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지적일반(임의구분)


1.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5명이하 일 때에 토지소유자 중 몇 명을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으로 위촉하여야 하는가?(2010년 01월)
     1.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촉한다.
     2. 토지소유자의 과반수를 위촉한다.
     3. 토지소유자 대표 1인을 위촉한다.
     4.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촉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2. 방위가 S 20° 20′ W인 측선에 대한 방위각은?(2016년 01월)
     1. 100° 20′
     2. 159° 40′
     3. 200° 20′
     4. 249° 4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방위각 S 20° 20′ W는
S(남)쪽에서 기준으로 (W)시계방향으로 20° 20′ 이므로 방위각의 기준인 N(북)에서 180°+ 20° 20′ = 200° 20′이 된다.
[해설작성자 : 비치]

3. 다음 중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10월)
     1. 지목
     2. 면적
     3. 지번
     4. 경계

     정답 : []
     정답률 : 57%

4.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에만 등록 하는 사항은?(2006년 10월)
     1. 토지의 소재
     2. 지번
     3. 면적
     4. 좌표

     정답 : []
     정답률 : 78%

5. 토지이동 신청에 관한 특례와 관련하여 사업의 착수ㆍ변경 및 완료 사실을 지적소관청에 신고하여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개발사업이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
     2.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개발사업
     3.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매립사업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토지형질변경사업

     정답 : []
     정답률 : 62%

6. 우리나라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기본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4월)
     1. 실질적 심사주의
     2. 형식적 심사주의
     3. 직권등록주의
     4. 국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40%

7. 필지의 성립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지번부여지역 안의 토지이어야 함.
     2. 소유자와는 상관 없음.
     3. 지반이 연속적이어야 함.
     4. 용도가 동일하여야 함.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유자와 상관있음
[해설작성자 : 신주헌]

8. 우리나라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기본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1년 10월)
     1. 실질적 심사주의
     2. 형식적 심사주의
     3. 직권등록주의
     4. 국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49%

9. 지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10월)
     1. 토지의 특정성을 보장하는 수적 요소이다.
     2. 토지의 식별에 쓰인다.
     3. 지번설정 단위지역은 시, 군이다.
     4. 토지의 명칭적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10. 다음 중 토지대장의 등록순서는?(2002년 10월)
     1. 지목별로 차례로 등록한다.
     2. 소유자의 성명에 따라 가나다 순으로 등록한다.
     3. 지역, 지번의 순으로 등록한다.
     4. 과세 등급순위대로 등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1. 다음 중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언제를 기준으로 토지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보는가?(2016년 01월)
     1. 축척변경 승인신청공고일
     2. 축척변경 확정공고일
     3. 축척변경 청산금정산일
     4. 축척변경 이의신청통지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축척변경 확정공고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확정공고일에 토지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국토정보공사 고졸직]

12. 다음 중 자오선의 북방향(북극)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우회)으로 측정한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0년 10월)
     1. 도북 방위각
     2. 자북 방위각
     3. 진북 방위각
     4. 자오선 수차

     정답 : []
     정답률 : 83%

13. 다음 중 신규등록에 의한 토지의 이동이 있어 지적공부를 정리하여야 하는 경우 지적소관청이 작성하여야 하는 것은?(2010년 01월)
     1. 토지이동정리 결의서
     2. 신규등록정리 결의서
     3. 등기부등본정리 결의서
     4. 부동산등기부 결의서

     정답 : []
     정답률 : 65%

14. 사각망의 측량 후 내각계산의 결과가 다음과 같다. α1의 오차 배부량은? (단, α13와 β24 는 맞꼭지각임)(2001년 07월)

    

     1. -2.5″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38%

15. 지적소관청이 시ㆍ도지사로부터 축척변경 승인을 받았을 때 관련 사항을 며칠 이상 공고 하여야 하는가?(2015년 10월)
     1. 60일 이상
     2. 40일 이상
     3. 30일 이상
     4. 20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45%

