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생활폐기물의 발생량 및 성상에 대한 영향 요인) 2. 도시규모가 클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PJH]
8.
폐기물의 기계적처리 중 폐기물을 물과 섞어 잘게 부순 뒤 물과 분리하는 장치는?
1.
Grinder
2.
Hammer Mil
3.
Balers
4.
Pulverizer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Pulverizer = 쓰레기를 물과 섞어 잘게 부순뒤 다시 물과 분리시키는 습식 분쇄기의 일종으로 습식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폐수가 다량 발생. [해설작성자 : PJH]
9.
납과 구리의 합금 제조 시 첨가제로 사용되며 발암성과 돌연변이성이 있으며 장기적인 노출시 피로와 무기력증을 유발하는 성분은?
1.
As
2.
Pb
3.
벤젠
4.
린덴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As(비소) = 유해폐기물 성분물질 피해 증세 1. 피로와 무기력증 유발 2. 피부염 유발 3. 암 및 돌연변이 유발 [해설작성자 : PJH]
10.
폐기물의 수거노선 설정 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덕지역에서는 언덕의 꼭대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적재하면서 차량이 아래로 진행하도록 한다.
2.
U자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
3.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4.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수거노선을 설정할 때 유의할 사항 1. 발생량이 많은 곳은 하루중 가장 먼저 수거 2. 수거작업은 U턴하는 지역을 피해 시계바늘 방향와 같이 노선을 정한다. 3. 가능한 한 간선도로 부근에서 시작하고 끝나도록 한다. 4. 출발점은 차고와 가깝도록 배치, 마지막 컨테이너는 처리장과 가깝게 배치 5. 경사면이나 비탈진 도로는 내려가면서 수거 6. 발생량은 적으나 수거빈도가 동일하여야 하는 곳은 같은 날 왕복하면서 처리 7. 될 수 있는 한 한번 간 길은 가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PJH]
11.
1000세대(세대 당 평균 가족 수 5인) 아파트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를 3일마다 수거하는 데 적재용량 11.0m3의 트럭 5대(1회 기준)가 소요된다. 쓰레기 단위 용적당 중량이 210kg/m3이라면 1인 1일당 쓰레기 배출량(kg/인ㆍ일)은?
<문제 해설> 혐기성 및 호기성으로 분해 공통 생성 물질 CO2(이산화탄소), H2O(물) [해설작성자 : PJH]
18.
관거 수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탁물 수송은 관의 마모가 크고 동력수모가 많은 것이 단점이다.
2.
캡슐수송은 쓰레기를 충전한 캡슐을 수송관내에 삽입하여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송하는 방식이다.
3.
공기수송은 공기의 동압에 의해 쓰레기를 수송하는 것으로서 진공수송과 가압수송이 있다.
4.
공기수송은 고층주택밀집지역에 적합하며 소음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관거수송(Pipe line) 1.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 곤란 2. 가설 후 경로변경 어려움 3. 가장위생적이 수송방법 4. 조대 쓰레기 파쇄.압축 등 전처리 필요 5. 장거리 이용 곤란. 발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인구밀집지역, 아파트 지역에서 혀실성
공기수송(진공수송, 가압수송) 1. 고층 주택 밀집지역에 적합 2. 소음 방지시설 필요. 3. 속도압에 의해 쓰레기를 수송 4. 송풍기로 쓰레기를 불어서 수송하는 가압수송(가압수송) 5. 진공수송보다 수송거리 더 길게 할 수 있다.
캡슐수송 - 쓰레기를 충전한 캡슐을 수송관 내에 삽입하여 공기 또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PJH]
1. 현탁물수송(=슬러리수송) -물과 쓰레기의 비중이 비슷하여 쓰레기가부상하거나 현탁이 쉽게 된다 -관의 마모도 적고 동력이 적게 소모된다 -혼입되는 고형물 양에 한도가 있다(약 8%) -쓰레기 파쇄(전처리) 과정이 필요 -폐수처리문제 야기 [해설작성자 : k-곤죽]
19.
