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생력재배(省力栽培)는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한 농가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된 재배방법이다. 이 방법은 노동력을 덜 들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초제의 사용과 같은 작업단계의 간략화, 첨단 농기계의 사용을 들 수 있다.
2.
고온으로 발생된 해(害)작용이 아닌 것은?
1.
위조의 억제
2.
황백화 현상
3.
당분 감소
4.
암모니아 축적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위조 식물체의 수분이 결핍하여 시들고 마르는 현상dlek. 고온에서의 식물은 위조 위험에 노출된다.
3.
엽면시비가 효과적인 경우가 아닌 것은?
1.
작물의 필요량이 적은 무기양분을 사용할 경우
2.
토양 조건이 나빠 무기양분의 흡수가 어려운 경우
3.
시비를 원하지 않는 작물과 같이 재배할 경우
4.
부족한 무기성분을 서서히 회복시킬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엽면시비란 액체 비료를 식물의 잎에 직접 공급하는 방법을 말한다. 기공으로의 흡수는 신속하게 일어나지만, 흡수하는 총량은 표피를 통할 경우에 극대화될 수 있다. 엽면시비의 장점으로 비료 성분을 식물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토양 시비에 비하여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토양 구조의 입단화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세균(bacteria)
2.
방선균(Actinomycetes)
3.
선충류(Nematoda)
4.
균근균(Mycorrhizae)의 균사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균사 [菌絲, hyphae] 균사(단수;hypha, 복수;hyphae)는 곰팡이나 토양세균인 방선균(actinomycetes)에서 관찰되는 긴 사상성 구조를 말하며 대부분의 곰팡이에서 영양생장(vegetative growth)의 주된 형태이다. 균사가 총체적으로 모인 것을 균사체(mycelium)라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균사 [hypha] (미생물학백과 )균사는 토성의 공극사이에서 접착제같은 역할을 해 입단구조를 만든다.
5.
종자춘화형 식물이 아닌 것은?
1.
추파맥류
2.
완두
3.
양배추
4.
봄올무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종자춘화형 [seed vernalization type, 種子春化型, しゅししゅんかがた]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종자의 춘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식물.
종자 춘화형 식물 : 추파맥류, 완두, 잠무, 봄올무 등 - 최아 종자의 시기에 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 녹체 춘화형 식물: 양배추, 히요스 등 - 식물이 일정한 크기에 달한 녹체기에 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 [해설작성자 : 솜솜]
6.
작물의 분화 및 발달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물이 원래의 것과 다른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현상을 작물의 분화라고 한다.
2.
작물의 환경이나 생존경쟁에서 견디지 못해 죽게 되는 것을 순화라고 한다.
3.
작물이 점차 높은 단계로 발달해 가는 현상을 작물의 진화라고 한다.
4.
작물이 환경에 잘 견디어 내는 것을 적응이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순화(順化, acclimatization)는 생물을 다른 땅에 심을 때 해당 지역의 기후 조건에 적응케 하는 과정을 말한다.
7.
개방된 토수로에 투수하여 이것이 침투해서 모관상승을 통하여 근권에 공급되게 하는 방법은?
1.
암거법
2.
압입법
3.
수반법
4.
개거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하관개 [地下灌漑, subirrigation] 지하에서 수분을 공급받는 방법으로 개거법(開渠法), 암거법(暗渠法), 압입법(圧入法) 등이 있다. - 개거법: 개방된 상수로로 물을 대고 이것을 침투시켜 모세관현상을 이용 - 암거법: 지하에 관 매설 - 압입법: 도시의 가로수나 과수에 사용하고 있다.
8.
윤작방식은 지방 실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발달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원리가 포함되는데 옳지 않은 것은?
1.
주작물이 특수하더라도 식량과 사료의 생산이 병행되는 것이 좋다.
2.
지력유지를 통하여 콩과작물이나 다비작물을 포함한다.
3.
토양보호를 위해서 피복작물을 심지 않는다.
4.
토지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름작물과 겨울작물을 결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토양을 비료의 유출 및 침식으로부터 막기 위하여 과수 사이 또는 계절적 작물 사이에 재배되는 작물을 피복 작물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용성인비에는 인산 이외에 Ca, Mg 및 SiO2도 구용성으로 되어 있어 그 효과도 기대되고 반응이 염기성이기 때문에 산성토양의 중화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인산이 수용성이 아니기 때문에 완효성이다. 수용성 인산을 고정하여 난용화하는 토양(예: 화산회토)에 유리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성인비 [熔成燐肥, fused phosphate]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12.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대단히 넓은 범위의 일장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은?
1.
중성식물
2.
장일식물
3.
단일식물
4.
