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777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공기조화


1. 다음 중 전공기 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송풍량이 충분하므로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다.
     2. 리턴홴을 설치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3. 실내에는 취출구와 흡입구를 설치하면 되고 홴코일 유닛과 같은 기구가 노출되지 않는다.
     4. 큰 부하의 실에 대해서도 덕트가 작게 되고 스페이스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88%

2. 다음 공식 중 관내 마찰손실 수두를 구하는 식은? (단, d : 관의 안지름, ℓ : 관의 길이, g : 중력가속도 V : 유속, f : 마찰계수, r : 물의 비중량)(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3. 대기의 절대습도가 일정할 때 하루 동안의 상대습도 변화를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2013년 08월)
     1. 절대습도가 일정하므로 상대습도의 변화는 없다.
     2. 낮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지고 밤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진다.
     3. 낮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지고 밤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진다.
     4. 낮에는 상대습도가 정해지면 하루종일 그 상태로 일정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 벽의 두께 ℓ = 100[mm]인 물질의 양표면 온도가 각각 t1 =320℃, t2 = 40℃일 때 이벽의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방열량과 벽의 중심에서의 온도는? (단, 벽의 열전도율은 λ = 0.05[kcal/m h℃]이다.)(2002년 03월)
     1. 121 kcal/m2h , 180℃
     2. 121 kcal/m2h , 165℃
     3. 140 kcal/m2h , 165℃
     4. 140 kcal/m2h , 180℃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20-40)                                                (320-X)                 (X-40)
--------     = 140kcal/m2h     ,     ---------     =    ---------    X=180℃
    0.1                                                         0.1                        0.1
-----                                                     -----                    -----
    0.05                                                        0.05                     0.05
[해설작성자 : 갱류이]

5. 실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계획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완전히 희석하고 확산시킨 다음에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은?(2017년 05월)
     1. 자연 환기
     2. 제3종 환기
     3. 국부 환기
     4. 전반 환기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국부환기 : 주방이나 공장등의 오염원 근처에 후드를 설치하여 주위로 확산된기 잔에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반환기:실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계획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희석하고 확산시킨 다음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
[해설작성자 : 12]

6. 일반적인 취출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라이트-트로퍼(light-troffer)형
     2. 아네모스탯(annemostat)형
     3. 머쉬룸(mushroom)형
     4. 웨이(way)형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머쉬룸형은 흡입구의 종류
[해설작성자 : 김옥디]

7. 다음 그림은 냉방시의 공기조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림과 같은 조건일 경우 냉각코일의 바이패스 팩터 (Bypass Factor)는 얼마인가? (단, ①실내공기의 상태점, ②외기의 상태점, ③혼합공기의 상태점 ④취출공기의 상태점, ⑤코일의 장치노점온도)(2002년 03월)

   

     1. 0.15
     2. 0.20
     3. 0.25
     4. 0.3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6-13
----- = 0.2
28-13
[해설작성자 : 박종환]

8. 다음중 VAV 시스템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에너지 손실이 크다.
     2. 저부하시에는 환기의 효율이 나쁘다.
     3. 혼합상자(Mixing box)를 설치해야 하며, 여기서 혼합손실이 발생한다.
     4.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행하기에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3, 4번은 2중덕트 방식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9. 보일러 1마력의 상당 증발량은 몇 kg/h 인가?(2007년 05월)
     1. 12.65
     2. 13.25
     3. 15.65
     4. 17.2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8435/539 = 15.64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증기를 사용하는 주철제 방열기의 표준방열량은?(2008년 07월)
     1. 450 kcal/m2ㆍh
     2. 550 kcal/m2ㆍh
     3. 650 kcal/m2ㆍh
     4. 750 kcal/m2ㆍh

     정답 : []
     정답률 : 80%

11. 덕트 설계시 주의할 사항 중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곡부분(曲部分)은 될 수 있는 대로 곡률 반경을 크게 한다.
     2. 확대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45° 이상으로 한다.
     3. 축소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60° 이내로 한다.
     4. 덕트 단면의 아스펙트 비는 가능한 한 6보다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번 : 정답
2번 : 확대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20º 이내로 한다
3번 : 축소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45º 이내로 한다
4번 : 덕트 단면의 아스펙트 비는 가능한 한 6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오다미스]

12. 저속덕트와 고속덕트의 분류기준이 되는 풍속은?(2019년 04월)
     1. 10 m/s
     2. 15 m/s
     3. 20 m/s
     4. 30 m/s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저속덕트는 주덕트 속의 풍속이 15m/s 이하이며 정압 50mmAq 미만 인것을,
고속덕트는 풍속이 15m/s 이상,정압 50mmAq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흥고]

13. 난방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온수난방은 온수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한 것이다.
     2. 온풍난방은 온풍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한 것이다.
     3. 증기난방은 증기의 현열을 이용한 대류 난방이다.
     4. 복사난방은 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를 이용한 것 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증기난방
1)장점
- 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 예열시간이 짧고 증기순환이 빠르다.
-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작게 할 수 있다.
- 설비비가 저렴하다
2)단점
- 쾌감도가 낮다.
-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라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2.온수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증기난방에 비하여 쾌감도가 높다.
- 방열기 표면온도가 낮다.
- 난방을 정지하여도 난방효과가 지속된다.
-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다.
2)단점
- 예열시간이 길고,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면적과 배관의 관경이 커야 한다.
- 설비비가 비씨며, 한랭시 난방을 정지하였을 때 동결 우려가 있다.

3.복사난방(온수온돌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실내 수직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으며, 방을 개방상태로 하여도 난방효과가 높다.
-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천장이 높은 방 및 로비 등에 적합하며, 방열기가 설치되지 않아 실내유효 면적이 증가한다.
2)단점
- 방열량의 조절이 어렵고, 긴 예열시간이 필요하다.
- 시공이 어렵고 수리비, 설비비가 많이 든다.

4.온풍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열용량이 작고 예열시간이 짧으며, 설비비가 저렴하고 연료비가 적게 든다.        
2)단점
- 소음이 크며, 쾌감도가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차하랑]

14. 다음 중 냉방부하에서 현열만이 취득되는 것은?(2017년 05월)
     1. 재열 부하
     2. 인체 부하
     3. 외기 부하
     4. 극간풍 부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체, 외기, 극간풍 모두 잠열 이며 재열부하는 현열이다
[해설작성자 : 안]

인체, 외기, 극간풍 부하 : 현열 + 잠열
재열 부하 : 현열
[해설작성자 : 코로네로]

15. 다음의 냉방부하 중에서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2007년 05월)
     1.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2. 송풍기로부터의 취득열량
     3. 재열기의 취득열량
     4.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번= 현열(복사열)
2번= 현열
3번= 현열
4번= 현열/잠열
(상대습도 가 높은 여름철엔 극간풍을 통해 실내로 들어온 공기는 수분을 머금고 있는 습공기와 건공기 이므로 '현열'과'잠열'이다)
[해설작성자 : 냉동가즈아~]

16. 다음 중 표면 결로발생 방지조건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실내측에 방습막을 부착한다.
     2. 다습한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다.
     3. 실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량을 억제한다.
     4. 공기와의 접촉면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
[해설작성자 : 궁시렁씨부렁몰러]