파쇄에 따른 문제점은 크게 공해발생상의 문제와 안전상의 문제로 나눌 수 있는데 안전상의 문제에 해당하는 것은?
1.
폭발
2.
진동
3.
소음
4.
분진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2차적 환경오염 - 소음, 진동, 분진
안전상 문제 - 분진폭발, 가연물 폭발 [해설작성자 : PJH]
20.
청소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중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계산하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는?
1.
USI
2.
UAI
3.
CEI
4.
CDI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CEI(지역사회 효과지수) : 가로의 청소상태를 기준 1.설정인자 : 가로의 총수, 가로의 청결상태. 가로 청소상태의 문제점 여부 2. scale은 1 ~ 4 이며, 각각 100,75,50,25,0점으로 한다.(25점씩 차이) 3. 가로상태의 문제점이 관찰되는 경우 각 10점씩 감점.
USI(사용자 만족도 지수):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 80점 이상 : 양호상태 60점 이상 : 좋음 40점 이상 : 보통 20점 이상 : 불량한 상태 20점 이하 : 용납할 수 없는 상태 [해설작성자 : PJH]
<문제 해설> 소각과 비교할 때 열분해의 장점 1. 저장.수송이 가능한 연료를 회수할 수 있다. 2. 배기가스가 적어 가스처리 장치가 소형이다. 3. 크롬의 산화가 억제된다. 4. SOx, NOx의 발생이 거의 없다. 5. HCI 중금속 등을 포함하는 유해가스 발생량이 적다. 6. 황 및 중금속이 회분 속에 고정되는 비율이 소각에 비하여 높다.
소각로 비교할 때 열분해의 단점 1. 반응이 활발치 못함 2. 흡열반응이므로 외부에서 열을 공급시켜야만 함. 3. 반응성이 적어 파쇄, 선별 등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 4. 반응생성물을 연료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정제장치가 필요함. [해설작성자 : PJH]
22.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혐기성 소화조의 용량(m3)은? (단, 유기물량의 50%가 액화 및 가스화된다고 한다. 방식은 2조식이다.)
인발슬러지량 = 인발슬러지속 고형물(무기물 + 소화안된유기물) * 10(함수율90%이기 때문) 으로 해야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기존대로 하면 인발슬러지량이 마치 인발슬러지속 고형물과 같다는 착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yeseodadd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 (60*100)이 아니라 (60/100)입니다. [해설작성자 : 목해대피바다]
23.
소각로의 백연(white plum) 방지시설의 역할로 가장 옳게 설명된 것은?
1.
배출가스 중 수증기 응축을 방지하여 지역주민의 대기오염 피해의식을 줄이기 위해
2.
먼지 제거
3.
폐열 회수
4.
질소산화물 제거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소각로 백연현상과 방지대책 - 백연현상 발생이유는 수분이 혼합되어 있는 배출가스가 굴뚝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수분이 대기와 혼합될 때 온도가 내려가 결로되어 미세한 액적 상태로 배출되면서 흰 연기가 굴뚝으로 배출되는 것과 같이 보이는 백연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백연 현상에 대한 법적인 규제는 없으나, 배출가스 내의 수분과 산화물이 반응하여 굴뚝 내부를 부식시키거나, 산성물질이나 중화 반응한 부산물이 포함된 액적이 굴뚝 아래로 낙하하여 주변의 건물이나 차량에 손상을 주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 방지대책 - 1. 배출가스 온도를 약 150도씨 정도를 유지해서 배출하거나 2. 배출가스를 굴뚝으로 배출 하기 전에 제습기를 설치하여 배출가스 중에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PJH]
24.
토양 복원기술 중 압력 및 농도구배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출정을 굴착하여 진공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토양 내의 휘발성 오염물질을 휘발, 추출하는 기술은?
1.
Biopile
2.
Bioaugmentation
3.
Soil vapor extraction
4.