16. 다음 중 지적법상 지번부여지역에 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행정구역인 시·군·구와 일치한다.
     2. 지번은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을 말한다.
     3.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구획되는 토지의 등록단위를 말한다.
     4. 지번부여지역을 달리 하더라도 동일지번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17.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최소 얼마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에 이를 보정해 주어야 하는가?(2016년 01월)
     1. 0.5 mm
     2. 0.1 mm
     3. 1 mm
     4. 5 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도곽선길이에 0.5mm이상일때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용용이랑]

18. 다음 중 지목의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0년 01월)
     1. 토지가 일시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지목을 변경한다.
     2. 토지이용현황에 의한 지목의 유형은 28가지로 구분하여 정한다.
     3. 1필지마다 하나의 지목을 설정한다.
     4. 1필지가 둘 이상의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주된 용도에 따라 지목을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9. 측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얼마 이하로 하는가?(2003년 10월)
     1. 1cm
     2. 5cm
     3. 10cm
     4. 20cm

     정답 : []
     정답률 : 42%

20.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거리측정 단위중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지적도 시행지역 : 5cm, 임야도 시행지역 50cm
     2. 지적도 시행지역 : 10cm, 임야도 시행지역 150cm
     3. 지적도 시행지역 : 15cm, 임야도 시행지역 200cm
     4. 지적도 시행지역 : 20cm, 임야도 시행지역 250cm

     정답 : []
     정답률 : 53%

2과목 : 지적측량(임의구분)


21. GPS의 구성을 3요소로 구분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1월)
     1. 지상 제어 부분
     2. 우주 공간 부분
     3. 사용자 부분
     4. 측정 부분

     정답 : []
     정답률 : 42%

22. 다음 중 지번색인표의 등재사항으로만 나열된 것은?(2011년 02월)
     1. 제명, 지번, 도면번호, 결번
     2. 지번, 지목, 결번, 도면번호
     3. 축척, 지번, 본번, 결번
     4. 지번, 경계, 결번, 제명

     정답 : []
     정답률 : 76%

23. 다음 중 중앙지적위원회의 구성 기준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 ①~③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2011년 02월)

    

     1. ① 1명 ② 1명 ③ 5명 이상 10명 이하
     2. ① 1명 ② 1명 ③ 7명 이상 11명 이하
     3. ① 1명 ② 2명 ③ 7명 이상 11명 이하
     4. ① 1명 ② 2명 ③ 15명 이상 20명 이하

     정답 : []
     정답률 : 81%

24. 도근측량에서 1등도선의 연결오차 한계는? (단, n은 각측선 수평거리의 총합계를 100으로 나눈수)(2001년 10월)
     1.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2.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3.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4.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정답 : []
     정답률 : 66%

25. 세부측량시 측판측량방법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거리의 보정량 산출식은?(2003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9%

26. 지적법에서 소관청이라 함은?(2002년 01월)
     1. 행정자치부 장관
     2. 면장
     3. 시장,군수,구청장
     4. 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75%

27.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1월)
     1. 신규등록
     2. 등록전환
     3. 토지분할
     4. 지목변경

     정답 : []
     정답률 : 79%

28. 지적측량업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는 비영리법인의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재단법인일 것
     2. 자산규모가 5억원 이상일 것
     3. 업무구역을 전국으로 하고 특별시, 광역시 및 5개 도 이상에 지사를 전체 시.군.구의 2/3이상에 출장 소를 둘 것
     4. 지적기술자와 측량기술자를 300인 이상 고용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2%

29. 지적법상 등기촉탁에 관한 아래 내용 중,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경우는?(2008년 10월)

    

     1. 지번변경
     2. 신규등록
     3. 축척변경
     4. 등록사항정정

     정답 : []
     정답률 : 44%

30. 다음 중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건물의 명칭
     2.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3. 소유권 지분
     4. 소유자의 주소

     정답 : []
     정답률 : 63%

31. 각 도곽선의 신축된 차가 ΔX1 = -3mm, ΔX2= -4mm, ΔY1 = -4mm, ΔY2 = -5mm 일 때 신축량은?(2011년 02월)
     1. -3mm
     2. -4mm
     3. -5mm
     4. -6mm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4-4-5/4 = -4
[해설작성자 : 돌아버린 음악 재능]