17. 다음은 고온수 난방의 배관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고온수로 실내에 직접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대량의 열량공급은 용이하지만 배관의 지름은 저온수 난방보다 크게 된다.
     3. 관내 압력이 높기 때문에 관내면의 부식문제가 증기 난방에 비해 심하다.
     4. 고압증기 난방에 비해 구배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번 고온수를 직접 공급하지 않고 중온수와 열교환 후 실내로 공급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18. 흡수식 냉동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
     2.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3. 직화식 냉온수기
     4. 증기압축식 냉온수기

     정답 : []
     정답률 : 54%

19. 다음은 냉각코일에 관한 설명이다. 맞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휜(fin)이 수평으로 설치되면 표면에 있는 수막이 흐르기 힘들고 열전달 효율이 낮아지므로 수직으로 설치한다.
     2. 코일내의 유속은 0.3∼0.4m/s일 때가 효율이 좋고, 공기와 냉수의 입구 및 출구방향이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3. 입구수온은 6℃전후가 적당하며, 출구와의 온도차는 5∼10℃ 정도가 좋다.
     4. 코일의 정면풍속은 2∼3m/s 정도가 좋으며, 3m/s 이상에서는 코일 직후에 엘리미네이터(eliminator)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20. 실내 온도분포가 균일하여 쾌감도가 좋으며 화상의 염려가 없고 방을 개방하여도 난방효과가 있는 난방방식은?(2017년 03월)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복사난방
     4. 대류난방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복사난방
건물의 바닥,천장,벽 등에 파이프 코일을 매설 하고 열원에 의해 패널을 직접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방식으로
방의 상하온도차가 적어 높이에 따른 실내온도의 분포가 균일하여 쾌감도가 좋으며 방을 개방상태로 하여도 난방의
효과가 있지만 설비비가 고가이고 매립배관이므로 시공이 어려우며,고장 시 발견이 어렵고 수리가 곤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냉동공학


21. 암모니아 냉동 장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압축비가 증가하면 체적 효율도 증가한다.
     2. 표준 냉동 사이클로 운전할 경우 R-12에 비해 토출가스의 온도가 낮다.
     3. 기밀 시험에 산소가스를 이용하는 것은 폭발의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4. 증발압력 조정밸브를 설치하는 것은 냉매의 증발 압력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다.

     정답 : []
     정답률 : 64%

22. 유량 100L/min의 물을 15℃에서 9℃로 냉각하는 수냉각기가 있다. 이 냉동장치의 냉동효과가 40kcal/kg일 때 필요냉매 순환량은 몇 kg/h인가?(2011년 03월)
     1. 700kg/h
     2. 800kg/h
     3. 900kg/h
     4. 1000kg/h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순환량 = 유량*시간*(물온도차)/냉동효과
            = 100*60*(15-9)/40
[해설작성자 : 팔봉K]

23. 다음은 프레온 장치에서 유분리기를 사용해야 될 경우의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만액식 증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2. 다량의 기름이 토출가스에 혼입될 때 사용한다.
     3. 증발온도가 높은 경우에 사용한다.
     4. 토출가스 배관이 길어지는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24. 응축온도는 일정한데 증발온도가 저하되었을 때 감소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압축비
     2. 냉동능력
     3. 성적계수
     4. 냉동효과

     정답 : []
     정답률 : 79%

25. 분자량이 44인 기체의 정압비열Cp = 0.1943㎉/㎏?k이다. 이 기체의 정적비열Cv는 몇 ㎉/㎏?K인가? (단, 일반가스 정수 R는 848㎏?m/k㏖?k로 한다.)(2002년 03월)
     1. 0.0272
     2. 0.1492
     3. 0.4567
     4. 0.3311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Cp= Cv+44/848
[해설작성자 : 경기과기대 공조냉동재학생]

26. 냉매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증발 잠열이 클 것
     2. 응고점이 낮을 것
     3. 전기 저항이 클 것
     4. 증기의 비열비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비열비 값이 높을 경우 토출가스 온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라크웰]

27. 냉동장치의 저압차단 스위치(LP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유압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2. 토출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3. 장치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을 저하시켜 장치를 보호한다.
     4. 흡입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저압차단스위치[LPS] : 흡입압력[저압]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전기적 접점이 떨어져 압축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압축기를 정지 시킨다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28. 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2011년 03월)
     1. 응고점이 낮을 것
     2. 증발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3. R-21는 화학식으로 CHCl2F이고, CClF2 - CClF2는 R-113이다.
     4. R-500는 R-12와 R-152를 합한 공비 혼합냉매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9. 다음 h -x (엔탈피-농도) 선도에서 흡수식 냉동기 사이클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71%

30. 평판을 통해서 표면으로 확산에 의해서 전달되는 열유속(heat flux)이 0.4 kW/m2 이다. 이 표면과 20℃ 공기흐름가의 대류전열계수가 0.01 kW/m2·℃ 인 경우 평판의 표면온도(℃)는?(2019년 04월)
     1. 45
     2. 50
     3. 55
     4. 6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Q=KFdT=KF(T1-T2)
T1=Q/(KF) +T2 = 0.4/(0.01*1) +20=60

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m^2로 본다
[해설작성자 : 양갱]

열유속 = 대류전열계수 (표면온도 - 공기온도)
즉, 표면온도 = 공기온도 + (열유속 / 대류전열계수) 이므로 20 + (0.4/0.01) = 60
[해설작성자 : 계산문제패스]

31.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공조용 냉동기에 사용되는 터보식 냉동기의 냉동부하 변화에 따른 용량제어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압축기 회전식 가감법
     2. 흡입 가이드 베인 조절법
     3. 클리어런스 증대법
     4. 흡입 댐퍼 조절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량제어의방법
왕복동 압축기 : 회전수가감법,클리어런스 증대법 , 바이패스법 , 언로드방식
터보(원심식)압축기 : 회전수가감법 , 바이패스법 , 흡입 가이드베인 조절법 , 흡입 댐퍼 조절법 , 냉각수량 조절법
[해설작성자 : ㄴㄹㅇ]

32. 압축내동 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고 있는 과정은 다음중 어느 과정인가?(2005년 08월)
     1. 증발과정
     2. 압축과정
     3. 응축과정
     4. 팽창과정

     정답 : []
     정답률 : 68%

33. 다음 압축기 중 그 원리가 다른 것은?(2008년 05월)
     1. 왕복동식 압축기
     2. 스크루식 압축기
     3. 스크롤식 압축기
     4. 원심식 압축기

     정답 : []
     정답률 : 68%

34. 냉동사이클 중 P-h 선도(압력-엔탈피 선도)로 계산 할 수 없는 것은?(2016년 03월)
     1. 냉동능력
     2. 성적계수
     3. 냉매순환량
     4. 마찰계수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P-H[모리엘] 선도를 작성하면 냉동능력, 성적계수, 냉매순환량, 압축기 소요동력, 응축기 방열량
압축비, 건조도, 플래시가스 발생량을 계산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35. 두께 3cm인 석면판의 한 쪽면의 온도는 400℃, 다른 쪽 면의 온도는 100℃일 때, 이 판을 통해 일어나는 열전달량(W/m2)은? (단, 석면의 열전도율은 0.095W/mㆍ℃이다.)(2020년 06월)
     1. 0.95
     2. 95
     3. 950
     4. 95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Q=K*F*dt/두께
전열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m^2로 가정
0.095*1*(400-100)/0.03
[해설작성자 : 헤린쓰]

36. 브라인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비열이 크고 동결온도가 낮을 것
     2. 불연성이며 불활성일 것
     3. 열전도율이 클 것
     4. 점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점성이 과대하거나 과소할 경우 냉동능력이 저하 될 수 있음,점성은 적당한게 가장 좋음
[해설작성자 : 2seomamam]