정일성식물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①단일성 식물 - 명기가 12시간보다 짧은 일장조건에서 화아분화와 개화가 촉진되고, 일장이 어느정도 이상되면 개화가 늦어지거나 개화하지 않는 식물 - 늦벼, 늦콩, 옥수수, 수수, 조, 고구마, 담배, 호박, 모스모스, 나팔꽃, 딸기 등
②장일성 식물 - 명기가 12시간보다 긴 일장조건에서 화아분화 및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 밀, 호밀, 보리, 귀리, 완두, 무, 순무, 배추, 시금치, 유채, 감자, 양파, 상추 등
③중성 식물 - 일조시간의 길이와 관계 없이 꽃눈을 만들어 열매를 맺는 식물 - 가지, 고추, 토마토, 강낭콩, 당근 등
④정일 식물 - 단일이나 장일에서 개화하지 않고 어느 좁은 범위의 특정한 일장에서만 개화하는 식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지리적 미분법을 적용하여 작물의 기원을 탐색한 학자는?
1.
Vavilov
2.
De Candolle
3.
Ookuma
4.
Hellriegel
정답 : [
1
] 정답률 : 82%
14.
다음 중 벼를 재배할 때 풍해에 의해 발생하는 백수현상을 유발하는 풍속, 공기습도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백수현상은 풍속이 크고 공기습도가 높을 때 심하다.
2.
백수현상은 풍속이 적고 공기습도가 높을 때 심하다.
3.
백수현상은 공기습도 60%, 풍속 10m/sec의 조건에서 발생한다.
4.
백수현상은 공기습도 80%, 풍속 20m/sec의 조건에서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白穗現象(한자) 여름 강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강한 바람이 비를 동반하게 되는 데 비가 그치고 고온 건조한 바람이 야간에 강하게 통과하면 출수 직후(출수기부터 1주일 이내)에 있는 벼이삭이 다음날 아침 하얗게 말라 큰 피해를 주게 되는데, 이 같은 현상을 백수현상이라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백수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15.
작물에 유익한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아닌 것은?
1.
유기물의 분해
2.
유리질소의 고정
3.
길항작용
4.
탈질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토양미생물의 유익작용* -탄소 순환 -암모니아화성 작용 -질산화성 작용(질화작용) -유기질소의 고정 -가용성 무기성분의 동화 -토지구조의 입단화 -생장촉진물질 분비 [해설작성자 : 청년농부]
탈질작용은 쉽게 말해 질소가 대기중으로 빠져나가는 것입니다. 작물의 입장에서는 성장에 필요로 하는 질소가 빠져나가니 성장에 제약이 걸립니다. 즉, 작물의 입장에서는 유익한 활동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농사의 신, 간호학과]
16.
다음은 작물의 내동성에 관여하는 요인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1.
원형질의 수분투과성 :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면 세포내 결빙을 적게 하여 내동성을 증대시킨다.
2.
지방함량 : 지방과 수분이 공존할 때 빙점강화도가 작아지므로 지유함량이 높은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3.
전분함량 : 전분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은 저하된다.
4.
세포의 수분함량 : 자유수가 많아지면 세포의 결빙을 조장하여 내동성이 저하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생육 : 보온효과가 크기 때문에 보통재배의 경우보다 생육이 늦어져 만식재배에 널리 이용된다.
4.
토양 : 수식 등의 토양 침식이 경감되거나 방지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온효과가 크기 때문에 보통재배의 경우보다 조식(早植)재배 가능 [해설작성자 : 농린이]
18.
작물의 동상해에 대한 응급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저녁에 충분히 관개한다.
2.
중유, 나뭇가지 등에 석유를 부운 것 등을 연소시킨다.
3.
이랑을 낮추어 뿌림골을 얕게 한다.
4.
거적으로 잘 덮어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19.
다음 중 작물 혼파의 이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산초량(産草量)이 억제된다.
2.
가축의 영양상 유리하다.
3.
비료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4.
지상, 지하를 입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혼파한 목초는 서로 생장속도가 다르므로 산초량이 시기적으로 평준화되는 것이지, 산초량이 억제되는 것은 아니다. + 상번초와 하번초 또는 심근성 작물과 천근성 작물이 섞이며 지상,지하를 입체적으로 잘 이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대기 습도가 높으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증산의 증가
2.
병원균번식 조장
3.
도복의 발생
4.
탈곡·건조작업 불편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증산은 습도가 높을 때 발생하기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sunong-e]
2과목 : 토양관리
21.
단위면적당 생물체량이 가장 많은 토양미생물로 맞는 것은?
1.
사상균
2.
방선균
3.
세균
4.
조류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질화작용 : 시비한 암모니아태 질소나 유기물의 분해로 생긴 암모니아가 토양 중에서 질화균의 작용으로 아질산이나 질산으로 변화하는 과정.
28.
식물영양소를 토양용액으로부터 식물의 뿌리표면으로 공급하는 대표적인 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습계수
2.
뿌리차단
3.
집단류
4.
확산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흡습계수 : 건조한 토양이 공기중의 습도와 평형을 이룰 때까지의 수분흡수계수 PF 4.5 집단류 : 물의 대류현상.확산과 대비되는 현상 확산 : 이온(양분)이 불규칙한 열운동에 의해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이동하는 현상 뿌리차단 : 뿌리표면 수소와 토양표면 양분이 서로 교환,흡수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존스톤 전수동]
29.
큰 토양입자가 토양표면을 구르거나 미끄러지며 이동하는 것은?
1.