32. 지번을 사람에게 비유하면 다음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2006년 10월)
     1. 성명
     2. 생년월일
     3. 사회적 지위
     4. 정신상태

     정답 : []
     정답률 : 85%

33. 지적제도를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지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2. 발전 단계에 의한 분류
     3.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4.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적제도의 분류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 2차원 지적, 3차원 지적
•발전단계에 의한 분류 :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 지적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 소극적 지적, 적극적 지적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 도해지적, 수치지적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주세요]

34. 신규등록신청의무를 게을리 한자에게 부과하는 벌칙은?(2005년 04월)
     1. 과태료
     2. 징역
     3. 벌금
     4. 자격정지

     정답 : []
     정답률 : 64%

35. 중앙지적위원회는 어느 기관에 두는가?(2003년 10월)
     1. 행정자치부
     2. 대한지적공사
     3. 국립지리원
     4. 시· 도

     정답 : []
     정답률 : 28%

36. 다음 중 토지의 이용의 이용에 따른 지목의 구분이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2월)
     1. 일반 공중의 위락·휴양에 적합한 시설물을 갖춘 경마장 - 유원지
     2. 자동차 정비공장 안에 설치된 송유시설 부지 - 주유소용지
     3. 축산업을 하기 위하여 초지를 조성한 토지 - 목장용지
     4. 산림을 이루고 있는 수림지 - 임야

     정답 : []
     정답률 : 67%

37. 토지대장 이동정리 사항 중 오기로 인하여 정정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맞는 것은?(2004년 02월)
     1. 칼 등 예리한 것으로 깨끗이 지우고 새로 정리한다.
     2. 조금 이라도 잘못 정리 했을 때는 새로 카드를 작성한다.
     3. 큰 문제가 없을것 같으면 그냥 두어도 좋다.
     4. 붉은색 2선으로 말소하고 상부에 고쳐 쓴 후 정정인을 날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8. 다음 중 수치지적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01년 07월)
     1. 고유번호
     2.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3. 도면번호
     4. 필지별 수치지적부의 장번호

     정답 : []
     정답률 : 65%

39. 다음 중 지적소관청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0년 10월)
     1. 지적공부를 관리하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을 말한다.
     2. 시ㆍ도의 지역전산본부를 말한다.
     3.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 시군을 말한다.
     4. 지적측량을 주관하는 관리 감독자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0. 지적공부를 재작성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2003년 01월)
     1. 도면상의 신구 경계선의 식별이 곤란할 때
     2. 토지의 등록사항이 불분명할 때
     3. 도곽선의 신축량이 0.5mm 이상일 때
     4. 공부의 형태가 조잡할 때

     정답 : []
     정답률 : 48%

41. 다음 중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도면의 제명 및 축척
     2.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3. 도곽선과 그 수치
     4. 지번과 결번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일람도의 등재사항
①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및 인접지역의 행정구역 명칭
② 도면의 제명 및 축척
③ 도면번호
④ 도곽선 및 도곽선 수치
⑤ 하천·도로·철도·유지·취락 등 주요 지형·지물의 표시
[해설작성자 : 고봉밥]

42. 지적공부의 정리시 검은 색으로 하는 것은?(2016년 01월)
     1. 도곽선
     2. 도곽선수치
     3. 말소사항
     4. 문자정리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43. 연 왕골 등이 자생하는 배수가 잘 되지 아니하는 토지의 지목은 무엇으로 설정하여야 하는가?(2010년 01월)
     1.
     2.
     3. 유지
     4. 구거

     정답 : []
     정답률 : 62%

44. 지목의 설정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1필지 1지목의 원칙
     2. 일시변경 가능의 원칙
     3. 주용도 추종의 원칙
     4. 지목 법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64%

45.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토지의 소재
     2. 좌표
     3. 지번
     4.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정답 : []
     정답률 : 65%

46. 지목을 변경하는 경우 새로이 설정된 지목의 제도로 틀린것은?(2005년 01월)
     1.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한다.
     2.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오른쪽에 제도한다.
     3.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아래쪽에 제도한다.
     4.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왼쪽에 제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47. 다음 중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을 위촉하는 자는?(2008년 10월)
     1. 행정안전부 장관
     2. 도지사
     3. 소관청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 : []
     정답률 : 62%