Thermal Decomposition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토양증기추출(SVE : Soil Vapor Extraction) - 오염물의 휘발성을 이용하여 오염토양 내에 배관을 설치한 후 강제진공흡입으로 오염물을 뽑아내는 토양추출기술 휘발성이 높은 유류오염에 가장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방법. [해설작성자 : PJH]
25.
소각로의 부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80~700℃사이에서는 염화철이나 알칼리철 황산염 분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된다.
2.
저온부식은 100~150℃사이에서 부식속도가 가장 느리고, 고온부식은 600~700℃에서 가장 부식이 잘된다.
3.
150~320℃에서는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고, 고온 부식은 320℃이상에서 소각재가 침착된 금속면에서 발생된다.
4.
320~480℃사이에서는 염화철이나 알칼리철 황삼염 생성에 의한 부식이 발생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각로의 부식 - 소각로가 고온으로 운전되는 경우 소각로의 부식이 문제된다. - 저온부식은 100~150도씨 에서 가장심하고 150~320도씨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폐기물 내의 PVC는 소각로의 부식을 가속시킨다 - 250도씨 정도의 PVC는 소각로의 부식을 가속시킨다.
(부식이 가장 잘되는 온도) 저온부식 가장심한 온도 : 100 ~ 150도씨 고온부식 가장심한 온도 : 600 ~ 700도씨 [해설작성자 : PJH]
연소실의 부피를 결정하려고 한다. 연소실의 부하율은 3.6×105kcal/m3ㆍhr이고 발열량이 1600kcal/kg인 쓰레기를 1일 400ton 소각시킬 때 소각로의 연소실 부피는? (단, 소각로는 연속가능 한다.)
1.
74
2.
84
3.
104
4.
974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열량*일소각량)/(부하율*24) [해설작성자 : 시흥그린센터]
52.
원소분석으로부터 미지의 쓰레기 발열량은 듀롱(Dulong)식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계산식에서 가 의미하는 것은?
1.
유효수소
2.
무효수소
3.
이론수소
4.
과잉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연소될 때 물의 증발잠열로 인해 발열량이 감소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발열량을 구할 때 물의 증발잠열만큼 빼줘야하는데, 물은 수소:산소 = 1:8의 비로 나타나므로 수소(H)에서 물(무효수소, O/8)만큼 빼줘야 한다. 수소에서 무효수소를 뺀 것을 유효수소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멍멍]
53.
원심력식 집진장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조작이 간단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2.
건식 포집 및 제진이 가능하다.
3.
고온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다.
4.
분진량과 유량의 변화에 민감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4) 전처리용이라 분진량과 유량 변화에 크게 민감하지는 않다. [해설작성자 : 껍던씸]
중금속시료(염화암모늄, 염화마그네슴, 염화칼슘 들이 다량 함유된 경우)의 전처리 시, 외와에 의한 유기물의 분배과정 중에 휘산되어 손실을 가져오는 중금속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크롬
2.
납
3.
철
4.
아연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납, 철, 주석, 아연, 안티몬 등이 휘산됨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회화법: 이 시험기준은 목적 성분이 (400도) 이상에서 (휘산)되지 않고 쉽게 (휘산)될 수 있는 시료에 적용하며 회화에 의한 유기물분해 방법이다. 시료 중에 염화암모늄,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등이 높은 비율로 함유된 경우에는 납, 철, 주석, 아연, 안티몬 등이 (휘산)되어 손실이 발생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나대]
69.
폐기물로부터 유류 추출 시 에멀젼을 형성하여 액층이 분리되지 않을 경우, 조작법으로 옳은 것은?
1.
염화제이철 용액 4mL를 넣고 pH를 7~9호 하여 자석교반기로 교반한다.
2.
메틸오렌지를 넣고 황색이 적색이 될 때까지 (1+1)염산을 넣는다.
3.
노말헥산층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수분간 방치한다.
4.
에멀젼층 또는 헥산층에 적당량의 황산암모늄을 넣고 환류냉각관을 부착한 후 80℃ 물중탕에서 가열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70.
