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위생학개론


1. 작업의 강도가 클수록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휴식시간이 길어지며 실동율은 감소하는데 작업대사율(RMR)이 6일때의 실동율(%)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공식을 이용한다.)(2009년 05월)
     1. 70
     2. 65
     3. 60
     4. 55

     정답 : []
     정답률 : 73%

2. 구리(Cu)의 공기 중 농도가 0.05mg/m3이다. 작업자의 노출시간은 8시간이며,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이라고 할 때, 체내 흡수량은?(2013년 06월)
     1. 0.1mg
     2. 0.2mg
     3. 0.5mg
     4. 0.8m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0.05*8*1.25*1=0.5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제시한 중량물의 들기작업에 관한 감시기준(Action Limit)과 최대 허용기준 ( Maximum Permissible Limit)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6년 03월)
     1. MPL = 3AL
     2. MPL = 5AL
     3. MPL = 10AL
     4. MPL = AL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MPL(최대허용기준)=3AL(감시기준, 안전작업무게)
[해설작성자 : 내가 다 작성한다]

4. 다음 중 산업위생의 4가지 주요 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예측
     2. 평가
     3. 제거
     4. 관리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예측, 측정, 평가, 관리

5. 다음 중 매년 “화학물질과 물리적 인자에 대한 노출기준 및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발간하여 노출기준 제정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은?(2013년 08월)
     1. 미국산업위생학회(AIHA)
     2.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
     3.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4.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

     정답 : []
     정답률 : 83%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적정한 공기”의 조성 조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산소농도가 28% 이상 21%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10ppm미만 수준의 공기
     2. 산소농도가 16%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3%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5ppm 미만 수준의 공기
     3. 산소농도가 18% 이상 21%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5ppm 미만 수준의 공기
     4. 산소농도가 18%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10ppm 미만 수준의 공기

     정답 : []
     정답률 : 89%

7. 출근인원이 100명인 작업장의 세면장(남자용)넓이로 가장 알맞는 것은? (단, 후생시설의 넓이를 정하는 일반적인 식을 적용)(2003년 05월)
     1. 15 m2
     2. 10 m2
     3. 5 m2
     4. 2 m2

     정답 : []
     정답률 : 17%

8. 누적외상성장애(CTDs :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불안전한 자세에서 장기간 고정된 한 가지 작업
     2. 고온 작업장에서 갑작스럽게 힘을 주는 전신작업
     3. 작업속도가 빠른 상태에서 힘을 주는 반복작업
     4. 작업내용의 변화가 없거나 휴식시간 없이 손과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88%

9. 실내공기질관리법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8년 04월)
     1. 석면
     2. 오존
     3. 라돈
     4. 일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문제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실내공기질 권고가준 오염물질 항목 (2018. 1. 1.부터 적용)
1. 이산화질소
2. 라돈
3.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4. 미세먼지
5. 곰팡이
정답은 ①②④ (라돈 제외한 모든항목 입니다)- 성안당 기출해설 참고
[해설작성자 : 별이이이]

10.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혈액의 채취, 보관, 분석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휘발성 물질 시료의 손실방지를 위하여 최대 용량채취
     2. 고무마개에 혈액 흡착을 고려
     3. 적절한 혈액 응고 제 선정
     4. 생물학적 기준치는 정맥혈을 기준

     정답 : []
     정답률 : 29%

11. 다음 중 작업환경내 작업자의 작업강도와 유해물질의 인체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인간은 동물에 비하여 호흡량이 크므로 유해물질에 대한 감수성은 동물보다 크다.
     2. 심한 노동을 할 때일수록 체내의 산소 요구가 많아지므로 호흡량이 증가한다.
     3. 유해물질의 침입경로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기이다.
     4. 작업강도가 커지면 신진대사가 왕성하게 되고 피로가 증가되어 유해물질의 인체 영향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89%

12. 다음 중 사업장의 보건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8월)
     1.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업주에게 특정 근로자에 대한 임시건강진단의 실시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 할 수 있다.
     2.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할 때에는 본인의 동의 없이도 건강진단을 한 건강진단기관으로 하여금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직업성 질환의 진단 및 예방, 발생원인의 규명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근로자의 질병과 작업장의 유해요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직업성 질환 역학조사를 할 수 있다.
     4.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본인 동의 필요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어떤 플라스틱 제조 공장에 2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1년에 4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 공장의 도수율은? (단, 1일 8시간 연간 290일 근무기준)(2004년 05월)
     1. 200
     2. 86.2
     3. 17.3
     4. 4.4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0(재해건수)/8*290*200
*10^6
[해설작성자 : 제빵왕김간호사]

14. 직업병 진단 시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성별
     2. 노출의 추정
     3. 작업환경측정
     4. 생물학적 모니터링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 요소 >
1. 노출의 추정
2. 작업환경측정
3. 생물학적 모니터링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15.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일반대중에 대한 책임
     3.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4. 국가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88%

16. 근육운동에 동원되는 주요 에너지의 생산방법 중 혐기성 대사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아데노신 삼인산
     2. 크레아틴 인산
     3. 지방
     4. 글리코겐

     정답 : []
     정답률 : 89%

17. 다음은 서울종로 혜화동 전철역에서 측정한 오존의 농도이다. 기하평균(ppm)은?(2006년 03월)

    

     1. 약 2.07
     2. 약 2.21
     3. 약 2.52
     4. 약 2.74

     정답 : []
     정답률 : 62%

18. 다음 중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원리 5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2년 03월)
     1. 사실의 발견 → 분석ㆍ평가 → 조직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2. 사실의 발견 → 시정방법의 선정 → 분석ㆍ평가 → 조직 → 시정책의 적용
     3. 조직 → 분석ㆍ평가 → 사실의 발견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4. 조직 → 사실의 발견 → 분석ㆍ평가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정답 : []
     정답률 : 88%

19. 산업위생 역사에서 영국의 외과의사 Percivall Pott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직업성 암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2. 산업혁명 이전의 산업위생 역사이다.
     3. 어린이 굴뚝 청소부에게 많이 발생하던 음낭암(scrotal cancer)의 원인물질을 검댕(soot)이라고 규명하였다.
     4. Pott의 노력으로 1788년 영국에서는 도제 건강 및 도덕법(Health and Morals of Apprentices Act)이 통과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obert Peel 1802년
도제 건강 및 도덕법 제정에 주도적 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똔또니]

20. 다음 중에서 피로물질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크레아틴
     2. 젖산
     3. 글리코겐
     4. 초성포도당

     정답 : []
     정답률 : 64%

2과목 :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기기 내의 알콜이 위의 눈금에서 아래 눈금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기기는?(2017년 08월)
     1. 열선 풍속계
     2. 카타 온도계
     3. 액정 풍속계
     4. 아스만 통풍계

     정답 : []
     정답률 : 80%

22. 작업환경 공기 중에 TLV가 750ppm인 아세톤이 500ppm, TLV가 200ppm인 부틸아세테이트가 180ppm,TLV가 200ppm인 메틸에틸케톤이 150ppm으로 측정되었다. 이들이 상가작용을 일으킨다고 가정할 때 허용기준의 초과도는?(2003년 03월)
     1. 1.3
     2. 1.8
     3. 2.3
     4. 2.8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00/750 + 180/200 + 150/200 =2.31
[해설작성자 : 화이팅]

23.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2013년 03월)
     1. 밀폐용기
     2. 기밀용기
     3. 밀봉용기
     4. 차광용기

     정답 : []
     정답률 : 60%

24. 공장 내 지면에 설치된 한 기계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소음이 70dB(A)이었다. 기계의 소음이 50dB(A)로 들리는 지점은 기계에서 몇 m떨어진 곳인가? (단, 점음원 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1년 03월)
     1. 200m
     2. 100m
     3. 50m
     4. 20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SPL = PWL - 20 log(r)-8
r=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 (m)
70 = x - 20 log(10) -8 , x= 98
50 = 98 - 20 log(y) -8 , y= 100
[해설작성자 : 감자탕]

25. 1 N-HCI(F=1.000) 500m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진한 염산(비중 : 1.18, 함량 : 35%)의 부피(mL)는?(2017년 03월)
     1. 약 18
     2. 약 36
     3. 약 44
     4. 약 6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35% 염산 용액의 몰농도 (35/36.46)/(100/1.18) * 1000 = 11.33M
따라서 500 * (1/11.33)= 44.13
[해설작성자 : 하와와 너무 쉬운거시와요]

26. 다음은 고열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단, 고시 기준)(2015년 03월)

    

     1. 7.5센티미터 또는 5센티미터
     2. 15센티미터
     3. 3센티미터 이상 5센티미터 미만
     4. 15센티미터 미만

     정답 : []
     정답률 : 70%

27. ACGIH에서는 입자상물질을 크게 흡입성, 흉곽성, 호흡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흡입성 먼지는 기관지계나 폐포 어느 곳에 침착하더라도 유해한 입자상 물질로 보통 입자크기는 1~10μm 이내의 범위이다.
     2. 흉곽성 먼지는 가스교환부위인 폐기도에 침착하여 독성을 나타내며 평균 입자크기는 50μm이다.
     3. 흉곽성 먼지는 호흡기계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유해한 입자상 물질이며 평균입자크기는 25μm이다.
     4. 호흡성 먼지는 폐포에 침착하여 독성을 나타내며 평균입자 크기는 4μm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28. 가스상물질에 대한 시료채취방법인 순간시료채취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8월)
     1. 오염물질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2. 공기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을 때
     3. 근로자에 대한 폭로시간이 일정하지 않을 때
     4. 시간가중평균치를 구하고자 할 때