48. 다음 중 도곽선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2월)
     1. 인접 도면과의 접합 기준이다.
     2. 면적 측정 방법 결정의 기준이다.
     3. 기준점 전개의 기준이다.
     4. 도곽의 신축량을 측정하는 기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49. 다음 중 1필지로 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동일한 면적
     2. 동일한 용도
     3. 동일한 소유자
     4. 연속된 지반

     정답 : []
     정답률 : 53%

50. 축척이 1/500 인 지적도 1매의 면적은 축척이 1/1000 인지적도 1매 면적의 얼마에 해당하는가? (단, 도곽이 가로 40cm, 세로 30cm 이내 면적임)(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51. 다음 중 면적측정부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2002년 10월)
     1. 측정면적
     2. 보정면적
     3. 결정면적
     4. 분할면적

     정답 : []
     정답률 : 43%

52. 축척 1/500 인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실제 면적은?(2002년 04월)

    

     1. 51.3 m2
     2. 150.0 m2
     3. 641.3 m2
     4. 1875.0 m2

     정답 : []
     정답률 : 31%

53. 토지소유자가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에 관한 사항의 정정을 신청한 경우로서 그 등록사항이 명백히 잘못된 경우 참고하여야 하는 자료는?(2015년 10월)
     1. 등기필증
     2.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
     3. 등기완료통지서
     4. 등기기관서에서 제공한 등기전산정보자료

     정답 : []
     정답률 : 63%

54. 축척 1/600 지적도 도곽의 윗쪽 횡선에 -1.5mm, 아래쪽 횡선 -1.4mm, 오른쪽 종선 +0.2mm, 왼쪽 종선 -0.5mm의 신축이 있는 경우 이 도곽의 신축량은 얼마인가?(2002년 04월)
     1. -0.8 mm
     2. -1.0 mm
     3. -1.6 mm
     4. -3.2 mm

     정답 : []
     정답률 : 40%

55. 다음 중 우리나라 토지대장과 같이 지번 순서에 따라 등록되고 분할되더라도 본번과 관련하여 편철 하고 소유자의 변동을 계속 수정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개개의 토지를 중심으로 등록부를 편성 하는 방법은?(2010년 10월)
     1. 인적 편성주의
     2. 물적 편성주의
     3. 연대적 편성주의
     4. 혼합적 편성주의

     정답 : []
     정답률 : 56%

56. 다음 중 각 측정에 이용될 수 없는 측정기계는?(2006년 10월)
     1. 트랜싯
     2. 레벨
     3. 토탈스테이션
     4. 데오드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6%

57. 다음 중 필지별 면적측정의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2년 04월)
     1. 삼사법
     2. 자동복사계산법
     3. 푸라니미터법
     4. 좌표면적계산법

     정답 : []
     정답률 : 46%

58. 축척 1/1200 지적도에서 원면적이 1500m2인 필지를 분할할 때 273번지의 면적이 850m2, 273-1의 면적이 670m2이라면 273-1번지의 결정면적은?(2016년 01월)
     1. 661 m2
     2. 670 m2
     3. 839 m2
     4. 850 m2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결정면적 r=(F/A)*a
r: 각필지의 산출면적(결정면적), F: 원면적, A: 측정면적 합계 또는 보정면적합계, a: 각 필지의 측정면적 또는 보정면적
r=(F/A)*a=[1500/(850+670)]*670=661m2
[해설작성자 : 나폴리]

59. 도면에 등록해야 할 도곽선 수치의 글자 크기는?(2004년 02월)
     1. 2mm
     2. 3mm
     3. 4mm
     4. 5mm

     정답 : []
     정답률 : 32%

60. 토지를 신규등록하는 경우 면적의 결정은 누가 하는가?(2015년 10월)
     1. 토지소유자
     2. 측량 대행사
     3. 한국국토정보공사
     4. 지적소관청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지적일반(임의구분)


