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녹였더니 m 몰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를 2가로 하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1.
n/m
2.
2n/m
3.
n/2m
4.
2m/n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가 금속을 A라고 하면, A + 2HCl -> ACl2 + H2 몰수비 m m 질량 n 2m
n(몰수) = w(질량)/M(분자량) 에서
m= n/M , M=n/m [해설작성자 : 우짤이]
수소 발생 시 H2이므로 전자 2개 받음=금속 전자 2개 잃음 금속이 2가 이온이므로 수소 1몰당 금속 1몰 녹음 따라서 발생한 수소 M몰=금속 이온 M몰 N g을 M 몰로 나누면 몰수가 나옴 [해설작성자 : ㅇㅇ]
2.
질산나트륨의 물 100g에 대한 용해도는 80℃에서 148g, 20℃에서 88g이다. 80℃의 포화용액 100g을 70g으로 농축시켜서 20℃로 냉각시키면, 약 몇 g의 질산나트륨이 석출되는가?
1.
29.4
2.
40.3
3.
50.6
4.
59.7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물 100g이 포함된 80℃ 질산나트륨 포화용액은 248g 80℃ 포화용액 100g에 포함된 질산나트륨의 g수는 248g:148g=100g:x x=59.7g 이 때의 물은 40.3g 농축시켜 70g되었으므로 40.3g의 물은 10.3g이 됩니다. 물 10.3g에 대한 20℃ 용해도는 100g:88g=10.3g:y y=9.064g 석출되는 양은 59.7g-9.064g=50.6g [해설작성자 : 컨츄리냥]
원자 반지름이 커집니다. 그리고 질량및 전자수도증가합니다. 그러나 같은 주기에서는 반대로 되어 1족에서 17족까지는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 반지름이 차츰 작아집니다 [해설작성자 : code]
제1차 이온화에너지 족에서 내려갈수록 보통 낮아집니다. 답 3번 맞습니다.
1차 이온화 에너지는 최외곽 전자를 1개 떼어내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량 입니다. 주기율표상의 주기가 커지면 최외곽 전자껍질수가 증가하므로 가운데 원자에서 멀어져 전자를 떼어내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주기가 증가할수록 1차 이온화에너지값은 보통 감소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쉽게 설명해봄 원자는 핵+전자 라고 생각하시고, 이 전자는 핵이 잡아당기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전자가 핵에 가까울수록 전자를 떼어 내기가 어렵겠죠?? 반대로 상대적으로 멀리 있으면 전자를 떼어 내기가 쉽겠죠?? 이온화 에너지는 맨 마지막 껍질에 있는 전자 1개를 떼어낼때 필요한 에너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껍질이 많을수록 핵과 거리가 멀어져서 떼어내기가 쉽습니다 = 힘이 덜 필요하다 = 이온화 에너지가 작다 문제에서의 경향은 오름차순으로 K가 가장 높다고 돼있으니 보기 3번은 틀린것입니다.
원자는 핵이 전자를 잡아당기고 있다. 전자와 핵이 멀어질수록 상호작용이 약해진다. 핵은 +이고 전자는 -이다. [해설작성자 : CBT사랑해요]
<문제 해설> 열의 양도체는 주로 은,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들이다. 금속이 열을 잘 전달하는 이유는 금속을 이루는 원자들이 결정격자를 이루고 있어서 격자진동을 통해서 열이 전도될 뿐 아니라, 금속은 원자에 속박되지 않은 자유전자가 많아 전자의 이동으로 열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금속은 전기전도(electrical conduction)도 잘하는데 자유전자는 전하를 함께 운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좋은 열전도체인 은이나 구리가 좋은 전기전도체가 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de]
5.
어떤 원자핵에서 양성자의 수가 3이고, 중성자의 수가 2일 때 질량수는 얼마인가?
1.
1
2.
3
3.
5
4.
7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질량수 = 양성자 수 + 중성자 수
6.
상온에서 1L의 순수한 물에는 H+과 OH-가 각각 몇 g 존재하는가? (단, H의 원자량은 1.008×10-7g/mol이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008×10-7, 17.008×10-7
2.
1000×1/18, 1000×17/18
3.
18.016×10-7, 18.016×10-7
4.
1.008×10-14, 17.008×10-14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물은 H20 = H + OH
H+는 약 1g => 1 * 10^-7 OH-는 약 1g+16g => 17 * 10^-7 [해설작성자 : ㅇㅇ]
순수한 물의 pH 는 이론상 7 pH7은 -log[H+]= 7 [H+] = 10^-7 1L 의 물속에 H+는 10^-7mol개 있음 H+의 원자량은 1.008g/mol 1.008g/mol*10^-7mol [해설작성자 : dddd]
문제에 주어진 상온의 온도를 알수없가 때문에 출제오류로 풀수없다. 확정답앙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됨 상온의 온도가 4도일때 물의 밀도는 1L=1kg으로 가정하고 풀수있다.