시료의 전처리 방법 중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되는 방법은?
1.
질산 분해법
2.
질산-염산 분해법
3.
질산-황산 분해법
4.
질산-과염소산 분해법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질산 분해법: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시료에 적용 질산-염산 분해법: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에 적용 질산-황산분해법: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 질산-과염소산 분해법: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에 적용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폐기물공정시험기준상의 규정이다. A+B+C+D의 합을 구한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31.3
2.
45.3
3.
58.3
4.
68.3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방울수: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 2)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 3) 상온은 15~25℃를 말한다. (15) 4) ppm_ [해설작성자 : 오다비]
74.
시안의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피리딘ㆍ피라졸론법
2.
디페닐카르바지드법
3.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법
4.
디티존법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안분석에 사용되는 방법 1)자외선/가시선 분광법(피리딘-피라졸론법) 2)이온전극법 3)연속흐름법 [해설작성자 : 카엘라]
75.
일정량의 유기물을 질산-과염소산법으로 전처리하여 최종적으로 50mL로 하였다. 용액의 납을 분석한 결과 농도가 2.0mg/L이었다면, 유기물의 원래의 농도(mg/L)는?
1.
0.1
2.
1.0
3.
2.0
4.
4.0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일정량의 유기물 = 25ml -최종적으로 50ml이니 2배 희석 따라서 농도는 2의 두배인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구리를 측정할 때 정밀도(RDS)는? (단, 정량한계는 0.008mg/L)
1.
± 10% 이내
2.
± 15% 이내
3.
± 20% 이내
4.
± 25%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72%
77.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정시험기준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구 및 기기는 측정결과에 대한 오차가 허용되는 범위 이내인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연속측정 또는 현장측정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측정기기는 공정시험기준에 의한 측정치와의 정확한 보정을 행한 후 사용할 수 있다.
3.
각각의 시험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실온에서 실시하고 조작 직후에 그 결과를 관찰한다. 단, 온도의 영향이 있는 것의 판정은 상온을 기준으로 한다.
4.
비함침성 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금속판, 구리선 등 기름을 흡수하지 않는 평면 또는 비평면형태의 변압기 내부부재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각각의 시험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상온에서 실시하고 조작 직후에 그 결과를 관찰한다. 단, 온도의 영향이 있는 것의 판정은 표준온도을 기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유기화합물에 대한 정성 및 정량분석에 이용한다.
2.
일정유량으로 유지되는 운반가스는 시료도입부로부터 분리관내를 흘러서 검출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3.
정성분석은 동일조건하에서 특정한 미지성분의 머무른값과 예측되는 물질의 피이크의 머무른값을 비교하여야 한다.
4.
분리관은 충전물질을 채운 내경 2~7mm의 시료에 대하여 활성금속, 유리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각 분석방법에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 분리관은 충전물질을 채운 내경 2~7mm의 시료에 대하여 불활성금속, 유리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각 분석방법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79.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의 흡수셀 중에서 자외부의 파장범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
1.
유리
2.
석영
3.
플라스틱
4.
광전판
정답 : [
2
] 정답률 : 81%
80.
시료 채취 시 시료용기에 기재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의 명칭
2.
폐기물의 성분
3.
채취 책임자 이름
4.
채취 시간 및 일기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료용기 기재사항(8가지): 폐기물의 명칭, 대상 폐기물의 양, 채취장소, 채취시간 및 일기, 시료번호, 채취책임자 이름, 시료의 양, 채취방법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1.
폐기물의 수집ㆍ운반, 재활용 또는 처분을 업으로 하려는 경우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때에도 폐기물처리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폐기물 수집ㆍ운반업의 경우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의 변경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영업구역(생활폐기물의 수집ㆍ운반업만 해당한다.)
2.
수집ㆍ운반 폐기물의 종류
3.
운반차량의 수 또는 종류
4.