1.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5명이하 일 때에 토지소유자 중 몇 명을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으로 위촉하여야 하는가?(2010년 01월)
     1.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촉한다.
     2. 토지소유자의 과반수를 위촉한다.
     3. 토지소유자 대표 1인을 위촉한다.
     4.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촉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2. 방위가 S 20° 20′ W인 측선에 대한 방위각은?(2016년 01월)
     1. 100° 20′
     2. 159° 40′
     3. 200° 20′
     4. 249° 4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방위각 S 20° 20′ W는
S(남)쪽에서 기준으로 (W)시계방향으로 20° 20′ 이므로 방위각의 기준인 N(북)에서 180°+ 20° 20′ = 200° 20′이 된다.
[해설작성자 : 비치]

3. 다음 중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10월)
     1. 지목
     2. 면적
     3. 지번
     4. 경계

     정답 : []
     정답률 : 57%

4.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에만 등록 하는 사항은?(2006년 10월)
     1. 토지의 소재
     2. 지번
     3. 면적
     4. 좌표

     정답 : []
     정답률 : 78%

5. 토지이동 신청에 관한 특례와 관련하여 사업의 착수ㆍ변경 및 완료 사실을 지적소관청에 신고하여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개발사업이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
     2.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개발사업
     3.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매립사업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토지형질변경사업

     정답 : []
     정답률 : 62%

6. 우리나라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기본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4월)
     1. 실질적 심사주의
     2. 형식적 심사주의
     3. 직권등록주의
     4. 국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40%

7. 필지의 성립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지번부여지역 안의 토지이어야 함.
     2. 소유자와는 상관 없음.
     3. 지반이 연속적이어야 함.
     4. 용도가 동일하여야 함.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유자와 상관있음
[해설작성자 : 신주헌]

8. 우리나라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기본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1년 10월)
     1. 실질적 심사주의
     2. 형식적 심사주의
     3. 직권등록주의
     4. 국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49%

9. 지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10월)
     1. 토지의 특정성을 보장하는 수적 요소이다.
     2. 토지의 식별에 쓰인다.
     3. 지번설정 단위지역은 시, 군이다.
     4. 토지의 명칭적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10. 다음 중 토지대장의 등록순서는?(2002년 10월)
     1. 지목별로 차례로 등록한다.
     2. 소유자의 성명에 따라 가나다 순으로 등록한다.
     3. 지역, 지번의 순으로 등록한다.
     4. 과세 등급순위대로 등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1. 다음 중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언제를 기준으로 토지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보는가?(2016년 01월)
     1. 축척변경 승인신청공고일
     2. 축척변경 확정공고일
     3. 축척변경 청산금정산일
     4. 축척변경 이의신청통지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축척변경 확정공고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확정공고일에 토지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국토정보공사 고졸직]

12. 다음 중 자오선의 북방향(북극)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우회)으로 측정한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0년 10월)
     1. 도북 방위각
     2. 자북 방위각
     3. 진북 방위각
     4. 자오선 수차

     정답 : []
     정답률 : 83%

13. 다음 중 신규등록에 의한 토지의 이동이 있어 지적공부를 정리하여야 하는 경우 지적소관청이 작성하여야 하는 것은?(2010년 01월)
     1. 토지이동정리 결의서
     2. 신규등록정리 결의서
     3. 등기부등본정리 결의서
     4. 부동산등기부 결의서

     정답 : []
     정답률 : 65%

14. 사각망의 측량 후 내각계산의 결과가 다음과 같다. α1의 오차 배부량은? (단, α13와 β24 는 맞꼭지각임)(2001년 07월)

    

     1. -2.5″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38%

15. 지적소관청이 시ㆍ도지사로부터 축척변경 승인을 받았을 때 관련 사항을 며칠 이상 공고 하여야 하는가?(2015년 10월)
     1. 60일 이상
     2. 40일 이상
     3. 30일 이상
     4. 20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45%

16. 다음 중 지적법상 지번부여지역에 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행정구역인 시·군·구와 일치한다.
     2. 지번은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을 말한다.
     3.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구획되는 토지의 등록단위를 말한다.
     4. 지번부여지역을 달리 하더라도 동일지번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17.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최소 얼마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에 이를 보정해 주어야 하는가?(2016년 01월)
     1. 0.5 mm
     2. 0.1 mm
     3. 1 mm
     4. 5 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도곽선길이에 0.5mm이상일때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용용이랑]