37. 증발온도 –15℃, 응축온도 30℃인 이상적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는?(2019년 08월)
     1. 5.73
     2. 6.41
     3. 6.73
     4. 7.3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성적계수 = 증발온도/응축온도-증발온도 (온도는 절대온도로 변환) = 냉동능력(kcal)/압축기 소요동력
증발온도 -15도 -> 절대온도 273-15=258K
응축온도 30도 -> 절대온도 273+30=303K
성적계수 = 258/303-258 = 약 5.73
[해설작성자 : 닭꼬치]

증발온도에서 절대온도 값 : (-15+273)=258 절대 온도를 더해 준다고 생각하고 풀이하세요
(-15+273)/(30+273)-(-15+273)
[해설작성자 : 도일동]

위에 있는 계산식 적용하기가 어렵네요^^ 이 계산식으로 해보세요

COP=TL/TH-TL

TL=273-15=258
TH=273+30=303

258/(303-258)=5.74
TH-TL계산은 괄호가 중요합니다.

TL/(TH-TL)
258/(303-258)

38. 다음 그림은 어떤 사이클인가? (단, P=압력, h=엔탈피, T=온도, S=엔트로피 이다.)(2014년 08월)

    

     1. 2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
     2. 2단압축 2단팽창 사이클
     3. 1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
     4. 1단압축 2단팽창 사이클

     정답 : []
     정답률 : 87%

39. 간접 냉각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2차 냉매인 브라인이 갖추어야 할 성질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열전달 특성이 좋아야 한다.
     2.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3. 비등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아야 한다.
     4. 점성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0. 계가 외부로 부터 에너지 공급없이 그 자체의 내부에너지를 소모하여 외부에 대하여 2135 ㎏· m의 일을 하였다면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얼마인가?(2004년 05월)
     1. 1㎉
     2. 5㎉
     3. 15㎉
     4. 25㎉

     정답 : []
     정답률 : 47%

3과목 : 배관일반


41.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을 하는데 다음중 연단에 아마유를 배합한 것으로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도료의 막이 굳어서 풍화에 대해 강하고 다른 착색 도료의 초벽으로 우수한 도료는?(2002년 03월)
     1. 알루미늄 도료
     2. 광명단 도료
     3. 합성수지 도료
     4. 산화철 도료

     정답 : []
     정답률 : 66%

42. 350℃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관으로 압력10-100Kg/cm2범위에 있는 보일러 증기관, 수압관,유압관 등의 압력배관에 사용되는 배관은?(2002년 09월)
     1. 배관용 탄소강 강관
     2. 압력배관용 탄소강 강관
     3. 고압배관용 탄소강 강관
     4. 고온배관용 탄소강 강관

     정답 : []
     정답률 : 59%

43.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의 실내 침입을 방지 하기 위해 배수트랩을 설치한다. 배수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드럼 트랩
     2. 디스크 트랩
     3. 하우스 트랩
     4. 벨 트랩

     정답 : []
     정답률 : 67%

44. 냉온수 배관을 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열에 의한 온수의 체적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신축이음을 한다.
     2. 기기와 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자주 교체한다.
     3. 열에 의한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팽창관을 설치한다.
     4. 공기체류장소에는 공기빼기밸브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신축이음이 아닌 팽창관
2    자주교체하면 부식 발생
3. 팽창관이 아닌 신축이음
4. 정답.
[해설작성자 : 계산문제패스]

45. 대구경 강관의 보수 및 점검을 위해 자주 분해,결합,진동을 흡수하며 기기 설치부에 사용되는 연결방법은?(2002년 03월)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슬리이브접합

     정답 : []
     정답률 : 67%

46. 동기설비의 통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루프 통기 방식
     2. 각개 통기 방식
     3. 신정 통기 방식
     4. 결합 통기 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통기방식 : 루프(회로), 각개, 신정, 특수이음 배수시스템, 그 외의 보조적 통기방식 방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백마]

47.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단일 덕트 방식은 공기식이다.
     2. 유인 유닛방식은 공기, 수식이다.
     3. 팬코일 유닛방식은 공기식이다.
     4.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냉매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8. 고가 탱크식 급수설비에서 급수경로를 바르게 나타 낸 것은?(2015년 05월)
     1. 수도본관 → 저수조 → 옥상탱크 → 양수관 → 급수관
     2. 수도본관 → 저수조 → 양수관 → 옥상탱크 → 급수관
     3. 저수조 → 옥상탱크 → 수도본관 → 양수관 → 급수관
     4. 저수조 → 옥상탱크 → 양수관 → 수도본관 → 급수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도본관-저수조-양수펌프-양수관-옥상탱크-급수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도시가스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중압 이상인 배관(a)과 지상에 설치하는 배관(b)의 표면 색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a)적색 (b)회색
     2. (a)백색 (b)적색
     3. (a)적색 (b)황색
     4. (a)백색 (b)황색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도시가스배관 표면 색상
-지하배관 : 적색(중압), 황색(저압)
-지상배관 : 황색
[해설작성자 : 씁다]

50. 냉매액관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긴 입상 액관의 경우 압력의 감소가 크므로 충분한 과냉각이 필요하다.
     2. 배관 도중에 다른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지 않도록 한다.
     3. 액관 배관은 가능한 한 길게 한다.
     4. 액 냉매가 관 내에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냉매액관은 응축기에서 증발기까지의 구간을 말하며 냉매액관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 하고 입상관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증발기가 응축기보다 아래에 있는 액관의 경우에는 2m 이상의 역루프 배관을 해준다. 그 이유는?(2003년 03월)
     1. 압축기 가동ㆍ정지시 냉매액이 증발기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2. 압력강하를 크게 줄이기 위해서이다.
     3. 신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4. 전자밸브 설치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52. 중앙식 급탕방식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기구의 동시 이용률을 거려하여 가열장치의 총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2. 기계실 등에 다른 설비 기계와 함께 가열장치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다.
     3. 배관에 의해 필요 개소에 어디든지 급탕할 수 있다.
     4. 설비 규모가 작기 때문에 초기 설비비가 적게 든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중앙식은 초기 설비비가 많이 들지만 관리가 용이하고 후에 증설비용이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53. 다음에 그려진 온수난방 방식을 귀환관의 배관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어떤 방식인가?(2004년 05월)

    

     1. 직접 귀환방식
     2. 역 귀환방식
     3. 간접 귀환방식
     4. 진공 귀환방식

     정답 : []
     정답률 : 64%

54. 다음 그림 기호가 나타내는 밸브는?(2018년 04월)

    

     1. 증발압력 조정밸브
     2. 유압 조정밸브
     3. 용량 조정밸브
     4. 흡입압력 조정밸브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OPR 영어 철자로 예상 가능
유압 조정밸브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춘천 폴리텍 4층]

55. 급탕배관 계통에서 배관 중 총 손실열량이 15000kcal/h이고, 급탕온도가 70℃, 환수온도가 60℃일 때, 순환수량은?(2014년 08월)
     1. 약 1000kg/min
     2. 약 50kg/min
     3. 약 100kg/min
     4. 약 25kg/min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5000/60)/(70-60)=25

56. 공기 여과기의 분진포집 원리에 의해 분류한 집진형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정전식
     2. 여과식
     3. 가스식
     4. 충돌점착식