     정답 : []
     정답률 : 22%

29. 흡수액을 이용하여 액체 포집한 후 시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었다. 이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구하면?(2014년 08월)

    

     1. 0.1mg/m3
     2. 0.2mg/m3
     3. 0.3mg/m3
     4. 0.4mg/m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0.5-6.25)/(1.1*389*0.8)]=0.1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0.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trichloroethylene의 근로자 노출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본 결과, 평균 40ppm이었다. 활성탄관(100mg/50mg)을 이용하여 0.14L/분으로 채취하였다. 채취해야할 최소한의 시간(분)은? (단, trichloroethylene의 분자량: 131.39, 25℃, 1기압,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한계(LOQ: 0.4mg)(2015년 05월)
     1. 10.3
     2. 13.3
     3. 16.3
     4. 19.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0.4/40/131.39*24.45/0.14*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농도 단위 환산
>>40ppm*(131.39g/24.45L)=214.95mg/m^3
2.최소 채취 양
=(정량한계/농도)=0.4mg/214.95mg/m^3=1.86L
3.채취 최소 시간
=1.86L/(0.14L/분)=13.29분
[해설작성자 : 부경대]

2. 최소 채취량에 m^3 -> L로 변환을 위한 X10^3이 빠졌어요~
(0.4mg/214.95mg/m^3)*10^3L/m^3=1.86L
[해설작성자 : 구래용]

31. 석면분진 측정방법중 공기중 석면시료를 가장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석면의 성분 분석이 가능하며 매우 가는 섬유도 관찰가능하나 값이 비싸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2003년 03월)
     1. 위상차현미경법
     2. 편광현미경법
     3. X-선 회절법
     4. 전자현미경법

     정답 : []
     정답률 : 56%

32. 다음 중 검지관법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2014년 05월)
     1. 색변화가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제조자가 정한 시간에 읽어야 한다.
     2. 산업위생전문가의 지도 아래 사용되어야 한다.
     3. 특이도가 낮다.
     4. 다른 방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아 단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전문가도 어느정도 숙지하면 사용할 수 있지만 산업위생전문가의 지도 아래 사용되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COLORS11]

4. 다른 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차가 크다 => 즉 특이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합격]

33. 단위작업장소에서 검지관 방식으로 가스상 물질을 측정할 수 잇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예비조사 목적인 경우
     2. 검지관 방식 외에 다른 측정방법이 없는 경우
     3.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단일물질인 경우(다만, 자격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한다.)
     4. 발생하는 가스상물질이 복합물질이나 농도가 낮은 경우(다만, 자격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34. 초기무게가 1.260g인 깨끗한 PVC여과지를 하이볼륨 시료 채취기(High-volume sampler)에 장착하여 어떤 작업장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2.5L/분의 유량으로 시료 채취기를 작동시킨 후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1.280g 이었다면 채취한 입자상 물질의 작업장 내 평균농도(mg/m3)는?(2013년 08월)
     1. 7.8
     2. 13.4
     3. 16.7
     4. 19.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280-1.260g*(10^3 mg/g)
작업장 내 평균 농도(mg/m^3) = ----------------------------- = 16.67mg/m^3
                                                            2.5L/min *480min* (10^-3m^3/L)
[해설작성자 : 쭈짱]

35. 작업환경측정방법 중 측정시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단, 고시 기준)(2012년 05월)

    

     1.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2회 이상
     2.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4회 이상
     3.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6회 이상
     4.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8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80%

36. 화학공장의 작업장 내에 먼지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5, 6, 5, 6, 6, 6, 4, 8, 9, 8 ppm이었다. 이러한 측정치의 기하평균(ppm)은?(2015년 03월)
     1. 5.13
     2. 5.83
     3. 6.13
     4. 6.83

     정답 : []
     정답률 : 75%

37. 일산화탄소 1m3가 100,000m3의 밀폐된 차고에 방출되었다면 이 때 차고 내 공기 중 일산화탄소의 농도(ppm)는? (단, 방출 전 차고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무시함)(2010년 03월)
     1. 0.1
     2. 1.0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52%

38. 부유분진을 기기내에 통과시키면서 광을 투사하여 분진에의한 산란광을 광전자증배관에 받아 광전류를 적분하여 이 광전류와 시간의 곱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하나의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도록 한 장치는?(2007년 03월)
     1. 디지털 분진계
     2. 피에조 밸런스
     3. 압전형 분진계
     4. 전기식 분진계

     정답 : []
     정답률 : 30%

39. 세척공정에서 발생되는 유기용제를 측정한 결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톨루엔이 검출되었다. 혼합물의 노출계수(Em)를 계산한 결과 0.96이었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시료분석 포집오차(RSt)를 구하였더니 0.115였다. 혼합물의 노출기준은?(2004년 03월)
     1. 0.845
     2. 1.075
     3. 1.115
     4. 1.232

     정답 : []
     정답률 : 12%

40. 활성탄관을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한 후 분석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시료 농도는?(2009년 03월)

    

     1. 0.52 mg/m3
     2. 0.46 mg/m3
     3. 0.35 mg/m3
     4. 0.21 mg/m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g/m3= [(25+2)-(1.5+0.35)]X10-3
                ------------------------ = 0.45
                        0.15X10-3X370

시료의 농도 χ X 0.98 = 0.45         =>     χ = 0.46
[해설작성자 : 병아리춘식이]

3과목 : 작업환경관리대책


41. 푸쉬-풀(push-pull)후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도금조와 같이 폭이 넓은 경우에 사용하면 포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필요유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2. 제어속도는 푸쉬 제트기류에 의해 발생한다.
     3. 설비 중 노즐의 각도는 제트기류의 방해받지 않도록 상향으로 일정한 각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4. 공정에서 작업물체를 처리조에 넣거나 꺼내는 중에 공기막이 파괴되어 오염물질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42. 다음 중 0.01㎛정도의 미세분진까지 처리할 수 있는 집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중력 집진기
     2. 전기 집진기
     3. 세정식 집진기
     4. 원심력 집진기

     정답 : []
     정답률 : 68%

43. 다음 중 중성자의 차폐(shielding) 효과가 가장 적은 물질은?(2022년 03월)
     1.
     2. 파라핀
     3.
     4. 흑연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중성자의 차폐 : 물, 파라핀, 흑연, 분소함유 물질, 콘크리트 등이 사용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덕트에서 공기 흐름의 평균 속도압이 25mmH2O 였다면 덕트에서의 반송속도(m/sec)는? (단, 공기 밀도 1.21kg/m3)(2006년 05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66%

45. 송풍기의 동작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7년 08월)
     1.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동력곡선이 만나는 점
     2. 송풍기의 정압곡선과 시스템 효율곡선이 만나는 점
     3.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요구곡선이 만나는 점
     4. 송풍기의 정압곡선과 시스템 동압곡선이 만나는 점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송풍기의 동작점(작동점)은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요구곡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

46. 국소배기시설이 희석환기시설보다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선호도가 높다. 이에 대한 이유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설계가 잘된 경우 오염물질의 제거가 거의 완벽하다.
     2. 오염물질의 발생 즉시 배기시키므로 필요 공기량이 적다.
     3. 오염 발생원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4. 오염물질 독성이 클 때도 효과적 제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오염 발생원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는 희석환기(전체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47. 다음 방음 보호구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 만으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5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77%

48. A용제가 800m3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이었다. 이 방으로 환기량 40m3/분을 공급한다면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유해물질 발생은 정지, 환기만 고려함)(2011년 06월)
     1. 약 12분
     2. 약 14분
     3. 약 24분
     4. 약 28분

     정답 : []
     정답률 : 60%

49. 전기집진장치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압력손실이 낮아 송풍기의 가동비용이 저렴하다.
     2. 고온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3. 가연성 입자의 처리가 용이하다.
     4. 넓은 범위의 입경과 분진농도에 집진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57%

50. A 물질의 증기압이 50 mmHg이라면 이때 포화 증기농도(%)는? (단, 표준상태 기준)(2016년 03월)
     1. 6.6
     2. 8.8
     3. 10.0
     4. 12.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화농도(%)=(물질의증기압÷760mmhg)*10^2
포화농도가 ppm일경우 *10^6
[해설작성자 : 외우기]

51.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7m×14m×4m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 이었다면 이 방으로 환기량 20m3/분을 공급한 후 노출기준인 50ppm으로 달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발생 정지 기준)(2012년 05월)
     1. 27분
     2. 32분
     3. 41분
     4. 53분

     정답 : []
     정답률 : 68%

52. 21℃ 기체를 취급하는 어떤 송풍기의 풍량이 20m3/min이다. 동일한 송풍기가 동일한 회전수로 50℃인 기체를 취급한다면 이때 풍량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10m3/min
     2. 15m3/min
     3. 20m3/min
     4. 25m3/min