18. 다음 중 지목의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0년 01월)
     1. 토지가 일시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지목을 변경한다.
     2. 토지이용현황에 의한 지목의 유형은 28가지로 구분하여 정한다.
     3. 1필지마다 하나의 지목을 설정한다.
     4. 1필지가 둘 이상의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주된 용도에 따라 지목을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9. 측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얼마 이하로 하는가?(2003년 10월)
     1. 1cm
     2. 5cm
     3. 10cm
     4. 20cm

     정답 : []
     정답률 : 42%

20.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거리측정 단위중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지적도 시행지역 : 5cm, 임야도 시행지역 50cm
     2. 지적도 시행지역 : 10cm, 임야도 시행지역 150cm
     3. 지적도 시행지역 : 15cm, 임야도 시행지역 200cm
     4. 지적도 시행지역 : 20cm, 임야도 시행지역 250cm

     정답 : []
     정답률 : 53%

2과목 : 지적측량(임의구분)


21. GPS의 구성을 3요소로 구분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1월)
     1. 지상 제어 부분
     2. 우주 공간 부분
     3. 사용자 부분
     4. 측정 부분

     정답 : []
     정답률 : 42%

22. 다음 중 지번색인표의 등재사항으로만 나열된 것은?(2011년 02월)
     1. 제명, 지번, 도면번호, 결번
     2. 지번, 지목, 결번, 도면번호
     3. 축척, 지번, 본번, 결번
     4. 지번, 경계, 결번, 제명

     정답 : []
     정답률 : 76%

23. 다음 중 중앙지적위원회의 구성 기준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 ①~③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2011년 02월)

    

     1. ① 1명 ② 1명 ③ 5명 이상 10명 이하
     2. ① 1명 ② 1명 ③ 7명 이상 11명 이하
     3. ① 1명 ② 2명 ③ 7명 이상 11명 이하
     4. ① 1명 ② 2명 ③ 15명 이상 20명 이하

     정답 : []
     정답률 : 81%

24. 도근측량에서 1등도선의 연결오차 한계는? (단, n은 각측선 수평거리의 총합계를 100으로 나눈수)(2001년 10월)
     1.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2.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3.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4. 당해지역 축척분모의 이하

     정답 : []
     정답률 : 66%

25. 세부측량시 측판측량방법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거리의 보정량 산출식은?(2003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9%

26. 지적법에서 소관청이라 함은?(2002년 01월)
     1. 행정자치부 장관
     2. 면장
     3. 시장,군수,구청장
     4. 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75%

27.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1월)
     1. 신규등록
     2. 등록전환
     3. 토지분할
     4. 지목변경

     정답 : []
     정답률 : 79%

28. 지적측량업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는 비영리법인의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재단법인일 것
     2. 자산규모가 5억원 이상일 것
     3. 업무구역을 전국으로 하고 특별시, 광역시 및 5개 도 이상에 지사를 전체 시.군.구의 2/3이상에 출장 소를 둘 것
     4. 지적기술자와 측량기술자를 300인 이상 고용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2%

29. 지적법상 등기촉탁에 관한 아래 내용 중,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경우는?(2008년 10월)

    

     1. 지번변경
     2. 신규등록
     3. 축척변경
     4. 등록사항정정

     정답 : []
     정답률 : 44%

30. 다음 중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10월)
     1. 건물의 명칭
     2.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3. 소유권 지분
     4. 소유자의 주소

     정답 : []
     정답률 : 63%

31. 각 도곽선의 신축된 차가 ΔX1 = -3mm, ΔX2= -4mm, ΔY1 = -4mm, ΔY2 = -5mm 일 때 신축량은?(2011년 02월)
     1. -3mm
     2. -4mm
     3. -5mm
     4. -6mm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4-4-5/4 = -4
[해설작성자 : 돌아버린 음악 재능]

32. 지번을 사람에게 비유하면 다음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2006년 10월)
     1. 성명
     2. 생년월일
     3. 사회적 지위
     4. 정신상태