[오류신고 반론] 에틸렌은 H H 1 1 C =C 1 1 H H 이므로 기하이성질체가 아닙니다 성안당 교재가 틀린겁니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다리우스]
[오류신고 반론] 정답인 3번 디클로로에텐은 Cl과 H의 위치에 따라 2종류의 기하이성질체를 가집니다.
cis-1,2-dichloroethene과 trans-1,2-dichloroethene의 2가지를 가집니다. cis형은 Cl이 모두 같은방향에 위치하고 trans형은 Cl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합니다. cis형은 극성분자이고 trans형은 비극성분자입니다. 관련 분자의 구조를 구글검색으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문항은 오류가 없고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2024 에듀윌 위험물산업기사 기출문제편 180페이지)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11.
메탄에 염소를 작용시켜 클로로포름을 만드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화반응
2.
부가반응
3.
치환반응
4.
환원반응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클로로포름은 염소 기체와 메탄이나 염화메틸의 혼합물에 열을 가해 만들어진다. 400-500 °C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CH4 + Cl2 → CH3Cl + HClCH3Cl + Cl2 → CH2Cl2 + HClCH2Cl2 + Cl2 → CHCl3 + HCl 클로로포름이 다음 과정을 거치면 CCl4가 된다 CHCl3 + Cl2 → CCl4 + HCl 이 과정에서는 모두 클로로 메탄(염화메틸), 염화에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가 만들어지고 이 화합물들은 증류로 분리된다 [해설작성자 : 배가무개]
12.
제3주기에서 음이온이 되기 쉬운 경향성은? (단, 0족(18족)기체는 제외한다.)
1.
금속성이 큰 것
2.
원자의 반지름이 큰 것
3.
최외각 전자수가 많은 것
4.
염기성 산화물을 만들기 쉬운 것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온화에너지란 이온을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 즉 이온화 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이온화 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음이온이 되는 것은 전자를 받아야 한다. 전자를 받으려면 기존 전자들을 잃지 않아야 하므로 이온화 에너지가 커야 전자를 잃지 않고 받을 수 있다.
참고 같은 주기에서는, 핵전하가 감소할수록(←), 같은 족에서는, 껍질이 증가할수록(↓), 최외각 전자를 붙잡아 두기가 쉽지 않다. → 큰 힘(에너지) 쓰지 않고도 전자를 떼어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배가무게]
음이온이 되기 쉽다 = 전자친화도가 크다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최외각 전자수가 많아짐에 따라) 전자친화도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3주기에서 대표적으로 Na와 Cl을 봤을때 Na는 최외각 껍질에 전자가 2개가 들어갈 수 있는데 1개가 들어가 있고, Cl은 최외각 껍질에 전자가 6개 들어갈 수 있는데 5개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 말은 최외각 껍질에 전자가 덜 채워져 있어서 불안정 하다는 뜻이고,
Na는 전자를 떼어내서 안정해지고 싶고 (양이온) Cl은 전자를 받아서 안정해지고 싶은겁니다.(음이온) 즉 음이온이 되기 쉬운 경향성이란 음이온이 되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면 될 것 같고요. 그렇다면 최외각 껍질에 전자가 많은데 껍질을 모두 채우기에는 부족하다면 전자를 받아서 음이온 상태로 존재하는게 유리하니까 정답이 3번이 되는겁니다. [해설작성자 : CBT사랑해요]
[오류신고 반론] oct rule : 최외각 껍질엔 8개의 전자가 채워지는것이 제일 안정하다 라는게 있죠 이걸 생각하면 최외곽 전자수가 많은 것은 주로 6~7족이며 8족에 제일 가까우니 빨리 전자를 받는 음이온이 되어 안정되야지 라고 생각하면 답은 3번이 됩니다. 1~2족은 전자 한두개 가지고 있는것보다 빨리 전자를 버리고 18족이랑 같은 껍질과 전자 수를 가질꺼야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같은 주기에서는 전자친화도, 이온화에너지 보단 oct rule로 전자를 버리거나 얻거나 해서 어떤 경우가 더 쉽게 18족에 가까워 질까를 따져보는게 더 낫습니다. 같은 족이라면 원자반지름에 따라 이온화에너지나, 전자친화도를 생각해서 접근해야 하는거구요. [해설작성자 : 문어의발은 8개]
13.
황산구리(Ⅱ) 수용액을 전기분해할 때 63.5g의 구리를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은 몇 F인가? (단, Cu의 원자량은 63.5이다.)
1.
0.635F
2.
1F
3.
2F
4.
63.5F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구리가 석출되는 환원-반쪽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u^2+ + 2e- -> Cu 입니다. 즉, 구리 1몰을 석출시키는데 전자가 2몰이 필요합니다. 구리의 원자량은 63.5이므로, 63.5g의 구리는 구리 1몰입니다. 따라서 전자는 2몰이 필요하고, 전자 1몰의 전하량을 1F이라고 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기량은 2F 입니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1F : (63.5/2) = xF : 63.5 x=2F [해설작성자 : 배가무개]
(II)이므로 ×2를 해준다. 질량÷분자량×원자가(II) 63.5÷63.5×2 [해설작성자 : 화학은잘모르겠고답만내면돼]
14.