     정답 : []
     정답률 : 71%

57. 배관된 관의 수리, 교체에 편리한 이음방법은?(2007년 03월)
     1. 용접이음
     2. 신축이음
     3. 플랜지이음
     4. 스위블이음

     정답 : []
     정답률 : 79%

58. 공기조화설비에서 덕트 주요 요소인 가이드 베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소형 덕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2. 대형 덕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3. 덕트 분기 부분의 풍량 조절을 한다.
     4. 덕트 밴드부에서 기류를 안정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8%

59. 증기배관에서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방향이 동일할 때 증기관의 구배는? (단,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다.)(2018년 03월)
     1. 1/50이상의 순구배
     2. 1/50이상의 역구배
     3. 1/250이상의 순구배
     4. 1/250이상의 역구배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는 반드시 선하향으로 순구배가 되도록 하고 그 구배는 1/250 이상이 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과천사람]

1. 흐름 방향이 동일한 순구배의 경우 => 1/100~1/200 또는 1/150~1/25
2. 흐름 방향이 다른 역구배의 경우 => 1/50~1/100
[해설작성자 : 도일동]

60. 도시가스 공급시설의 기밀시험 및 내압시험압력은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인가?(2012년 08월)
     1. 1.5배 , 1.1배
     2. 1.1배, 2배
     3. 2배, 1.1배
     4. 1.1배, 1.5배

     정답 : []
     정답률 : 60%

61. 다음 내용의 ( )아네 차례로 들어갈 알맞은 내용은?(2011년 03월)

    

     1. 진하, 낮아, +
     2. 진하, 높아, -
     3. 연하, 낮아, -
     4. 연하, 높아, +

     정답 : []
     정답률 : 66%

62. 자동연소 제어에서 연료의 유량과 공기의 유량 관계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은?(2019년 08월)
     1. 비율제어
     2. 시퀀스제어
     3. 프로세스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보일러나 내연기관(자동차)...등의 연소실 내에 연료와 공기 비율은 일정한 비율관계가 유지되면서 변화를
제어해야 한다.

6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I1및 I2는 몇 [A] 인가?(2008년 03월)

    

     1. I1=8A, I2=4A
     2. I1=4A, I2=8A
     3. I1=7A, I2=5A
     4. I1=5A, I2=7A

     정답 : []
     정답률 : 52%

64. 출력이 입력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는 제어는?(2003년 03월)
     1. 프로그램제어
     2. 피드백제어
     3. 시퀀스제어
     4. 폐회로제어

     정답 : []
     정답률 : 57%

65. R-L-C 직렬회로에 t=0에서 교류전압 u=Emsin(ωt+θ)[V]를 가할 때 이 회로의 응답유형은? (단, 이다.)(2020년 06월)
     1. 완전진동
     2. 비진동
     3. 임계진동
     4. 감쇠진동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보다 클때 과제동, 비진동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이랑 같을때 임계제동, 임계진동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보다 작을때 부족제동, 감쇠제동
[해설작성자 : 양갱]

66. 그림과 같이 실린더의 한쪽으로 단위시간에 유입하는 유체의 유량을 x(t)라 하고 피스톤의 움직임을 y(t)로 한다. t시간이 경과한 후의 전달함수를 구해보면 어떤 요소가 되는가?(2008년 03월)

    

     1. 비례요소
     2. 미분요소
     3. 적분요소
     4. 미적분요소

     정답 : []
     정답률 : 55%

67. 바리스터(Varistor)란?(2009년 05월)
     1.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2단자 반도체
     2.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3단자 반도체
     3.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4단자 반도체
     4.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리액턴스 소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68. 피드백 제어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정확성이 떨어진다.
     2. 감대폭이 감소한다.
     3. 계의 특성 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4. 발진이 전혀 없고 항상 안정한 상태로 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69. 전력(electric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이다.
     2.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이다.
     3.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류에 반비례한다.
     4.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력 p = E × I =E제곱/R =I제곱R[W]
[해설작성자 : 갈라고하는데]

전력 P = IV = I2R = V2/R[W]
전력은 전류[I]의 제곱에 저항[R]을 곱한값
전력은 전압[V]의 제곱에 저항[R]을 나눈값
전력은 전류[I]에 비례하고, 전압[V]에 비례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70. 그림과 같은 블럭선도의 등가 합성전달함수는?(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71. 평형 3상 Y결선에서 상전압 ES와 선간전압 EL과의 관계는?(2003년 03월)
     1. EL=ES
     2.
     3.
     4. EL=3ES

     정답 : []
     정답률 : 59%

72. 다음 블록선도의 특성방정식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8월)

    

     1. 3s+2
     2.
     3.
     4. 2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블록선도를 풀면 2S/S+2/((1+(2S/S+2))이라는 값이 나오는데
2S/S+2/(3S+2)/S+2 식을 풀면 이러한 값이 되서
ㅅ    ㅅ        ㅅ     ㅅ
ㅣ    ㅣ____ㅣ     ㅣ    
ㅣ_____________ㅣ 값을 곱하고 다 풀면 최종 2S/3S+2에 값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 오류 신고]
특성방정식이란 전달함수 분모의 값이 ‘0’이 되는 방정식
[해설작성자 : 수험생1]

73. 제벡 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한 센서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저항 변화용
     2. 인덕턴스 변화용
     3. 용량 변화용
     4. 전압 변화용

     정답 : []
     정답률 : 67%

74.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전자력에 관계가 있는 법칙은?(2013년 03월)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전동기의 회전방향:플레밍의 왼손법칙
발전기의 회전방향:플레밍의 오른손법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단위 피드백계에서 C/R=1 즉, 입력과 출력이 같다면 전향전달함수 |G|의 값은?(2016년 08월)
     1. |G|=1
     2. |G|=0
     3. |G|=∞
     4. |G|=√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R=입력/1-출력
입력=출력
C/R=G(s)/1+G(s)=1
G(s)로 나누면
1/(1/G(s))+1=1
1/G(s)가 0에가까우면 식이 성립하므로 G(s)=∞
[해설작성자 : 경기과기대 공조냉동재학생]

76. 8Ω, 12Ω, 20Ω, 30Ω의 4개 저항을 병렬로 접속할 때 합성저항은 약 몇 Ω 인가?(2019년 04월)
     1. 2.0
     2. 2.35
     3. 3.43
     4. 3.8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1/8+1/12+1/20+1/30)
[해설작성자 : ??]

77. 제어량이 온도, 압력, 유량, 액위, 농도 등과 같은 일반 공업량일 때의 제어는?(2019년 03월)
     1. 추종제어
     2. 시퀀스제어
     3. 프로그래밍 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추종제어 - 시간에 따라 임의로 변화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시키는 제어
2. 시퀀스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3. 프로그래밍 제어 -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량을 변화시키는 제어
4. 프로세스제어 - 생산공정(작업공정) 제어
[해설작성자 : [전설의 동과대 자동차과 13학번]]

78. R.L.C직렬회로에서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은?(200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79.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전자력에 관계가 있는 법칙은?(2004년 05월)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페러데이의 법칙
     4. 앙페에르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58%

80. x1+Ax3+x2=x3로 표현된 신호흐름선도는?(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777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공기조화


1. 다음 중 전공기 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송풍량이 충분하므로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다.
     2. 리턴홴을 설치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3. 실내에는 취출구와 흡입구를 설치하면 되고 홴코일 유닛과 같은 기구가 노출되지 않는다.
     4. 큰 부하의 실에 대해서도 덕트가 작게 되고 스페이스가 적다.