     정답 : []
     정답률 : 85%

33. 지적제도를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지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2. 발전 단계에 의한 분류
     3.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4.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적제도의 분류
•등록사항의 차원에 의한 분류 : 2차원 지적, 3차원 지적
•발전단계에 의한 분류 :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 지적
•등록의무의 강약에 의한 분류 : 소극적 지적, 적극적 지적
•경계의 표시방법에 의한 분류 : 도해지적, 수치지적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주세요]

34. 신규등록신청의무를 게을리 한자에게 부과하는 벌칙은?(2005년 04월)
     1. 과태료
     2. 징역
     3. 벌금
     4. 자격정지

     정답 : []
     정답률 : 64%

35. 중앙지적위원회는 어느 기관에 두는가?(2003년 10월)
     1. 행정자치부
     2. 대한지적공사
     3. 국립지리원
     4. 시· 도

     정답 : []
     정답률 : 28%

36. 다음 중 토지의 이용의 이용에 따른 지목의 구분이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2월)
     1. 일반 공중의 위락·휴양에 적합한 시설물을 갖춘 경마장 - 유원지
     2. 자동차 정비공장 안에 설치된 송유시설 부지 - 주유소용지
     3. 축산업을 하기 위하여 초지를 조성한 토지 - 목장용지
     4. 산림을 이루고 있는 수림지 - 임야

     정답 : []
     정답률 : 67%

37. 토지대장 이동정리 사항 중 오기로 인하여 정정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맞는 것은?(2004년 02월)
     1. 칼 등 예리한 것으로 깨끗이 지우고 새로 정리한다.
     2. 조금 이라도 잘못 정리 했을 때는 새로 카드를 작성한다.
     3. 큰 문제가 없을것 같으면 그냥 두어도 좋다.
     4. 붉은색 2선으로 말소하고 상부에 고쳐 쓴 후 정정인을 날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8. 다음 중 수치지적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01년 07월)
     1. 고유번호
     2.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3. 도면번호
     4. 필지별 수치지적부의 장번호

     정답 : []
     정답률 : 65%

39. 다음 중 지적소관청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0년 10월)
     1. 지적공부를 관리하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을 말한다.
     2. 시ㆍ도의 지역전산본부를 말한다.
     3.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 시군을 말한다.
     4. 지적측량을 주관하는 관리 감독자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0. 지적공부를 재작성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2003년 01월)
     1. 도면상의 신구 경계선의 식별이 곤란할 때
     2. 토지의 등록사항이 불분명할 때
     3. 도곽선의 신축량이 0.5mm 이상일 때
     4. 공부의 형태가 조잡할 때

     정답 : []
     정답률 : 48%

41. 다음 중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도면의 제명 및 축척
     2.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3. 도곽선과 그 수치
     4. 지번과 결번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일람도의 등재사항
①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및 인접지역의 행정구역 명칭
② 도면의 제명 및 축척
③ 도면번호
④ 도곽선 및 도곽선 수치
⑤ 하천·도로·철도·유지·취락 등 주요 지형·지물의 표시
[해설작성자 : 고봉밥]

42. 지적공부의 정리시 검은 색으로 하는 것은?(2016년 01월)
     1. 도곽선
     2. 도곽선수치
     3. 말소사항
     4. 문자정리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43. 연 왕골 등이 자생하는 배수가 잘 되지 아니하는 토지의 지목은 무엇으로 설정하여야 하는가?(2010년 01월)
     1.
     2.
     3. 유지
     4. 구거

     정답 : []
     정답률 : 62%

44. 지목의 설정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1월)
     1. 1필지 1지목의 원칙
     2. 일시변경 가능의 원칙
     3. 주용도 추종의 원칙
     4. 지목 법정주의

     정답 : []
     정답률 : 64%

45.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토지의 소재
     2. 좌표
     3. 지번
     4.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정답 : []
     정답률 : 65%

46. 지목을 변경하는 경우 새로이 설정된 지목의 제도로 틀린것은?(2005년 01월)
     1.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한다.
     2.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오른쪽에 제도한다.
     3.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아래쪽에 제도한다.
     4. 기존 지목의 윗 부분에 제도하기 곤란할 경우 왼쪽에 제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47. 다음 중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을 위촉하는 자는?(2008년 10월)
     1. 행정안전부 장관
     2. 도지사
     3. 소관청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 : []
     정답률 : 62%