부유
2.
약동
3.
포행
4.
비산
정답 : [
3
] 정답률 : 66%
30.
토양의 용적밀도를 측정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토양의 산성 정도를 알기 위해
2.
토양의 구조발달 정도를 알기 위해
3.
토양의 양이온 교환용량 정도를 알기 위해
4.
토양의 산화환원 정도를 알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체적인 물질이 단위용적당 질량. [해설작성자 : 앙기모]
31.
밭토양과 비교하여 신개간지 토양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산성이 강하다.
2.
석회 함량이 높다.
3.
유기물 함량이 낮다.
4.
유효인산 함량이 낮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신개간지 토양은 산성도가 높고, 석회 함량은 낮으며, 유기물과 유효인산도 적다가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따라서 "석회 함량이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국기]
32.
토양을 분석한 결과 양이온교환용량은 10cmolc/kg이었고, Ca 4.0cmolc/kg, Mg 1.5cmolc/kg, K 0.5cmolc/kg 및 Al 1.0 cmolc/kg 이었다면 이 토양의 염기포화도(Base saturation)는?
주상구조는 모재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물이나 빙하의 아래에 위치하기도 한다.
3.
괴상 구조는 건조 또는 반건조지역의 심층토에 주로 지표면과 수직한 형태로 발달한다.
4.
구상 구조는 주로 유기물이 많은 표층토에서 발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판상구조;판자모양 논토양하층 산림토양에서 발달 괴상구조;다면체/원괴 입상구조가 크며 점토가 많은 B층에 분포 주상구조;가로세로가 다른 각주/원주상으로 알칼리 심토에 분포 입상구조(구상구조);토양입자가 인근토양과 결합형성이 좋지않은 구조로 유기물이 많은 건조지역에 분포 [해설작성자 : 존스톤 전수동]
37.
다음 중 토양유실예측공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토양관리인자
2.
강우인자
3.
평지인자
4.
작부인자
정답 : [
3
] 정답률 : 52%
38.
이 성분을 많이 흡수한 벼는 도복과 도열병에 강해지고 증수의 효과가 있다. 이 원소는?
1.
Ca
2.
Si
3.
Mg
4.
Mn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규소 원소기호 Si, 원자번호 14번 원소
39.
Kaolini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형치환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2.
다른 층상의 규산염광물들에 비하여 상당히 적은 음전하를 가진다.
3.
1:1층들 사이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은 비표면적을 가진다.
4.
우리나라 토양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점토광물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카올리나이트는 가장 일반적인 광물이고, 카올린 형태로 브라질, 프랑스, 영국, 독일, 인도, 호주, 한국, 중국, 미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문제 해설> 토양이 단립화되면 토양 사이의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장점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무경운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구조 개선
2.
토양유기물 유지
3.
토양생명체 활동에 도움
4.
토양침식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토양침식은 주로 농경지의 표토(表土)가 물·바람 등의 힘으로 이동하여 상실되는 현상이므로 장점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시설의 일반적인 피복방법이 아닌 것은?
1.
외면피복
2.
커튼피복
3.
원피복
4.
다중피복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외면 피복 : 온실용 시설은 피복재가 바같면(외면)을 둘러싸는 것이다. 2.수막커튼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온실의 외부피복을 2중으로 만들고 그 사이에 지하수를 가늘게 살수시켜 피복면을 따라 흘러 내리게 하여 물이 식을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고 또 수막형성으로 보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14~18℃의 보온효과와 30~60%의 난방비 절감효과가 있어 에너지절감형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4. 다중피복 [multi-layer covering, multi-layered film, 多重被覆, たじゅうひふく]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비닐피복시 1겹만 피복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겹으로 피복하는 것.
46.
유기축산물에서 축사조건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공기순화, 온·습도, 먼지 및 가스농도가 가축건강에 유해하지 아니한 수준 이내로 유지 되어야 할 것
2.
충분한 자연환기와 햇빛이 제공될 수 있을 것
3.
건축물은 적절한 단열·환기 시설을 갖출 것
4.
사료와 음수는 거리를 둘 것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중 2) 축사 및 방목에 대한 세부요건은 다음과 같다. 가) 축사 조건 (1) 축사는 다음과 같이 가축의 생물적 및 행동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가) 사료와 음수는 접근이 용이할 것 (나) 공기순환, 온도·습도, 먼지 및 가스농도가 가축건강에 유해하지 아니한 수준 이내로 유지되어야 하고, 건축물은 적절한 단열·환기시설을 갖출 것 (다) 충분한 자연환기와 햇빛이 제공될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ㅇㅇ]
47.
다음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1.
퇴비시용 : 대단히 효과적인 유기물 함량 유지 증진방법이다.
2.
윤작체계 : 토양유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하여야 한다.
3.
식물 잔재 잔류 : 재배포장에 남겨두어 유기물 자원으로 이용한다.
4.
유기축분의 시용 : 질소함량이 낮아 분해속도를 촉진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유기축분은 유기물 함량증진에 중요하며 질소 함량이 높아 분해속도가 빠르고 토양 미생물의 활력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농린이]