     정답 : []
     정답률 : 48%

53. 차음보호구인 귀마개(Ear Plu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차음효과는 일반적으로 귀덮개보다 우수하다.
     2. 외청도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
     3. 더러운 손으로 만짐으로써 외청도를 오염시킬 수 있다.
     4. 귀덮개와 비교하면 제대로 착용하는데 시간은 걸리나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차음효과는 귀덮개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마서라벌]

54. 온도 125℃, 800mmHg인 관내로 100m3/min의 유량의 기체가 흐르고 있다. 표준상태(21℃, 760mmHg)읜 유량으로는 얼마인가?(2013년 03월)
     1. 약 52 m3/min
     2. 약 69 m3/min
     3. 약 78 m3/min
     4. 약 83 m3/min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800/760)* (273+21)/(273+125)*100 = 77.75 m^3/min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55.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방진마스크의 흡기저항과 배기저항은 모두 낮은 것이 좋다.
     2. 방진마스크의 포집효율과 흡기저항 상승률은 모두 높은 것이 좋다.
     3. 방독마스크는 사용 중에 조금이라도 가스냄새가 나는 경우 새로운 정화통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4. 방독마스크의 흡수제는 활성탄, 실리카겔, sodalime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56. 눈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KS 표준 기준)(2020년 06월)
     1. 눈을 보호하는 보호구는 유해광선 차광 보호구와 먼지나 이물을 막아주는 방진안경이 있다.
     2. 400A 이상의 아크 용접 시 차광도 번호 14의 차광도 보호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눈, 지붕등으로부터 반사광을 받는 작업에서는 차광도 번호 1.2-3 정도의 차광도 보호안경을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4. 단순히 눈의 외상을 막는데 사용되는 보호안경은 열처리를 하거나 색깔을 넣은 렌즈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사용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57.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유공간에서 구형의 분진 입자를 고려한다.)(2020년 08월)
     1.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에 반비례한다.
     2.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3. 기체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4. 분진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침강속도]
리프만식
V = 0.003 * ρ * d^2
(ρ : 입자 밀도, d : 입자 직경)

스토크스식
V = (g * d^2 * (ρ1-ρ)) / 18μ
(g : 중력가속도, d : 입자 직경, ρ1 : 입자밀도, ρ : 공기밀도, μ : 공기점성계수)

1. 중력가속도 g 에 비례 (o)
2. 입자직경 d의 제곱에 비례 (o)
3. 공기의 점성계수 μ 에 반비례 (o)
4. 입자와 공기의 밀도차 ρ1-ρ 에 반비례 (x) 가 아니라 비례 (o)
[해설작성자 : 잘생쁜]

58. 방진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일반적으로 활성탄 필터가 많이 사용된다.
     2. 종류에는 격리식, 직결식, 면체여과식이 있다.
     3. 흡기저항 상승률은 낮은 것이 좋다.
     4. 비휘발성 입자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진마스크 필터 재질
1.면,모
2.유리섬유
3.합성섬유
4.금속섬유
[해설작성자 : 야미]

활성탄 필터는 방독마스크의 흡수제 재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해설작성자 : 똔또니]

59. 덕트 합류시 균형유지 방법 중 설계에 의한 정압 균형 유지법의 장, 단점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설계 시 잘못된 유량을 고치기가 용이함
     2. 설계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림
     3. 최대 저항 경로 선정이 잘못되어도 설계 시 쉅게 발견 할 수 있음
     4. 때에 다라 전체 필요한 최소유량보다 더 초과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36%

60. 흡인 풍량이 200m3/min, 송풍기 유효전압이 150mmH2O, 송풍기 효율이 80%인 송풍기의 소요 동력은?(2019년 04월)
     1. 3.5kW
     2. 4.8kW
     3. 6.1kW
     4. 9.8kW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요동력(kW)=(Q×전압/6120×효율)×a(1.0)
=(200×150/6120×0.8)×1.0
=6.13
[해설작성자 : 야미]

4과목 :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다음 설명에 가장 알맞은 조명의 종류는?(2005년 03월)

    

     1. 직접조명
     2. 간접조명
     3. 전반조명
     4. 전반조명과 국소조명을 병용한 조명

     정답 : []
     정답률 : 65%

62. 다음 증상 중에서 저기압 환경에서 일어나는 것은?(2003년 08월)
     1. 극도의 우울증, 두통, 오심, 구토, 식욕상실
     2. 작업력의 저하, 기분의 변환 등 질소마취
     3. 시력장해, 현청, 근육경련 등의 산소중독
     4. 이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중상

     정답 : []
     정답률 : 56%

63. 다음 중 적외선의 생체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조직에 흡수된 적외선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구성분자의 운동에너지를 증대시킨다.
     2. 만성폭로에 따라 눈장해인 백내장을 일으킨다.
     3. 700nm 이하의 적외선은 눈의 각막을 손상시킨다.
     4. 적외선이 체외에서 조사되면 일부는 피부에서 반사되고 나머지만 흡수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64. 진동수에 따른 등청감곡선에서 나타나는 것 중 옳은 것은 ?(2004년 03월)
     1. 수평진동은 1 - 2㎐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2. 수평진동은 2 - 4㎐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3. 수평진동은 4 - 8㎐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4. 수평진동은 8 - 16㎐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정답 : []
     정답률 : 24%

65. 감압환경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기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감압속도가 너무 빠르면 폐포가 파열되고 흉부조직내로 탈출한 질소가스 때문에 종격기종, 기흉, 공기전색을 일으킬 수 있다.
     2. 감압에 따라 조직에 용해되었던 질소의 기포형성량은 연령, 기온, 운동, 공포감, 음주 등으로 인하여 조직내 용해된 가스량에 차이에 의하여 달라진다.
     3. 동통성관절장해는 감압증에서 보는 흔한 증상이다.
     4. 동통성관절장해의 발증에 대한 감수성은 연령, 비만, 폐손상, 심장장해, 일시적 건강장해, 소인발생소질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27%

66. 작업환경내의 소음이란 음원에서의 거리가 2배로 될 때 음압레벨은 점음원인 경우 어느 정도 감쇠하겠는가? (단, 자유음장 기준)(2005년 03월)
     1. 2dB
     2. 3dB
     3. 4dB
     4. 6dB

     정답 : []
     정답률 : 66%

67. 전리방사선의 흡수선량이 생체에 영향을 주는 정도로 표시하는 선당량(생체실효선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약자는?(2005년 03월)
     1. R
     2. Ci
     3. rem
     4. rad

     정답 : []
     정답률 : 35%

68. 마이크로파의 생물학적 작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3월)
     1. 500cm 이상의 파장은 인체 조직을 투과한다.
     2. 3cm 이하 파장은 외피에 흡수된다.
     3. 3~10cm파장은 1mm~1cm정도 피부내로 투과한다.
     4. 25~200cm파장은 세포 조직과 신체기관까지 투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파장200cm 이상의 마이크로파는 거의 모든 인체조직을 투과함.
[해설작성자 : 안녕]

69. 다음 중 파장이 가장 긴 선은 무엇인가?(2003년 03월)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선
     4. X - 선

     정답 : []
     정답률 : 29%

7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소음계에서 A 특성치는 몇 phon의 등청감곡선과 비슷하게 주파수에 따른 반응을 보정하여 측정한 음압수준을 말하는가?(2015년 05월)
     1. 40
     2. 70
     3. 100
     4. 14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A 특성치 = 40phon
B 특성치 = 70phon
C 특성치 = 100phon
[해설작성자 : violet]

71. 다음 중 산소농도 저하시 농도에 따른 증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1년 08월)
     1. 12~16%:맥박과 호흡수 증가
     2. 9~14%:판단력 저하와 기억상실
     3. 6~10%:의식상실, 근육경련
     4. 6% 이하:중추신경장해, Cheynestoke호흡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산소농도
12~16: 맥박, 호흡수 증가, 두통, 이명, 정신집중 곤란
9~14: 불안정한 정신상태, 판단력 저하, 기억상실
6~10: 의식불명, 안면창백, 전신근육경련
6 이하: 40초내 혼수상태, 호흡정지, 사망

72. 기류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흑구온도계
     2. 열선풍속계
     3. 카타온도계
     4. 풍차풍속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흑구온도계 태양의 직달일사량과 대기의 산란에 의한 일사량(전천일사량)을 측정하기 위해 영국에서 고안된 온도계이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는모두합격]

73. 방진고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내유 및 내열성이 약하다.
     2. 공기중의 오존에 의해 산화된다.
     3. 고무자체 내부마찰에 의한 저항을 얻을 수 없다.
     4. 고주파 진동의 차진에 양호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74. 인간 공학적인 측면에서 진동공구의 무게는 몇 kg 이상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은가?(2003년 03월)
     1. 3kg
     2. 5kg
     3. 10kg
     4. 15kg

     정답 : []
     정답률 : 27%

75. 해수면에 있어서 산소분압은 약 얼마인가? (단, 표준 상태기준이다.)(2007년 03월)
     1. 90 mmHg
     2. 160 mmHg
     3. 210 mmHg
     4. 230 mmHg

     정답 : []
     정답률 : 57%

76. 작업장의 환경에서는 기류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거나, 실내 0.2~0.5m/s 정도의 불감기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풍차풍속계
     2. 카타(Kata)온도계
     3. 가열온도풍속계
     4. 습구흡구온도계(WBGT)