48. 다음 중 도곽선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2월)
     1. 인접 도면과의 접합 기준이다.
     2. 면적 측정 방법 결정의 기준이다.
     3. 기준점 전개의 기준이다.
     4. 도곽의 신축량을 측정하는 기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49. 다음 중 1필지로 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동일한 면적
     2. 동일한 용도
     3. 동일한 소유자
     4. 연속된 지반

     정답 : []
     정답률 : 53%

50. 축척이 1/500 인 지적도 1매의 면적은 축척이 1/1000 인지적도 1매 면적의 얼마에 해당하는가? (단, 도곽이 가로 40cm, 세로 30cm 이내 면적임)(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51. 다음 중 면적측정부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2002년 10월)
     1. 측정면적
     2. 보정면적
     3. 결정면적
     4. 분할면적

     정답 : []
     정답률 : 43%

52. 축척 1/500 인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실제 면적은?(2002년 04월)

    

     1. 51.3 m2
     2. 150.0 m2
     3. 641.3 m2
     4. 1875.0 m2

     정답 : []
     정답률 : 31%

53. 토지소유자가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에 관한 사항의 정정을 신청한 경우로서 그 등록사항이 명백히 잘못된 경우 참고하여야 하는 자료는?(2015년 10월)
     1. 등기필증
     2.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
     3. 등기완료통지서
     4. 등기기관서에서 제공한 등기전산정보자료

     정답 : []
     정답률 : 63%

54. 축척 1/600 지적도 도곽의 윗쪽 횡선에 -1.5mm, 아래쪽 횡선 -1.4mm, 오른쪽 종선 +0.2mm, 왼쪽 종선 -0.5mm의 신축이 있는 경우 이 도곽의 신축량은 얼마인가?(2002년 04월)
     1. -0.8 mm
     2. -1.0 mm
     3. -1.6 mm
     4. -3.2 mm

     정답 : []
     정답률 : 40%

55. 다음 중 우리나라 토지대장과 같이 지번 순서에 따라 등록되고 분할되더라도 본번과 관련하여 편철 하고 소유자의 변동을 계속 수정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개개의 토지를 중심으로 등록부를 편성 하는 방법은?(2010년 10월)
     1. 인적 편성주의
     2. 물적 편성주의
     3. 연대적 편성주의
     4. 혼합적 편성주의

     정답 : []
     정답률 : 56%

56. 다음 중 각 측정에 이용될 수 없는 측정기계는?(2006년 10월)
     1. 트랜싯
     2. 레벨
     3. 토탈스테이션
     4. 데오드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6%

57. 다음 중 필지별 면적측정의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2년 04월)
     1. 삼사법
     2. 자동복사계산법
     3. 푸라니미터법
     4. 좌표면적계산법

     정답 : []
     정답률 : 46%

58. 축척 1/1200 지적도에서 원면적이 1500m2인 필지를 분할할 때 273번지의 면적이 850m2, 273-1의 면적이 670m2이라면 273-1번지의 결정면적은?(2016년 01월)
     1. 661 m2
     2. 670 m2
     3. 839 m2
     4. 850 m2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결정면적 r=(F/A)*a
r: 각필지의 산출면적(결정면적), F: 원면적, A: 측정면적 합계 또는 보정면적합계, a: 각 필지의 측정면적 또는 보정면적
r=(F/A)*a=[1500/(850+670)]*670=661m2
[해설작성자 : 나폴리]

59. 도면에 등록해야 할 도곽선 수치의 글자 크기는?(2004년 02월)
     1. 2mm
     2. 3mm
     3. 4mm
     4. 5mm

     정답 : []
     정답률 : 32%

60. 토지를 신규등록하는 경우 면적의 결정은 누가 하는가?(2015년 10월)
     1. 토지소유자
     2. 측량 대행사
     3. 한국국토정보공사
     4. 지적소관청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1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3456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0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08342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9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7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0130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6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10638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4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3673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3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2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1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16484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8
50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9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130982)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8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7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6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5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2168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4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