     정답 : []
     정답률 : 88%

2. 다음 공식 중 관내 마찰손실 수두를 구하는 식은? (단, d : 관의 안지름, ℓ : 관의 길이, g : 중력가속도 V : 유속, f : 마찰계수, r : 물의 비중량)(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3. 대기의 절대습도가 일정할 때 하루 동안의 상대습도 변화를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2013년 08월)
     1. 절대습도가 일정하므로 상대습도의 변화는 없다.
     2. 낮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지고 밤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진다.
     3. 낮에는 상대습도가 낮아지고 밤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진다.
     4. 낮에는 상대습도가 정해지면 하루종일 그 상태로 일정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 벽의 두께 ℓ = 100[mm]인 물질의 양표면 온도가 각각 t1 =320℃, t2 = 40℃일 때 이벽의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방열량과 벽의 중심에서의 온도는? (단, 벽의 열전도율은 λ = 0.05[kcal/m h℃]이다.)(2002년 03월)
     1. 121 kcal/m2h , 180℃
     2. 121 kcal/m2h , 165℃
     3. 140 kcal/m2h , 165℃
     4. 140 kcal/m2h , 180℃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20-40)                                                (320-X)                 (X-40)
--------     = 140kcal/m2h     ,     ---------     =    ---------    X=180℃
    0.1                                                         0.1                        0.1
-----                                                     -----                    -----
    0.05                                                        0.05                     0.05
[해설작성자 : 갱류이]

5. 실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계획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완전히 희석하고 확산시킨 다음에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은?(2017년 05월)
     1. 자연 환기
     2. 제3종 환기
     3. 국부 환기
     4. 전반 환기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국부환기 : 주방이나 공장등의 오염원 근처에 후드를 설치하여 주위로 확산된기 잔에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반환기:실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계획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희석하고 확산시킨 다음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
[해설작성자 : 12]

6. 일반적인 취출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라이트-트로퍼(light-troffer)형
     2. 아네모스탯(annemostat)형
     3. 머쉬룸(mushroom)형
     4. 웨이(way)형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머쉬룸형은 흡입구의 종류
[해설작성자 : 김옥디]

7. 다음 그림은 냉방시의 공기조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림과 같은 조건일 경우 냉각코일의 바이패스 팩터 (Bypass Factor)는 얼마인가? (단, ①실내공기의 상태점, ②외기의 상태점, ③혼합공기의 상태점 ④취출공기의 상태점, ⑤코일의 장치노점온도)(2002년 03월)

   

     1. 0.15
     2. 0.20
     3. 0.25
     4. 0.3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6-13
----- = 0.2
28-13
[해설작성자 : 박종환]

8. 다음중 VAV 시스템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에너지 손실이 크다.
     2. 저부하시에는 환기의 효율이 나쁘다.
     3. 혼합상자(Mixing box)를 설치해야 하며, 여기서 혼합손실이 발생한다.
     4.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행하기에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3, 4번은 2중덕트 방식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9. 보일러 1마력의 상당 증발량은 몇 kg/h 인가?(2007년 05월)
     1. 12.65
     2. 13.25
     3. 15.65
     4. 17.2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8435/539 = 15.64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증기를 사용하는 주철제 방열기의 표준방열량은?(2008년 07월)
     1. 450 kcal/m2ㆍh
     2. 550 kcal/m2ㆍh
     3. 650 kcal/m2ㆍh
     4. 750 kcal/m2ㆍh

     정답 : []
     정답률 : 80%

11. 덕트 설계시 주의할 사항 중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곡부분(曲部分)은 될 수 있는 대로 곡률 반경을 크게 한다.
     2. 확대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45° 이상으로 한다.
     3. 축소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60° 이내로 한다.
     4. 덕트 단면의 아스펙트 비는 가능한 한 6보다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번 : 정답
2번 : 확대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20º 이내로 한다
3번 : 축소부분의 각도는 가능한 한 45º 이내로 한다
4번 : 덕트 단면의 아스펙트 비는 가능한 한 6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오다미스]

12. 저속덕트와 고속덕트의 분류기준이 되는 풍속은?(2019년 04월)
     1. 10 m/s
     2. 15 m/s
     3. 20 m/s
     4. 30 m/s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저속덕트는 주덕트 속의 풍속이 15m/s 이하이며 정압 50mmAq 미만 인것을,
고속덕트는 풍속이 15m/s 이상,정압 50mmAq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흥고]

13. 난방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온수난방은 온수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한 것이다.
     2. 온풍난방은 온풍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한 것이다.
     3. 증기난방은 증기의 현열을 이용한 대류 난방이다.
     4. 복사난방은 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를 이용한 것 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증기난방
1)장점
- 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 예열시간이 짧고 증기순환이 빠르다.
-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작게 할 수 있다.
- 설비비가 저렴하다
2)단점
- 쾌감도가 낮다.
-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라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2.온수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증기난방에 비하여 쾌감도가 높다.
- 방열기 표면온도가 낮다.
- 난방을 정지하여도 난방효과가 지속된다.
-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다.
2)단점
- 예열시간이 길고,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면적과 배관의 관경이 커야 한다.
- 설비비가 비씨며, 한랭시 난방을 정지하였을 때 동결 우려가 있다.

3.복사난방(온수온돌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실내 수직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으며, 방을 개방상태로 하여도 난방효과가 높다.
-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천장이 높은 방 및 로비 등에 적합하며, 방열기가 설치되지 않아 실내유효 면적이 증가한다.
2)단점
- 방열량의 조절이 어렵고, 긴 예열시간이 필요하다.
- 시공이 어렵고 수리비, 설비비가 많이 든다.

4.온풍난방
1)장점
- 현열을 이용한다.
- 열용량이 작고 예열시간이 짧으며, 설비비가 저렴하고 연료비가 적게 든다.        
2)단점
- 소음이 크며, 쾌감도가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차하랑]

14. 다음 중 냉방부하에서 현열만이 취득되는 것은?(2017년 05월)
     1. 재열 부하
     2. 인체 부하
     3. 외기 부하
     4. 극간풍 부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체, 외기, 극간풍 모두 잠열 이며 재열부하는 현열이다
[해설작성자 : 안]

인체, 외기, 극간풍 부하 : 현열 + 잠열
재열 부하 : 현열
[해설작성자 : 코로네로]

15. 다음의 냉방부하 중에서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2007년 05월)
     1.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2. 송풍기로부터의 취득열량
     3. 재열기의 취득열량
     4.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번= 현열(복사열)
2번= 현열
3번= 현열
4번= 현열/잠열
(상대습도 가 높은 여름철엔 극간풍을 통해 실내로 들어온 공기는 수분을 머금고 있는 습공기와 건공기 이므로 '현열'과'잠열'이다)
[해설작성자 : 냉동가즈아~]

16. 다음 중 표면 결로발생 방지조건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실내측에 방습막을 부착한다.
     2. 다습한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다.
     3. 실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량을 억제한다.
     4. 공기와의 접촉면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
[해설작성자 : 궁시렁씨부렁몰러]

17. 다음은 고온수 난방의 배관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고온수로 실내에 직접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대량의 열량공급은 용이하지만 배관의 지름은 저온수 난방보다 크게 된다.
     3. 관내 압력이 높기 때문에 관내면의 부식문제가 증기 난방에 비해 심하다.
     4. 고압증기 난방에 비해 구배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번 고온수를 직접 공급하지 않고 중온수와 열교환 후 실내로 공급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18. 흡수식 냉동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
     2.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3. 직화식 냉온수기
     4. 증기압축식 냉온수기