폐기물 처분시설 설치 예정지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번은 폐기물 중간처분업, 최종처분업 및 종합처분업에 해당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2.
폐기물 처리시설의 종류 중 재활용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용해로(폐기물에서 비철금속을 추출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2.
소성(시멘트 소성로는 제외한다.)ㆍ탄화 시설
3.
골재세척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4.
의약품 제조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골재세척시설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종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오늘부터우리는]
83.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 검사 중 소각시설의 검사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38조(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 (1)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 10톤)미만인 시설 (2)고온소각시설·열분해시설·고온용융시설·열처리조합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kg 미만인 시설 (3)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증발·농축, 정제 또는 유수분리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25kg 미만인 시설 (4)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압축, 압출, 성형, 주조, 파쇄, 분쇄, 절단, 용융, 용해, 연료화, 소성 또는 탄화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5)기계적 처분·재활용시설 중 탈수·건조시설, 멸균분쇄시설 및 화학적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6)생물학적 처분·재활용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 또는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7)소각열회수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해설작성자 : k-곤죽]
85.
폐기물처리시설 중 화학적 처분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료화시설
2.
고형화시설
3.
응집ㆍ침전시설
4.
안정화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기계적처분 : 증발,농축시설,연료화시설 화학적 처분시설 : 고형화시설, 응집 침전시설 ,안정화시설 생물학적 처분시설 : 소멸화 시설 [해설작성자 : 알파고]
86.
환경상태의 조사ㆍ평가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 조사ㆍ평가하여야 하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의 질의 변화
2.
환경오염원 및 환경훼손 요인
3.
환경오염지역의 원상회복실태
4.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현황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 조사ㆍ평가하여야 하는 사항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현황 2.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 실태 3. 환경오염원 및 환경훼손 요인 4. 기후변화 등 환경의 질 변화 5. 그 밖에 국가환경종합계획등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87.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재활용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활용가능자원의 수집ㆍ운반ㆍ보관을 위하여 특별히 제조 또는 설치되어 사용되는 수집ㆍ운반 장비 또는 보관시설
2.
재활용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전처리 장치ㆍ장비ㆍ설비
3.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퇴비ㆍ사료를 제조하는 퇴비화ㆍ사료화 시설 및 에너지화 시설
4.
생활폐기물 중 혼합폐기물의 소각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66%
88.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가연성고형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활동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물질과 혼합하고 해당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 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2.
에너지 회수효율(회수에너지 총량을 투입 에너지 총량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이 75% 이상일 것
3.
회수열을 모두 열원, 전기 등의 형태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4.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의 30% 이상을 원료나 재료로 재활용하고 그 나머지 중에서 에너지의 회수에 이용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해당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89.
시ㆍ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명령을 명할 때 개선 등에 필요한 조치의 내용, 시설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하는 기간은? (단, 연장기간은 고려하지 않음)
1.
3개월
2.
6개월
3.
1년
4.
1년 6개월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44조(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기간): 개선명령의 경우 1년, 사용중지명령의 경우 6개월의 범위에서 각각 그 기간을 정해야 함 [해설작성자 : k-곤죽]
90.
폐기물 운반자는 배출자로부터 폐기물을 인수받은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에 입력하여야 하는가?
1.
1일
2.
2일
3.
3일
4.
5일
정답 : [
2
] 정답률 : 62%
91.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ㆍ관리에 관한 기술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자는?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연구원
3.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4.
지방환경관리청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한국환경공단은 만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겁니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92.
생활폐기물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관할구역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여야 한다.
2.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게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를 대행하게 할 수 있다.
3.
환경부장관은 지역별 수수료 차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수수료 기준을 권고할 수 있다.
4.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때에는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의 종류, 양 등에 따라 수수료를 징수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제14조(생활폐기물의 처리 등) 1.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은 관할 구역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여야 한다. 2.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게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를 대행하게 할 수 있다. 3.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은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때에는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의 종류, 양 등에 따라 수수료를 징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나대]
93.