수성가스(water gas)의 주성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CO2, CH4
2.
CO, H2
3.
CO2, H2, O2
4.
H2, H2O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성가스의 성분비는 수소 49%, 일산화탄소 42%, 이산화탄소 4%, 질소 4.5%, 메탄 0.5%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비트박]
15.
다음은 열역학 제 몇 법칙에 대한 내용인가?
1.
열역학 제 0 법칙
2.
열역학 제 1 법칙
3.
열역학 제 2 법칙
4.
열역학 제 3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열역학 제 0 법칙 : A와 B가 열평형, B와 C가 열평형일때, A와 C도 열평형 상태 2. 열역학 제 1 법칙 : 고립계의 에너지 총합은 일정하다 3. 열역학 제 2 법칙 : 고립계의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 4. 열역학 제 3 법칙 : 절대 영도에서 엔트로피는 0에 수렴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16.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전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볼타전지
2.
다이엘전지
3.
건전지
4.
납축전지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황산을 전해액으로 하고, 아연을 음극으로 구리를 양극으로 하는 전지를 볼타전지라고 한다.
17.
20℃에서 NaCl 포화용액을 잘 설명한 것은? (단, 20℃에서 NaCl의 용해도는 36이다.)
1.
용액 100g 중에 NaCl이 36g 녹아 있을 때
2.
용액 100g 중에 NaCl이 136g 녹아 있을 때
3.
용액 136g 중에 NaCl이 36g 녹아 있을 때
4.
용액 136g 중에 NaCl이 136g 녹아 있을 때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용해도는 용질/용매인것을 잊지 맙시다! [해설작성자 : 문경의 박태호]
18.
다음 중 KMnO4의 Mn의 산화수는?
1.
+1
2.
+3
3.
+5
4.
+7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K +1가 0 -2가 이다. O2 = -8 이기 때문에 +1+MN+(-8)=0 Mn = +7 [해설작성자 : 뱁새]
19.
다음 중 배수비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것은?
1.
H2O와 H2O2
2.
So2와 SO3
3.
N2O와 NO
4.
O2와 O3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배수 비례 법칙 : 두 원소가 여러 가지 화합물을 만들 때, 일정 질량을 가지는 한 원소와 결합하는 다른 원소의 질량들은 항상 간단한 정수비를 가진다는 법칙
1,2,3번 모두 두가지의 원소의 결합이지만, 4번은 산소 원소 하나만 이루어짐 [해설작성자 : DoubleM2]
4번 보기는 한 종류의 원자로 구성된 결합방식이 다른 서로 다른 물질로, 동소체이다 [해설작성자 : tunny ]
소화전 노즐에서의 압력 350 kPa 이어야 하고 펌프는 배관 등에서의 압력 손실, 높이 차에 따른 static pressure를 감안하여 pumping 해주어야 한다. 이를 head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 즉 pump 필요 head = 노즐에서의 압력 350 kPa(35meter) + 배관 등에서의 압력 손실(6+1.7meter) + 물을 필요한 높이까지 올리는 압력(32meter) [해설작성자 : 화공공정엔지니어]
[추가 오류 신고] 큰 화재로 번지면 모래의미 없으니 의미 없는 짓을 적응성이 없다고 하는게 맞겠죠?? 덤프트럭 가져와서 모래 부어버리면 모래로 끌 수는 있겠어요! [해설작성자 : 이해하면 더 잘 보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적응성은 개별적인 -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게 아니라 법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건조사, 팽창질석, 진주암은 1류부터 6류까지 모든 위험물에 적응 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고 일반 건축물과 전기화재(C급)에서는 적용성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은 답변 달기 전에 검색해보고 확실한 경우에만 답변 달아주셔야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모르면 검색해보고 오류신고는 신중하게]
<문제 해설> 1.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고인화점 위험물만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을 제외한다.) - 자동 화재 탐지설비 2. 옥내 주유 취급소 -자동 화재 탐지설비 3. 연면적 500m^2 이상인 것- 자동 화재 탐지설비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 및 일반 취급소(고인화점 위험물만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취급하는 것을 제외한다.) -자동화재 탐지설비 4. 옥내 탱크 저장소에 자동 화재 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단층 건물 외의 건축물에 설치된 옥내 탱크 저장소로서 소화난이도 등급 Ⅰ에 해당하는 것
정답:4
3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기준에 대해 다음 ()에 알맞은 수치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 350, ⓑ 260
2.
ⓐ 450, ⓑ 260
3.
ⓐ 350, ⓑ 450
4.
ⓐ 450, ⓑ 450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옥내소화전설비 노즐선단 방수압력 350kpa 이상, 방수량 1분당 260L 이상 옥외소화전설비 노즐선단 방수압력 350kpa 이상, 방수량 1분당 450L 이상 [해설작성자 : 수린파파]
40.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제조소에 표시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은?
1.
화기엄금
2.
물기엄금
3.
화기주의
4.
물기주의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무기(알칼리금속)과산화물은 금수성 물질로 물에 의한 소화는 절대 금지하고 마른 모래로 소화한다. [해설작성자 : 뱁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