     정답 : []
     정답률 : 80%

77. 자유공간에 위치한 점음원의 음향 파워레벨(PWL)이 110dB일 때, 이 점음원로부터 100m 떨어진 곳의 음압레벨(SPL)은?(2015년 03월)
     1. 49 dB
     2. 59 dB
     3. 69 dB
     4. 79 dB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10-20*log(100)-1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도르노선(Dorno-ray)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2019년 08월)
     1. 가시광선의 일종이다.
     2. 280 ~ 315 Å 파장의 자외선을 의미한다.
     3. 소독작용, 비타민 D 형성 등 생물학적 작용이 강하다.
     4. 절대온도 이상의 모든 물체는 온도에 비례하여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번으로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단위가 A가 아니라 nm입니다.
[해설작성자 : 세찌두찌모찌]

79. 흡음재의 종류 중 다공질 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암면
     2. 펠트(felt)
     3. 석고보드
     4. 발포 수지재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석고보드는 판(막) 진동형 흡음재이다.
[해설작성자 : 공공이]

80. 다음 중 저기압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산소결핍을 보충하기 위하여 호흡수, 맥박수가 증가된다.
     2. 고도 1000ft(3048m)까지는 시력, 협조운동의 가벼운 장해 및 피로를 유발한다.
     3. 고도 18000ft(5468m) 이상이 되면 21% 이상의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4.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상승하여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저하되고,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저하하며 산소결핍증을 주로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

81. 물질 A의 독성에 관한 인체실험 결과, 안전흡수량이 체중 kg당 0.1mg이었다. 체중이 50kg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작업할 경우 이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 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농도를 몇 mg/m3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시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0으로 한다.)(2020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kg:0.1mg=50kg:Xmg -> 50kg의 안전흡수량 : 5mg
체내흡수량=유해물질농도x시간x폐환기율x체내잔류율
5=공기중물질농도x8x1.25x1.0
농도= 0.5
[해설작성자 : 주먹왕랄프]

몸무게1kg 당 0.1mg * 50kg = 안전흡수량 5mg
작업시 폐환기율 1.25 * 작업시간 8 = 폐환기율 10
안전흡수량/폐환기율 5/10 = 0.5mg/m^3
[해설작성자 : 이거맞나]

82. 유해물질의 분류에 있어 질식제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3월)
     1. H2
     2. N2
     3. O3
     4. H2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오존도 화학적질식제로 포함되어 이 문제 정답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산업안전공단에서 배포한 2019 현장작업자를 위한 밀폐공간 작업 안전교재(발간번호 2019-교육홍보-588)를 보면
단순질식제: 수소, 질소, 헬륨, 메탄, 에탄, 탄산가스, 프레온가스
화학적질식제(혈액중 산소 운반능력을 방해하는 가스, 조직으로 산소배분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혈액 중 산소 운반능력을 방해하는 가스: 일산화탄소, 아닐린, 니트로소아미, 아비산
조직으로 산소배분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황화수소, 오존, 염소, 포스겐
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후 자료에서는 질식제에 대한 분류를 명시해 놓은 자료가 없지만, 2019년 11월 발행된 자료까지는 명확하게 분류가 되있었기에 이 문제는 정답 없음이 맞습니다.

83. 다음 중 납중독을 확인하는데 이용하는 시험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혈중의 납
     2. 헴(heme)의 대사
     3. 신경전달속도
     4. EDTA 흡착능

     정답 : []
     정답률 : 74%

84.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흡수경로와 상관없이 전체적인 노출을 평가할 수 있다.
     2. 노출된 유해인자에 대한 종합적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3. 지방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4. 인체에 흡수된 내재용량이나 중요한 조직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85. 다음 중 스티렌(styrene)에 노출되었음을 알려 주는 요 중 대사산물은?(2013년 08월)
     1. 페놀
     2. 마뇨산
     3. 만델린산
     4. 메틸마뇨산

     정답 : []
     정답률 : 66%

86. 독성실험단계에 있어 제1단계(동물에 대한 급성노출시험)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3월)
     1. 생식독성과 최기형성 독성실험을 한다.
     2. 눈과 피부에 대한 자극성 실험을 한다.
     3. 변이원성에 대하여 1차적인 스크리닝 실험을 한다.
     4. 치사성과 기관장해에 대한 양-반응곡선을 작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 2단계 동물에 대한 만성폭로 시험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87. 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페인트, 신나, 잉크 등의 용제로 사용되며 장기간 폭로될 경우, 독성 말초신경장애가 초래 되어 사지의 지각상실과 신근마비 등 다발성 신경장해를 일으키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대표적인 유해물질은?(2003년 08월)
     1. 벤젠
     2. 톨루엔
     3. 클로로포름
     4. 노르말헥산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발성 신경장해 = 노말헥산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8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중금속의 종류는?(2013년 03월)

    

     1. 크롬
     2. 카드뮴
     3.
     4. 수은

     정답 : []
     정답률 : 83%

89. 망간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금속망간의 직업성 노출은 철강제조 분야에서 많다.
     2. 망간의 만성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2가의 망간화합물이다.
     3. 치료제는 CaEDTA가 있으며 중독 시 신경이나 뇌세포 손상 회복에 효과가 크다.
     4. 이산화망간 흄에 급성 폭로되면 열, 오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열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망간중독에는 EDTA 투입이 금지
[해설작성자 : 화이팅]

망간중독의 치료 및 예방법은 망간에 폭로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것이고, 증상의 초기단계에서는 킬레이트 제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망간에 의한 신경손상이 진행되어 일단 증상이 고정되면 회복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DTA 투입 금지는 아니고 가능 하지만 효과가 매우 뛰어난게    아님 카드뮴이 투입 금지

90. TD50(Toxin Dos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5월)
     1. 실험동물의 50%에서 심각한 독성반응이 나타나는 양
     2. 실험동물의 50%가 심각한 독성반응으로 죽게 되는 양
     3. 실험동물의 50%에서 관찰 가능한 가역적 독성반응이 나타나는 양
     4. 실험동물의 50%에서 독성의 양-반응관계가 성립되는 양

     정답 : []
     정답률 : 46%

91. 진폐증의 독성병리기전과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천식
     2. 섬유증
     3. 폐 탄력성 저하
     4. 콜라겐 섬유 증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진폐증의 대표적 병리소견인 섬유증이란 폐포, 폐포관 등을 이루고 있는 폐포들 사이에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는 현상이다.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면 폐의 탄력성이 떨어져 호흡곤란, 지속적 기침, 폐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백호형]

92. 중금속 중에서 칼슘대사에 장애를 주어 신결석을 동반한 신증후군이 나타나고 다량의 칼슘배설이 일어나 뼈의 통증, 골연화증 및 골수공증과 같은 골격계 장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6년 03월)
     1. 망간(Mn)
     2. 카드뮴(Cd)
     3. 비소(As)
     4. 수은(Hg)

     정답 : []
     정답률 : 65%

93. 독성물질의 생체과정인 흡수, 분포, 생전환, 배설 등의 변화를 일으켜 독성이 낮아지는 길항작용의 종류로 적절한 것은?(2010년 03월)
     1. 화학적 길항작용
     2. 기능적 길항작용
     3. 배분적 길항작용
     4. 수용체 길항작용

     정답 : []
     정답률 : 75%

94.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시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공기 중 유해인자
     2. 요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3. 혈액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4. 호기(exhaled air)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정답 : []
     정답률 : 78%

95.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햇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8월)
     1. LC50
     2. ED50
     3. LD50
     4. TD5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LD50 : 유해물질 경구투여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기간동안 죽는 치사량
LC50 : 기체상태의 독성물질을 호흡시켜 50%가 죽는 농도
ED50 : 약물을 투여한 동물의 50%가 일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양
TL50 : 시험유기체의 50%가 살아남는 독성물질 양
TD50 : 시험유기체의 50%에서 심각한 독성반응을 나타내는 양
[해설작성자 : 그렇구나]

96. 다음 중 소화기로 흡수된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인체 기관은?(2012년 05월)
     1. 신장
     2.
     3. 담낭
     4. 위장

     정답 : []
     정답률 : 78%

97. 동물을 대상으로 양을 투여했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ED50
     2. LC50
     3. LD50
     4. TD50

     정답 : []
     정답률 : 75%

98.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2018년 03월)
     1. 물질의 농도차
     2. 물질의 입자분포
     3. 물질의 발생기전
     4. 물질의 수용성 정도

     정답 : []
     정답률 : 70%

99. 다음 중 중절모자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발견되어 hatter’s shake라고 하며 근육경련을 유발하는 중금속은?(2021년 05월)
     1. 카드뮴
     2. 수은
     3. 망간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로마시대 수은광산 수은중독 사망
우리나라 형광등 제조업체 문송면 직업병
금속 중 증기를 발생시켜 산업중독 일으킴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100. 장기간 폭로될때 간조직세포에서 여러 소기관이 증식하고 섬유화증상이 나타나 간에 혈관육종(hemangiosarcoma)을 일으키는 물질은?(2005년 03월)
     1. 삼염화에틸렌
     2. 사염화에틸렌
     3. 염화비닐
     4. 메틸클로로포름

     정답 : []
     정답률 : 35%


정 답 지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위생학개론


1. 작업의 강도가 클수록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휴식시간이 길어지며 실동율은 감소하는데 작업대사율(RMR)이 6일때의 실동율(%)은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공식을 이용한다.)(2009년 05월)
     1. 70
     2. 65
     3. 60
     4. 55