     정답 : []
     정답률 : 54%

19. 다음은 냉각코일에 관한 설명이다. 맞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휜(fin)이 수평으로 설치되면 표면에 있는 수막이 흐르기 힘들고 열전달 효율이 낮아지므로 수직으로 설치한다.
     2. 코일내의 유속은 0.3∼0.4m/s일 때가 효율이 좋고, 공기와 냉수의 입구 및 출구방향이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3. 입구수온은 6℃전후가 적당하며, 출구와의 온도차는 5∼10℃ 정도가 좋다.
     4. 코일의 정면풍속은 2∼3m/s 정도가 좋으며, 3m/s 이상에서는 코일 직후에 엘리미네이터(eliminator)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20. 실내 온도분포가 균일하여 쾌감도가 좋으며 화상의 염려가 없고 방을 개방하여도 난방효과가 있는 난방방식은?(2017년 03월)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복사난방
     4. 대류난방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복사난방
건물의 바닥,천장,벽 등에 파이프 코일을 매설 하고 열원에 의해 패널을 직접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방식으로
방의 상하온도차가 적어 높이에 따른 실내온도의 분포가 균일하여 쾌감도가 좋으며 방을 개방상태로 하여도 난방의
효과가 있지만 설비비가 고가이고 매립배관이므로 시공이 어려우며,고장 시 발견이 어렵고 수리가 곤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냉동공학


21. 암모니아 냉동 장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압축비가 증가하면 체적 효율도 증가한다.
     2. 표준 냉동 사이클로 운전할 경우 R-12에 비해 토출가스의 온도가 낮다.
     3. 기밀 시험에 산소가스를 이용하는 것은 폭발의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4. 증발압력 조정밸브를 설치하는 것은 냉매의 증발 압력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다.

     정답 : []
     정답률 : 64%

22. 유량 100L/min의 물을 15℃에서 9℃로 냉각하는 수냉각기가 있다. 이 냉동장치의 냉동효과가 40kcal/kg일 때 필요냉매 순환량은 몇 kg/h인가?(2011년 03월)
     1. 700kg/h
     2. 800kg/h
     3. 900kg/h
     4. 1000kg/h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순환량 = 유량*시간*(물온도차)/냉동효과
            = 100*60*(15-9)/40
[해설작성자 : 팔봉K]

23. 다음은 프레온 장치에서 유분리기를 사용해야 될 경우의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만액식 증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2. 다량의 기름이 토출가스에 혼입될 때 사용한다.
     3. 증발온도가 높은 경우에 사용한다.
     4. 토출가스 배관이 길어지는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24. 응축온도는 일정한데 증발온도가 저하되었을 때 감소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압축비
     2. 냉동능력
     3. 성적계수
     4. 냉동효과

     정답 : []
     정답률 : 79%

25. 분자량이 44인 기체의 정압비열Cp = 0.1943㎉/㎏?k이다. 이 기체의 정적비열Cv는 몇 ㎉/㎏?K인가? (단, 일반가스 정수 R는 848㎏?m/k㏖?k로 한다.)(2002년 03월)
     1. 0.0272
     2. 0.1492
     3. 0.4567
     4. 0.3311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Cp= Cv+44/848
[해설작성자 : 경기과기대 공조냉동재학생]

26. 냉매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증발 잠열이 클 것
     2. 응고점이 낮을 것
     3. 전기 저항이 클 것
     4. 증기의 비열비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비열비 값이 높을 경우 토출가스 온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라크웰]

27. 냉동장치의 저압차단 스위치(LP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유압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2. 토출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3. 장치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을 저하시켜 장치를 보호한다.
     4. 흡입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압축기를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저압차단스위치[LPS] : 흡입압력[저압]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전기적 접점이 떨어져 압축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압축기를 정지 시킨다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28. 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2011년 03월)
     1. 응고점이 낮을 것
     2. 증발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3. R-21는 화학식으로 CHCl2F이고, CClF2 - CClF2는 R-113이다.
     4. R-500는 R-12와 R-152를 합한 공비 혼합냉매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9. 다음 h -x (엔탈피-농도) 선도에서 흡수식 냉동기 사이클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71%

30. 평판을 통해서 표면으로 확산에 의해서 전달되는 열유속(heat flux)이 0.4 kW/m2 이다. 이 표면과 20℃ 공기흐름가의 대류전열계수가 0.01 kW/m2·℃ 인 경우 평판의 표면온도(℃)는?(2019년 04월)
     1. 45
     2. 50
     3. 55
     4. 6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Q=KFdT=KF(T1-T2)
T1=Q/(KF) +T2 = 0.4/(0.01*1) +20=60

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m^2로 본다
[해설작성자 : 양갱]

열유속 = 대류전열계수 (표면온도 - 공기온도)
즉, 표면온도 = 공기온도 + (열유속 / 대류전열계수) 이므로 20 + (0.4/0.01) = 60
[해설작성자 : 계산문제패스]

31.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공조용 냉동기에 사용되는 터보식 냉동기의 냉동부하 변화에 따른 용량제어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압축기 회전식 가감법
     2. 흡입 가이드 베인 조절법
     3. 클리어런스 증대법
     4. 흡입 댐퍼 조절법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량제어의방법
왕복동 압축기 : 회전수가감법,클리어런스 증대법 , 바이패스법 , 언로드방식
터보(원심식)압축기 : 회전수가감법 , 바이패스법 , 흡입 가이드베인 조절법 , 흡입 댐퍼 조절법 , 냉각수량 조절법
[해설작성자 : ㄴㄹㅇ]

32. 압축내동 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고 있는 과정은 다음중 어느 과정인가?(2005년 08월)
     1. 증발과정
     2. 압축과정
     3. 응축과정
     4. 팽창과정

     정답 : []
     정답률 : 68%

33. 다음 압축기 중 그 원리가 다른 것은?(2008년 05월)
     1. 왕복동식 압축기
     2. 스크루식 압축기
     3. 스크롤식 압축기
     4. 원심식 압축기

     정답 : []
     정답률 : 68%

34. 냉동사이클 중 P-h 선도(압력-엔탈피 선도)로 계산 할 수 없는 것은?(2016년 03월)
     1. 냉동능력
     2. 성적계수
     3. 냉매순환량
     4. 마찰계수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P-H[모리엘] 선도를 작성하면 냉동능력, 성적계수, 냉매순환량, 압축기 소요동력, 응축기 방열량
압축비, 건조도, 플래시가스 발생량을 계산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35. 두께 3cm인 석면판의 한 쪽면의 온도는 400℃, 다른 쪽 면의 온도는 100℃일 때, 이 판을 통해 일어나는 열전달량(W/m2)은? (단, 석면의 열전도율은 0.095W/mㆍ℃이다.)(2020년 06월)
     1. 0.95
     2. 95
     3. 950
     4. 95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Q=K*F*dt/두께
전열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m^2로 가정
0.095*1*(400-100)/0.03
[해설작성자 : 헤린쓰]

36. 브라인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비열이 크고 동결온도가 낮을 것
     2. 불연성이며 불활성일 것
     3. 열전도율이 클 것
     4. 점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점성이 과대하거나 과소할 경우 냉동능력이 저하 될 수 있음,점성은 적당한게 가장 좋음
[해설작성자 : 2seomamam]

37. 증발온도 –15℃, 응축온도 30℃인 이상적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는?(2019년 08월)
     1. 5.73
     2. 6.41
     3. 6.73
     4. 7.34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성적계수 = 증발온도/응축온도-증발온도 (온도는 절대온도로 변환) = 냉동능력(kcal)/압축기 소요동력
증발온도 -15도 -> 절대온도 273-15=258K
응축온도 30도 -> 절대온도 273+30=303K
성적계수 = 258/303-258 = 약 5.73
[해설작성자 : 닭꼬치]

증발온도에서 절대온도 값 : (-15+273)=258 절대 온도를 더해 준다고 생각하고 풀이하세요
(-15+273)/(30+273)-(-15+273)
[해설작성자 : 도일동]

위에 있는 계산식 적용하기가 어렵네요^^ 이 계산식으로 해보세요

COP=TL/TH-TL

TL=273-15=258
TH=273+30=303

258/(303-258)=5.74
TH-TL계산은 괄호가 중요합니다.