폐기물처리업의 업종 구분과 영업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62%
94.
폐기물매립시설의 사후관리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자는? (단,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사후관리를 대행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자의 경우 제외)
1.
유역ㆍ지방 환경청
2.
국립환경과학원
3.
한국환경공단
4.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한국환경공단은 만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겁니다.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95.
폐기물관리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의료폐기물 : 보건ㆍ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ㆍ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어 인간에게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는 폐기물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2.
생활폐기물 :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3.
지정폐기물 :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ㆍ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4.
폐기물처리시설 : 폐기물의 중간처분시설, 최종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환경부령→대통령령 [해설작성자 : jen]
96.
최종처분시설 중 관리형 매립시설의 관리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에 옳은 내용은?
1.
㉠ 월 1회 이상, ㉡ 분기 1회 이상, ㉢ 1월말
2.
㉠ 월 1회 이상, ㉡ 반기 1회 이상, ㉢ 12월말
3.
㉠ 월 2회 이상, ㉡ 분기 1회 이상, ㉢ 1월말
4.
㉠ 월 3회 이상, ㉡ 반기 1회 이상, ㉢ 12월말
정답 : [
1
] 정답률 : 62%
97.
폐기물관리법에 적용되지 않는 물질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
2.
용기에 들어 있지 아니한 기체상태의 물질
3.
원자력법에 따른 방사성물질과 이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
4.
물환경보전법에 따를 오수ㆍ분뇨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분뇨 [해설작성자 : 오다비]
98.
위해의료폐기물의 종류 중 시험ㆍ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배양용기, 보관균주, 폐시험관, 슬라이드, 커버글라스, 폐배지, 폐장갑이 해당되는 폐기물 분류는?
1.
생물ㆍ화학폐기물
2.
손상성폐기물
3.
병리계폐기물
4.
조직물류 폐기물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의료 폐기물의 종류 1. 격리의료폐기물 "전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염병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격리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한 일체의 폐기물 2. 위래의료폐기물 2.1 조직물류폐기물 : 인체 또는 동물의 조직, 장기, 기관, 신체의 일부, 동물의 사체 혈액 고름 및 행액생성물(혈장, 혈청, 액제제) 2.2 병리계폐기물 : 시험 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배양용기, 보관균주 폐시험관, 슬라이드, 커버글라스, 폐배지, 폐장갑 2.3 손상성폐기물 : 주사발, 봉합바늘, 수술용 칼날, 한방침, 치과용침, 파손된 유리 재질의 시험기구 2.4 생물화학폐기물 : 폐백신, 폐항압제, 폐화학치료제 2.5 열액오염폐기물 : 폐앨액백, 혈약투석시 사용된 폐기물, 그 밖에 혈액이 유출될 정도로 포함되어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폐기물 3. 일반의료폐기물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주사기, 수액세트 [해설작성자 : 준법서약 ]
99.
생활폐기물배출자는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ㆍ군ㆍ구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생활폐기물을 종류별 성질ㆍ상태별로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 기준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1
] 정답률 : 66%
100.
폐기물처리시설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용융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 기계적 처분시설 - 중간처분시설
2.
사료화시설(건조에 의한 사료화시설은 제외) - 생물학적 처분시설 - 중간처분시설
3.
관리형매립시설(침출수처리시설, 가스 소각ㆍ발전ㆍ연료화 시설 등 부대시설을 포함한다.) - 매립시설 - 최종처분시설
4.
열분해시설(가스화시설을 포함한다.) - 소각시설 - 중간처분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생물학적 처분시설은 소멸화시설 [해설작성자 : ㅎ힣]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④
④
①
③
②
④
①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③
①
④
④
④
①
①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①
③
②
②
③
②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②
③
②
①
①
④
④
②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③
②
④
②
②
②
①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④
③
③
④
①
④
③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③
③
①
①
①
③
①
④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②
①
④
④
③
④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③
②
④
①
③
④
①
③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③
③
③
①
①
④
③
①
②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