     정답 : []
     정답률 : 73%

2. 구리(Cu)의 공기 중 농도가 0.05mg/m3이다. 작업자의 노출시간은 8시간이며,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이라고 할 때, 체내 흡수량은?(2013년 06월)
     1. 0.1mg
     2. 0.2mg
     3. 0.5mg
     4. 0.8m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0.05*8*1.25*1=0.5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제시한 중량물의 들기작업에 관한 감시기준(Action Limit)과 최대 허용기준 ( Maximum Permissible Limit)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6년 03월)
     1. MPL = 3AL
     2. MPL = 5AL
     3. MPL = 10AL
     4. MPL = AL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MPL(최대허용기준)=3AL(감시기준, 안전작업무게)
[해설작성자 : 내가 다 작성한다]

4. 다음 중 산업위생의 4가지 주요 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예측
     2. 평가
     3. 제거
     4. 관리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예측, 측정, 평가, 관리

5. 다음 중 매년 “화학물질과 물리적 인자에 대한 노출기준 및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발간하여 노출기준 제정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은?(2013년 08월)
     1. 미국산업위생학회(AIHA)
     2.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
     3.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4.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

     정답 : []
     정답률 : 83%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적정한 공기”의 조성 조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산소농도가 28% 이상 21%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10ppm미만 수준의 공기
     2. 산소농도가 16%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3%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5ppm 미만 수준의 공기
     3. 산소농도가 18% 이상 21%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5ppm 미만 수준의 공기
     4. 산소농도가 18%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 농도가 1.5% 미만, 황화수소 농도가 10ppm 미만 수준의 공기

     정답 : []
     정답률 : 89%

7. 출근인원이 100명인 작업장의 세면장(남자용)넓이로 가장 알맞는 것은? (단, 후생시설의 넓이를 정하는 일반적인 식을 적용)(2003년 05월)
     1. 15 m2
     2. 10 m2
     3. 5 m2
     4. 2 m2

     정답 : []
     정답률 : 17%

8. 누적외상성장애(CTDs :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불안전한 자세에서 장기간 고정된 한 가지 작업
     2. 고온 작업장에서 갑작스럽게 힘을 주는 전신작업
     3. 작업속도가 빠른 상태에서 힘을 주는 반복작업
     4. 작업내용의 변화가 없거나 휴식시간 없이 손과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88%

9. 실내공기질관리법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8년 04월)
     1. 석면
     2. 오존
     3. 라돈
     4. 일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문제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실내공기질 권고가준 오염물질 항목 (2018. 1. 1.부터 적용)
1. 이산화질소
2. 라돈
3.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4. 미세먼지
5. 곰팡이
정답은 ①②④ (라돈 제외한 모든항목 입니다)- 성안당 기출해설 참고
[해설작성자 : 별이이이]

10.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혈액의 채취, 보관, 분석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휘발성 물질 시료의 손실방지를 위하여 최대 용량채취
     2. 고무마개에 혈액 흡착을 고려
     3. 적절한 혈액 응고 제 선정
     4. 생물학적 기준치는 정맥혈을 기준

     정답 : []
     정답률 : 29%

11. 다음 중 작업환경내 작업자의 작업강도와 유해물질의 인체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인간은 동물에 비하여 호흡량이 크므로 유해물질에 대한 감수성은 동물보다 크다.
     2. 심한 노동을 할 때일수록 체내의 산소 요구가 많아지므로 호흡량이 증가한다.
     3. 유해물질의 침입경로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기이다.
     4. 작업강도가 커지면 신진대사가 왕성하게 되고 피로가 증가되어 유해물질의 인체 영향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89%

12. 다음 중 사업장의 보건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8월)
     1.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업주에게 특정 근로자에 대한 임시건강진단의 실시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 할 수 있다.
     2.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할 때에는 본인의 동의 없이도 건강진단을 한 건강진단기관으로 하여금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직업성 질환의 진단 및 예방, 발생원인의 규명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근로자의 질병과 작업장의 유해요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직업성 질환 역학조사를 할 수 있다.
     4.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본인 동의 필요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어떤 플라스틱 제조 공장에 2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1년에 4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 공장의 도수율은? (단, 1일 8시간 연간 290일 근무기준)(2004년 05월)
     1. 200
     2. 86.2
     3. 17.3
     4. 4.4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0(재해건수)/8*290*200
*10^6
[해설작성자 : 제빵왕김간호사]

14. 직업병 진단 시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성별
     2. 노출의 추정
     3. 작업환경측정
     4. 생물학적 모니터링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 요소 >
1. 노출의 추정
2. 작업환경측정
3. 생물학적 모니터링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15.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일반대중에 대한 책임
     3.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4. 국가에 대한 책임

     정답 : []
     정답률 : 88%

16. 근육운동에 동원되는 주요 에너지의 생산방법 중 혐기성 대사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아데노신 삼인산
     2. 크레아틴 인산
     3. 지방
     4. 글리코겐

     정답 : []
     정답률 : 89%

17. 다음은 서울종로 혜화동 전철역에서 측정한 오존의 농도이다. 기하평균(ppm)은?(2006년 03월)

    

     1. 약 2.07
     2. 약 2.21
     3. 약 2.52
     4. 약 2.74

     정답 : []
     정답률 : 62%

18. 다음 중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원리 5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2년 03월)
     1. 사실의 발견 → 분석ㆍ평가 → 조직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2. 사실의 발견 → 시정방법의 선정 → 분석ㆍ평가 → 조직 → 시정책의 적용
     3. 조직 → 분석ㆍ평가 → 사실의 발견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4. 조직 → 사실의 발견 → 분석ㆍ평가 → 시정방법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정답 : []
     정답률 : 88%

19. 산업위생 역사에서 영국의 외과의사 Percivall Pott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직업성 암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2. 산업혁명 이전의 산업위생 역사이다.
     3. 어린이 굴뚝 청소부에게 많이 발생하던 음낭암(scrotal cancer)의 원인물질을 검댕(soot)이라고 규명하였다.
     4. Pott의 노력으로 1788년 영국에서는 도제 건강 및 도덕법(Health and Morals of Apprentices Act)이 통과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obert Peel 1802년
도제 건강 및 도덕법 제정에 주도적 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똔또니]

20. 다음 중에서 피로물질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크레아틴
     2. 젖산
     3. 글리코겐
     4. 초성포도당

     정답 : []
     정답률 : 64%

2과목 :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기기 내의 알콜이 위의 눈금에서 아래 눈금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기기는?(2017년 08월)
     1. 열선 풍속계
     2. 카타 온도계
     3. 액정 풍속계
     4. 아스만 통풍계

     정답 : []
     정답률 : 80%

22. 작업환경 공기 중에 TLV가 750ppm인 아세톤이 500ppm, TLV가 200ppm인 부틸아세테이트가 180ppm,TLV가 200ppm인 메틸에틸케톤이 150ppm으로 측정되었다. 이들이 상가작용을 일으킨다고 가정할 때 허용기준의 초과도는?(2003년 03월)
     1. 1.3
     2. 1.8
     3. 2.3
     4. 2.8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00/750 + 180/200 + 150/200 =2.31
[해설작성자 : 화이팅]

23.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2013년 03월)
     1. 밀폐용기
     2. 기밀용기
     3. 밀봉용기
     4. 차광용기

     정답 : []
     정답률 : 60%

24. 공장 내 지면에 설치된 한 기계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소음이 70dB(A)이었다. 기계의 소음이 50dB(A)로 들리는 지점은 기계에서 몇 m떨어진 곳인가? (단, 점음원 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1년 03월)
     1. 200m
     2. 100m
     3. 50m
     4. 20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SPL = PWL - 20 log(r)-8
r=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 (m)
70 = x - 20 log(10) -8 , x= 98
50 = 98 - 20 log(y) -8 , y= 100
[해설작성자 : 감자탕]

25. 1 N-HCI(F=1.000) 500m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진한 염산(비중 : 1.18, 함량 : 35%)의 부피(mL)는?(2017년 03월)
     1. 약 18
     2. 약 36
     3. 약 44
     4. 약 6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35% 염산 용액의 몰농도 (35/36.46)/(100/1.18) * 1000 = 11.33M
따라서 500 * (1/11.33)= 44.13
[해설작성자 : 하와와 너무 쉬운거시와요]

26. 다음은 고열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단, 고시 기준)(2015년 03월)

    

     1. 7.5센티미터 또는 5센티미터
     2. 15센티미터
     3. 3센티미터 이상 5센티미터 미만
     4. 15센티미터 미만

     정답 : []
     정답률 : 70%

27. ACGIH에서는 입자상물질을 크게 흡입성, 흉곽성, 호흡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흡입성 먼지는 기관지계나 폐포 어느 곳에 침착하더라도 유해한 입자상 물질로 보통 입자크기는 1~10μm 이내의 범위이다.
     2. 흉곽성 먼지는 가스교환부위인 폐기도에 침착하여 독성을 나타내며 평균 입자크기는 50μm이다.
     3. 흉곽성 먼지는 호흡기계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유해한 입자상 물질이며 평균입자크기는 25μm이다.
     4. 호흡성 먼지는 폐포에 침착하여 독성을 나타내며 평균입자 크기는 4μm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28. 가스상물질에 대한 시료채취방법인 순간시료채취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8월)
     1. 오염물질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2. 공기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을 때
     3. 근로자에 대한 폭로시간이 일정하지 않을 때
     4. 시간가중평균치를 구하고자 할 때

