정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위상곡선이 180°점에서 이득 값이 양이다.
2.
이득여유는 음의 값, 위상여유는 양의 값이다.
3.
이득곡선의 0dB 점에서 위상차가 180°보다 크다
4.
이득(0dB)축과 위상(-180°)축을 일치시킬 때 위상 곡선이 위에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39.
단위피드백(feed back)제어계의 개루프 전달함수의 벡터궤적이다. 이 중 안정한 궤적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6%
40.
PD제어동작은 프로세스 제어계의 과도 특성 개선에 쓰인다. 이것에 대응하는 보상 요소는?
1.
지상 보상 요소
2.
진상 보상 요소
3.
동상 보상 요소
4.
진지상 보상 요소
정답 : [
2
] 정답률 : 79%
3과목 : 신호기기
41.
사이리스터의 명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CR은 역저지 3극 사이리스터이다.
2.
SSS는 2극 쌍방향 사이리스터이다.
3.
SCS는 역저지 2극 사이리스터이다.
4.
TRIAC은 3극 쌍방향 사이리스터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SCS 는 역저지 4극 [해설작성자 : 늘공]
42.
신호현시가 열차 또는 차량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신호 취급자도 조작할 수 있는 신호기는?
1.
자동 신호기
2.
수동 신호기
3.
반자동 신호기
4.
자동원격 신호기
정답 : [
3
] 정답률 : 80%
43.
철도건널목에 사용하는 전동차단기의 전동기의 클러치 조정은 차단봉 교체 시 시행하여야 하며 전동기 슬립 전류는 몇 A 이하인가?
1.
10
2.
8
3.
7
4.
5
정답 : [
4
] 정답률 : 79%
44.
2중 농형 유도전동기가 보통 농형 유도전동기와 다른 점은?
1.
기동 전류가 크고 기동 토크도 크다.
2.
기동 전류가 적고 기동 토크도 적다.
3.
기동 전류가 크고 기동 토크가 적다.
4.
기동 전류가 적고 기동 토크는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45.
변압기의 전일 효율을 좋게 하려고 할 때 철손(Pi)과 전부하동손(Pc)과의 관계는?
1.
무관
2.
Pi < Pc
3.
Pi > Pc
4.
Pi = Pc
정답 : [
2
] 정답률 : 49%
46.
건널목 경보기의 경보종 타종수의 범위는 기당 어떻게 되는가?
1.
매분 50 ~ 80회
2.
매분 60 ~ 90회
3.
매분 70 ~ 100회
4.
매분 80 ~ 120회
정답 : [
3
] 정답률 : 79%
47.
전기자 철심을 규소강판으로 성층하는 이유는?
1.
철손을 적게 할 수 있다.
2.
가공을 쉽게 할 수 있다.
3.
기계적 강도가 좋아진다.
4.
기계손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48.
직류전동기의 기계손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전압
2.
전류
3.
자속
4.
회전수
정답 : [
4
] 정답률 : 75%
49.
전부하에 있어 철손과 동손의 비율이 1 : 4인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인 부하는 전부하의 대략 몇 % 인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변압기가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려면,
고정된 손실인 철손과 부하/전류에 따라 변하는 동손이 같을때, 최대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데,
전부하/full load, 즉 100%의 부하/전류가 흐를때, 동손이 철손보다 4배가 더 크므로, 동손/Copper Loss/전력손실[W]이란 I^2 x R 로써, 전류/부하의 제곱에 비례하기에,
전부하를 50[%]의 부하로 낮춰서 변압기의 부담을 줄여주면, 동손을 50[%]^2 = 25[%]배 만큼 줄일 수 있기에, 4 x 0,25 = 1이 되서, 철손과 동일한 값을 갖게되면서, 최대 효율로 운영됨! [해설작성자 : 나]
50.
권수비 60인 단상변압기의 전부하 2차 전압 200V, 전압변동률 3%일 때 1차 단자전압(V) 은?
1.
12000
2.
12180
3.
12360
4.
12720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권수비 a = N1/N2 = V1/V2 ∴ N1: number(s) of turns at primary side, N2: number of turns at 2ndary side V1: primary side voltage, V2: 2ndary side voltage 전압변동률 ε = (Vnl - Vfl) / Vfl x 100[%] ∴ Vnl: no load voltage, Vfl: full load voltage
경부고속철도 UM71 궤도회로 구성 기기 중 송신기와 수신기 케이블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전류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방향계전기
2.
거리조정기
3.
동조유니트
4.
정합변성기
정답 : [
2
] 정답률 : 77%
62.
고속철도 지장물검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지선은 절연 바인드선을 이용하여 각 절연애자에 부착한다.
2.
고속철도를 횡단하는 과선교나 낙석,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개소에 설치하여 낙석 등이 고속철도로 침입하는 것을 검지한다.
3.
낙석 검지용 보조 접속함(SDC)은 검지망의 시점 기주에 설치한다.
4.
검지선 간의 간격은 400 ~ 600mm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검지선의 간의 간격은 150~300m 로 한다. [해설작성자 : 꽁초]
63.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과속도 방어
2.
열차 출입문 제어
3.
열차 상호간 거리 유지
4.
궤도 및 열차 감시
정답 : [
2
] 정답률 : 83%
64.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에 관한 표현식으로 옳은 것은? (단, N은 역 사이의 선로용량, T는 역 사이의 평균열차운행시간[분], C는 폐색취급시간[분], f는 선로 이용률 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Crw = 1440 / (Tao + Tb) x U where, Crw: railway capacity of single-track section, Tad: train average operation time between stations[min], Tb: time of blockading[min], U: utilization rate [해설작성자 : 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