TL/(TH-TL)
258/(303-258)

38. 다음 그림은 어떤 사이클인가? (단, P=압력, h=엔탈피, T=온도, S=엔트로피 이다.)(2014년 08월)

    

     1. 2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
     2. 2단압축 2단팽창 사이클
     3. 1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
     4. 1단압축 2단팽창 사이클

     정답 : []
     정답률 : 87%

39. 간접 냉각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2차 냉매인 브라인이 갖추어야 할 성질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열전달 특성이 좋아야 한다.
     2.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3. 비등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아야 한다.
     4. 점성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0. 계가 외부로 부터 에너지 공급없이 그 자체의 내부에너지를 소모하여 외부에 대하여 2135 ㎏· m의 일을 하였다면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얼마인가?(2004년 05월)
     1. 1㎉
     2. 5㎉
     3. 15㎉
     4. 25㎉

     정답 : []
     정답률 : 47%

3과목 : 배관일반


41.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을 하는데 다음중 연단에 아마유를 배합한 것으로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도료의 막이 굳어서 풍화에 대해 강하고 다른 착색 도료의 초벽으로 우수한 도료는?(2002년 03월)
     1. 알루미늄 도료
     2. 광명단 도료
     3. 합성수지 도료
     4. 산화철 도료

     정답 : []
     정답률 : 66%

42. 350℃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관으로 압력10-100Kg/cm2범위에 있는 보일러 증기관, 수압관,유압관 등의 압력배관에 사용되는 배관은?(2002년 09월)
     1. 배관용 탄소강 강관
     2. 압력배관용 탄소강 강관
     3. 고압배관용 탄소강 강관
     4. 고온배관용 탄소강 강관

     정답 : []
     정답률 : 59%

43.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의 실내 침입을 방지 하기 위해 배수트랩을 설치한다. 배수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드럼 트랩
     2. 디스크 트랩
     3. 하우스 트랩
     4. 벨 트랩

     정답 : []
     정답률 : 67%

44. 냉온수 배관을 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열에 의한 온수의 체적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신축이음을 한다.
     2. 기기와 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자주 교체한다.
     3. 열에 의한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팽창관을 설치한다.
     4. 공기체류장소에는 공기빼기밸브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신축이음이 아닌 팽창관
2    자주교체하면 부식 발생
3. 팽창관이 아닌 신축이음
4. 정답.
[해설작성자 : 계산문제패스]

45. 대구경 강관의 보수 및 점검을 위해 자주 분해,결합,진동을 흡수하며 기기 설치부에 사용되는 연결방법은?(2002년 03월)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슬리이브접합

     정답 : []
     정답률 : 67%

46. 동기설비의 통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루프 통기 방식
     2. 각개 통기 방식
     3. 신정 통기 방식
     4. 결합 통기 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통기방식 : 루프(회로), 각개, 신정, 특수이음 배수시스템, 그 외의 보조적 통기방식 방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백마]

47.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단일 덕트 방식은 공기식이다.
     2. 유인 유닛방식은 공기, 수식이다.
     3. 팬코일 유닛방식은 공기식이다.
     4.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냉매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8. 고가 탱크식 급수설비에서 급수경로를 바르게 나타 낸 것은?(2015년 05월)
     1. 수도본관 → 저수조 → 옥상탱크 → 양수관 → 급수관
     2. 수도본관 → 저수조 → 양수관 → 옥상탱크 → 급수관
     3. 저수조 → 옥상탱크 → 수도본관 → 양수관 → 급수관
     4. 저수조 → 옥상탱크 → 양수관 → 수도본관 → 급수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도본관-저수조-양수펌프-양수관-옥상탱크-급수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도시가스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중압 이상인 배관(a)과 지상에 설치하는 배관(b)의 표면 색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a)적색 (b)회색
     2. (a)백색 (b)적색
     3. (a)적색 (b)황색
     4. (a)백색 (b)황색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도시가스배관 표면 색상
-지하배관 : 적색(중압), 황색(저압)
-지상배관 : 황색
[해설작성자 : 씁다]

50. 냉매액관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긴 입상 액관의 경우 압력의 감소가 크므로 충분한 과냉각이 필요하다.
     2. 배관 도중에 다른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지 않도록 한다.
     3. 액관 배관은 가능한 한 길게 한다.
     4. 액 냉매가 관 내에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냉매액관은 응축기에서 증발기까지의 구간을 말하며 냉매액관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 하고 입상관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증발기가 응축기보다 아래에 있는 액관의 경우에는 2m 이상의 역루프 배관을 해준다. 그 이유는?(2003년 03월)
     1. 압축기 가동ㆍ정지시 냉매액이 증발기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2. 압력강하를 크게 줄이기 위해서이다.
     3. 신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4. 전자밸브 설치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52. 중앙식 급탕방식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기구의 동시 이용률을 거려하여 가열장치의 총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2. 기계실 등에 다른 설비 기계와 함께 가열장치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다.
     3. 배관에 의해 필요 개소에 어디든지 급탕할 수 있다.
     4. 설비 규모가 작기 때문에 초기 설비비가 적게 든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중앙식은 초기 설비비가 많이 들지만 관리가 용이하고 후에 증설비용이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53. 다음에 그려진 온수난방 방식을 귀환관의 배관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어떤 방식인가?(2004년 05월)

    

     1. 직접 귀환방식
     2. 역 귀환방식
     3. 간접 귀환방식
     4. 진공 귀환방식

     정답 : []
     정답률 : 64%

54. 다음 그림 기호가 나타내는 밸브는?(2018년 04월)

    

     1. 증발압력 조정밸브
     2. 유압 조정밸브
     3. 용량 조정밸브
     4. 흡입압력 조정밸브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OPR 영어 철자로 예상 가능
유압 조정밸브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춘천 폴리텍 4층]

55. 급탕배관 계통에서 배관 중 총 손실열량이 15000kcal/h이고, 급탕온도가 70℃, 환수온도가 60℃일 때, 순환수량은?(2014년 08월)
     1. 약 1000kg/min
     2. 약 50kg/min
     3. 약 100kg/min
     4. 약 25kg/min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5000/60)/(70-60)=25

56. 공기 여과기의 분진포집 원리에 의해 분류한 집진형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3월)
     1. 정전식
     2. 여과식
     3. 가스식
     4. 충돌점착식