     정답 : []
     정답률 : 22%

29. 흡수액을 이용하여 액체 포집한 후 시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었다. 이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구하면?(2014년 08월)

    

     1. 0.1mg/m3
     2. 0.2mg/m3
     3. 0.3mg/m3
     4. 0.4mg/m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0.5-6.25)/(1.1*389*0.8)]=0.1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0.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trichloroethylene의 근로자 노출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본 결과, 평균 40ppm이었다. 활성탄관(100mg/50mg)을 이용하여 0.14L/분으로 채취하였다. 채취해야할 최소한의 시간(분)은? (단, trichloroethylene의 분자량: 131.39, 25℃, 1기압,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한계(LOQ: 0.4mg)(2015년 05월)
     1. 10.3
     2. 13.3
     3. 16.3
     4. 19.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0.4/40/131.39*24.45/0.14*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농도 단위 환산
>>40ppm*(131.39g/24.45L)=214.95mg/m^3
2.최소 채취 양
=(정량한계/농도)=0.4mg/214.95mg/m^3=1.86L
3.채취 최소 시간
=1.86L/(0.14L/분)=13.29분
[해설작성자 : 부경대]

2. 최소 채취량에 m^3 -> L로 변환을 위한 X10^3이 빠졌어요~
(0.4mg/214.95mg/m^3)*10^3L/m^3=1.86L
[해설작성자 : 구래용]

31. 석면분진 측정방법중 공기중 석면시료를 가장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석면의 성분 분석이 가능하며 매우 가는 섬유도 관찰가능하나 값이 비싸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2003년 03월)
     1. 위상차현미경법
     2. 편광현미경법
     3. X-선 회절법
     4. 전자현미경법

     정답 : []
     정답률 : 56%

32. 다음 중 검지관법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2014년 05월)
     1. 색변화가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제조자가 정한 시간에 읽어야 한다.
     2. 산업위생전문가의 지도 아래 사용되어야 한다.
     3. 특이도가 낮다.
     4. 다른 방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아 단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전문가도 어느정도 숙지하면 사용할 수 있지만 산업위생전문가의 지도 아래 사용되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COLORS11]

4. 다른 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차가 크다 => 즉 특이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합격]

33. 단위작업장소에서 검지관 방식으로 가스상 물질을 측정할 수 잇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예비조사 목적인 경우
     2. 검지관 방식 외에 다른 측정방법이 없는 경우
     3.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단일물질인 경우(다만, 자격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한다.)
     4. 발생하는 가스상물질이 복합물질이나 농도가 낮은 경우(다만, 자격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34. 초기무게가 1.260g인 깨끗한 PVC여과지를 하이볼륨 시료 채취기(High-volume sampler)에 장착하여 어떤 작업장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2.5L/분의 유량으로 시료 채취기를 작동시킨 후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1.280g 이었다면 채취한 입자상 물질의 작업장 내 평균농도(mg/m3)는?(2013년 08월)
     1. 7.8
     2. 13.4
     3. 16.7
     4. 19.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280-1.260g*(10^3 mg/g)
작업장 내 평균 농도(mg/m^3) = ----------------------------- = 16.67mg/m^3
                                                            2.5L/min *480min* (10^-3m^3/L)
[해설작성자 : 쭈짱]

35. 작업환경측정방법 중 측정시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단, 고시 기준)(2012년 05월)

    

     1.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2회 이상
     2.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4회 이상
     3.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6회 이상
     4.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8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80%

36. 화학공장의 작업장 내에 먼지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5, 6, 5, 6, 6, 6, 4, 8, 9, 8 ppm이었다. 이러한 측정치의 기하평균(ppm)은?(2015년 03월)
     1. 5.13
     2. 5.83
     3. 6.13
     4. 6.83

     정답 : []
     정답률 : 75%

37. 일산화탄소 1m3가 100,000m3의 밀폐된 차고에 방출되었다면 이 때 차고 내 공기 중 일산화탄소의 농도(ppm)는? (단, 방출 전 차고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무시함)(2010년 03월)
     1. 0.1
     2. 1.0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52%

38. 부유분진을 기기내에 통과시키면서 광을 투사하여 분진에의한 산란광을 광전자증배관에 받아 광전류를 적분하여 이 광전류와 시간의 곱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하나의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도록 한 장치는?(2007년 03월)
     1. 디지털 분진계
     2. 피에조 밸런스
     3. 압전형 분진계
     4. 전기식 분진계

     정답 : []
     정답률 : 30%

39. 세척공정에서 발생되는 유기용제를 측정한 결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톨루엔이 검출되었다. 혼합물의 노출계수(Em)를 계산한 결과 0.96이었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시료분석 포집오차(RSt)를 구하였더니 0.115였다. 혼합물의 노출기준은?(2004년 03월)
     1. 0.845
     2. 1.075
     3. 1.115
     4. 1.232

     정답 : []
     정답률 : 12%

40. 활성탄관을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한 후 분석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시료 농도는?(2009년 03월)

    

     1. 0.52 mg/m3
     2. 0.46 mg/m3
     3. 0.35 mg/m3
     4. 0.21 mg/m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g/m3= [(25+2)-(1.5+0.35)]X10-3
                ------------------------ = 0.45
                        0.15X10-3X370

시료의 농도 χ X 0.98 = 0.45         =>     χ = 0.46
[해설작성자 : 병아리춘식이]

3과목 : 작업환경관리대책


41. 푸쉬-풀(push-pull)후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도금조와 같이 폭이 넓은 경우에 사용하면 포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필요유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2. 제어속도는 푸쉬 제트기류에 의해 발생한다.
     3. 설비 중 노즐의 각도는 제트기류의 방해받지 않도록 상향으로 일정한 각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4. 공정에서 작업물체를 처리조에 넣거나 꺼내는 중에 공기막이 파괴되어 오염물질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42. 다음 중 0.01㎛정도의 미세분진까지 처리할 수 있는 집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중력 집진기
     2. 전기 집진기
     3. 세정식 집진기
     4. 원심력 집진기

     정답 : []
     정답률 : 68%

43. 다음 중 중성자의 차폐(shielding) 효과가 가장 적은 물질은?(2022년 03월)
     1.
     2. 파라핀
     3.
     4. 흑연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중성자의 차폐 : 물, 파라핀, 흑연, 분소함유 물질, 콘크리트 등이 사용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덕트에서 공기 흐름의 평균 속도압이 25mmH2O 였다면 덕트에서의 반송속도(m/sec)는? (단, 공기 밀도 1.21kg/m3)(2006년 05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66%

45. 송풍기의 동작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7년 08월)
     1.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동력곡선이 만나는 점
     2. 송풍기의 정압곡선과 시스템 효율곡선이 만나는 점
     3.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요구곡선이 만나는 점
     4. 송풍기의 정압곡선과 시스템 동압곡선이 만나는 점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송풍기의 동작점(작동점)은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시스템 요구곡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

46. 국소배기시설이 희석환기시설보다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선호도가 높다. 이에 대한 이유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설계가 잘된 경우 오염물질의 제거가 거의 완벽하다.
     2. 오염물질의 발생 즉시 배기시키므로 필요 공기량이 적다.
     3. 오염 발생원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4. 오염물질 독성이 클 때도 효과적 제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오염 발생원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는 희석환기(전체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47. 다음 방음 보호구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 만으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5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77%

48. A용제가 800m3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이었다. 이 방으로 환기량 40m3/분을 공급한다면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유해물질 발생은 정지, 환기만 고려함)(2011년 06월)
     1. 약 12분
     2. 약 14분
     3. 약 24분
     4. 약 28분

     정답 : []
     정답률 : 60%

49. 전기집진장치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압력손실이 낮아 송풍기의 가동비용이 저렴하다.
     2. 고온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3. 가연성 입자의 처리가 용이하다.
     4. 넓은 범위의 입경과 분진농도에 집진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57%

50. A 물질의 증기압이 50 mmHg이라면 이때 포화 증기농도(%)는? (단, 표준상태 기준)(2016년 03월)
     1. 6.6
     2. 8.8
     3. 10.0
     4. 12.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화농도(%)=(물질의증기압÷760mmhg)*10^2
포화농도가 ppm일경우 *10^6
[해설작성자 : 외우기]

51.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7m×14m×4m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 이었다면 이 방으로 환기량 20m3/분을 공급한 후 노출기준인 50ppm으로 달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발생 정지 기준)(2012년 05월)
     1. 27분
     2. 32분
     3. 41분
     4. 53분

     정답 : []
     정답률 : 68%

52. 21℃ 기체를 취급하는 어떤 송풍기의 풍량이 20m3/min이다. 동일한 송풍기가 동일한 회전수로 50℃인 기체를 취급한다면 이때 풍량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10m3/min
     2. 15m3/min
     3. 20m3/min
     4. 25m3/min

     정답 : []
     정답률 : 48%

53. 차음보호구인 귀마개(Ear Plu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차음효과는 일반적으로 귀덮개보다 우수하다.
     2. 외청도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
     3. 더러운 손으로 만짐으로써 외청도를 오염시킬 수 있다.
     4. 귀덮개와 비교하면 제대로 착용하는데 시간은 걸리나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차음효과는 귀덮개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마서라벌]