     정답 : []
     정답률 : 71%

57. 배관된 관의 수리, 교체에 편리한 이음방법은?(2007년 03월)
     1. 용접이음
     2. 신축이음
     3. 플랜지이음
     4. 스위블이음

     정답 : []
     정답률 : 79%

58. 공기조화설비에서 덕트 주요 요소인 가이드 베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소형 덕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2. 대형 덕트의 풍량 조절용이다.
     3. 덕트 분기 부분의 풍량 조절을 한다.
     4. 덕트 밴드부에서 기류를 안정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8%

59. 증기배관에서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방향이 동일할 때 증기관의 구배는? (단,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다.)(2018년 03월)
     1. 1/50이상의 순구배
     2. 1/50이상의 역구배
     3. 1/250이상의 순구배
     4. 1/250이상의 역구배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는 반드시 선하향으로 순구배가 되도록 하고 그 구배는 1/250 이상이 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과천사람]

1. 흐름 방향이 동일한 순구배의 경우 => 1/100~1/200 또는 1/150~1/25
2. 흐름 방향이 다른 역구배의 경우 => 1/50~1/100
[해설작성자 : 도일동]

60. 도시가스 공급시설의 기밀시험 및 내압시험압력은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인가?(2012년 08월)
     1. 1.5배 , 1.1배
     2. 1.1배, 2배
     3. 2배, 1.1배
     4. 1.1배, 1.5배

     정답 : []
     정답률 : 60%

61. 다음 내용의 ( )아네 차례로 들어갈 알맞은 내용은?(2011년 03월)

    

     1. 진하, 낮아, +
     2. 진하, 높아, -
     3. 연하, 낮아, -
     4. 연하, 높아, +

     정답 : []
     정답률 : 66%

62. 자동연소 제어에서 연료의 유량과 공기의 유량 관계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은?(2019년 08월)
     1. 비율제어
     2. 시퀀스제어
     3. 프로세스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보일러나 내연기관(자동차)...등의 연소실 내에 연료와 공기 비율은 일정한 비율관계가 유지되면서 변화를
제어해야 한다.

6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I1및 I2는 몇 [A] 인가?(2008년 03월)

    

     1. I1=8A, I2=4A
     2. I1=4A, I2=8A
     3. I1=7A, I2=5A
     4. I1=5A, I2=7A

     정답 : []
     정답률 : 52%

64. 출력이 입력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는 제어는?(2003년 03월)
     1. 프로그램제어
     2. 피드백제어
     3. 시퀀스제어
     4. 폐회로제어

     정답 : []
     정답률 : 57%

65. R-L-C 직렬회로에 t=0에서 교류전압 u=Emsin(ωt+θ)[V]를 가할 때 이 회로의 응답유형은? (단, 이다.)(2020년 06월)
     1. 완전진동
     2. 비진동
     3. 임계진동
     4. 감쇠진동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보다 클때 과제동, 비진동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이랑 같을때 임계제동, 임계진동
R^2<4L/C, R<2√L/C 일때 R제곱값이 4L/C값보다 작을때 부족제동, 감쇠제동
[해설작성자 : 양갱]

66. 그림과 같이 실린더의 한쪽으로 단위시간에 유입하는 유체의 유량을 x(t)라 하고 피스톤의 움직임을 y(t)로 한다. t시간이 경과한 후의 전달함수를 구해보면 어떤 요소가 되는가?(2008년 03월)

    

     1. 비례요소
     2. 미분요소
     3. 적분요소
     4. 미적분요소

     정답 : []
     정답률 : 55%

67. 바리스터(Varistor)란?(2009년 05월)
     1.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2단자 반도체
     2.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3단자 반도체
     3.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4단자 반도체
     4.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갖는 리액턴스 소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68. 피드백 제어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정확성이 떨어진다.
     2. 감대폭이 감소한다.
     3. 계의 특성 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4. 발진이 전혀 없고 항상 안정한 상태로 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69. 전력(electric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이다.
     2.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이다.
     3.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류에 반비례한다.
     4.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력 p = E × I =E제곱/R =I제곱R[W]
[해설작성자 : 갈라고하는데]

전력 P = IV = I2R = V2/R[W]
전력은 전류[I]의 제곱에 저항[R]을 곱한값
전력은 전압[V]의 제곱에 저항[R]을 나눈값
전력은 전류[I]에 비례하고, 전압[V]에 비례
[해설작성자 : 붉음돼지]

70. 그림과 같은 블럭선도의 등가 합성전달함수는?(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71. 평형 3상 Y결선에서 상전압 ES와 선간전압 EL과의 관계는?(2003년 03월)
     1. EL=ES
     2.
     3.
     4. EL=3ES

     정답 : []
     정답률 : 59%

72. 다음 블록선도의 특성방정식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8월)

    

     1. 3s+2
     2.
     3.
     4. 2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블록선도를 풀면 2S/S+2/((1+(2S/S+2))이라는 값이 나오는데
2S/S+2/(3S+2)/S+2 식을 풀면 이러한 값이 되서
ㅅ    ㅅ        ㅅ     ㅅ
ㅣ    ㅣ____ㅣ     ㅣ    
ㅣ_____________ㅣ 값을 곱하고 다 풀면 최종 2S/3S+2에 값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 오류 신고]
특성방정식이란 전달함수 분모의 값이 ‘0’이 되는 방정식
[해설작성자 : 수험생1]

73. 제벡 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한 센서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저항 변화용
     2. 인덕턴스 변화용
     3. 용량 변화용
     4. 전압 변화용

     정답 : []
     정답률 : 67%

74.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전자력에 관계가 있는 법칙은?(2013년 03월)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전동기의 회전방향:플레밍의 왼손법칙
발전기의 회전방향:플레밍의 오른손법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단위 피드백계에서 C/R=1 즉, 입력과 출력이 같다면 전향전달함수 |G|의 값은?(2016년 08월)
     1. |G|=1
     2. |G|=0
     3. |G|=∞
     4. |G|=√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R=입력/1-출력
입력=출력
C/R=G(s)/1+G(s)=1
G(s)로 나누면
1/(1/G(s))+1=1
1/G(s)가 0에가까우면 식이 성립하므로 G(s)=∞
[해설작성자 : 경기과기대 공조냉동재학생]

76. 8Ω, 12Ω, 20Ω, 30Ω의 4개 저항을 병렬로 접속할 때 합성저항은 약 몇 Ω 인가?(2019년 04월)
     1. 2.0
     2. 2.35
     3. 3.43
     4. 3.8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1/8+1/12+1/20+1/30)
[해설작성자 : ??]

77. 제어량이 온도, 압력, 유량, 액위, 농도 등과 같은 일반 공업량일 때의 제어는?(2019년 03월)
     1. 추종제어
     2. 시퀀스제어
     3. 프로그래밍 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추종제어 - 시간에 따라 임의로 변화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시키는 제어
2. 시퀀스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3. 프로그래밍 제어 -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량을 변화시키는 제어
4. 프로세스제어 - 생산공정(작업공정) 제어
[해설작성자 : [전설의 동과대 자동차과 13학번]]

78. R.L.C직렬회로에서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은?(200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79.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전자력에 관계가 있는 법칙은?(2004년 05월)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페러데이의 법칙
     4. 앙페에르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58%

80. x1+Ax3+x2=x3로 표현된 신호흐름선도는?(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777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552032)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21 축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20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9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57555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8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5569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7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6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77371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5
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09042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4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3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12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83456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7776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5
10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157614)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9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12951)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8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31082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8
7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273628)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3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9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