54. 온도 125℃, 800mmHg인 관내로 100m3/min의 유량의 기체가 흐르고 있다. 표준상태(21℃, 760mmHg)읜 유량으로는 얼마인가?(2013년 03월)
     1. 약 52 m3/min
     2. 약 69 m3/min
     3. 약 78 m3/min
     4. 약 83 m3/min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800/760)* (273+21)/(273+125)*100 = 77.75 m^3/min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55.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방진마스크의 흡기저항과 배기저항은 모두 낮은 것이 좋다.
     2. 방진마스크의 포집효율과 흡기저항 상승률은 모두 높은 것이 좋다.
     3. 방독마스크는 사용 중에 조금이라도 가스냄새가 나는 경우 새로운 정화통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4. 방독마스크의 흡수제는 활성탄, 실리카겔, sodalime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56. 눈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KS 표준 기준)(2020년 06월)
     1. 눈을 보호하는 보호구는 유해광선 차광 보호구와 먼지나 이물을 막아주는 방진안경이 있다.
     2. 400A 이상의 아크 용접 시 차광도 번호 14의 차광도 보호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눈, 지붕등으로부터 반사광을 받는 작업에서는 차광도 번호 1.2-3 정도의 차광도 보호안경을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4. 단순히 눈의 외상을 막는데 사용되는 보호안경은 열처리를 하거나 색깔을 넣은 렌즈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사용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57.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유공간에서 구형의 분진 입자를 고려한다.)(2020년 08월)
     1.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에 반비례한다.
     2.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3. 기체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4. 분진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침강속도]
리프만식
V = 0.003 * ρ * d^2
(ρ : 입자 밀도, d : 입자 직경)

스토크스식
V = (g * d^2 * (ρ1-ρ)) / 18μ
(g : 중력가속도, d : 입자 직경, ρ1 : 입자밀도, ρ : 공기밀도, μ : 공기점성계수)

1. 중력가속도 g 에 비례 (o)
2. 입자직경 d의 제곱에 비례 (o)
3. 공기의 점성계수 μ 에 반비례 (o)
4. 입자와 공기의 밀도차 ρ1-ρ 에 반비례 (x) 가 아니라 비례 (o)
[해설작성자 : 잘생쁜]

58. 방진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일반적으로 활성탄 필터가 많이 사용된다.
     2. 종류에는 격리식, 직결식, 면체여과식이 있다.
     3. 흡기저항 상승률은 낮은 것이 좋다.
     4. 비휘발성 입자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진마스크 필터 재질
1.면,모
2.유리섬유
3.합성섬유
4.금속섬유
[해설작성자 : 야미]

활성탄 필터는 방독마스크의 흡수제 재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해설작성자 : 똔또니]

59. 덕트 합류시 균형유지 방법 중 설계에 의한 정압 균형 유지법의 장, 단점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설계 시 잘못된 유량을 고치기가 용이함
     2. 설계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림
     3. 최대 저항 경로 선정이 잘못되어도 설계 시 쉅게 발견 할 수 있음
     4. 때에 다라 전체 필요한 최소유량보다 더 초과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36%

60. 흡인 풍량이 200m3/min, 송풍기 유효전압이 150mmH2O, 송풍기 효율이 80%인 송풍기의 소요 동력은?(2019년 04월)
     1. 3.5kW
     2. 4.8kW
     3. 6.1kW
     4. 9.8kW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요동력(kW)=(Q×전압/6120×효율)×a(1.0)
=(200×150/6120×0.8)×1.0
=6.13
[해설작성자 : 야미]

4과목 :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다음 설명에 가장 알맞은 조명의 종류는?(2005년 03월)

    

     1. 직접조명
     2. 간접조명
     3. 전반조명
     4. 전반조명과 국소조명을 병용한 조명

     정답 : []
     정답률 : 65%

62. 다음 증상 중에서 저기압 환경에서 일어나는 것은?(2003년 08월)
     1. 극도의 우울증, 두통, 오심, 구토, 식욕상실
     2. 작업력의 저하, 기분의 변환 등 질소마취
     3. 시력장해, 현청, 근육경련 등의 산소중독
     4. 이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중상

     정답 : []
     정답률 : 56%

63. 다음 중 적외선의 생체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조직에 흡수된 적외선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구성분자의 운동에너지를 증대시킨다.
     2. 만성폭로에 따라 눈장해인 백내장을 일으킨다.
     3. 700nm 이하의 적외선은 눈의 각막을 손상시킨다.
     4. 적외선이 체외에서 조사되면 일부는 피부에서 반사되고 나머지만 흡수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64. 진동수에 따른 등청감곡선에서 나타나는 것 중 옳은 것은 ?(2004년 03월)
     1. 수평진동은 1 - 2㎐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2. 수평진동은 2 - 4㎐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3. 수평진동은 4 - 8㎐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4. 수평진동은 8 - 16㎐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정답 : []
     정답률 : 24%

65. 감압환경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기가 먼 것은?(2006년 05월)
     1. 감압속도가 너무 빠르면 폐포가 파열되고 흉부조직내로 탈출한 질소가스 때문에 종격기종, 기흉, 공기전색을 일으킬 수 있다.
     2. 감압에 따라 조직에 용해되었던 질소의 기포형성량은 연령, 기온, 운동, 공포감, 음주 등으로 인하여 조직내 용해된 가스량에 차이에 의하여 달라진다.
     3. 동통성관절장해는 감압증에서 보는 흔한 증상이다.
     4. 동통성관절장해의 발증에 대한 감수성은 연령, 비만, 폐손상, 심장장해, 일시적 건강장해, 소인발생소질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27%

66. 작업환경내의 소음이란 음원에서의 거리가 2배로 될 때 음압레벨은 점음원인 경우 어느 정도 감쇠하겠는가? (단, 자유음장 기준)(2005년 03월)
     1. 2dB
     2. 3dB
     3. 4dB
     4. 6dB

     정답 : []
     정답률 : 66%

67. 전리방사선의 흡수선량이 생체에 영향을 주는 정도로 표시하는 선당량(생체실효선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약자는?(2005년 03월)
     1. R
     2. Ci
     3. rem
     4. rad

     정답 : []
     정답률 : 35%

68. 마이크로파의 생물학적 작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3월)
     1. 500cm 이상의 파장은 인체 조직을 투과한다.
     2. 3cm 이하 파장은 외피에 흡수된다.
     3. 3~10cm파장은 1mm~1cm정도 피부내로 투과한다.
     4. 25~200cm파장은 세포 조직과 신체기관까지 투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파장200cm 이상의 마이크로파는 거의 모든 인체조직을 투과함.
[해설작성자 : 안녕]

69. 다음 중 파장이 가장 긴 선은 무엇인가?(2003년 03월)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선
     4. X - 선

     정답 : []
     정답률 : 29%

7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소음계에서 A 특성치는 몇 phon의 등청감곡선과 비슷하게 주파수에 따른 반응을 보정하여 측정한 음압수준을 말하는가?(2015년 05월)
     1. 40
     2. 70
     3. 100
     4. 14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A 특성치 = 40phon
B 특성치 = 70phon
C 특성치 = 100phon
[해설작성자 : violet]

71. 다음 중 산소농도 저하시 농도에 따른 증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1년 08월)
     1. 12~16%:맥박과 호흡수 증가
     2. 9~14%:판단력 저하와 기억상실
     3. 6~10%:의식상실, 근육경련
     4. 6% 이하:중추신경장해, Cheynestoke호흡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산소농도
12~16: 맥박, 호흡수 증가, 두통, 이명, 정신집중 곤란
9~14: 불안정한 정신상태, 판단력 저하, 기억상실
6~10: 의식불명, 안면창백, 전신근육경련
6 이하: 40초내 혼수상태, 호흡정지, 사망

72. 기류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흑구온도계
     2. 열선풍속계
     3. 카타온도계
     4. 풍차풍속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흑구온도계 태양의 직달일사량과 대기의 산란에 의한 일사량(전천일사량)을 측정하기 위해 영국에서 고안된 온도계이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는모두합격]

73. 방진고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내유 및 내열성이 약하다.
     2. 공기중의 오존에 의해 산화된다.
     3. 고무자체 내부마찰에 의한 저항을 얻을 수 없다.
     4. 고주파 진동의 차진에 양호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74. 인간 공학적인 측면에서 진동공구의 무게는 몇 kg 이상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은가?(2003년 03월)
     1. 3kg
     2. 5kg
     3. 10kg
     4. 15kg

     정답 : []
     정답률 : 27%

75. 해수면에 있어서 산소분압은 약 얼마인가? (단, 표준 상태기준이다.)(2007년 03월)
     1. 90 mmHg
     2. 160 mmHg
     3. 210 mmHg
     4. 230 mmHg

     정답 : []
     정답률 : 57%

76. 작업장의 환경에서는 기류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거나, 실내 0.2~0.5m/s 정도의 불감기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3월)
     1. 풍차풍속계
     2. 카타(Kata)온도계
     3. 가열온도풍속계
     4. 습구흡구온도계(WBGT)

     정답 : []
     정답률 : 80%

77. 자유공간에 위치한 점음원의 음향 파워레벨(PWL)이 110dB일 때, 이 점음원로부터 100m 떨어진 곳의 음압레벨(SPL)은?(2015년 03월)
     1. 49 dB
     2. 59 dB
     3. 69 dB
     4. 79 dB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10-20*log(100)-1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도르노선(Dorno-ray)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2019년 08월)
     1. 가시광선의 일종이다.
     2. 280 ~ 315 Å 파장의 자외선을 의미한다.
     3. 소독작용, 비타민 D 형성 등 생물학적 작용이 강하다.
     4. 절대온도 이상의 모든 물체는 온도에 비례하여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번으로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단위가 A가 아니라 nm입니다.
[해설작성자 : 세찌두찌모찌]

79. 흡음재의 종류 중 다공질 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암면
     2. 펠트(felt)
     3. 석고보드
     4. 발포 수지재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석고보드는 판(막) 진동형 흡음재이다.
[해설작성자 : 공공이]

80. 다음 중 저기압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산소결핍을 보충하기 위하여 호흡수, 맥박수가 증가된다.
     2. 고도 1000ft(3048m)까지는 시력, 협조운동의 가벼운 장해 및 피로를 유발한다.
     3. 고도 18000ft(5468m) 이상이 되면 21% 이상의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4.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상승하여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저하되고,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저하하며 산소결핍증을 주로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이상경]

81. 물질 A의 독성에 관한 인체실험 결과, 안전흡수량이 체중 kg당 0.1mg이었다. 체중이 50kg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작업할 경우 이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 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농도를 몇 mg/m3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시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0으로 한다.)(2020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kg:0.1mg=50kg:Xmg -> 50kg의 안전흡수량 : 5mg
체내흡수량=유해물질농도x시간x폐환기율x체내잔류율
5=공기중물질농도x8x1.25x1.0
농도= 0.5
[해설작성자 : 주먹왕랄프]

몸무게1kg 당 0.1mg * 50kg = 안전흡수량 5mg
작업시 폐환기율 1.25 * 작업시간 8 = 폐환기율 10
안전흡수량/폐환기율 5/10 = 0.5mg/m^3
[해설작성자 : 이거맞나]

82. 유해물질의 분류에 있어 질식제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3월)
     1. H2
     2. N2
     3. O3
     4. H2S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오존도 화학적질식제로 포함되어 이 문제 정답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산업안전공단에서 배포한 2019 현장작업자를 위한 밀폐공간 작업 안전교재(발간번호 2019-교육홍보-588)를 보면
단순질식제: 수소, 질소, 헬륨, 메탄, 에탄, 탄산가스, 프레온가스
화학적질식제(혈액중 산소 운반능력을 방해하는 가스, 조직으로 산소배분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혈액 중 산소 운반능력을 방해하는 가스: 일산화탄소, 아닐린, 니트로소아미, 아비산
조직으로 산소배분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황화수소, 오존, 염소, 포스겐
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후 자료에서는 질식제에 대한 분류를 명시해 놓은 자료가 없지만, 2019년 11월 발행된 자료까지는 명확하게 분류가 되있었기에 이 문제는 정답 없음이 맞습니다.

83. 다음 중 납중독을 확인하는데 이용하는 시험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혈중의 납
     2. 헴(heme)의 대사
     3. 신경전달속도
     4. EDTA 흡착능

     정답 : []
     정답률 : 74%

84.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흡수경로와 상관없이 전체적인 노출을 평가할 수 있다.
     2. 노출된 유해인자에 대한 종합적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3. 지방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4. 인체에 흡수된 내재용량이나 중요한 조직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85. 다음 중 스티렌(styrene)에 노출되었음을 알려 주는 요 중 대사산물은?(2013년 08월)
     1. 페놀
     2. 마뇨산
     3. 만델린산
     4. 메틸마뇨산

     정답 : []
     정답률 : 66%

86. 독성실험단계에 있어 제1단계(동물에 대한 급성노출시험)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3월)
     1. 생식독성과 최기형성 독성실험을 한다.
     2. 눈과 피부에 대한 자극성 실험을 한다.
     3. 변이원성에 대하여 1차적인 스크리닝 실험을 한다.
     4. 치사성과 기관장해에 대한 양-반응곡선을 작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 2단계 동물에 대한 만성폭로 시험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87. 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페인트, 신나, 잉크 등의 용제로 사용되며 장기간 폭로될 경우, 독성 말초신경장애가 초래 되어 사지의 지각상실과 신근마비 등 다발성 신경장해를 일으키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대표적인 유해물질은?(2003년 08월)
     1. 벤젠
     2. 톨루엔
     3. 클로로포름
     4. 노르말헥산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발성 신경장해 = 노말헥산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8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중금속의 종류는?(2013년 03월)

    

     1. 크롬
     2. 카드뮴
     3.
     4. 수은

     정답 : []
     정답률 : 83%

89. 망간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금속망간의 직업성 노출은 철강제조 분야에서 많다.
     2. 망간의 만성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2가의 망간화합물이다.
     3. 치료제는 CaEDTA가 있으며 중독 시 신경이나 뇌세포 손상 회복에 효과가 크다.
     4. 이산화망간 흄에 급성 폭로되면 열, 오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열을 일으킨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망간중독에는 EDTA 투입이 금지
[해설작성자 : 화이팅]

망간중독의 치료 및 예방법은 망간에 폭로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것이고, 증상의 초기단계에서는 킬레이트 제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망간에 의한 신경손상이 진행되어 일단 증상이 고정되면 회복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DTA 투입 금지는 아니고 가능 하지만 효과가 매우 뛰어난게    아님 카드뮴이 투입 금지

90. TD50(Toxin Dos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5월)
     1. 실험동물의 50%에서 심각한 독성반응이 나타나는 양
     2. 실험동물의 50%가 심각한 독성반응으로 죽게 되는 양
     3. 실험동물의 50%에서 관찰 가능한 가역적 독성반응이 나타나는 양
     4. 실험동물의 50%에서 독성의 양-반응관계가 성립되는 양

     정답 : []
     정답률 : 46%

91. 진폐증의 독성병리기전과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천식
     2. 섬유증
     3. 폐 탄력성 저하
     4. 콜라겐 섬유 증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진폐증의 대표적 병리소견인 섬유증이란 폐포, 폐포관 등을 이루고 있는 폐포들 사이에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는 현상이다.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면 폐의 탄력성이 떨어져 호흡곤란, 지속적 기침, 폐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백호형]

92. 중금속 중에서 칼슘대사에 장애를 주어 신결석을 동반한 신증후군이 나타나고 다량의 칼슘배설이 일어나 뼈의 통증, 골연화증 및 골수공증과 같은 골격계 장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6년 03월)
     1. 망간(Mn)
     2. 카드뮴(Cd)
     3. 비소(As)
     4. 수은(Hg)

     정답 : []
     정답률 : 65%

93. 독성물질의 생체과정인 흡수, 분포, 생전환, 배설 등의 변화를 일으켜 독성이 낮아지는 길항작용의 종류로 적절한 것은?(2010년 03월)
     1. 화학적 길항작용
     2. 기능적 길항작용
     3. 배분적 길항작용
     4. 수용체 길항작용

     정답 : []
     정답률 : 75%

94.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시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공기 중 유해인자
     2. 요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3. 혈액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4. 호기(exhaled air)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정답 : []
     정답률 : 78%

95.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햇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8월)
     1. LC50
     2. ED50
     3. LD50
     4. TD5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LD50 : 유해물질 경구투여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기간동안 죽는 치사량
LC50 : 기체상태의 독성물질을 호흡시켜 50%가 죽는 농도
ED50 : 약물을 투여한 동물의 50%가 일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양
TL50 : 시험유기체의 50%가 살아남는 독성물질 양
TD50 : 시험유기체의 50%에서 심각한 독성반응을 나타내는 양
[해설작성자 : 그렇구나]

96. 다음 중 소화기로 흡수된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인체 기관은?(2012년 05월)
     1. 신장
     2.
     3. 담낭
     4. 위장

     정답 : []
     정답률 : 78%

97. 동물을 대상으로 양을 투여했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05월)
     1. ED50
     2. LC50
     3. LD50
     4. TD50

     정답 : []
     정답률 : 75%

98.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2018년 03월)
     1. 물질의 농도차
     2. 물질의 입자분포
     3. 물질의 발생기전
     4. 물질의 수용성 정도

     정답 : []
     정답률 : 70%

99. 다음 중 중절모자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발견되어 hatter’s shake라고 하며 근육경련을 유발하는 중금속은?(2021년 05월)
     1. 카드뮴
     2. 수은
     3. 망간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로마시대 수은광산 수은중독 사망
우리나라 형광등 제조업체 문송면 직업병
금속 중 증기를 발생시켜 산업중독 일으킴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100. 장기간 폭로될때 간조직세포에서 여러 소기관이 증식하고 섬유화증상이 나타나 간에 혈관육종(hemangiosarcoma)을 일으키는 물질은?(2005년 03월)
     1. 삼염화에틸렌
     2. 사염화에틸렌
     3. 염화비닐
     4. 메틸클로로포름

     정답 : []
     정답률 : 3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1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3456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0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08342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9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7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0130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6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10638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4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3673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2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1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16484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8
50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9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130982)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8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7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6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5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2168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4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3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